KR102403853B1 - 절첩식 톱 - Google Patents

절첩식 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853B1
KR102403853B1 KR1020197016526A KR20197016526A KR102403853B1 KR 102403853 B1 KR102403853 B1 KR 102403853B1 KR 1020197016526 A KR1020197016526 A KR 1020197016526A KR 20197016526 A KR20197016526 A KR 20197016526A KR 102403853 B1 KR102403853 B1 KR 10240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clasp
saw blade
wind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554A (ko
Inventor
쇼조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Publication of KR2020003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 B23D51/0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with extensible or collapsible frames ; Frames with spare blade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1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4Cross-cut saws; Pad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26B1/04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lockable in adjusted position
    • B26B1/04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lockable in adjusted position by a spring biased locking lever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ivot axis of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26B1/04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lockable in adjusted position
    • B26B1/044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lockable in adjusted position by a spring tongue snapping behind or into the tang of the blade from a side part of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자유자재로 절첩할 수 있는 톱날체를 그 사용 위치에 있어서 걸어 고정하는 걸쇠 기구를, 종래와 상이한 사고 방식으로, 최소의 부품 개수로, 또한 매우 간단하게 제조,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추가로 양호한 걸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절첩식 톱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권회부(11), 고정핀부(12), 걸쇠부(13), 조작부(15)를 구비하는 스프링선으로 구성되는 걸쇠체(10)를 톱자루체(20)에 구비함과 함께, 톱자루체(20)는 착좌 오목부(23), 핀홀(24), 수입홈(22)을 적어도 구비하며, 걸쇠체(10)는 톱자루체(20)에 장착된 상태로, 권회부(11)의 전방에 있는 걸쇠부(13)가 탄성부세에 의해 수입홈(22) 내에 침입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권회부(11)의 후방에 있는 조작부(15)의 조작에 의해 걸쇠부(13)가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절첩식 톱(1)이다.

Description

절첩식 톱
본 발명은 톱날체를 절첩하여 수납 가능한 절첩식 톱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사용시 및 사용후의 편리성으로부터, 톱날체를 절첩하여 수납 가능한 절첩식 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절첩식 톱은 톱자루체에 형성하는 등쇠체에 체결 볼트와 너트를 개재하여 톱날체를 자유자재로 절첩할 수 있도록 피벗지지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톱날체에 구비되는 걸림홈에 걸기 가능한 걸쇠체를 등쇠체에 구비하고, 스프링 부재를 개재하여 걸쇠체를 걸림홈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절첩식 톱을 나타내는 종래 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1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7289호
상기 특허문헌 1은 칼날 교체식 톱에 관한 발명으로, 톱자루체(1)와, 톱판체(3)와, 등쇠체(2)와, 래칫부(9)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부(9)는 등쇠체(2)에 장착되어, 래칫 기구와 함께, 상기 톱판체(3)에 걸어 당해 톱판체(3)를 그 사용 위치에 고정하는 걸쇠 기구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행하고 있다.
상기 래칫부(9)는 금속판을 다양하게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 혹은 절곡 가공을 하여, 계합편(9g)과 조작편(9b)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추가로 별도 부품인 조작부(9f)를 별도 부품인 스프링 부재(9h)와 함께 조작편(9b)에 장착하고, 그 조작편(9b)을 별도 부품인 핀(9c)으로 등쇠체(2)에 피벗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래칫부(9)에 의한 걸쇠 기구는 복잡하고 다공정의 가공이 필요함과 함께 많은 부품 개수가 필요하여, 비용 절약을 실현할 수 없고, 또한 조립이 번잡해져 제조 공정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유자재로 절첩할 수 있는 톱날체를 그 사용 위치에 있어서 걸어 고정하는 걸쇠 기구를, 종래와는 완전히 상이한 사고 방식에 기초하여, 최소의 부품 개수로, 또한 매우 간단하게 제조, 조립을 할 수 있고, 추가로 양호한 걸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절첩식 톱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톱자루체와, 당해 톱자루체에 대해 자유자재로 절첩하여 수납되도록 회동 피벗지지됨과 함께 사용 위치에 있어서 걸려 계지되는 톱날체와, 상기 톱자루체에 장착되어 상기 톱날체에 걸어 계지시키는 걸쇠체를 적어도 구비한 절첩식 톱으로서, 상기 걸쇠체는 1개의 스프링선으로 이루어지고, 코일 형상으로 권회된 권회부와, 당해 권회부를 핀 고정하기 위해 권회부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고정핀부와, 상기 권회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전방에 구성되는 걸쇠부와, 당해 걸쇠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후방에 구성되는 조작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톱날체는 상기 걸쇠체에 의해 걸리는 걸림홈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톱자루체는 상기 걸쇠체의 권회부를 착좌시키는 착좌 오목부와, 상기 걸쇠체의 고정핀부를 삽입하여 계지시키는 핀홀과, 상기 걸쇠체의 걸쇠부와 상기 톱날체의 걸림홈을 수용하는 수입홈을 적어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걸쇠체는 상기 톱자루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가 탄성부세에 의해 상기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침입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가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후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상기 제1 특징에 추가로, 걸쇠체의 권회부는 그 축심이 톱자루체의 표리면에 직교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쇠체의 고정핀부는 상기 권회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걸쇠체의 걸쇠부는 상기 권회부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전방에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걸쇠부로부터 이어져 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후방에 구성되고,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걸쇠부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권회부의 정상부 부근을 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호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상기 제2 특징에 추가로, 걸쇠체의 조작부는 톱자루체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있고, 당해 조작부를 내리누름으로써, 상기 걸쇠체의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상기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추가로,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착좌된 걸쇠체의 권회부는 상기 톱자루체의 핀홀에 계지된 고정핀부와, 상기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탄성부세된 걸쇠부에 의해, 이동 가능 거리가 제한되어 착좌 오목부 내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상기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추가로, 걸쇠체의 고정핀부를 계지하는 톱자루체의 핀홀은 착좌 오목부의 바닥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쇠체의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상기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추가로,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되어 유지되는 걸쇠체의 걸쇠부는 권회부가 상기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톱자루체의 수입홈의 내벽에 당접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톱은 상기 제1∼제6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추가로,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는 그 해방단의 직경이 조금 좁게 되어있는 것을 제7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걸쇠체는 1개의 스프링선으로 이루어진다.
걸쇠체는 그 고정핀부를 톱자루체의 핀홀에 삽입하여 계지시킴과 함께, 권회부를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착좌시켜, 걸쇠체의 걸쇠부를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침입시킴으로써, 걸쇠체의 톱자루체에 대한 장착이 이루어진다.
톱날체가 사용 위치까지 회동되면,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서 걸쇠체의 걸쇠부에 의해 걸려 계지된다. 한편, 걸쇠체의 조작부가 조작됨으로써 걸쇠부가 후퇴되어, 걸림이 풀려 톱날체의 계지가 해제된다.
걸쇠체는 1개의 스프링선을 사용하여, 권회부와 고정핀부와 걸쇠부와 조작부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잡한 가공이나 다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걸쇠체는 권회체를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착좌시키고, 고정핀부를 톱자루체의 핀홀에 삽입하여 계지시켜, 걸쇠부를 톱자루체의 받침홈에 탄성부세하여 침입시킴으로써, 다른 부품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톱자루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최소의 부품 개수로, 또한 매우 간단하게 제작, 조립을 할 수 있고, 추가로 양호한 걸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절첩식 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에 추가로, 걸쇠체의 권회부는 그 축심이 톱자루체의 표리면에 직교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걸쇠체의 고정핀부는 권회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권회부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쇠부와, 이곳에서 추가로 이어져 연장되어 권회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는 상기 축심이 톱자루체의 표리면에 직교하는 권회부의 정상부 부근을 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고, 그 지선부를 개재하여 상호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걸쇠체는 권회부의 일단측에 고정핀부를 구성하고, 권회부의 다른 일단측에 걸쇠부와 이에 이어서 조작부를 구성함으로써, 1개의 스프링선으로부터 용이하게 굽힘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걸쇠체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권회부의 정상부 부근을 가로지르는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를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상기 제2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에 추가로, 걸쇠체의 조작부는 톱자루체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있고, 당해 조작부를 내리누름으로써, 상기 걸쇠체의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조작부를 내리누르는 것만으로 걸쇠부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한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상기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에 추가로,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착좌된 걸쇠체의 권회부는 상기 톱자루체의 핀홀에 계지된 고정핀부와, 상기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탄성부세된 걸쇠부에 의해, 이동 가능 거리가 제한되어 착좌 오목부 내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간이한 구성으로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상기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에 추가로, 걸쇠체의 고정핀부를 계지하는 톱자루체의 핀홀은 착좌 오목부의 바닥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쇠체의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간이한 구성으로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상기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에 추가로,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되어 유지되는 걸쇠체의 걸쇠부는 권회부가 상기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톱자루체의 수입홈의 내벽에 당접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특징에 의한 절첩식 톱에 의하면, 상기 제1∼제6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작용 효과에 추가로,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는 그 해방단의 직경이 조금 좁게 되어 있는 점에서, 간이한 구성으로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을 나타내는 전체도로, 톱날체를 사용 위치에서 계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톱날체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도, (b)는 (a)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톱날체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톱날체를 사용 위치에서 계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분해 사시도, (b)는 걸쇠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의 조작부를 조작할 때 힘이 부하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절첩식 톱의 주요부의 측면도, (b)는 걸쇠체를 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변형예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변형예 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을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은 체결 볼트(40)와 스프링 와셔(50)를 개재하여, 톱날체(30)를 톱자루체(20)에 대해 자유자재로 절첩할 수 있게 회동 피벗지지하여 이루어지는 톱이다. 이 절첩식 톱(1)은 걸쇠체(10)와, 톱자루체(20)와, 톱날체(30)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체(10)는 절첩식 톱(1)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톱날체(30)를 사용 위치에서 고정하고, 절첩식 톱(1)의 사용후에 있어서는 톱날체(30)의 사용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걸쇠체(10)는 권회부(11)와, 고정핀부(12)와, 걸쇠부(13)와, 지선부(14)와, 조작부(15)로 이루어지는 1개의 스프링선(스프링 부재)으로 구성된다.
한편, 스프링선으로는, 피아노선이나 그 외, 걸쇠체(10)로서 탄성부세를 발휘할 수 있는 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권회부(11)는 스프링선에 있어서, 부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세력 발생부가 되는 것과 함께, 톱자루체(20)에 걸쇠체(10)를 장착했을 때의 착좌부가 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선을 코일 형상으로 복수회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권회부(11)를 사용하여, 이 권회부(11)의 축심(J)(도 4(b) 참조)이 톱자루체(20)의 두께 방향(톱자루체(20)의 표면(26)과 이면(27)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착좌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권회부(11)의 축심(J) 방향의 폭은 당해 권회부(11)가 착좌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톱자루체(2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권회부(11)가 착좌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톱자루체(20)의 두께를 10㎜로 하면, 권회부(11)의 축심(J) 방향의 폭도 대략 10㎜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선으로서, 직경 2㎜의 스프링선을 사용한 경우, 대략 5회 권회하여 권회부(11)로 하고 있다.
상기 고정핀부(12)는 걸쇠체(10)를 톱자루체(2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로서 도움이 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된 권회부(11)에 있어서, 그 일단을 구성하는 코일 끝의 바닥부로부터 코일의 접선 방향으로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핀암(12a)과, 당해 핀암(12a)의 선단을 톱자루체(20)의 표리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핀축(12b)으로, 고정핀부(1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핀부(12)의 핀축(12b)이 톱자루체(20)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핀홀(24)에 삽입되어 계지된다.
상기 걸쇠부(13)는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을 개재하여, 톱날체(30)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걸림홈(34) 내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되어 유지됨과 동시에, 당해 걸림홈(34)과 계합되어, 톱날체(30)를 그 사용 위치에서 부동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걸쇠부(13)는 대략 U자 형상 스프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걸쇠부(13)는 스프링선을 권회부(11)의 다른 일단을 구성하므로 코일 끝의 정상부(11a)로부터 코일의 접선 방향으로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전방을 향해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제1 측암(13a)과, 제1 측암(13a)으로부터 연속하여 톱자루체(10)의 표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헤드(13b)와, 당해 헤드(13b)로부터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후방으로 대략 90도로 굴곡시키고 권회부(11)까지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제2 측암(1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측암(13a)과 제2 측암(13c)의 간극은 톱자루체(20)의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조금 넓어지도록 하고, 양 측암(13a, 13c)이 톱자루체(2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헤드(13b)가 톱자루체(20)의 걸림홈(34)을 가로질러 확실히 걸리도록 하고 있다.
한편, 여기서 「전방, 후방」이란, 톱날체(30)를 자유자재로 회동하도록 피벗지지하는 톱자루체(20)의 전단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톱날체(30)가 장착되지 않은 톱자루체(20)의 말단 방향을 후방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지선부(14)는 권회부(11)의 전방에 구성되는 걸쇠부(13)와, 권회부(11)의 후방에 구성되는 조작부(15)를 연결함과 함께, 조작부(15)를 조작할 때의 지점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선을 걸쇠부(13)의 제2 측암(13c)으로부터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두께 방향 내측으로 대략 90도로 굴곡시키고, 권회부(11)의 축심(J)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 일단측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지선부(14)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b),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부(11)의 정상부(11a) 부근을 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위치에 지선부(14)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선부(14)의 연장 방향이 도 4(b)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권회부(11)의 축심(J)과 평행이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13)와 조작부(15)를 상호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정상부(11a) 부근」이란, 정상부(11a)에 반드시 항상 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조작부(15)를 하방으로 내리누름으로써, 지선부(14)가 권회체(11)의 정상부(11a), 혹은 정상부(11a) 근방에서 권회부(11)에 당접하여, 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15)는 톱날체(30)를 사용 상태에서 해제할 때 조작하기 위한 조작편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작부(15)는 지선부(14)를 사이에 두고, 걸쇠부(13)와는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대략 ㄷ자 형상 스프링선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조작부(15)는 스프링선을 지선부(14)로부터 연속하여 걸쇠부(13)와는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후방측)을 향해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제1 측변(15a)과, 제1 측변(15a)으로부터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두께 방향 내측으로 대략 90도로 굴곡시키고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말단변(15b)과, 말단변(15b)으로부터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전방으로 굴곡시키고 권회부(11)까지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제2 측변(15c)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5)는 평상시에 있어서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내리누름 조작을 하기 쉽도록, 조작부(15)의 뒷부분을 톱자루체(20)의 상면(25)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조금 굽혀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부(15)는 톱자루체(20)의 상면(25)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있고, 조작부(15)를 내리누름으로써,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13)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15)의 뒷부분을 톱자루체(20)의 상면(25)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굽혀 형성하고 있지만, 당해 조작부(15)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당해 조작부(15)를 작업자의 허리 벨트에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절첩식 톱을 휴대하는 것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도 4(b)에 평면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쇠체(10)는 걸쇠부(13)와, 지선부(14)와, 조작부(15)에 의해, 권회부(11)를 중심으로 하여, 권회부(11)의 정상부(11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쇠부(13)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5)가 지선부(14)를 경계로 대략 8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걸쇠체(10)는 1개의 스프링선을 사용하여, 한붓그리기를 하듯이, 스프링선의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굽힘 가공을 순차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3이나 도 4(a)도 참조하여, 상기 톱자루체(20)는 절첩식 톱(1)의 파지부가 됨과 함께, 체결 볼트(40)와 스프링 와셔(50)를 개재하여 톱날체(30)를 자유자재로 절첩할 수 있도록 회동 피벗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자루체(20)는 금속판을 사용하여, 이를 상면(25)을 경계로 하여 역U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한 쌍의 절곡편(20a, 20b)으로 하고, 이 한 쌍의 절곡편(20a, 20b)의 간극(S)에 톱날체(30)를 절첩하여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톱자루체(20)의 앞부분은 상기 상면(25)을 잘라낸 상태로서, 상기 한 쌍의 절곡편(20a, 20b)의 간극(S)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톱날체(30)의 기저부 부근의 회동에 지장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대향되는 절곡편(20a, 20b)에는,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원 형상의 오목부(21, 21)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S)의 치수를 상기 톱날체(30)의 두께에 가까운 치수까지 축소하여, 톱날체(30)를 자유자재로 회동되도록 피벗지지했을 때, 톱날체(30)가 들썩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톱날체(30)의 관통공(33)을 상기 한 쌍의 오목부(21, 21)에 형성한 관통공(21a, 21a) 사이에 넣어 맞추고, 스프링 와셔(50)를 개재하여, 체결 볼트(40)를 그 축부(40b)로 관통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이면측의 관통공(21a)에 형성한 암나사부에 나선 결합시킴으로써, 톱날체(30)의 장착을 행한다.
한편, 상기 체결 볼트(40)는 스프링 와셔(50)와 협동하여 톱자루체(20)에 톱날체(30)를 협압 고정, 또는 이반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체결 볼트(40)는 절곡편(20b)의 외면에 대향되는 좌면(40c)을 구비하는 머리부(40a)와 나사축부(40b)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와셔(50)는 주로, 진동 등에 의해 체결 볼트(4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톱자루체(20)에는 수입홈(22)을 형성하고 있다. 이 수입홈(22)은 톱날체(30)의 기저부의 상변에 형성되는 걸림홈(34)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며, 또한 상기 걸쇠체(10)의 걸쇠부(13)의 헤드(13b)를 걸기 위한 홈이다.
상기 수입홈(22)은 톱자루체(20)의 앞부분의 상면(25)에 배치 구성되고, 이 수입홈(22)보다 앞에는 상기 상면(25)이 잘라내어진 상태로 되어, 상기 간극(S)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톱날체(30)의 기저부 부근의 회동 이동이 지장 없이 행해지고, 톱날체(30)의 걸림홈(34)이 상기 수입홈(22)에 지장 없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톱자루체(20)에는 상기 수입홈(22)의 후방에 착좌 오목부(2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착좌 오목부(23)는 상기 걸쇠체(10)의 권회부(11)를 착좌시키기 위한 오목부이다.
추가로, 수입홈(22)과 착좌 오목부(23)의 중간 위치이면서 수입홈(22)의 바닥 및 착좌 오목부(23)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핀홀(24)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 핀홀(24)은 상기 걸쇠체(10)의 고정핀부(12)의 선단의 핀축(12b)을 삽입하여 계지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톱자루체(20)의 착좌 오목부(23)에는, 걸쇠체(10)의 권회부(11)가 착좌된다. 착좌는 권회부(11)의 축심(J)이 톱자루체(20)의 표면(26) 및 이면(27)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착좌 오목부(23)의 바닥부의 형상은 권회부(11)의 하반부의 형상을 정확히 수용할 수 있도록, 권회부(11)의 하반부와 닮음 내지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착좌 오목부(23)의 전체적인 형상은 U자 형상 내지 대략 U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착좌 오목부(23)의 깊이는 권회부(11)의 권회 직경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권회부(11)의 정상부(11a)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조금 돌출되는 정도의 깊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권회부(11)의 정상부(11a)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돌출되는 치수로는, 걸쇠체(10)를 구성하는 스프링선의 직경분 상당 치수 이상으로 하고, 2직경 상당분 이하로 한다.
권회부(11)의 정상부(11a)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조금 돌출되도록 하는 이유는, 권회부(11)의 정상부(11a)로부터 코일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쇠부(13)가 톱자루체(20)에 대해 용이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조작부(15)의 내리누름 가능 범위를 확보하는 것, 그리고 조작부(15)가 내리눌러졌을 때 상기 걸쇠부(13)가 톱날체(30)의 걸림홈(34)으로부터 확실히 풀리도록, 그 상승 가능 범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자루체(20)의 착좌 오목부(23)에 착좌된 걸쇠체(10)의 권회부(11)가 핀홀(24)에 계지된 고정핀부(12)와, 톱자루체(20)의 수입홈(22) 내에 탄성부세된 걸쇠부(13)에 의해, 이동 가능 거리가 제한되어 착좌 오목부(23) 내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쇠체(10)의 고정핀부(12)의 핀암(12a)의 길이를 톱자루체(20)의 핀홀(24)으로부터 착좌 오목부(23)의 상연(근거리측)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성함으로써, 권회부(11)가 핀홀(24)을 회전축으로 하여 착좌 오목부(23)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려고 해도,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추가로, 걸쇠부(13)의 제1, 제2 측암(13a, 13c)의 길이를, 수입홈(22) 내에 침입 상태로 있는 헤드(13b)가 조금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만으로 수입홈(22)의 내벽(22a)(도 2(b) 참조)에 당접하여 걸리는 길이로 구성하여, 이에 의해 권회부(11)가 핀홀(24)을 회전축으로 하여 착좌 오목부(23)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려고 해도, 걸쇠부(13)가 걸려, 빠져나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권회부(11)의 톱자루체(20)의 폭 방향(두께 방향)에 대한 이동이나 탈락은, 핀홀(24)에 계지된 고정핀부(12)가 톱자루체(20)의 표면(26)과 당접하는 것이나, 수입홈(22) 내에 탄성부세된 걸쇠부(13)의 제1, 제2 측암(13a, 13c)이 톱자루체(20)의 표면(26) 혹은 이면(27)에 당접함으로써, 제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톱날체(30)는 금속제로, 톱신부(31)의 한쪽의 변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산 형상의 톱날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날체(30)의 기저부에는, 체결 볼트(40)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톱날체(30)의 기저부의 상변에는 걸쇠체(10)의 걸쇠부(13)에 계탈 가능한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홈(34)은 2개소에 형성되어 있어, 톱날체(30)의 사용 위치에서의 각도를 2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톱날체(30)의 톱자루체(20)에 대한 고정은 톱날체(30)의 관통공(33)이 톱자루체(20)의 관통공(21a)과 겹쳐지도록 톱날체(30)를 간극(S)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축부(40b)에 스프링 와셔(50)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로, 체결 볼트(40)를 톱자루체(20)에 단단히 조인다. 이로써 톱자루체(20)에 톱날체(30)가 고정된다.
걸쇠체(10)의 톱자루체(20)에 대한 장착은 톱자루체(20)의 측방으로부터 걸쇠체(10)의 고정핀부(12)의 핀축(12b)을, 톱자루체(20)의 핀홀(24)에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권회부(11)를 톱자루체(20)의 측방으로부터 착좌 오목부(23)에 삽입하여 착좌시킨다. 이 때, 도 2(b)를 참조하여, 고정핀부(12)와 걸쇠부(13)가 이루는 간극 거리가,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톱자루체(20)에 걸쇠체(10)를 장착하기 전(걸쇠체(10)가 프리한 상태로 있을 때)보다, 도 2(b)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톱자루체(20)에 걸쇠체(10)를 장착한 후가 커지도록(넓어지도록), 걸쇠체(10)를 톱자루체(20)에 장착한다. 이로써 걸쇠부(13)의 헤드(13b)가 수입홈(22) 내에 침입하도록 탄성부세된다. 상기 핀홀(24)의 배치는 이러한 탄성부세가 발생하도록 미리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톱자루체(20)에 걸쇠체(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톱(1)을 사용할 때에는, 도 3에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날체(30)를 절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톱날체(30)의 기저부의 가장자리가 그 회동에 따라, 톱자루체(20)의 수입홈(22) 내에 있는 걸쇠체(10)의 걸쇠부(13)의 헤드(13b)를, 그 부세력에 저항하여 밀어올린다. 그리고, 톱날체(30)의 걸림홈(34)이 톱자루체(20)의 수입홈(22) 내에 들어옴으로써, 상기 걸쇠부(13)의 헤드(13b)가 상기 걸림홈(34)에도 걸려, 걸림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절단물을 절단 가능한 위치에 톱날체(3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추가로 조작부(15)를 손가락으로 내리누르면(도 5 참조),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13)가 밀어올려진다. 그리고, 그 상태에 있어서 톱날체(30)를 들어올려, 톱날체(30)의 기저부측의 다른 걸림홈(34)과 걸쇠부(13)가 계합되는 위치에서 조작부(15)의 내리누름을 해제함으로써, 톱날체(30)의 기저부측의 걸림홈(34)과 걸쇠부(13)가 계합되고, 톱날체(3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톱을 절첩할 때, 조작부(15)(말단변(15b))를 손가락으로 내리누름으로써,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13)가 밀어올려진다. 이로써, 걸쇠부(13)를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걸림홈(34)으로부터 풀 수 있다. 즉, 걸쇠부(13)는 수입홈(22)으로부터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개방 방향으로 후퇴된다. 그리고, 그 상태로 톱날체(30)를 절첩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톱날체(30)를 톱자루체(20)에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은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권회부(11)와, 고정핀부(12)와, 걸쇠부(13)와, 지선부(14)와, 조작부(15)를 구비하는 걸쇠체(10)를 1개의 스프링선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톱날체(30)를 사용 위치에서 고정하는, 이른바 고정 부재의 부품 개수를 억제할 수 있어, 비용 절약을 실현할 수 있으면서, 제조 효율이 양호한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부(12)의 핀축(12b)을 톱자루체(20)의 측방으로부터 핀홀(24)에 삽입하여 계지시킴과 함께, 권회부(11)를 톱자루체(20)의 측방으로부터 착좌 오목부(23)에 착좌시키는 것만으로 걸쇠체(10)를 톱자루체(20)에 장착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걸쇠체(10)를 톱자루체(20)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
다시 말해, 걸쇠체(10)와, 톱자루체(20)와, 톱날체(30)와, 그 외에는 체결 볼트(40)와, 스프링 와셔(50)만으로 절첩식 톱(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톱(1) 전체의 부품 개수도 억제할 수 있어, 비용 절약을 실현할 수 있으면서, 제조 효율이 양호한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걸쇠체(10)의 권회부(11)를, 그 축심(J)이 톱자루체(20)의 표리면(26, 27)에 직교하는 상태로 하여 톱자루체(20)의 착좌 오목부(23)에 배치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쇠부(13)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5)는 권회부(11)의 정상부(11a) 부근을 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상호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13)와 조작부(15)를 용이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로, 지선부(14)의 연장 방향이 도 4(b)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권회부(11)의 축심(J)과 평행이 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부(15)를 내리눌러 걸쇠부(13)를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수입홈(22)으로부터 개방시킬 때, 지선부(14)에 균일한 힘을 부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5)를 조작할 때에는, 지선부(14)가 지점, 말단변(15b) 부근이 힘점, 걸쇠부(13)가 작용점이 되어, 도 5(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부하된다. 그리고, 부하된 힘은 권회부(11)와 접하면서 지점을 구성하는 지선부(14)에 전달된다. 따라서, 도 4(b),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J)과 평행한 직선 형상으로 한 지선부(14)를 개재하여, 조작부(15)로부터 걸쇠부(13)에 대해 균일한 부하를 효율적으로 걸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한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톱자루체(20)의 착좌 오목부(23)에 착좌된 걸쇠체(10)의 권회부(11)가, 핀홀(24)에 계지된 고정핀부(12)와, 톱자루체(20)의 수입홈(22) 내에 탄성부세된 걸쇠부(13)에 의해, 이동 가능 거리가 제한되어 착좌 오목부(23) 내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권회부(11)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추가로, 권회부(11)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톱자루체(20)의 수입홈(22) 내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되어 유지되는 걸쇠부(13)가, 톱자루체(20)의 수입홈(22)의 내벽(22a)에 당접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권회부(11)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전성이 높은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걸쇠체(10)의 고정핀부(12)를 계지하는 톱자루체(20)의 핀홀(24)을, 착좌 오목부(23)의 바닥 및 수입홈(22)의 바닥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권회부(11)가 착좌 오목부(23)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전성이 높은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5)는 톱자루체(20)의 상면(25)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형성하여, 조작부(15)를 내리누름으로써, 지선부(14)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13)를 상승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조작부(15)를 내리누르는 것만으로 걸쇠부(13)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한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추가로, 조작부(15)의 구성으로서, 조작부(15)의 뒷부분이 톱자루체(20)의 상면(25)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조금 굽혀져 있으므로, 톱자루체(20)를 한 손으로 잡았을 때에도, 엄지를 재치시키기 쉽고, 한 손으로도 밀어넣기 쉬워진다. 따라서, 더욱 조작성이 양호한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의 변형예 1을 설명한다.
본 변형예 1은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에 대해, 걸쇠체(10)의 고정핀부(12)의 권회부(11)로부터의 연장 방향과, 톱자루체(20)의 핀홀(24)의 형성 위치의 구성만을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과 동일하다. 따라서,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과 동일 부재,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변형예 1에 따른 절첩식 톱(2)은 스프링선을 권회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톱자루체(20)의 길이 방향의 비스듬한 후방으로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고정핀부(1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추가로, 고정핀부(12)의 구성으로서, 수입홈(22) 및 착좌 오목부(23)보다 후방이면서 수입홈(22) 및 착좌 오목부(23)보다 하방 위치에 핀홀(24)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좌 오목부(23)로부터 권회부(11)가 빠져나오는 방향, 특히 착좌 오목부(23)보다 톱자루체(20)의 전방 방향으로 힘이 부하된 경우에 있어서도, 핀홀(24)에 삽입하여 계지되는 고정핀부(12)에 의해, 착좌 오목부(23)로부터 권회부(11)가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전성이 높은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의 변형예 2를 설명한다.
본 변형예 2는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에 대해, 걸쇠체(10)의 권회부(11)를 수용하는 톱자루체(20)의 착좌 오목부(23)의 구성만을 변형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첩식 톱(1)과 동일하다. 따라서, 앞서 서술한 절첩식 톱(1)과 동일 부재,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변형예 2에 따른 절첩식 톱(3)은 착좌 오목부(23)의 구성으로서, 권회부(11)의 높이(H) 이상의 깊이(D)를 구비하면서, 노치의 개방 단부의 직경을 조금 좁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치의 개방 단부에 톱자루체(20)의 착좌 오목부(23)의 내측으로 팽출시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내향 팽출편(23a)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추가로, 한 쌍의 내향 팽출편(23a) 간의 거리(K)가 권회부(11)의 외경(G)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좌 오목부(23)로부터 권회부(11)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힘이 부하된 경우에 있어서도, 한 쌍의 내향 팽출편(23a)에 의해 착좌 오목부(23)로부터 권회부(11)가 빠져나오는 것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전성이 높은 절첩식 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수입홈(22)과, 착좌 오목부(23)와, 핀홀(24)의 형상, 크기, 형성 위치나, 걸쇠체(10)에 있어서의 고정핀부(12)의 연장 방향은, 앞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그러나, 톱자루체(20)에 걸쇠체(10)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걸쇠부(13)가 수입홈(22) 내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되어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걸쇠부(13), 조작부(15)의 형상, 크기도 앞서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식 톱에 있어서, 부품 개수를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비용 절약과 제조 공정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절첩식 톱 분야에 있어서의 산업상의 이용성이 높다.
1 절첩식 톱
2 절첩식 톱
3 절첩식 톱
10 걸쇠체
11 권회부
11a 정상부
12 고정핀부
12a 핀암
12b 핀축
13 걸쇠부
13a 제1 측암
13b 헤드
13c 제2 측암
14 지선부
15 조작부
15a 제1 측변
15b 말단변
15c 제2 측변
20 톱자루체
20a 절곡편
20b 절곡편
21 오목부
21a 관통공
22 수입홈
22a 내벽
23 착좌 오목부
23a 내향 팽출편
24 핀홀
24a 내벽
25 상면
26 표면
27 이면
30 톱날체
31 톱신부
32 톱날부
33 관통공
34 걸림홈
40 체결 볼트
40a 머리부
40b 축부
40c 좌면
50 스프링 와셔
D 깊이
G 외경
H 높이
J 축심
K 거리
S 간극

Claims (7)

  1. 톱자루체와, 당해 톱자루체에 대해 자유자재로 절첩하여 수납되도록 회동 피벗지지됨과 함께 사용 위치에 있어서 걸려 계지되는 톱날체와, 상기 톱자루체에 장착되어 상기 톱날체를 걸어 계지시키는 걸쇠체를 적어도 구비한 절첩식 톱으로서, 상기 걸쇠체는 1개의 스프링선으로 이루어지고, 코일 형상으로 권회된 권회부와, 당해 권회부를 핀 고정하기 위해 권회부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고정핀부와, 상기 권회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전방에 구성되는 걸쇠부와, 당해 걸쇠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후방에 구성되는 조작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톱날체는 상기 걸쇠체에 의해 걸리는 걸림홈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톱자루체는 상기 걸쇠체의 권회부를 착좌시키는 착좌 오목부와, 상기 걸쇠체의 고정핀부를 삽입하여 계지시키는 핀홀과, 상기 걸쇠체의 걸쇠부와 상기 톱날체의 걸림홈을 수용하는 수입홈을 적어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걸쇠체는 상기 톱자루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가 탄성부세에 의해 상기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침입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가 탄성부세에 저항하여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2. 제 1 항에 있어서,
    걸쇠체의 권회부는 그 축심이 톱자루체의 표리면에 직교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쇠체의 고정핀부는 상기 권회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걸쇠체의 걸쇠부는 상기 권회부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전방에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걸쇠부로부터 이어져 후방으로 연장되어 권회부의 후방에 구성되고,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걸쇠부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권회부의 정상부 부근을 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호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3. 제 2 항에 있어서,
    걸쇠체의 조작부는 톱자루체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있고, 당해 조작부를 내리누름으로써, 상기 걸쇠체의 지선부를 지점으로 하여 걸쇠부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에 착좌된 걸쇠체의 권회부는 상기 톱자루체의 핀홀에 계지된 고정핀부와, 상기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탄성부세된 걸쇠부에 의해, 이동 가능 거리가 제한되어 착좌 오목부 내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쇠체의 고정핀부를 계지하는 톱자루체의 핀홀은 착좌 오목부의 바닥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쇠체의 권회부가 착좌 오목부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톱자루체의 수입홈 내에 침입 상태로 탄성부세되어 유지되는 걸쇠체의 걸쇠부는 권회부가 상기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톱자루체의 수입홈의 내벽에 당접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톱자루체의 착좌 오목부는 그 해방단의 직경이 조금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
KR1020197016526A 2017-07-18 2017-07-18 절첩식 톱 KR102403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5947 WO2019016860A1 (ja) 2017-07-18 2017-07-18 折り畳み式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554A KR20200031554A (ko) 2020-03-24
KR102403853B1 true KR102403853B1 (ko) 2022-05-30

Family

ID=6086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526A KR102403853B1 (ko) 2017-07-18 2017-07-18 절첩식 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5171B2 (ko)
EP (1) EP3613549B1 (ko)
JP (1) JP6253866B1 (ko)
KR (1) KR102403853B1 (ko)
CN (1) CN110087841B (ko)
TW (1) TWI747960B (ko)
WO (1) WO2019016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0447B (zh) 2012-07-12 2018-04-27 新特斯有限责任公司 锯、锯刀片和连接机构
USD959229S1 (en) * 2020-10-15 2022-08-02 Fiskars Finland Oy Ab Saw
USD955845S1 (en) * 2020-10-15 2022-06-28 Fiskars Finland Oy Ab Saw
USD951054S1 (en) * 2020-10-15 2022-05-10 Fiskars Finland Oy Ab Saw
USD951053S1 (en) * 2020-10-15 2022-05-10 Fiskars Finland Oy A Saw
USD966859S1 (en) * 2020-10-16 2022-10-18 Fiskars Finland Oy Ab Folding saw
USD1025739S1 (en) * 2022-10-10 2024-05-07 JongMuk Kim Handle for a too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181A (en) * 1976-09-07 1977-08-09 Western Cutlery Co. Locking blade knife
JPS6045679U (ja) * 1983-09-05 1985-03-30 宮脇 卯一 鋸の柄
JPH0242402Y2 (ko) * 1985-09-28 1990-11-13
JPH0527145Y2 (ko) * 1988-04-13 1993-07-09
JPH056071Y2 (ko) * 1990-05-25 1993-02-17
JPH09109104A (ja) * 1995-10-13 1997-04-28 Bakuma Kogyo Kk 替え刃式鋸
US5765247A (en) * 1996-01-11 1998-06-16 Buck Knives, Inc. Hand tool with multiple locking blades controlled by a single locking mechanism and release
JPH09277202A (ja) * 1996-04-10 1997-10-28 Yuum Kogyo:Kk のこ身のロック機構
US5692304A (en) * 1996-07-19 1997-12-02 Cooper Industries, Inc. Locking device for folding tool
TW306396U (en) * 1996-10-30 1997-05-21 wei-jun Xu Structure of buckling and stretching of saw
US6145202A (en) * 1998-03-10 2000-11-14 Kai U.S.A. Ltd. Opening and closing assisting mechansim for folding knife
GB2407532A (en) * 2003-10-28 2005-05-04 Black & Decker Inc Clamp assembly for removably mounting a working member
US7437822B2 (en) * 2005-05-18 2008-10-21 Gbii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folding knife
JP2008207289A (ja) 2007-02-27 2008-09-11 Kabasawa:Kk 替刃式鋸
US8161653B2 (en) * 2007-11-12 2012-04-24 Leatherman Tool Group, Inc. Folding tool having a rotatable locking mechanism
CN101518914A (zh) * 2008-02-26 2009-09-02 孙照峰 便携式锯木用手锯
CN201264247Y (zh) * 2008-10-19 2009-07-01 蔡炼 一种小刀
KR200462017Y1 (ko) * 2010-04-27 2012-08-24 백의수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WO2012098672A1 (ja) * 2011-01-21 2012-07-26 株式会社ユーエム工業 グリップジャケット、刃物用グリップ
US9545729B2 (en) * 2015-03-26 2017-01-17 Wahl Clipper Corporation Hair trimmer blade set with adjustable blades
EP3455037A1 (en) * 2016-05-09 2019-03-20 Fenix Outdoor Development And CSR AG Lock-blade knife for cooking purpo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0167A1 (en) 2020-04-30
US10875171B2 (en) 2020-12-29
CN110087841A (zh) 2019-08-02
EP3613549A1 (en) 2020-02-26
CN110087841B (zh) 2021-07-13
TW201908039A (zh) 2019-03-01
JP6253866B1 (ja) 2017-12-27
TWI747960B (zh) 2021-12-01
JPWO2019016860A1 (ja) 2019-07-18
EP3613549B1 (en) 2021-11-24
EP3613549A4 (en) 2020-12-02
WO2019016860A1 (ja) 2019-01-24
KR20200031554A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853B1 (ko) 절첩식 톱
US8286357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folding knife
EP1591204B1 (en) Hand actuable locking clamp
JP4085003B2 (ja) 解離可能な工具固定機構及びこれと使用するための工具
JP6714358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201183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717826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220024700A (ko) 그립 공구
CN112041122B (zh) 钳子
JP6706238B2 (ja) アンカー部材
WO2016113770A1 (ja) 電動工具用ハンド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工具
JP2006230263A (ja) 鋏具
US20050160567A1 (en) Auxiliary locating mechanism for spring clamp
EP2017408B1 (fr) Dispositif de prépositionnement d'une gâche destinée à coopérer avec une serrure d'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et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au moins un tel dispositif
JP7161183B2 (ja) 剪定鋏
JP2009285812A (ja) 電動工具
JP6794331B2 (ja) 手持式作業機
JP2017080059A (ja) カバー付き清掃具のカバー開閉方法及びカバー付き清掃具
JP6218300B2 (ja) 携帯型キー
JP5492645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910004553Y1 (ko) 무한궤도형 중장비의 전, 후진조절레버 고정장치
JP6571049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及び張力検知ユニット
DE69902256T2 (de) Messer
JP4505207B2 (ja) 折込み鋸
JP201800191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