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468B1 -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 Google Patents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468B1
KR101356468B1 KR1020120158272A KR20120158272A KR101356468B1 KR 101356468 B1 KR101356468 B1 KR 101356468B1 KR 1020120158272 A KR1020120158272 A KR 1020120158272A KR 20120158272 A KR20120158272 A KR 20120158272A KR 101356468 B1 KR101356468 B1 KR 10135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control unit
rear spoiler
direction control
cor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영중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3Airstream reactive vehicle or vehicle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1코드각도조절부가 전원이 인가되면 신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어 굽힘동작을 통하여 리어 스포일러 코드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제2코드각도조절부연결부와 전원이 인가되면 신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제2코드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각을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 및 조절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리어 스포일러 코드각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이다.

Description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Vehicle air spoiler having variable direc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여 자동차의 공기저항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코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이다.
자동차의 엔진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속도는 점차 향상되어 왔다. 따라서 고속주행시의 주행안전성에 대해서 많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때 고속주행시의 주행안전성에 대해서는 공기역학을 이용하는 기술이 특히 많이 개발되었다. 이는 차량이 도로를 따라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량의 차체를 따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의해 차량에 양력이 작용하게 되어 차량의 후륜측이 들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안전한 고속주행을 방해하게 된다. 즉, 차량의 상부는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평면형으로 되어 있어 차량의 상부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이 하부보다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일정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차량에 양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승합자동차 또는 RV차량의 루프패널 또는 테일게이트에 리어 스포일러를 설치하거나, 일반 승용차에는 트렁크 리드 상부에 고정식 스포일러를 장착하여 고속 주행시 차량의 후측이 양력에 의해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였는데, 고정식 스포일러의 경우에는 스포일러가 양력에 대한 보상작용에 의해 주행시 안정감과 제동력이 증가하게 되나, 고속주행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식 스포일러가 차량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저항을 증대시켜 주행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변적인 형태를 갖는 리어 스포일러에 대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2429호(2006.06.28)로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은 차량의 속도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와이어의 길이를 변화시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플랩부에 의해 하향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 시키는 리어 스포일러장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리어 스포일러장치 내부의 길이조절장치를 통하여 리어 스포일러의 길이에 변화를 주었다. 하지만 하향력을 정밀 제어하기 위해서는 리어 스포일러의 길이 보다는 상기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각의 조절이 필요하였다. 또한 리어 스포일러 내부에 길이조절장치가 리어 스포일러의 후방을 분리하고, 연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2429호(2006.06.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1코드각도조절부가 전원이 인가되면 신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어 굽힘동작을 통하여 리어 스포일러 코드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제2코드각도조절부연결부와 전원이 인가되면 신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제2코드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각을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 및 조절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리어 스포일러 코드각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는,
리어 스포일러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전(111)과 후면부를 형성하는 뒷전(112), 상기 앞전(111)과 상기 뒷전(112) 사이에 형성되는 윗면(113) 및 아랫면(114)을 포함하고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윗면(113) 및 아랫면(114)의 상기 뒷전(112)방향 일정영역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과 제1전원공급수단(1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 자동차(200)와 결합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수단(142), 일측단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141)과 결합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의 일측단부와 결합하는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코드방향조절부(140),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에 상기 자동차(200)와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회전축(15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부(150),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및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140)를 전원공급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 및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타측 단부가 연결부탄성수단(131)의 일측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탄성수단(131)은 타측이 상기 자동차(2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와 결합하여 코드각을 제한하는 코드각 제한수단(132)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는, 제1코드각도조절부가 전원이 인가되면 신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어 굽힘동작을 통하여 리어 스포일러 코드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제2코드각도조절부연결부와 전원이 인가되면 신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제2코드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서 스포일러의 코드각을 2가지 방식으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최적의 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동차의 고속주행 시, 양력 발생으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실시예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스포일러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전(111)과 후면부를 형성하는 뒷전(112), 상기 앞전(111)과 상기 뒷전(112) 사이에 형성되는 윗면(113) 및 아랫면(114)을 포함하고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윗면(113) 및 아랫면(114)의 상기 뒷전(112)방향 일정영역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과 제1전원공급수단(12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 자동차(200)와 결합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수단(142), 일측단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141)과 결합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의 일측단부와 결합하는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코드방향조절부(140),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에 상기 자동차(200)와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회전축(15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부(150),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및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140)를 전원공급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과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상기억합금이란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신축되는 소재로, 인가된 전원의 세기에 따라 신축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되고, 전원이 끊겼을 때는 전원 인가 전의 길이로 돌아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필요에 의해 상기 제어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또는 제2코드방향조절부(140)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또는 제2코드방향조절부(140)가 공급된 전원의 세기에 맞추어 신축 하게되어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각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원하는 만큼 코드방향을 조절하여 자동차 현재 상황과 맞는 리어 스포일러의 코드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코드각이란 코드 방향 조절로 형성되는 리어 스포일러와 자동차가 이루는 각을 지칭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부(140)는 상기 윗면(113) 및 상기 아랫면(114)의 상기 뒷전(112)방향 일정영역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과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12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는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122)을 이용하여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의 신축에 의하여 리어 스포일러에 굽힘동작을 부가하게 되어 상기 뒷전(112)를 변경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는 제1전원공급수단(122)에서 전원이 공급될 경우 신축에 의해 리어 스포일러에 굽힘동작을 부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뒷전(112)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상기 앞전(111) 및 상기 뒷전(112)이 리어 스포일러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자동차(200)와 이루각인 코드각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122)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에 따라 신축의 정도가 변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상기 제어부(160)을 통하여 코드각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캔틸레버 형태는 한쪽만 지지되고 한쪽 끝은 돌출된 형태를 지칭한다. 즉, 타측이 상기 자동차(200)와 결합하는 연결부탄성수단(131)의 일측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때 상기 연결부 탄성수단(131)은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130)의 고정수단이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는 제2전원공급수단(142)이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이 결합되어있는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를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리어 스포일러의 각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142)이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으로 제어된 크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의 신축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에 당김동작이 부가되며 이를 이용하여 리어 스포일러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110) 전체를 움직이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탄성수단(131)은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리어 스포일러가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더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리어 스포일러는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언제나 초기 상태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코드방향을 제한하는 코드방향제한수단(132)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탄성수단(131)의 탄성에 의해 리어 스포일러가 초기 상태로 이동될 때 리어 스포일러의 과도한 움직임으로 발생될 수 있는 초기 상태로의 복귀 실패를 상기 코드방향제한수단(132)이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의 일정각도 이상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몸체부
111: 앞전 112: 뒷전
113: 윗면 114: 아랫면
120: 제1코드방향조절부
121: 제1코드방향조절수단 122: 제1전원공급수단
130: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
131: 연결부탄성수단 132: 코드방향제한수단
140: 제2코드방향조절부
141: 제2코드방향조절수단 142: 제2전원공급수단
150: 지지부
151: 몸체회전축
160: 제어부
200: 자동차

Claims (6)

  1. 자동차(200)의 리어 스포일러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전(111)과 후면부를 형성하는 뒷전(112), 상기 앞전(111)과 상기 뒷전(112) 사이에 형성되는 윗면(113) 및 아랫면(114)을 포함하고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윗면(113) 및 아랫면(114)의 상기 뒷전(112)방향 일정영역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과 제1전원공급수단(12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수단(142), 일측단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141)과 결합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의 일측단부와 결합하는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코드방향조절부(140);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에 상기 자동차(200)와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회전축(15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부(150);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부(120) 및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140)를 전원공급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어부(16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방향조절수단(121) 및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수단(141)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타측 단부가 연결부탄성수단(131)의 일측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탄성수단(131)은
    타측이 상기 자동차(200)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는
    상기 제2코드방향조절부연결부(130)와 결합하여 코드각을 제한하는 코드각 제한수단(132)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KR1020120158272A 2012-12-31 2012-12-31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KR10135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272A KR101356468B1 (ko) 2012-12-31 2012-12-31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272A KR101356468B1 (ko) 2012-12-31 2012-12-31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468B1 true KR101356468B1 (ko) 2014-01-29

Family

ID=5014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272A KR101356468B1 (ko) 2012-12-31 2012-12-31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3419A (zh) * 2018-07-11 2018-11-09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汽车主动调节尾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33Y2 (ja) * 1989-08-14 1995-09-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ヤ・スポイラー
KR19980055557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의 리어스포일러
KR100192820B1 (ko) 1996-10-29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가변식 스포일러
KR100262080B1 (ko) 1995-12-18 2000-07-15 정몽규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33Y2 (ja) * 1989-08-14 1995-09-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ヤ・スポイラー
KR100262080B1 (ko) 1995-12-18 2000-07-15 정몽규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KR100192820B1 (ko) 1996-10-29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가변식 스포일러
KR19980055557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의 리어스포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3419A (zh) * 2018-07-11 2018-11-09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汽车主动调节尾翼
CN108773419B (zh) * 2018-07-11 2023-12-08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汽车主动调节尾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663B2 (en) Air guiding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guiding device
KR101936983B1 (ko) 차량용 리어범퍼 가변 스포일러 장치
US10266214B2 (en) Variable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US9932074B2 (en) Active vehicle skirt panel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S2207588T3 (es) Vehiculo con alerones deflectores movibles.
US20150353148A1 (en) Motor vehicle with a rear diffuser
CN101108636B (zh) 机动车
KR102518234B1 (ko)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RU2601542C2 (ru) Воздуш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воздуха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8540221A (ja) 車両の空気案内装置
CN108463397B (zh) 机动车辆装置及方法
KR20140029802A (ko) 자동차용 윈드쉴드글래스 사이드 몰딩
KR101351567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US10040492B2 (en) Variable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KR101501289B1 (ko) 자동차의 후방부
KR101356468B1 (ko)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KR101423731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KR101743762B1 (ko)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1423730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CN109866834B (zh) 用于机动车辆的空气偏导器组件
KR101633020B1 (ko) 속도 감응형 이중구조 리어 스포일러 장치
RU2169679C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уемых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х стабилизаторов для автомобиля
KR20130042383A (ko) 자동차용 양력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RU2308395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стабилизатора автомоби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434055Y1 (ko) 지표 운행체에 장착된 플랩이 있는 스포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