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54B1 -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 Google Patents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654B1
KR102399654B1 KR1020210121387A KR20210121387A KR102399654B1 KR 102399654 B1 KR102399654 B1 KR 102399654B1 KR 1020210121387 A KR1020210121387 A KR 1020210121387A KR 20210121387 A KR20210121387 A KR 20210121387A KR 102399654 B1 KR102399654 B1 KR 10239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brush
screw
spir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환
Original Assignee
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환 filed Critical 우성환
Priority to KR102021012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된 나선형 브러쉬부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농산물 착즙기에 적용되되, 횡방향의 둘레가 망체로 구성된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구동되면서 농산물을 압출 이송시키는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압출스크류는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출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축부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축부의 외면에는 나선형의 테이퍼 스크류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테이퍼축부와 구동수단 연결부의 사이인 회전축의 외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외측의 둘레에는 나선형으로 나선형 압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착즙 압출관체;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압출부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나선형의 압출 스크류부와, 상기 압출 스크류부의 일측이나 타측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Extrusion screw for agricultural products extracting apparatusr with interchangeable juice extrusion tube}
본 발명은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모된 나선형 브러쉬부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착즙 압출관l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나 양파 또는 양배추 등의 섬유질이 많은 야채나 과일 등의 농산물은 즙을 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대량의 농산물을 갈아서 분쇄한 후 압출을 통해 즙을 얻기 위한 것이 농산물 착즙 장치이다.
그리고 종래의 농산물 착즙 장치는 통상 상부 측부에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축이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공급된 농산물을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하우징 하부에 설치되고, 망 재질로 형성되어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즙을 배출하는 압출관과, 상기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농산물을 압출하는 스크류로 구성된다.
상기 압출관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산물을 받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농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농산물이 배출되는 깔때기 형태의 배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이송부와 배출부는 각각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출관은 유입부, 이송부 및 배출부가 모두 망 재질로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농산물 착즙 장치를 구성하는 스크류는 압출을 위한 압출스크류로 단순히 축의 외면에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압출스크류를 포함하는 종래의 농산물 착즙 장치는 섬유질이 많은 야채나 과일 등의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 상에 섬유질 끼임 현상이 발생하면서 원활한 착즙이 이루어지지 못함과 동시에, 섬유질 끼임 현상으로 인해 압출관 등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 기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163162호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이하, "종래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는 농산물 착즙기에 적용되되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구동되면서 농산물을 압출 이송시키는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있어서, 단부 일정길이만큼 테이퍼 지게 형성되는 축과, 상기 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 구비되며, 축의 회전구동시 농산물을 일 방향으로 압출 이송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한편, 압출관의 망 재질로 제공되는 내면에 대하여 섬유질이 끼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크류 일측 외면에 스크류의 나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블록이 개재되면서 고정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통해 섬유질제거구가 설치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섬유질제거구는 일정 폭을 갖는 블록 타입으로 제공되는 브러쉬블록과, 브러쉬블록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각각 다수의 가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는 압출스크류에 대하여 축 외면에 나선형으로 스크류가 감겨 구성되되 스크류 일측 외면에 스크류의 나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고정되는 섬유질제거구가 적용됨으로써 섬유질이 많은 야채나 과일 등의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 상에 섬유질 끼임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착즙을 원활화하여 착즙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는 사용 중 섬유질제거구의 브러쉬가 마모될 경우에는 다수의 섬유질제거구를 일일이 교체해야 함으로써, 브러쉬의 교체시간이 오래 걸리고 교체비용이 많이 들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는 스크류의 일측 외면에 섬유질제거구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통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설치함으로써 압출스크류의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163162호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가 마모될 경우에, 나선형 브러쉬부가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만을 교체하여 마모된 나선형 브러쉬부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선형 브러쉬부가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를 회전축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는 농산물 착즙기에 적용되되, 횡방향의 둘레가 망체로 구성된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구동되면서 농산물을 압출 이송시키는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압출스크류는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출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축부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축부의 외면에는 나선형의 테이퍼 스크류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테이퍼축부와 구동수단 연결부의 사이인 회전축의 외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외측의 둘레에는 나선형으로 나선형 압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착즙 압출관체;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압출부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나선형의 압출 스크류부와, 상기 압출 스크류부의 일측이나 타측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가 마모될 경우에, 나선형 브러쉬부가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만을 교체하여 마모된 나선형 브러쉬부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산물 착즙기의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형 브러쉬부가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를 회전축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압출스크류의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압출스크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압출스크류의 제조비용을 줄여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압출스크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고,
도 2b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며,
도 2c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고,
도 2d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며,
도 2e는 도 2d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2f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며,
도 2g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면도이고,
도 3b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며,
도 3c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고,
도 3d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구성하는 브러쉬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3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메꿈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우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E-E선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브러쉬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우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F-F선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3 실시예의 나선형 브러쉬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이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라 한다.)는 농산물 착즙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농산물 착즙기를 구성하는 둘레가 망체로 구성된 횡방향의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 구동되면서 농산물을 압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압출관의 종류에 따라 압출관의 내부에 두 개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압출관의 내부에 하나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1)는 농산물 착즙기를 구성하는 압출관(미도시)의 둘레에 구비된 망체(미도시)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가 마모될 경우에 마모된 나선형 브러쉬부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축(2), 착즙 압출관체(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은 타측 단부에 상기 구동수단(미도시)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압출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축부(21)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축부(21)의 외면에는 나선형의 테이퍼 스크류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 연결부(23)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여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회전축(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지된 키홈이 형성된 연결축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착즙 압출관체(3)는 테이퍼축부(21)와 구동수단 연결부(23)의 사이인 회전축(2)의 외측에 고정수단(4)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외측의 둘레에는 나선형으로 나선형 압출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4)은 착즙 압출관체(3)를 회전축(2)의 외측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착즙 압출관체(3)의 둘레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탭홀(41)과, 상기 회전축(2)의 둘레에 상기 탭홀(4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 삽입홈(42)과, 서로 일치하는 탭홀(41)과 세트스크류 삽입홈(42)에 체결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압출부(31)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3)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나선형의 압출 스크류부(32)와, 상기 압출 스크류부(32)의 일측이나 타측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 압출관체(3)와 압출 스크류부(32)는 농작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압출 스크류부(3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경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브러쉬부(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즙 압출관체(3)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1열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 삽입홈(34)과, 각각의 상기 브러쉬 삽입홈(34)에 내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측이 상기 압출 스크류부(32)의 외측 둘레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브러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각각의 상기 브러쉬(3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관 망체의 망눈들에 삽입되고 이탈되면서 압출관의 망체에 낀 농산물 섬유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지는 다수의 브러쉬봉(3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브러쉬(35)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관 망체의 망눈들에 삽입되고 이탈되면서 압출관의 망체에 낀 농산물 섬유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지는 하나의 원형봉(3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브러쉬(35)는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관 망체의 내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압출관의 망체에 낀 농산물 섬유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길이가 긴 유도성을 가지는 다수의 횡형판(35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브러쉬(35)를 구성하는 다수의 횡형판(352)들은 압출관의 망체에 낀 농산물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가면서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횡형판(352)의 외측에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관의 망체에 낀 농산물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 폭이 확장된 섬유질 제거판부(35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각각의 상기 브러쉬(35)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간이 경과되더라도 브러쉬(35)가 농산물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농산물 섬유질의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나선형 브러쉬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즙 압출관체(3)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2열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 삽입홈(34)과, 각각의 상기 브러쉬 삽입홈(34)에 내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측이 후술할 압출 스크류부(32)의 외측 둘레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브러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러쉬 삽입홈(34)은 일측열과 타측열의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35)가 2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측열과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브러쉬(3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브러쉬봉(3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를 구성하는 각각의 브러쉬봉(351)의 직경보다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를 구성하는 각각의 브러쉬봉(351)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의 길이가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는 다수의 브러쉬봉(351)으로 구성되며,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는 하나의 원형봉(3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의 길이가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3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섬유질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34)에 삽입 고정되는 각각의 상기 브러쉬(35)는 장기간이 경과되더라도 브러쉬(35)가 농산물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농산물 섬유질의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선형 브러쉬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즙 압출관체(3)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지그재그식의 2열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 삽입홈(34)과, 각각의 상기 브러쉬 삽입홈(34)에 내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측이 후술할 압출 스크류부(32)의 외측 둘레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브러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브러쉬 삽입홈(34)들은 대상 농산물의 섬유질의 양에 따라, 나선형의 1열, 나선형의 2열, 나선형의 지그재그식의 2열로 배치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출 스크류부(32)는 농산물의 착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간(L1 ~ L3)으로 구획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구간(L1)의 좌우 폭이 제일 좁고 상기 제2 구간(L2)의 좌우 폭은 제1 구간(L1)보다 좌우 폭이 길며 상기 제3 구간(L3)의 좌우 폭은 제2 구간(L2)의 좌우 폭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간(L1)의 피치(P)는 제일 좁고 상기 제2 구간(L2)의 피치(P)는 제1 구간(L1)의 피치(P)보다 길고 상기 제3 구간(L3)의 피치(P)는 제2 구간(L2)의 피치(P)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1)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1)를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외측 둘레에 나선형 압출부(31)가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3)를 회전축(2)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삽입한 다음, 착즙 압출관체(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탭홀(41)에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43)를 체결하여 각 세트스크류(43)의 내측을 회전축(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 삽입홈(42)에 삽입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1)의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선형 브러쉬부(33)가 외측 둘레에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3)를 상기 회전축(2)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압출스크류(1)의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압출스크류(1)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압출스크류(1)의 제조비용을 줄여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압출스크류(1)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1)를 구성하는 나선형 브러쉬부(33)가 마모되어 교체할 경우에는, 착즙 압출관체(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탭홀(41)에 체결된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43)를 풀어 회전축(2)에서 해체한 다음, 착즙 압출관체(3)를 일측에서 타측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축(2)에서 이탈시킨다.
다음 새로운 나선형 브러쉬부(33)와 압출 스크류부(32)가 구비된 교체 착즙 압출관체(3)를 회전축(2)에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삽입한 후, 착즙 압출관체(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탭홀(41)에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43)를 체결하여 각 세트스크류(43)의 내측을 회전축(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 삽입홈(42)에 삽입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나선형 브러쉬부(33)가 마모된 착즙 압출관체(3)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33)가 마모될 경우에, 나선형 브러쉬부(33)가 구비된 착즙 압출관체(3)만을 교체하여 마모된 나선형 브러쉬부(33)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산물 착즙기의 유지비용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테이퍼 스크류부(22)는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상기 착즙 압출관체(3)와 압출 스크류부(32)는 인체에 무해한 경질의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압출 스크류부(32)의 일측 단부와 상기 테이퍼 스크류부(22)의 타측 단부는 일측 단부 연결수단(321)을 통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단부 연결수단(321)은 압출 스크류부(32)의 일측 단부의 끝단과 상기 테이퍼 스크류부(22)의 타측 단부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출 스크류부(32)의 일측 단부의 끝단과 상기 테이퍼 스크류부(22)의 타측 단부의 끝단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농산물의 압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우측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즙 압출관체(3)를 테이퍼축부(21)와 구동수단 연결부(23)의 사이인 회전축(2)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수단(4)은 착즙 압출관체(3)을 좀 더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축부(21)의 타측면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탭홀(44)과, 상기 착즙 압출관체(3)의 내부 둘레에 상기 탭홀(44)과 상응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45)과, 상기 다수의 조립홀(45)에 관통되어 상기 탭홀(44)에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메꿈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브러쉬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둘레에 나선형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각의 내면에는 탭홈(361)이 형성된 다수의 함몰홈(36)과, 착즙 대상 농작물의 섬유질의 양에 따라 상기 함몰홈(36)들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메꿈 고정부재(5)들이나 브러쉬 고정부재(6)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메꿈 고정부재(5)는 외측에 원호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탭홈(361)과 상응되는 위치에 외측에 볼트머리 삽입홈이 형성된 조립홀(51)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조립홀(51)과 탭홈(361)에 볼트가 관통 체결되어 상기 함몰홈(36)에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브러쉬 고정부재(6)는 외측에 원호면이 형성되고 원호면의 외측에는 다수의 브러쉬(61)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탭홈(36)과 상응되는 위치에 외측에 볼트머리 삽입홈이 형성된 조립홀(62)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조립홀(62)과 탭홈(361)에 볼트가 관통 체결되어 상기 함몰홈(36)에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즙 대상 농작물의 섬유질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함몰홈(36)들에 메꿈 고정부재(5)들을 삽입 고정하고, 착즙 대상 농작물의 섬유질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함몰홈(36)들에 브러쉬 고정부재(5)들을 삽입 고정하여 섬유질의 브러쉬 제거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세서는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으 아니며, 펄프피니셔 또는 과육분리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압출스크류
2 : 회전축
21 : 테이퍼축부
22 : 테이퍼 스크류부
23 : 구동수단 연결부
3 : 착즙 압출관체
31 : 나선형 압출부
32 : 압출 스크류부
33 : 나선형 브러쉬부
34 : 브러쉬 삽입홈
35 : 브러쉬
36 : 함몰홈
4 : 고정수단
41 : 탭홀
42 : 세트스크류 삽입홈
43 : 세트스크류
44 : 탭홀
45 : 조립홀
46 : 볼트
5 : 메꿈 고정부재
51 : 조립홀
6 : 브러쉬 고정부재
61 : 브러쉬
62 : 조립홀

Claims (13)

  1. 농산물 착즙기에 적용되되, 횡방향의 둘레가 망체로 구성된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구동되면서 농산물을 압출 이송시키는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압출스크류는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출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축부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축부의 외면에는 나선형의 테이퍼 스크류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테이퍼축부와 구동수단 연결부의 사이인 회전축의 외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외측의 둘레에는 나선형으로 나선형 압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착즙 압출관체;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압출부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나선형의 압출 스크류부와,
    상기 압출 스크류부의 일측이나 타측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농산물을 착즙할 경우에 압출관의 망체에 농산물의 섬유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나선형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 압출관체와 압출 스크류부는 인체에 무해한 경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브러쉬부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1열이나 2열 또는 지그재그식의 2열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 삽입홈과,
    각각의 상기 브러쉬 삽입홈에 내측이 삽입 고정되고 외측이 상기 압출 스크류부의 외측 둘레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브러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브러쉬는
    유동성을 가지는 다수의 브러쉬봉이나 하나의 원형봉 또는 횡방향으로 전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횡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 삽입홈은 일측열과 타측열의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가 2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고,
    일측열과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에 삽입되는 브러쉬는 다수의 브러쉬봉으로 구성되며,
    일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브러쉬봉의 직경보다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브러쉬봉의 직경이 크고,
    일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의 길이가 타측열의 각각의 브러쉬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브러쉬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둘레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탭홀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탭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 삽입홈과,
    서로 일치하는 탭홀과 세트스크류 삽입홈에 체결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세트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테이퍼축부의 타측면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탭홀과,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내부 둘레에 상기 탭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과,
    상기 다수의 조립홀에 관통되어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스크류부는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상기 착즙 압출관체와 압출 스크류부는 인체에 무해한 경질의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압출 스크류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테이퍼 스크류부의 타측 단부는 일측 단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부 연결수단은
    상기 압출 스크류부의 일측 단부의 끝단과 상기 테이퍼 스크류의 타측 단부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부는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구획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구간의 좌우 폭이 제일 좁고 상기 제2 구간의 좌우 폭은 제1 구간보다 좌우 폭이 길며 상기 제3 구간의 좌우 폭은 제2 구간의 좌우 폭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간의 피치는 제일 좁고 상기 제2 구간의 피치는 제1 구간의 피치보다 길고 상기 제3 구간의 피치는 제2 구간의 피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스크류는
    상기 착즙 압출관체의 둘레에 나선형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각의 내면에는 탭홈(361)이 형성된 다수의 함몰홈과,
    착즙 대상 농작물의 섬유질의 양에 따라 상기 함몰홈들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메꿈 고정부재들이나 브러쉬 고정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상기 메꿈 고정부재는 외측에 원호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탭홈과 상응되는 위치에 외측에 볼트머리 삽입홈이 형성된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조립홀과 탭홈에 볼트가 관통 체결되어 상기 함몰홈에 고정되게 구성되고,
    각 상기 브러쉬 고정부재는 외측에 원호면이 형성되고 원호면의 외측에는 다수의 브러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탭홈과 상응되는 위치에 외측에 볼트머리 삽입홈이 형성된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조립홀과 탭홈에 볼트가 관통 체결되어 상기 함몰홈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0210121387A 2021-09-13 2021-09-13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87A KR102399654B1 (ko) 2021-09-13 2021-09-13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87A KR102399654B1 (ko) 2021-09-13 2021-09-13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654B1 true KR102399654B1 (ko) 2022-05-18

Family

ID=8180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387A KR102399654B1 (ko) 2021-09-13 2021-09-13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6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066U (ko) * 1994-10-11 1996-05-17 김종길 착즙기용 착즙망 세척장치
JP2005245375A (ja) * 2004-03-08 2005-09-15 Kanto Kongoki Kogyo Kk 食材の攪拌装置
KR20120006052U (ko) * 2011-02-21 2012-08-29 이상원 수평형 고추분쇄기
KR101604297B1 (ko) * 2015-12-09 2016-03-17 주식회사 참고을 압착스크류
KR102163158B1 (ko) * 2020-02-19 2020-10-08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163162B1 (ko) 2020-02-19 2020-10-08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066U (ko) * 1994-10-11 1996-05-17 김종길 착즙기용 착즙망 세척장치
JP2005245375A (ja) * 2004-03-08 2005-09-15 Kanto Kongoki Kogyo Kk 食材の攪拌装置
KR20120006052U (ko) * 2011-02-21 2012-08-29 이상원 수평형 고추분쇄기
KR101604297B1 (ko) * 2015-12-09 2016-03-17 주식회사 참고을 압착스크류
KR102163158B1 (ko) * 2020-02-19 2020-10-08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163162B1 (ko) 2020-02-19 2020-10-08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1184A (en) Corn husker rolls with auger relief
DE2233019C2 (de) Erntemaschine der Axialflußbauart
RU2436721C2 (ru) Архимедов ви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нвейерах, уплотнителях и подоб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US6251008B1 (en) Husker rolls
EP0820375B1 (de) Vorrichtung zum aufberei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gutes
KR102145628B1 (ko) 과일 씨 제거 및 과육 절단 장치
KR102399654B1 (ko)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DE3340734C2 (de) Schnecke einer Schneckenpresse
CN105942548A (zh) 一种低损花生种子脱壳装置
DE2707842C3 (de) Raspelwerkzeug für eine Schäl- und Raspelvorrichtung zum Abtragen von Reifenlaufflächen
KR102163162B1 (ko)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3B1 (ko)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1B1 (ko) 브러쉬관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20150053028A (ko) 농산물 착즙기
KR200474413Y1 (ko) 농산물 착즙기
CN111887016A (zh) 纵横向叶杆分离装置
WO2019231415A1 (en) Enhanced adjusting mechanism for paddles in cleaning chambers of pumpkin harvesting machines
CN205727978U (zh) 一种低损花生种子脱壳装置
KR102116172B1 (ko) 과실의 씨앗 분리장치
DE202015104963U1 (de) Lebensmittel-Verarbeitungsvorrichtung
CN211631681U (zh) 一种脱皮机
DE102020001828B4 (de) Aufnahmevorrichtung an einer Erntemaschine
CN112826097A (zh) 一种脱皮机
CN220528649U (zh) 一种单纵轴流脱粒分离滚筒以及收获机
EP2549892B1 (de) Messerbett für ein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organischen substanz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