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28B1 -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28B1
KR102401428B1 KR1020177000874A KR20177000874A KR102401428B1 KR 102401428 B1 KR102401428 B1 KR 102401428B1 KR 1020177000874 A KR1020177000874 A KR 1020177000874A KR 20177000874 A KR20177000874 A KR 20177000874A KR 102401428 B1 KR102401428 B1 KR 10240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flector panel
deflector
vehicl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945A (ko
Inventor
앤소니 제이. 포비넬리
마틴 알. 매튜스
제프리 비. 만히레
Original Assignee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filed Critical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2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는 디플렉터 패널, 액추에이터, 및 각각이 디플렉터 패널의 운동을 위해 링크의 서로에 대한 미리 결정된 비율을 갖는 링크장치 조립체를 구비한다. 조립체는 차량 요건에 기초하여 전개되고 후퇴되며, 전개될 때, 연비 또는 성능 특성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차량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도록 차량의 전방에서 공기 유동을 방향전환시킨다. 또한, 조립체는 차량이 지상고 등을 충족시키도록 디플렉터 패널이 후퇴 가능하게 한다. 디플렉터 패널은 또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강성 및 반-강성 모두를 갖는다. 구동 샤프트는 디플렉터 패널을 전개된/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하나의 링크장치 조립체에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다른 하나의 링크장치 조립체로 전달한다. 액추에이터는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칭된다.

Description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ACTIVE FRONT DEFLECTOR}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6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10,840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위의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적용예를 위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에서, 차량 아래의 그리고 차량 주위의 공기유동으로 인해 공기역학적 효율의 상당한 손실이 존재한다. 가요성 재료를 사용한 고정된 패널 또는 고정된 에어 디플렉터/댐(dam)과 같은 종래의 구조체가 공지되어 있고, 종래의 구조체는 통신 능력 및 수명 주기 내구성을 갖는 효과적인 밀봉형 그리고 클러칭가능형 액추에이터, 물체 검출이 가능한 시스템, 또는 내구성이 있고 공기역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이유로 바람직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이들 고정된 에어 디플렉터/댐은 이들이 사양을 저하시키고 다른 차량 능력을 약화시키지 않고서는 최적 높이로 제조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절충물이다. 또한, 이들 에어 댐은 가요성일 때에도 오프-로딩(off-roading) 중에 또는 추가의 지상고가 필요할 때 여전히 손상된다.
따라서, 전개될 때 개선된 공기역학적 특성을 위한 공기역학적 표면을 제공하지만 차량을 이의 초기 설계 의도로 복귀시키기 위해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는 경로를 벗어나(out of the way) 후퇴가능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가 요구된다.
전개될 때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차량을 이의 초기 설계 의도로 복귀시키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후퇴가능한 공기역학적 표면과, 링크장치 배열체 및 클러치식 구동 시스템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링크장치 배열체에 부착되는 클러치식 구동 조립체에 의해 이동가능한 디플렉터 패널을 갖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는 이러한 링크장치 배열체와 클러치식 구동 조립체를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는 추가의 지상고가 필요할 때와 같은 조건에 대해서는 차량 능력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후퇴가능하고, 정상 주행 조건에 대해서는 전개가능하다. 연장된 또는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디플렉터 패널은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공기유동을 개선한다. 후퇴된 또는 수납된(stowed) 위치에 있을 때, 디플렉터 패널은 일반적으로 차량 아래를 향해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거나 접힌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는 디플렉터 패널의 원하는 운동에 중요한, 링크의 서로에 대한 비율을 갖는 4개의 바아 링크장치 배열체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는 또한 시스템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칭된다. 또한, 구동 샤프트는 구동력을 링크장치 배열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전달한다. 디플렉터 패널은 충격 에너지 흡수를 추가로 돕기 위해 강성 및 반-강성 모두를 갖는다.
차체 아래에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후퇴가능한 디플렉터는 차량 공기역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디플렉터는 연비 또는 성능 특성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차량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도록 차량의 전방에서 공기 유동을 방향전환시킨다. 디플렉터는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이 접혀져 충격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큰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특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2개의 4개의 바아 링크장치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이는 링크장치 배열체에 부착되는 클러치식 구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개된 위치에 있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개된 위치로 도시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개된 위치로 도시된 도 2의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시스템의 링크장치 조립체와 디플렉터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개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를 도시한 도 2의 4-4를 따라 취해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퇴된 위치로 도시된 도 2의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의 확대 분리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개된 위치에 있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의 링크장치 비율의 개략도이다.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사실상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결코 본 발명, 이의 적용, 또는 사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전반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수납된 위치(또는 "후퇴된" 위치)와 전개된 위치(또는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는 차량 요건에 기초하여 전개되고 후퇴되는 능동형 완전 에어 디플렉터를 제공한다. 이는 고정된 패널 시스템보다 낮은 전개가 항력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배출물을 감소시키며 연비를 개선하도록 (그리고/또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 능동형 그릴 셔터 성능을 개선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차량이 여전히 지상고, 램프각(ramp angle), 오프-로드 요건 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후퇴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이 전개된 상태에서 충돌하는 경우, 손상 방지를 조력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는 시스템이 후퇴되고/후퇴되거나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는 패시아(fascia) 아래 그리고/또는 부근의 고정된 희생 패널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그리고 덜 효과적인 공기역학적 개선을 달성하는 전형적인 차량 시스템에 비해 상당한 개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16)에 부착된 사용 환경으로 도시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100)의 사시도이다. 이는 전형적인 상황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전개된 위치에 있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전반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수납된 위치(또는 "후퇴된" 위치)와 전개된 위치(또는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된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강성 상부 스파인(2) 부분을 갖는 반-강성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1)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반-강성 및 강성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다.
디플렉터 패널(1)은 4개의 바아 링크장치인,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2, 14로 도시된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에 결합된다. 2개의 4개의 바아 링크장치 조립체(12, 14)는 강도, 내구성, 및 차량 상에의 설치를 제공하면서 구속을 방지하고 전개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를 허용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적합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각각의 링크장치 조립체(12, 14)는 커플러 링크(5)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리고 고정된 기부 링크(6)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링크(3)와 종동 링크(4)를 구비한다. 커플러 링크(5)는 또한 각각의 링크장치 조립체(12, 14) 각각을 디플렉터 패널(1)의 강성 상부 스파인(2)에 작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장착 부분(18), 예컨대 체결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10)와 함께 사용되는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12, 14)가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조립체(10)의 길이와 특정 적용예에 따라,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링크장치 조립체(12, 14)가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20)(도 4 내지 도 5)가 장착 부분(18) 각각을 디플렉터 패널(1)의 강성 상부 스파인(2)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립체(10)는 조립체(10)의 링크장치를 차량(16)에 고정시키기 위해 차량(16)의 패시아 부분, 범퍼 보강재, 펜더, 프레임 또는 임의의 다른 차량 구조체 또는 몰딩에 작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연결된다. 조립체(10)는 적어도 2개의 부착 브라켓(11)(도 2)에 의해 전방을 향해 차량(16)의 저면에 부착된다. 각각의 부착 브라켓(11)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22)에 의해 각각의 링크장치 조립체(12, 14)의 고정된 기부 링크(6)에 연결된다. 링크장치 조립체(12, 14) 각각은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24)에 의해 차량(16)에 부착된다. 각각의 체결구(24)는 부착 브라켓(11)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구멍(21) 중 대응하는 제1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든 체결구가 너트 및 볼트 조합체이지만, 리벳과 같은 다른 체결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커플러 링크(5)는 각각 2개의 추가의 체결구(26)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두 쌍의 구멍을 포함하고, 각자의 체결구(26) 각각은 또한 구동 링크(3)와 종동 링크(4)의 대응하는 단부를 통해, 예컨대 링크(3, 4) 내에 형성되는 실린더형 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구동 링크(3)와 종동 링크(4)를 커플러 링크(5)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한다. 고정된 기부 링크(6)는 또한 추가의 체결구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멍을 구비하며, 체결구(26)는 또한 종동 링크(4)의 대응하는 단부를 통해 연장되어, 종동 링크(4)를 고정된 기부 링크(6)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한다.
2개의 4개의 바아 링크장치 조립체(12, 14)의 커플러 링크(5), 구동 링크(3), 종동 링크(4), 및 고정된 기부 링크(6)는 디플렉터 패널(1)을 전개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미리 결정된 적합한 각도와 비율을 갖는다.
전개된 위치에서, 링크장치 조립체(12, 14)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한다. 전개된 위치에서 고정된 기부 링크(6)와 구동 링크(3) 사이의 각도는 75 내지 85도이다. 고정된 기부 링크(6)는 커플러 링크(5)의 길이의 2배(2x)이고; 그리고/또는 구동 링크(3)는 커플러 링크(5)의 길이의 3배(3x)이며; 그리고/또는 종동 링크(4)는 커플러 링크(5)의 길이의 3.875배이다(또한 도 6 참조).
2개의 4개의 바아 링크장치 조립체(12, 14) 및 링크의 서로에 대한 비율은 디플렉터 패널(1)의 운동에 중요하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10)는 예컨대 체결구와 함께 고정된 기부 링크(6)의 부착 브라켓(11)을 사용하여 전방을 향해 차량의 저면에 부착된다. 전개된 위치에서(대체로 아래로), 디플렉터 패널(1)은 공기 유동 내에 있으며(도 4 참조); 강성 상부 스파인(2)은 공기 유동 내에 있지 않고 차체(13)에 의해 보호된다. 디플렉터 패널(1)은 공기 유동(도 4에 화살표로 도시됨)을 차단하여, 차량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개된 위치설정은 차량 지상고를 감소시킨다. 차량이 이의 최대 지상고 능력을 필요로 할 때, 디플렉터 패널(1)은 후퇴된다(대체로 위로)(예컨대, 도 5 참조). 이는 액추에이터(28)(도 2)에 의해 달성된다.
적어도 구동 링크(3) 및 종동 링크(4) 각각은 이의 길이를 따라 링크의 하나의 조인트 영역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조인트 영역까지, 강도를 추가하면서 중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예컨대 대체로 U자형 및/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체와 같은 보강 특징부를 구비한다.
구동 링크(3)는 또한 하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30)을 구비하며, 이러한 탭은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탭(30)이 종동 링크(4)의 각각의 상부 융기 세그먼트(32)와 접촉하는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위치된다.
링크장치 조립체(12, 14) 중 하나, 예컨대 좌측 4개의 바아 링크장치(12)는 또한 이와 결합되는 액추에이터(28)를 구비한다. 링크장치 조립체(12, 14)는 디플렉터 패널(1, 2)에, 그리고 액추에이터(28)에 결합되는 구동 샤프트(34)에 연결된다. 링크장치 조립체(12, 14)는 (양쪽의 링크장치(12, 14)의 커플러 링크(5)를 통해) 디플렉터(1, 2) 및 구동 샤프트(34)에 의해 결합된다.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10)의 후퇴와 전개는 액추에이터(28)에 의해 달성된다.
액추에이터(28)는 양쪽의 링크장치 조립체(12, 14)의 구동 링크(3)의 단부 쪽에 부착되는 구동 샤프트(34)에 부착된다. 구동 샤프트(34)는 또한 구동 링크(3)의 대응하는 단부에 인접한 양쪽의 고정된 기부 링크(6)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작동시, 액추에이터(28)는 구동 샤프트(34)를 회전시켜, 구동 링크(3)를 상향으로 회전시켜서, 종동 링크(4) 및 커플러 링크(5)가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디플렉터 패널(1)이 공기 유동으로부터 벗어나 후퇴된 위치로 상승하고 접히게 한다(도 5). 액추에이터(28)는 구동 샤프트(3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 링크(3)를 하향으로 회전시켜서, 종동 링크(4) 및 커플러 링크(5)가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디플렉터 패널(1)이 공기 유동 내로 전개된 위치로 하강하고 연장되게 한다(예컨대, 도 4).
액추에이터(28)는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칭되며, 이는 또 다른 상당한 이점이다. 구동 샤프트(34)는 구동력을 액추에이터(28)의 장착 위치에 따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달한다. 디플렉터(1, 2)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강성 및 반-강성 모두를 가지며, 이는 또 다른 상당한 이점이다.
액추에이터(28)는 적용예 및 미리 결정된 차량 요구에 따라, 회전식 액추에이터, 예컨대 피드백 옵션 구비, 6각형-타입, 스크류-타입 구동부, 고속 액추에이터, 전기, 기계, 선형, 예컨대 전류 오버라이드 회로를 구비, 클러칭 해제(declutching), 유압, 공압, 연장, 파워 리프트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액추에이터 및 이들의 조합이다.
물체가 전개된 위치에 있는 디플렉터 패널(1)에 충돌하는 경우에, 시스템은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지만, 충격이 미리 결정된 설정 수준을 초과하면, 디플렉터 패널이 액추에이터(28)의 내부 클러치에 의해 해제되고, 충격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28)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10)의 손상 방지를 조력하기 위해 기어를 클러칭 해제시키거나 맞물림 해제시켜 디플렉터 패널(1)이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경로를 벗어나 회전하거나 이동 가능하게 하는 내부 클러칭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디플렉터 패널(1)에 대해 미리 결정된 힘의 충격시, 액추에이터(28)는 기어링을 맞물림 해제시키도록 클러칭할 것이고, 따라서 디플렉터 패널(1)은 경로를 벗어나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다.
클러칭가능한 액추에이터(28)는 밀봉되고, 차량(16)과 통신 능력을 갖는다. 액추에이터(28)와 차량(16)은 또한 차량 속도, 풍향, 요(yaw) 등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미리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디플렉터 패널(1)을 전개시키고 후퇴시키도록 통신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디플렉터 패널(1)은 차량이 시간당 30 마일, 예컨대 약 30 내지 40 mph의 미리 결정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후퇴되며, 이후 디플렉터 패널(1)은 연장되어 차량이 미리 결정된 속도 아래로 떨어지거나 지속적인 전개를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지 않을 때까지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적합한 전자장치,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접점을 갖는 차단(shut off) 인쇄 회로 기판(PCB)이 미리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모터에 명령하기 위한, 예컨대 미리 결정된 차량 속도 범위와 상관되는 모터의 통전을 명령하기 위한 차량 통신 네트워크와 상관된다. PCB 전자장치는 오버라이드에 대한 전류 스파이크(current spike)를 감지하고, 이는 클러치가 구동 시스템을 맞물림 해제 가능하게 하여, 패널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한다.
물체가 전개된 위치에 있는 디플렉터 패널(1)에 충돌하는 경우에, 시스템은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지만, 충격이 미리 결정된 설정 수준을 초과하면, 디플렉터 패널이 액추에이터의 내부 클러치에 의해 해제되고, 충격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운동은 4개의 바아 링크장치 시스템(12, 14)의 기하학적 구조와 링크의 서로에 대한 비율에 의해 달성된다(도 3).
디플렉터 패널(1)은 완전히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약 90°로 연장된다. 따라서, 디플렉터 패널(1)은 공기가 차량(16) 아래의 모든 구성요소로 인해 난류가되는 차량(16) 아래에서 공기의 더킹(ducking) 및 스월링(swirling)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16) 전방을 따라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항력을 감소시킨다. 디플렉터 패널(1)은 대체로 차량의 전방 단부의 곡률을 따르고 그리고/또는, 적용예에 따라서 공기 유동을 추가로 지향시키기 위해 스쿠핑되거나 오목하게 되거나 다른 적합한 형상/프로파일일 수 있다. 디플렉터 패널(1)이 아래에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디플렉터 패널은 횡단되는 지표면까지의 거리의 대체로 약 1/4 내지 약 1/2, 바람직하게는 해당 거리의 약 1/3만큼 연장된다.
디플렉터 패널(1)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복합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디플렉터 패널(1)을 강철 또는 알루미늄(특정 적용예에 따라), 채색된 탄소 섬유, 압출된 고무, 또는 미리 결정된 하중을 견디는 다른 적합한 내충격성 재료와 같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하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디플렉터 패널(1)은 단일 피스(piece), 예컨대 성형된 복합 플라스틱, 또는 함께 조립된 다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사실상 단지 예시적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차량용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이며,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로서, 디플렉터 패널은 전개된 위치와 수납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개되고 후퇴되며, 디플렉터 패널의 전개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
    디플렉터 패널 및 차량에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로서, 각각의 링크장치 조립체는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샤프트로서, 구동 샤프트는 구동력을 하나의 링크장치 조립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링크장치 조립체로 전달하는, 구동 사프트, 및
    링크장치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로서, 액추에이터는 차량과 통신하고, 디플렉터 패널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전개시키고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미리 결정된 힘에서의 충돌시, 클러칭 해제를 위한 회로 오버라이드를 발생시키는 전류 스파이크를 감지함으로써, 디플렉터 패널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디플렉터 패널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반-강성 부분 및 강성 상부 스파인 부분을 포함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차량 이동 중에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강성 상부 스파인은 공기 유동 내에 있지 않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명령하기 위한 차량 통신 네트워크와 상관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조건은 차량 속도, 풍향, 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디플렉터 패널을 전개시키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은 시간당 적어도 30 마일의 범위 내의 차량 속도인,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디플렉터 패널을 후퇴시키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은 시간당 30 마일 미만의 범위 내의 차량 속도 또는 액추에이터가 원하는 미리 결정된 하중보다 큰 하중을 감지할 때인,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 각각은
    커플러 링크로서, 커플러 링크는 디플렉터 패널의 강성 상부 스파인에 부착되는, 커플러 링크,
    고정된 기부 링크로서, 고정된 기부 링크는 차량에 부착되는, 고정된 기부 링크,
    커플러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링크, 및
    커플러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 링크
    를 더 포함하고,
    커플러 링크, 구동 링크, 종동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는 디플렉터 패널을 전개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 및 비율을 갖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전개된 위치에서 고정된 기부 링크와 구동 링크 사이의 각도는 75 내지 85도인,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고정된 기부 링크의 길이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2배이고, 구동 링크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3배이며, 종동 링크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3.875배인,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물체 검출 기능을 갖고, 미리 결정된 힘에서 충돌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디플렉터 패널을 클러칭 해제시키고, 이러한 운동은 링크장치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 및 링크의 서로에 대한 비율에 의해 달성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의 구동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부착되는 구동 샤프트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샤프트의 회전은 구동 링크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종동 링크 및 커플러 링크를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디플렉터 패널을 후퇴된 위치로 상승시켜 접히게 하며, 반대 방향으로의 구동 샤프트의 회전은 구동 링크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종동 링크 및 커플러 링크를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디플렉터 패널을 전개된 위치로 하강시켜 연장되게 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4.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플러 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에 의해 디플렉터 패널의 강성 상부 스파인 부분에 연결되는 장착 부분을 구비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링크장치 조립체 각각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부착 브라켓은 능동형 전방 조립체를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차량에 연결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6. 자동차용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이며,
    반-강성 부분 및 강성 상부 스파인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로서, 디플렉터 패널은 공기 유동 내의 전개된 위치와 공기 유동 밖의 수납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개되고 후퇴되며, 디플렉터 패널의 전개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
    디플렉터 패널의 강성 상부 스파인에 부착되고 차량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로서, 각각의 링크장치 조립체는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오직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 및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액추에이터는 물체 검출 기능을 갖고, 차량과 통신하며, 전개가능한 패널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자동으로 전개시키고, 전개가능한 패널을 지속적인 전개를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미리 결정된 힘에서의 충돌시, 클러칭 해제를 위한 회로 오버라이드를 발생시키는 전류 스파이크를 감지함으로써, 디플렉터 패널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하고,
    미리 결정된 조건은 차량 속도, 힘/하중, 풍향, 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 각각은
    커플러 링크로서, 커플러 링크는 디플렉터 패널의 강성 상부 스파인에 부착되는, 커플러 링크,
    고정된 기부 링크로서, 고정된 기부 링크는 차량에 부착되는, 고정된 기부 링크,
    커플러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링크, 및
    커플러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 링크
    를 더 포함하고,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전개된 위치에서 고정된 기부 링크와 구동 링크 사이의 각도는 75 내지 85도이고, 고정된 기부 링크의 길이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2배이며, 구동 링크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3배이고, 종동 링크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3.875배인,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물체 검출 기능을 갖고, 미리 결정된 힘에서 충돌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디플렉터 패널을 클러칭 해제시키고, 이러한 운동은 링크장치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 및 링크의 서로에 대한 비율에 의해 달성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종동 링크의 각각의 상부 융기 세그먼트와 접촉함으로써 후퇴된 위치에서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구동 링크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더 포함하는,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20. 차량용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이며,
    전개된 하향 위치와 수납된 상향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하고 후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로서, 디플렉터 패널의 전개는 항력을 감소시키고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터 패널,
    디플렉터 패널에 부착되고 차량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로서, 각각의 링크장치 조립체는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 및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샤프트를 갖는 액추에이터로서, 액추에이터는 물체 검출 기능을 갖고, 차량과 통신하며, 전개가능한 패널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자동으로 전개시키고, 전개가능한 패널을 지속적인 전개를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후퇴시키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차량 속도, 힘/하중, 풍향, 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미리 결정된 힘에서의 충돌시, 클러칭 해제를 위한 회로 오버라이드를 발생시키는 전류 스파이크를 감지함으로써, 디플렉터 패널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하고,
    적어도 2개의 링크장치 조립체 각각은
    커플러 링크로서, 커플러 링크는 디플렉터 패널의 강성 상부 스파인에 부착되는, 커플러 링크,
    고정된 기부 링크로서, 고정된 기부 링크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부착되는, 고정된 기부 링크,
    커플러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링크, 및
    커플러 링크 및 고정된 기부 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 링크
    를 더 포함하며,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전개된 위치에서 고정된 기부 링크와 구동 링크 사이의 각도는 75 내지 85도이고, 그리고/또는
    고정된 기부 링크의 길이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2배이며, 그리고/또는
    구동 링크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3배이고, 그리고/또는
    종동 링크는 커플러 링크의 길이의 3.875배인,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조립체.
KR1020177000874A 2014-06-11 2015-06-10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KR102401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0840P 2014-06-11 2014-06-11
US62/010,840 2014-06-11
PCT/US2015/035105 WO2015191711A2 (en) 2014-06-11 2015-06-10 Active front def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945A KR20170023945A (ko) 2017-03-06
KR102401428B1 true KR102401428B1 (ko) 2022-05-23

Family

ID=5454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874A KR102401428B1 (ko) 2014-06-11 2015-06-10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9950754B2 (ko)
EP (2) EP3511233B1 (ko)
KR (1) KR102401428B1 (ko)
CN (1) CN106458272B (ko)
CA (1) CA2952371C (ko)
WO (1) WO20151917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839B2 (en) * 2013-06-19 2018-11-13 Magna Exteriors Inc. Active front deflector
WO2015143294A1 (en) * 2014-03-21 2015-09-24 Magna International Inc. Deployable aerodynamic side panel system
US9956998B2 (en) * 2014-06-11 2018-05-01 Magna Exteriors Inc. Active front deflector
KR102401428B1 (ko) * 2014-06-11 2022-05-23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GB2539975B (en) * 2015-09-24 2017-05-17 Ford Global Tech Llc Deployabl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vehicles
US9714058B2 (en) * 2015-12-04 2017-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ly controlled spoiler for a motor vehicle
JP6514137B2 (ja) * 2016-03-09 2019-05-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動式フロントスポイラ装置
JP6870073B2 (ja) 2016-05-20 2021-05-12 マグナ エクステリア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クティブアンダボディパネルシステム
DE102016210407B4 (de) 2016-06-13 2022-12-01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Frontspoiler-Anordnung mit als Überlastschutz vom Bewegungsantrieb entkoppelbarem Strömungsleitbauteil
CN106275104B (zh) * 2016-08-29 2018-08-14 芜湖银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导流板支架
KR101897363B1 (ko) * 2016-11-15 2018-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102518234B1 (ko) 2016-11-15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102518233B1 (ko) 2016-11-15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US10953844B2 (en) * 2017-06-29 2021-03-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rnal airbag system for pedestrian protection
US10370042B2 (en) * 2017-08-02 2019-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justable aerodynamic assembly and a method
JP2019077303A (ja) * 2017-10-24 2019-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可動式フロントスポイラ装置
CN108163061A (zh) * 2017-12-15 2018-06-15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升降式前轮阻风系统
US10981611B2 (en) * 2018-04-03 2021-04-20 Magna Exteriors, Inc Active front deflector—flat panel
US10589804B2 (en) * 2018-05-02 2020-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ar diffuser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CN112292307B (zh) * 2018-06-21 2023-01-13 麦格纳外饰公司 主动式空气动力学应用扭矩驱动连杆
GB2576754A (en) * 2018-08-31 2020-03-04 Marchantcain Design Ltd Vehicle active surface actuation apparatus
DE102018123487A1 (de) * 2018-09-24 2020-03-26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Aktiv verlagerbarer Radspoiler mit Überlastschutz durch Knickelement
GB2578153B (en) * 2018-10-19 2021-04-28 Jaguar Land Rover Ltd Active diffuser mechanism
FR3088294B1 (fr) * 2018-11-14 2022-07-08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flecteur pour rou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US10679437B1 (en) * 2018-11-20 2020-06-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air dam diagnostic method
JP7375479B2 (ja) * 2018-11-22 2023-11-08 株式会社アイシン 可動式スポイラ装置
DE102018131276A1 (de) * 2018-12-07 2020-01-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tätigungssystem für aerodynamische Verstellelemente
DE102018132356A1 (de) 2018-12-14 2020-06-18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Radspoiler mit räumlich kompakter Überlastkupplung
US11325521B2 (en) * 2019-08-23 2022-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accessory bracket for bumper mounted accessories
EP3792164B1 (en) * 2019-09-10 2023-01-04 Yanfeng Plastic Omnium Automotive Exterior Systems Co., Ltd. Active front splitter for automobile
US11180203B2 (en) * 2019-11-19 2021-1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fascia splitter and engine shield
FR3105158B1 (fr) * 2019-12-19 2021-12-24 Cie Plastic Omnium Se Dispositif déflecteur pour roue de véhicule automobile
FR3105156A1 (fr) * 2019-12-19 2021-06-25 Compagnie Plastic Omnium Se Dispositif déflecteur pour roue de véhicule automobile
DE102020128214A1 (de) * 2020-10-27 2022-04-28 Röchling Automotive Se & Co.Kg Lageveränderliche Kfz-Aerodynamikbaugruppe mit verformbarer Verbindungsstruktur
DE102022202731A1 (de) * 2021-05-18 2022-11-24 Magna Car Top Systems Gmbh Strömungslei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14644061B (zh) * 2022-02-23 2023-04-07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气坝装置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8518A (ja) * 2001-10-12 2003-04-23 Tokai Kogyo Co Ltd バンパスポイラ、及びそ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2179A1 (de) 1973-10-17 1975-04-30 Daimler Benz Ag Stosschutzvorrichtung fuer ein kraftfahrzeug
US4159140A (en) * 1978-03-24 1979-06-26 Ford Motor Company Self-deployable air spoiler assembly
JPS58191672A (ja) * 1982-05-06 1983-11-08 Aisin Seiki Co Ltd エアバランスパネル昇降装置
IT1153678B (it) * 1982-12-10 1987-01-14 Alfa Romeo Spa Spoiler a posizionamento automatico per un autoveicolo
JPS59156875A (ja) 1983-02-25 1984-09-06 Mitsubishi Motors Corp エアダム
US4582351A (en) 1983-11-25 1986-04-15 Edwards Sherman J Atlas bumper lift
US4585262A (en) * 1985-03-07 1986-04-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dam for motor vehicle
JP2641425B2 (ja) * 1986-05-16 1997-08-13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フロントスポイラ装置
JPS63110078A (ja) * 1986-10-27 1988-05-14 Tsutomu Miwa 下垂式エヤダムスカ−ト
JPH01176584U (ko) * 1988-06-06 1989-12-15
JPH04237686A (ja) 1991-01-18 1992-08-26 Nippondenso Co Ltd エアスポイラ装置
CA2119877C (en) * 1991-10-10 2003-04-29 Mikko Lindstrom Apparatus and method of ensuring proper machining of a worksheet
JPH06298129A (ja) 1993-04-16 1994-10-25 Nippondenso Co Ltd 車両用エアダムスポイラ装置
FR2845334B1 (fr) * 2002-10-02 2004-11-19 Plastic Omnium Cie Pare-chocs de vehicule comportant un spoiler articule entre trois positions d'equilibre stable
DE10309369A1 (de) 2003-03-03 2004-09-23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DE102004013754B4 (de) 2004-03-18 2010-03-1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stellmechanismus für einen ausfahrbaren Frontspoiler
US7607717B2 (en) * 2005-09-22 2009-10-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versibly deployable spoiler
US7780223B2 (en) * 2007-08-09 2010-08-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erodynamically activated front skirt for a vehicle
US7775582B2 (en) * 2008-12-09 2010-08-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ivotally deployable air dam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US8186746B2 (en) * 2010-02-01 2012-05-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ssively deployable air dam for a vehicle
DE102011018445A1 (de) * 2011-04-21 2012-10-25 Hs Genion Gmbh Fahrzeug mit einer Luftleitvorrichtung
US20120330513A1 (en) * 2011-06-24 2012-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dam actuation system
US9021801B2 (en) * 2012-08-31 2015-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ensating for incomplete reversal in mechanisms incorporating shape memory alloy wire
US8887845B2 (en) * 2012-09-14 2014-1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ow-away air dam
US8702152B1 (en) * 2013-01-11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front air dam
US10124839B2 (en) * 2013-06-19 2018-11-13 Magna Exteriors Inc. Active front deflector
US9039068B2 (en) * 2013-09-23 2015-05-26 Fca Us Llc Deployable air dam
US9150261B2 (en) * 2014-01-28 2015-10-06 Fca Us Llc Vehicle air dam with openable and closable air flow openings
KR102401428B1 (ko) * 2014-06-11 2022-05-23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US9956998B2 (en) * 2014-06-11 2018-05-01 Magna Exteriors Inc. Active front deflector
US10106210B2 (en) * 2015-02-10 2018-10-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act efficient system to quickly raise and slowly lower an air dam
KR102518234B1 (ko) * 2016-11-15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US20190106163A1 (en) * 2017-10-10 2019-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to adjust underbody active surfaces
US10981611B2 (en) * 2018-04-03 2021-04-20 Magna Exteriors, Inc Active front deflector—flat panel
CN112218787B (zh) * 2018-06-01 2023-10-20 麦格纳外饰公司 集成到自动式踏板中的主动式门槛空气动力学面板
EP3826819B1 (en) * 2018-08-29 2023-08-16 Magna Exteriors Inc. One-piece molded linkage assembly with insert molded pins
US11651629B2 (en) * 2020-10-23 2023-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air dam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8518A (ja) * 2001-10-12 2003-04-23 Tokai Kogyo Co Ltd バンパスポイラ、及びそ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1711A3 (en) 2016-02-18
CA2952371C (en) 2021-12-07
CA2952371A1 (en) 2015-12-17
US20180201332A1 (en) 2018-07-19
CN106458272A (zh) 2017-02-22
EP3511233B1 (en) 2021-01-27
US20170106922A1 (en) 2017-04-20
US9950754B2 (en) 2018-04-24
EP3154847A2 (en) 2017-04-19
US20210114671A1 (en) 2021-04-22
KR20170023945A (ko) 2017-03-06
EP3154847B1 (en) 2019-02-27
EP3511233A1 (en) 2019-07-17
US10906598B2 (en) 2021-02-02
WO2015191711A2 (en) 2015-12-17
US10435084B2 (en) 2019-10-08
US11584452B2 (en) 2023-02-21
US20180093716A1 (en) 2018-04-05
US10377428B2 (en) 2019-08-13
CN106458272B (zh) 2019-02-19
US20190382060A1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428B1 (ko)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KR102470561B1 (ko)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KR102445807B1 (ko) 능동형 전방 디플렉터
JP6920562B2 (ja) アクティブフロントディフレクター−平面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