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17Y1 -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17Y1
KR200462017Y1 KR2020100004436U KR20100004436U KR200462017Y1 KR 200462017 Y1 KR200462017 Y1 KR 200462017Y1 KR 2020100004436 U KR2020100004436 U KR 2020100004436U KR 20100004436 U KR20100004436 U KR 20100004436U KR 200462017 Y1 KR200462017 Y1 KR 200462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saw
angle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345U (ko
Inventor
백의수
Original Assignee
백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의수 filed Critical 백의수
Priority to KR2020100004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17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8Arrangements of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hand saws, e.g. for limiting the cutting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hand-held or hand-opera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4Cross-cut saws; Pad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미 손잡이에 장치된 톱날 지지구의 톱날축에 톱날이 접철가능케 축결합된 톱에 있어서, 톱날(4)의 후미부 중 톱날축(12) 상부에는 기준 걸림홈(6)과 기준 걸림홈(6)의 좌우로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이 형성되고, 톱날 지지구(10)의 상부 레버축(14)에는 일측 걸림핀(22)과 타측 누름부(24)를 갖는 조절레버(20)가 축결합되게 하여, 조절레버(20)의 작동에 따라 톱날(4)의 기준 걸림홈(6),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 중 하나가 걸림핀(22)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톱날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SAW CAPABLE OF ADJUSTING ANGLE}
본 고안은 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환경에 따라 톱날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은 목재 등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와 톱날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잡이와 톱날의 각도는 톱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완료하기 위한 가장 최적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톱질을 하다 보면 작업환경이 여의치 않아 자르고자 하는 대상물에 제대로 된 힘을 가하기 어렵거나, 손목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때가 많았다. 이럴 경우 손잡이와 톱날의 각도를 작업환경에 부합하도록 조금만 조절하더라도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물체를 자를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톱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톱이 요망되었으며, 그 일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22898호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톱”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4561호“목재용 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 및 등록실용에서는 손잡이와 톱날이 고정되는 톱날고정부를 볼트넛으로 축결합함으로써 볼트넛의 조임과 풀림으로 톱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손잡이와 톱날고정부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요철부가 있어 볼트넛의 죄임으로 더욱 긴밀하게 결합되는 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톱은 볼트넛의 풀고 죄임으로 번거로움이 있으며 만약 작업시 볼트넛에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풀림으로 인하여 결착된 요철면이 헐렁해지게 되면서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환경에 따라 톱날의 각도를 신속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확실한 걸림 고정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후미 손잡이에 장치된 톱날 지지구의 톱날축에 톱날이 접철가능케 축결합된 톱에 있어서, 톱날(4)의 후미부 중 톱날축(12) 상부에는 기준 걸림홈(6)과 기준 걸림홈(6)의 좌우로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이 형성되고, 톱날 지지구(10)의 상부 레버축(14)에는 일측 걸림핀(22)과 타측 누름부(24)를 갖는 조절레버(20)가 축결합되게 하여, 조절레버(20)의 작동에 따라 톱날(4)의 기준 걸림홈(6),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 중 하나가 걸림핀(22)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톱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톱으로 물체를 자를 때 작업환경에 따라 톱날의 각도를 신속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톱날의 각도조절을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톱날의 걸림홈들 및 레버축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톱날의 각도를 변화시킨 상태의 톱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톱날의 각도조절을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톱날의 걸림홈들 및 레버축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톱날의 각도를 변경시킨 상태의 톱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톱(2)은 크게 손잡이(8)와 톱자루에 해당하는 톱날지지구(10)와 톱날(4)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톱(2)은 후미 손잡이(8)에 톱날지지구(10)가 결합고정되고, 톱날지지구(10)의 선두 톱날축(12)에는 톱날(4)의 후미가 각도조절 가능케 축결합된다.
톱날지지구(10)와 톱날(12)의 후미부는 톱날축(12)으로 축결합되고, 톱날(4)의 후미부 중 톱날축(12) 상부에는 기준 걸림홈(6)이 형성되고 기준 걸림홈(6)의 앞뒤에는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이 함께 형성된다.
또한 톱날지지구(10)의 상부측에는 조절레버(20)가 레버축(14)으로 축연결된다. 조절레버(20)는 레버축(14)에 축연결된 단면 “
Figure 112010027367932-utm00001
”형상의 덮개부로서 선두에는 걸림핀(22)이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 고정되고 후미에는 누름부(24)가 형성되며, 누름부(24)의 하부에는 톱날 지지부(10)의 상단부와 반발력을 갖게 하는 탄성스프링(26)이 끼움 고정된다.
조절레버(20)의 일측 걸림핀(22)은 타측 누름부(24)의 푸쉬동작에 따라 레버축(14)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톱날(4)의 후미부에 형성된 기준 걸림홈(6) 또는 각도조절용 전후방 걸림홈(6a)(6b)들 중 작업환경에 맞는 어느 것이든 견고한 걸림 및 해지가 되도록 한다.
즉 조절레버(20)의 누름부(24)를 누르면 걸림핀(22)은 상방으로 올라가 톱날(4)에 대한 해지 상태가 된다. 이때는 톱날(4)이 톱날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톱날(4)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톱날(4)을 손잡이(8)로 완전히 접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해지 상태에서 조절레버(20)의 누름부(24)를 누른 손을 떼게 되면 탄성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하여 누름부(24)는 상방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반대로 걸림핀(22)은 하방로 내려와 톱날(4)의 걸림홈(6)(6a)(6b) 중 하나에 대한 걸림 상태가 된다. 이때는 걸림핀(22)이 톱날(4)의 기준 걸림홈(6) 또는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들 중 어느 것이든 선택적으로 걸림이 되어 톱질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기준 걸림홈(6) 및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은 톱날축(12)과 레버축(14)의 레버작동 위치의 적절한 선정으로 조절레버(20)의 걸림핀(22)이 견고하게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절레버(20)의 레버축(14)은 톱날축(12)의 후부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하므로, 조절레버(20)의 걸림핀(22)이 톱날(4) 후미의 걸림홈(6)(6a)(6b)에 깊이 견고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기준 걸림홈(6)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걸림홈이고, 각도조절용 홈(6a)은 톱날(4)의 머리를 숙일 때 사용되는 걸림홈이며, 각도조절용 홈(6b)은 톱날(4)의 머리를 쳐들 때 사용되는 걸림홈이다. 기준 걸림홈(6)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걸림홈으로서, 각도조절용 홈(6a)(6b)에 비하여 통상 더 많이 쓰이는 걸림홈이라 할 수 있다.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의 위치는 도 3을 참조하면, 톱날축(12)의 중심과 기준 걸림홈(6)의 중심을 잇는 기준선(RL)에 대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15~35°의 각도(θ1)(θ2)로 회전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되는 각이 15°이하일 경우에는 작업능률에 대비하여 볼 때 구태여 홈을 형성하여야 경제성이 적으며, 35°이상일 경우에는 자르고자 하는 물체에 제대로 힘을 가하기가 힘들어진다.
또 톱날(10)의 상부선(UL)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톱날축(12)을 시계 중심으로 가정했을 때 11시에서 2시 사이에 걸림홈(6)(6a)(6b)들이 배열 형성되며, 각도조절용 걸림홈(6a)(6b)은 2개로 구성됨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더 추가되어 구성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고안은 톱에 이용할 수 있다.
(2)--톱 (4)--톱날
(6)--기준 걸림홈 (6a)(6b)--각도조절용 전후방 걸림홈
(8)--손잡이 (10)--톱날 지지구
(12)--톱날축 (14)--레버축
(20)--조절레버 (22)--걸림핀
(24)--누름부 (26)--탄성스프링

Claims (3)

  1. 후미 손잡이에 장치된 톱날 지지구의 톱날축에 톱날이 접철가능케 축결합된 톱에 있어서,
    톱날(4)의 후미부 중 톱날축(12) 상부에는 기준 걸림홈(6)과 기준 걸림홈(6)의 좌우로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용 전후방 걸림홈(6a)(6b)을 형성하되, 각도조절용 홈(6a)(6b)의 위치는 톱날축(12)의 중심과 걸림상태에서의 걸림핀(22)의 중심을 그은 기준선(RL)에 대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5~35°의 각도로 회전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톱날(4)의 상부선(UL)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톱날축(12)을 시계 중심으로 가정했을 때 11시에서 2시 사이에 걸림홈(6)(6a)(6b)들이 배열 형성하며, 톱날 지지구(10)의 상부에는 레버축(14)을 형성하되 톱날축(12)에 대하여 후부 상방에 형성하며, 레버축(14)에는 “
    Figure 112012013020676-utm00006
    ”형상의 덮개부인 조절레버(20)가 축결합되며, 조절레버(20)의 선두에는 걸림핀(22)이 조절레버(2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후미에는 누름부(24)가 형성되며, 누름부(24)의 하부에는 톱날 지지부(10)의 상단부와 반발력을 갖게 하는 탄성스프링(26)이 설치되며, 조절레버(20)의 작동에 따라 톱날(4)의 기준 걸림홈(6), 각도조절용 전후방 걸림홈(6a)(6b) 중 하나가 걸림핀(22)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4436U 2010-04-27 2010-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KR200462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36U KR200462017Y1 (ko) 2010-04-27 2010-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36U KR200462017Y1 (ko) 2010-04-27 2010-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45U KR20110010345U (ko) 2011-11-02
KR200462017Y1 true KR200462017Y1 (ko) 2012-08-24

Family

ID=4707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36U KR200462017Y1 (ko) 2010-04-27 2010-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78Y1 (ko) * 2011-12-20 2013-09-16 백의수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KR102403853B1 (ko) * 2017-07-18 2022-05-30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절첩식 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1053A1 (en) * 2000-04-26 2001-11-01 Kapman Ab Foldable handsaw with an optional angle between the handle and the bl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1053A1 (en) * 2000-04-26 2001-11-01 Kapman Ab Foldable handsaw with an optional angle between the handle and the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45U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017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TW201402254A (zh) 多效工具及張力機構
TWI453080B (zh) 可調整鋸切角度的鋸切機
CA2781921A1 (en) Scrubbing razor
US20100018060A1 (en) Cutting tool
CN206899036U (zh) 一种改进型夹钳
KR101017957B1 (ko)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CN110700562B (zh) 一种脚手架扣件及其安装工具
US2762407A (en) Saw with adjustable saw blade
US20090241345A1 (en) Utility knife with a pivotal actuator served as an auxiliary handgrip
CN107999883A (zh) 一种高效倒角机
JP2018514401A5 (ko)
CN107457746B (zh) 工作附件
CN102974891B (zh) 可调节锯切空间的钢锯
CN105127777A (zh) 直角工件定位装置
KR101034408B1 (ko) 다중날을 갖는 미용가위
US20160227710A1 (en) Power-driven hedge trimmer with movable power assembly
TWI419753B (zh) 鋸切機的護蓋快拆裝置及組拆方法
CN206722401U (zh) 一种建筑夹料机构用紧固装置
KR200458636Y1 (ko) 낚싯대용 수직받침대
JP2007211476A (ja) 電柱組付式作業台
CN216219477U (zh) 一种自动回弹耳标钳
FI123357B2 (fi) Puunkäsittelykouran puunleikkauslaite
CN201755696U (zh) 一种往复锯
CN103084658A (zh) 锯机、尤其圆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