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080B1 -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080B1
KR100262080B1 KR1019950051174A KR19950051174A KR100262080B1 KR 100262080 B1 KR100262080 B1 KR 100262080B1 KR 1019950051174 A KR1019950051174 A KR 1019950051174A KR 19950051174 A KR19950051174 A KR 19950051174A KR 100262080 B1 KR100262080 B1 KR 10026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vehicle
dust
wing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904A (ko
Inventor
기정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080B1/ko
Publication of KR97004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주행시 스포일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차량 후방에 생기는 먼지 등을 제거하여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 생기는 먼지 및 물방울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0)와, 상기 감지 센서(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모터(30)와, 상기 전동모터(30)와 연동되어 각도 변화되는 트렁크 리드(1)에 설치되는 스포일러(40)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이 일정한도 이상 생겼을 때 공기의 흐름을 자동차의 외형을 따라 하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 센서 20 : 제어부
30 : 전동모터 40 : 스포일러
41 : 앞날개 42 : 뒷날개
43 : 뒷날개 44 : 링크
45 : 기둥 46 : 실린더
본 발명은 트렁크리드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주행시 스포일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차량 후방에 생기는 먼지 등을 제거하여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포일러는 자동차의 루프, 트렁크리드 등에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의 외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을 자동차의 고속주행중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가 비포장길을 달리다 보면 와류현상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후방에 먼지 등이 몰리게 된다. 또한 안개 낀 지역이나 가랑비가 내릴 때 고속 주행할때에도 자동차의 후방에 물방울이 몰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중 자동차의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이 모이고, 나아가서 뒷유리 부분에 뭍게됨에 따라 후방시야가 가려지기 때문에 운전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를 이용하여 주행중 자동차의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평상시에는 종래와 같은 상태로 있다가, 차량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이 생기면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스포일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공기 흐름으로 먼지나 물방울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 생기는 먼지 및 물방울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0)와, 상기 감지 센서(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모터(30)와, 상기 전동모터(30)와 연동되어 각도 변화되는 트렁크 리드(1)에 설치되는 스포일러(40)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이 일정한도 이상 생겼을 때 공기의 흐름을 자동차의 외형을 따라 하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일러(40)는 앞날개(41)와 중간날개(42)와 뒷날개(43)로 나누어 링크(44)로 연결하고, 기둥(45)으로 차체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전동모터(30)와 기어로 맞물리는 실린더(46)에 의하여 상기 기둥(45)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중간날개(42)와 상기 앞날개(41)와 상기 뒷날개(43)의 각도를 각각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미설명 부호 44a는 압출 스프링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감지 센서(10)는 광센서를 이용하였으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로 이루어지며, 트렁크 리드(1)의 후단에 작동가능하게 고정 설치하였다.
그리고 제어부(20)는 감지 센서(10)의 감지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어되도록 회로구성 하였다.
전동모터(30)는 스포일러(40)의 실린더(46)에 래크와 피니언기어 식으로 맞물리게 하였다.
스포일러(40)는 전동모터(30)의 구동에 따라 기둥(45)을 따라 어느정도 상승할 수 있도록 하고, 실린더(46)가 상승하게 되면 앞날개(41), 중간날개(42), 뒷날개 (43)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면서, 앞날개(41)는 선단이 상향으로 회전하고 뒷날개(43)는 후단 하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은 작동시, 스포일러(40)가 평상시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로 있다가, 차량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이 일정 밀도이상 생기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 센서(10)의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전동모터(30)가 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동모터(30)와 기어로 맞물린 실린더(46)가 상승하여, 앞날개(41), 중간날개(42), 뒷날개(43)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면서, 앞날개(41)는 선단이 상향으로 회전하고 뒷날개(43)는 후단이 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따라, 공기의 흐름을 자동차의 외형을 따라 하향으로 유도되므로,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먼지나 물방울이 제거된다. 이후, 감지 센서(10)는 먼지 및 물방울이 없음을 감지하면, 전동모터(30)가 역회전하여 스포일러(4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트렁크 리드(1)에 설치되는 스포일러(40)의 각도변화를 주어 주행중 자동적으로 자동차의 후방부에 먼지나 물방울을 제거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확보해 주므로 운행의 안전성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후방에 생기는 먼지 및 물방울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와 연동되어 각도변화되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후방에 먼지나 물방울이 일정한도 이상 생겼을 때 공기의 흐름을 자동차의 외형을 따라 하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는 앞날개와 중간날개와 뒷날개로 나누어 링크로 연결하고, 기둥으로 차체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전동모터와 기어로 맞물리는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기둥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중간날개와 상기 앞날개와 상기 뒷날개의 각도를 각각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 장치.
KR1019950051174A 1995-12-18 1995-12-18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KR10026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174A KR100262080B1 (ko) 1995-12-18 1995-12-18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174A KR100262080B1 (ko) 1995-12-18 1995-12-18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904A KR970041904A (ko) 1997-07-24
KR100262080B1 true KR100262080B1 (ko) 2000-07-15

Family

ID=1944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174A KR100262080B1 (ko) 1995-12-18 1995-12-18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68B1 (ko) 2012-12-31 2014-01-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US10189516B1 (en) 2017-07-12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erodynamic assemblies for providing passive water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93B1 (ko) * 1999-12-29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rv차량용 스포일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68B1 (ko) 2012-12-31 2014-01-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코드각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 스포일러
US10189516B1 (en) 2017-07-12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erodynamic assemblies for providing passive wat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904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3011A (en) Raindrop and dust free vision for outside rear view car mirrors
KR100262080B1 (ko) 자동차의 스포일러 각도 변환장치
CN208134201U (zh) 一种汽车行驶安全辅助系统
CN207481856U (zh) 一种汽车智能雨刮器
CN201605987U (zh) 一种防强光车窗帘
CN210821767U (zh) 一种运输设备外遮阳板的安装结构
CN113459775A (zh) 电动遮阳板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0680366B1 (ko) 차량의 리어언더뷰미러 시스템
JPH07329566A (ja) 車両用自動サンバイザ
CN205706441U (zh) 一种具有自动报警功能的后视镜外壳
KR20200016801A (ko) 자동차용 실외 미러 장치, 그리고 자동차
CN217778491U (zh) 全地形车
CN215887987U (zh) 山道弯路警示装置
CN216994560U (zh) 一种防溅水轮罩
KR100334727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CN209921009U (zh) 一种遮阳装置及车辆
CN209191891U (zh) 汽车挡风玻璃自动清洗装置及汽车
CN205112941U (zh) 一种汽车感光自动遮阳板
Madhu et al. Automation in the body control module of a car
JPS63210692A (ja) 車載用水滴検出装置
KR200233272Y1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물방울 제거장치
JPS604413A (ja) 自動車等用フロントガラス装置
KR19980076305A (ko) 자동 썬바이져 장치
KR19980032933U (ko) 자동차용 일사 감지 선 바이저
KR200427524Y1 (ko) 자동차의 빗물커버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