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363B1 -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363B1
KR101897363B1 KR1020160151735A KR20160151735A KR101897363B1 KR 101897363 B1 KR101897363 B1 KR 101897363B1 KR 1020160151735 A KR1020160151735 A KR 1020160151735A KR 20160151735 A KR20160151735 A KR 20160151735A KR 101897363 B1 KR101897363 B1 KR 10189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poiler
rotation
guide
back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988A (ko
Inventor
차동은
윤진영
김현경
현수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363B1/ko
Priority to US15/610,375 priority patent/US10040492B2/en
Publication of KR2018005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리어 범퍼의 하측에 격납되고 사용시 하측으로 인출되어 기류를 조절함으로써 주행 안정성 및 공력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VARIABLE REAR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리어 범퍼의 하측에서 승강되어 기류를 조절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고속주행 또는 선회시 후륜 타이어의 접지력이 약해짐에 따라 주행속도의 증가에 불리하고, 주행 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에는 에어 스포일러가 설치되어, 차량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어 스포일러 주변의 공기 유동에 따라 차량을 눌러주는 압력이 발생되어 후륜 타이어의 접지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에어 스포일러는 차량 후방 측에 설치되는데, 디자인의 자유도에 제약이 따르며, 한번 설치하는 경우 디자인을 변경하기 어렵고, 고급 차량에 적용될 경우 에어 스포일러의 설치에 의해 디자인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력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에어 스포일러가 한정적이고, 추가적인 공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에어 스포일러의 사양이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9-248746 A (2009.10.2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어 범퍼의 하측에 격납되고 사용시 하측으로 인출되어 기류를 조절함으로써 주행 안정성 및 공력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는 범퍼 백빔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링키지기구; 링키지기구에 연결되어 링키지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포일러; 범퍼 백빔에 설치되고 링키지기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이 구비되며, 작동시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링키지기구가 회전되어 스포일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구동기구; 범퍼 백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포일러의 끝단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가 구비되어 링키지기구의 회전 동작시 스포일러와 함께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작동시 길이가변부의 길이가변동작에 의해 스포일러가 틸팅되도록 하는 제2구동기구;를 포함한다.
링키지기구는, 범퍼 백빔에 고정되고 제1회전축이 관통 연결된 고정 브라켓; 일단이 고정 브라켓에 제1회전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링크; 일단이 연결링크를 통해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스포일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링크; 및 일단이 구동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는 절첩된 상태에서 스포일러가 완전히 하강되면 수직에 근접하게 펼쳐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동링크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링크는 일단이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키지기구는 스포일러가 완전히 하강시, 구동링크, 종동링크, 연결링크, 지지링크가 삼각형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구동기구는 범퍼 백빔에 고정된 백빔 브라켓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에 관통되고 구동링크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제2구동기구는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된 승강부재가 마련되고, 승강부재에는 스포일러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재는 제2구동기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승강부재에는 가이드축이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길이가변부는, 스포일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라켓;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 및 제2모터에서 연장되어 회전 브라켓에 나사 연결되고 제2모터의 작동시 회전되어 회전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범퍼 백빔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스포일러의 하강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대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구동기구의 길이가변부는 스포일러의 전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에 따르면, 리어 범퍼의 하측에 격납되고 사용시 하측으로 인출되어 기류를 조절함으로써 주행 안정성 및 공력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백빔(10)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링키지기구(100); 링키지기구(100)에 연결되어 링키지기구(100)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포일러(200); 범퍼 백빔(10)에 설치되고 링키지기구(1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340)이 구비되며, 작동시 제1회전축(340)의 회전에 의해 링키지기구(100)가 회전되어 스포일러(2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구동기구(300); 범퍼 백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400); 및 가이드부재(4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포일러(200)의 끝단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520)가 구비되어 링키지기구(100)의 회전 동작시 스포일러(200)와 함께 가이드부재(4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작동시 길이가변부(520)의 길이 가변동작에 의해 스포일러(200)가 틸팅되도록 하는 제2구동기구(5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링키지기구(100), 스포일러(200), 제1구동기구(300), 가이드부재(400), 제2구동기구(500)로 구성되며, 링키지기구(100)는 스포일러(20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링키지기구(100)는 범퍼 백빔(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범퍼 백빔(10)의 경우 리어 범퍼 측에 마련되는 범퍼 백빔(10)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링키지기구(100)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링크가 회전되어 절첩 또는 펼쳐지는 동작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링키지기구(100)에는 스포일러(200)가 연결되어 링키지기구(10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스포일러(2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스포일러(200)는 초기 상태의 경우 범퍼 백빔(10)에 마련되는 범퍼 커버(20)에 격납되고 범퍼 커버(20)의 하측으로 하강시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스포일러(200)의 형상은 리어 범퍼의 하측에 노출된 상태에서 기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차량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포일러(200)의 승강 동작을 위해, 링키지기구(100)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1구동기구(300)가 구비된다. 즉, 제1구동기구(300)는 범퍼 백빔(10)에 설치되고, 링키지기구(1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340)이 구비되며, 작동시 제1회전축(340)의 회전에 의해 링키지기구(100)가 회전되어 스포일러(2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1구동기구(300)는 제1회전축(340)을 통해 링키지기구(10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제1구동기구(3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링키지기구(100)가 회전되어 스포일러(2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으로, 스포일러(200)가 격납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포일러(200)는 승강 동작뿐만 아니라, 틸팅 동작이 수행되어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2구동기구(500)는 범퍼 백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40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고 길이가변부(520)를 통해 스포일러(200)에 연결되어 작동시 스포일러(200)가 틸팅되도록 한다. 즉, 제2구동기구(500)는 길이가변부(520)가 스포일러(200)에 연결되고 제1구동기구(300)가 작동됨에 따라 스포일러(200)의 승강시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되 범퍼 백빔(1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400)에 연결되어 가이드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된다. 이렇게, 제2구동기구(500)가 스포일러(200)와 함께 하강된 상태에서 스포일러(200)의 끝단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520)의 작동시 길이가변부(520)의 길이 가변 동작에 의해 스포일러(200)가 틸팅되도록 한다. 이처럼, 제2구동기구(500)는 제1구동기구(300)가 작동됨에 따라 제1회전축(340)의 회전시 링키지기구(100)가 회전됨에 따른 스포일러(200)의 승강 동작시 스포일러(200)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되고, 길이가변부(520)가 스포일러(200)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 가변동작을 통해 스포일러(200)의 끝단을 상하방향으로 당겨주거나 밀어줌으로써 스포일러(200)가 틸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스포일러(200)는 제1구동기구(3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리어 범퍼에서 승강되어 격납 또는 인출되고, 제2구동기구(500)가 승강된 후 제2구동기구(5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틸팅 동작되어 기류의 조절이 수행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키지기구(100)는, 범퍼 백빔(10)에 고정되고 제1회전축(340)이 관통 연결된 고정 브라켓(110); 일단이 고정 브라켓(110)에 제1회전축(34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회전축(340)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링크(130); 일단이 연결링크(150)를 통해 고정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스포일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링크(170); 및 일단이 구동링크(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170)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종동링크(190);를 포함한다.
이러한 링키지기구(100)는 고정 브라켓(110)과 스포일러(200)를 연결하는 구동링크(130), 연결링크(150), 지지링크(170), 종동링크(190)로 이루어진 링크 구조로 구성된다. 즉, 고정 브라켓(110)에는 제1모터(320)에서 연장된 제1회전축(340)이 관통 연결되고, 구동링크(130)의 일단이 고정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제1회전축(340)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제1모터(320)의 작동시 제1회전축(340)이 회전됨에 따라 구동링크(130)가 회전된다. 이러한 구동링크(130)의 타단에는 종동링크(190)의 일단이 연결되고 종동링크(190)의 타단이 지지링크(170)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지지링크(170)의 타단이 스포일러(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됨에 따라 제1모터(320)의 작동시 구동링크(130), 종동링크(190), 지지링크(170)의 회전 동작을 통해 스포일러(20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포일러(200)는 범퍼 백빔(10)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야 하는바,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링크(170)의 일단에 연결링크(1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모터(320)의 작동시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가 회전되어 지지링크(170)를 밀어주되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링크(170)에 연결된 연결링크(150)에 의해 지지링크(170)의 이동 방향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이로 인해, 스포일러(200)는 링키지기구(100)를 구성하는 구동링크(130), 종동링크(190), 지지링크(170), 연결링크(1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링키지기구(100)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들은 모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는 절첩된 상태에서 스포일러(200)가 완전히 하강되면 수직에 근접하게 펼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스포일러(200)가 완전히 하강되면,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의 각도가 수직에 근접하게 펼쳐짐에 따라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가 스포일러(200)에 대해 직각에 근접한 각도가 유지됨으로써 스포일러(200)가 하강된 상태에서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에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종동링크(19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게 형성됨으로써 구동링크(130)의 회전에 의해 종동링크(190)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링크(190)는 구동링크(130)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포일러(200)의 하강 동작을 위한 구동링크(130)의 회전시 구동링크(13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종동링크(190)가 회전력을 전달받기가 용이하며 구동링크(130)의 회전방향을 추종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연결링크(150)는 일단이 고정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17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링크(150)는 일단이 고정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17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됨으로써 제1모터(320)의 작동시 구동링크(130)를 포함한 종동링크(190)와 지지링크(170)가 상하방향에 대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특히, 연결링크(150)는 고정 브라켓(110)과 지지링크(170)에 연결되어 지지링크(170)에 연결되는 스포일러(200)를 지지하는바, 스포일러(200)에 작용되는 주행풍을 이겨내도록 견고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연결링크(15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차량 주행중 스포일러(200)에 작용되는 주행풍에도 스포일러(200)의 위치가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연결링크(15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연결링크(150)의 회전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고 작용되는 하중을 균형있게 분배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키지기구(100)는 스포일러(200)가 완전히 하강시, 구동링크(130), 종동링크(190), 연결링크(150), 지지링크(170)가 삼각형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스포일러(200)가 완전히 하강되면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는 직선에 근접하게 펼쳐지고 연결링크(150)와 지지링크(170)가 각도를 이룸에 따라 삼각형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주행시 스포일러(200)에 작용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동링크(130), 종동링크(190), 연결링크(150), 지지링크(170)의 길이는 각각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구동기구(300)는 범퍼 백빔(10)에 고정된 백빔 브라켓(15)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320)와, 제1모터(320)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110)에 관통되고 구동링크(130)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모터(320)는 범퍼 백빔(10)에 고정된 백빔 브라켓(15)에 설치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되고, 제1모터(320)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340)이 링키지기구(100)의 고정 브라켓(110)에 관통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제1회전축(340)의 경우 고정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링크(130)가 고정 브라켓(110)에서 제1회전축(34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링크(130)와 제1회전축(340)은 함께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제1모터(320)의 경우 일정 감속비를 갖는 기어세트가 구비되어 기어세트에 의해 일정 감속비가 적용됨으로써 스포일러(200)가 격납 또는 인출된 상태에서 해당 위치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스포일러(2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스포일러(200)의 인출 각도와 무관하게 제1모터(32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기어세트에 의해 스포일러(200)에 작용되는 공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0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420)이 형성되고, 제2구동기구(500)는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홀(420)에 삽입되는 가이드축(542)이 구비된 승강부재(540)가 마련되고, 승강부재(540)에는 스포일러(200)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5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2구동기구(500)는 가이드축(542)이 형성되고 스포일러(200)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520)가 구비된 승강부재(540)가 마련되며, 승강부재(540)의 가이드축(542)이 범퍼 백빔(1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홀(420)에 삽입됨으로써 제1구동기구(300)가 작동됨에 따른 스포일러(200)의 승강 동작시 승강부재(540)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스포일러(200)의 승강 동작시 링키지기구(100)는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바, 승강부재(540)가 연결되는 가이드부재(400)는 범퍼 백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부재(400)가 링키지기구(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됨에 따라 회전 유격이 흡수되어 스포일러(200)와 승강부재(540)가 원활히 승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400)는 제2구동기구(5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승강부재(540)에는 가이드축(542)이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홀(4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부재(40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2구동기구(500)의 양측에 배치되고 승강부재(540)의 가이드축(542)은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400)를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홀(420)에 삽입됨으로써 승강부재(540)가 가이드부재(40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길이가변부(520)는, 스포일러(20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라켓(522); 승강부재(54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524); 및 제2모터(524)에서 연장되어 회전 브라켓(522)에 나사 연결되고 제2모터(524)의 작동시 회전되어 회전 브라켓(52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축(5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축(526)은 스포일러(20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된 별도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모터(524)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정역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모터(524)에서 연장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연결축(526)은 리드 스크류로 구성고, 회전 브라켓(522)에는 연결축(526)과 나사 연결될 수 있도록 탭 홀이 형성됨으로써 제2모터(524)가 작동됨에 따른 연결축(526)의 회전시 회전 브라켓(522)이 연결축(526)의 나사산을 타고 연결축(5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길이가변부(520)의 제2모터(524) 작동시 연결축(526)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 브라켓(522)이 이동되고, 회전 브라켓(522)은 스포일러(200)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스포일러(200)가 회전 브라켓(522)이 이동되는 방향을 추종하여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 범퍼 백빔(10)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됨에 따라 리어 범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스포일러(200)의 하강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대각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스포일러(200)가 리어 범퍼에서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스포일러(200)의 하강시 인출되는 방향은 링키지기구(100)의 연결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기구(500)의 길이가변부(520)는 스포일러(200)의 전단에 연결됨으로써 길이가변부(520)의 길이 가변동작에 의해 스포일러(200)의 전단이 상승되거나 하강됨에 따라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기구(300)는 제2구동기구(50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1구동기구(300)의 작동시 제2구동기구(500)가 스포일러(200)와 함께 승강됨과 더불어 제2구동기구(500)가 작동됨에 따라 스포일러(20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모터(320)와 제2모터(524)는 각각 제어기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으며, 주행 속도, 선회 주행 여부에 따라 제1모터(320)와 제2모터(52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행 상황에 맞게 기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스포일러(200)가 격납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300)의 제1모터(320)가 작동되지 않음에 따라 제1회전축(340)에 연결된 구동링크(130)와 종동링크(190)가 절첩되어 있고 스포일러(200)가 범퍼 커버(20)의 하측에 격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320)가 작동되면 구동링크(130)가 제1회전축(340)에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종동링크(190)가 회전되고, 종동링크(190)에 연결된 지지링크(170)가 연결링크(150)에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회전 이동됨으로써 지지링크(170)에 연결된 스포일러(200)가 하강된다. 이때, 스포일러(200)에 연결된 제2구동기구(500)도 함께 스포일러(200)와 하강된다.
더불어, 스포일러(200)와 제2구동기구(500)가 함께 하강한 상태에서, 제2모터(524)가 작동되면 연결축(526)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 브라켓(522)이 연결축(526)의 나사산을 타고 이동됨으로써 회전 브라켓(522)에 연결된 스포일러(200)의 틸팅 동작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에 따르면, 리어 범퍼의 하측에 격납되고 사용시 하측으로 인출되어 기류를 조절함으로써 주행 안정성 및 공력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링키지기구 110:고정 브라켓
130:구동링크 150:연결링크
170:지지링크 190:종동링크
200:스포일러 300:제1구동기구
320:제1모터 340:제1회전축
400:가이드부재 420:가이드홀
500:제2구동기구 520:길이가변부
522:회전 브라켓 524:제2모터
526:연결축 540:승강부재
542:가이드축

Claims (12)

  1. 범퍼 백빔에 설치되고 회전 동작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링키지기구;
    링키지기구에 연결되어 링키지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포일러;
    범퍼 백빔에 설치되고 링키지기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이 구비되며, 작동시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링키지기구가 회전되어 스포일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구동기구;
    범퍼 백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포일러의 끝단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가 구비되어 링키지기구의 회전 동작시 스포일러와 함께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작동시 길이가변부의 길이가변동작에 의해 스포일러가 틸팅되도록 하는 제2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키지기구는, 범퍼 백빔에 고정되고 제1회전축이 관통 연결된 고정 브라켓;
    일단이 고정 브라켓에 제1회전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링크;
    일단이 연결링크를 통해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스포일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링크; 및
    일단이 구동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는 절첩된 상태에서 스포일러가 완전히 하강되면 수직에 근접하게 펼쳐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종동링크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링크는 일단이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키지기구는 스포일러가 완전히 하강시, 구동링크, 종동링크, 연결링크, 지지링크가 삼각형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구동기구는 범퍼 백빔에 고정된 백빔 브라켓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에 관통되고 구동링크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제2구동기구는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된 승강부재가 마련되고, 승강부재에는 스포일러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가이드부재는 제2구동기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승강부재에는 가이드축이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길이가변부는, 스포일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라켓;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 및
    제2모터에서 연장되어 회전 브라켓에 나사 연결되고 제2모터의 작동시 회전되어 회전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범퍼 백빔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스포일러의 하강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대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구동기구의 길이가변부는 스포일러의 전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1020160151735A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10189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35A KR101897363B1 (ko)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US15/610,375 US10040492B2 (en) 2016-11-15 2017-05-31 Variable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35A KR101897363B1 (ko)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988A KR20180054988A (ko) 2018-05-25
KR101897363B1 true KR101897363B1 (ko) 2018-09-13

Family

ID=6210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735A KR101897363B1 (ko)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0492B2 (ko)
KR (1) KR101897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7904A1 (de) * 2016-09-22 2018-03-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ägervorrichtung für eine Luftleitein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16118890B4 (de) * 2016-10-05 2021-01-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bindungsvorrichtung zur Anbindung eines verstellbaren Spoilerblattes an einem Fahrzeug
US11155312B2 (en) * 2018-11-22 2021-10-2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Movable spoiler device
DE102018132356A1 (de) * 2018-12-14 2020-06-18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Radspoiler mit räumlich kompakter Überlast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2693T2 (de) 1988-10-31 1995-10-05 Ohi Seisakusho Co Ltd Spoilereinrichtung.
JPH07137668A (ja) 1993-11-17 1995-05-30 Nippondenso Co Ltd 車両のフロントスポイラ
DE10309369A1 (de) 2003-03-03 2004-09-23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US20040256885A1 (en) 2003-03-10 2004-12-23 Bui Le Trong Rear spoiler with motorized vertical and angle adjustability
JP4287390B2 (ja) 2005-02-14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ポイラの取付構造
JP4591124B2 (ja) 2005-03-10 2010-12-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揚力低減装置
JP3952063B2 (ja) 2005-04-13 2007-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面空気流制御装置
DE102007061812A1 (de) 2007-12-20 2009-07-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Luftleitvorrichtung
JP2009248746A (ja) 2008-04-07 2009-10-29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力制御装置
DE102011103787A1 (de) 2011-06-09 2012-12-13 Hs Genion Gmbh Fahrzeug mit einer Luftleitvorrichtung
KR101363078B1 (ko) 2012-08-27 2014-02-14 김치영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DE102013101296A1 (de) 2013-02-11 2014-08-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heckseitigen Luftleitflügel
KR101526735B1 (ko) 2013-12-13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범퍼 스포일러 장치
KR101543123B1 (ko) 2013-12-20 2015-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변 리어 스포일러의 링크장치
WO2015191711A2 (en) * 2014-06-11 2015-12-17 Magna International Inc. Active front deflector
CN110450863B (zh) * 2014-06-11 2022-09-16 麦格纳外饰公司 用于车辆的连杆组件
KR20170022282A (ko) * 2015-08-20 2017-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력 제어 장치
KR101936983B1 (ko) * 2015-09-11 2019-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범퍼 가변 스포일러 장치
DE102015118076A1 (de) * 2015-10-23 2017-04-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eckdiffus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756031B1 (ko) * 2016-07-08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 가변 스포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4329A1 (en) 2018-05-17
KR20180054988A (ko) 2018-05-25
US10040492B2 (en)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990A (ko)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20180054989A (ko)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101897363B1 (ko)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KR101756031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가변 스포일러 시스템
KR101936983B1 (ko) 차량용 리어범퍼 가변 스포일러 장치
JP5616499B2 (ja) 空気案内装置
US10112658B2 (en) Spoiler apparatus for RV vehicle
KR101543123B1 (ko) 차량용 가변 리어 스포일러의 링크장치
CN204310040U (zh) 一种单旋翼无人直升机主旋翼系统
KR20150094623A (ko) 비행기 날개, 비행기 및 플랩 시스템
JP2015501769A (ja) シザー型リフトテーブル
KR20190097935A (ko) 차량용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1351567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KR101668602B1 (ko) 블라인드 장치
US10618644B2 (en) System for driving a slat device of an aircraft wing
KR101423731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CN105082956B (zh) 用于车辆的敞开车顶结构
GB2533576A (en) Actuator
CN104326089A (zh) 一种无人驾驶直升机的辅助升力-反扭力-冷却功能装置
KR101423730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JP6327212B2 (ja) デバイス駆動構造
CN212987414U (zh) 一种空调用导风组件、导风装置及空调
KR101356468B1 (ko)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CN219154729U (zh) 一种背负式浮空器
KR20130042383A (ko) 자동차용 양력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