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297B1 - 압착스크류 - Google Patents

압착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297B1
KR101604297B1 KR1020150174844A KR20150174844A KR101604297B1 KR 101604297 B1 KR101604297 B1 KR 101604297B1 KR 1020150174844 A KR1020150174844 A KR 1020150174844A KR 20150174844 A KR20150174844 A KR 20150174844A KR 101604297 B1 KR101604297 B1 KR 10160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ub
groove
central shaf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고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고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고을
Priority to KR102015017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통해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착즙하는 압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중심축의 일측면 둘레에 기어의 이가 형성된 기어부, 중심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부, 원통형의 몸체에 나선 날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서브 축이 형성된 스크류부, 스크류부의 타단에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여 축 또는 스크류부가 일정 길이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압착 스크류의 파손 시 일부분만 교환함으로써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는 압착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착스크류{COMPRESSION SCREW}
본 발명은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통해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착즙하는 압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압착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압착스크류는 스크류가 축을 따라 회전하여 재료를 전진시켜 벽과 스크류 사이에서 재료를 압착함으로써 재료를 착즙하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압착스크류는 축과 스크류가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재료를 압착 시 일체형 스크류의 힘이 집중되는 부위에서 파손이 일어나게 되면, 하나로 형성된 스크류와 축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이는 고가의 스크류 전체를 폐기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이 크고, 고중량의 스크류를 장비 내부로부터 꺼내어 교환해야 하므로 교체작업을 혼자서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2926호(발명의 명칭 : 곡물 착유기)는 압착 스크류를 구비한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압착 스크류가 축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착 스크류의 일부분이 파손되면 압착 스크류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착스크류를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압착스크류의 일부분 파손 시, 해당부품만을 교체하여 부품 교체 비용을 줄이고, 압착 스크류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크류를 분해하여 작은 단위로 세척이 가능하여 스크류 세척 및 관리가 쉽도록 하는 압착스크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일측면 둘레에 기어의 이가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심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부; 원통형의 몸체에 나선 날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와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일단에 서브 축이 형성된 스크류부; 및 상기 스크류부의 타단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부와 상기 중심축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압착스크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스크류부의 진행방향으로 향하는 재료 이송면; 상기 재료 이송면의 끝단에서 일정 두께의 나선모양으로 형성된 나선 측면; 및 상기 나선 측면의 끝단에서 이어져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날개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의 내벽에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나사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체결홈이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는, 분해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나선 날개의 1 피치 단위에서 복수의 서브 스크류와 말단 서브 스크류로 분리하되, 상기 서브 스크류의 일측 단면에는 상기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의 서브 결합부를 포함하며, 타측 단면에는 상기 체결홈과 동일한 형상의 서브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서브 스크류는 일측 단면에 상기 서브 축을 포함하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서브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스크류 간의 나선 날개가 일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결합부 및 서브 체결홈의 일측에 마킹홈을 형성하여, 상기 서브 스크류 결합 시 상기 서브 결합부 및 서브 체결홈의 마킹홈이 마주한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다.
중심축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성된 돌기부;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중심축 및 돌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추가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추가 스크류가 상기 중심축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에서 상기 추가스크류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부에 의해 상기 추가 스크류의 타측이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스크류는 1피치 단위로 분리되어 상기 중심축에 끼움결합되면 스크류의 나선이 일치되어 하나의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스크류, 말단 서브 스크류 및 추가 스크류는 분해 및 조립 시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 지지면 일측에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는 파손이 가장 자주 일어나는 축과 스크류의 분기점을 분해 결합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손 시 교체 비용을 줄이고, 고하중의 스크류를 일부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교체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는 스크류를 일정 길이 단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스크류의 나선 날개 파손 시 해당 부분만 선택하여 교환이 가능하므로 부품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각 서브 스크류에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분해, 결합 또는 운반이 용이하고, 스크류 세척 시 스크류를 최소단위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는 중심축(100), 기어부(200), 결합부(300), 스크류부(500) 및 체결홈(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축(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부(500)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스크류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기어부(200)는 착유기의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중심축(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부(200)는 중심축(100)의 일측면 둘레에 기어의 이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기어의 치합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중심축(10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결합부(300)의 외주면에 나사산, 돌기 등의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400)은 스크류부(500)의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300)와 체결되도록 결합부(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00)에 숫나사산이 형성되면, 체결홈(400)의 내부 둘레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부(300)와 체결홈(400)이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스크류부(500)는 원통형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날개(510)를 가지며, 체결홈(400)이 형성된 반대편 끝단면에 서브 축(520)을 형성할 수 있다.
나선 날개(510)는 재료 이송면(511), 나선 측면(512), 날개 지지면(513)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이송면(511)은 스크류부(500)의 회전에 따라 나선 날개(510)가 일정한 진행방향을 갖게 될 때, 나선 날개(510)의 진행방향으로 향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면이다. 스크류부(500)에 재료가 투입되고 스크류부(500)가 회전하게 되면 나선 날개는 일정한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며 진행하게 된다. 이 때 진행방향의 끝부분에 있는 재료 이송면(511)은 실린더 또는 벽에 재료를 압착하여 착즙하고, 이 외의 재료 이송면(511)은 압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재료를 이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나선 측면(512)은 재료 이송면(511)의 끝단에서 일정 두께의 나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이송면(511)에서 재료를 압착 시, 나선 날개(510)의 진행방향 반대방향으로 큰 압력을 받게 되므로 나선 날개(510)가 파손 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 측면(512)은 일정한 두께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 지지면(513)은 나선 측면(512)의 끝단에서 이어져 형성되며, 나선 측면(512)을 기준으로 재료 이송면(511)의 대응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 지지면(513)은 나선 날개(510)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 날개(510)가 재료 압착 시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큰 압력을 받게 될 때, 날개 지지면(513)이 나선 날개(510)의 후방을 지지해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부(700)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압착스크류는 도 1의 압착스크류와 대비하여 스크류부(500)가 서브 스크류(530)으로 분리 가능하고, 손잡이부가 추가된 차이점이 있을 뿐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는 중심축(100), 기어부(200), 결합부(300), 스크류부(500), 체결홈(400) 및 손잡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도 2와 같이, 스크류부(500)가 나선 날개(510)의 일정길이에서 분리되는 서브 스크류(530)로 형성될 수 있다. 일정길이는 나선 날개(510)의 피치 단위로 나누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1피치 또는 2피치 단위가 적절하다.
서브 스크류(530)의 일측 단면에는 서브 결합부(531)를 포함하고, 타측 단면에는 서브 체결홈(53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결합부(531) 및 서브 체결홈(532)은 결합부(300) 및 체결홈(4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서브 결합부(531)와 서브 체결홈(532)의 결합으로 서브 스크류(530)가 연결될 수 있다.
말단 서브 스크류(540)는 일단에 서브 체결홈(532)를 포함하여, 연결된 다수의 서브 스크류(530)의 말단에서 서브 결합부(531)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말단 서브 스크류(540)의 타측 단면에는 서브 축(520)을 포함하여, 서브 스크류(530) 및 말단 서브 스크류(540)의 결합체가 온전한 스크류부(500)의 구성을 갖추도록 할 수 있다.
서브 스크류(530)의 서브 결합부(531) 및 서브 체결홈(532)의 일측에는 마킹홈(600)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결합부(531)와 서브 체결홈(532)이 결합될 때 양측의 마킹홈(600)이 마주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이 완료되었을 시 각 서브스크류 간의 나선 날개(510)가 일치되어 하나의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700)는 날개 지지면(5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서브 스크류(530)를 분리, 결합 또는 운반 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700)의 구체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3에는 핸들(710)이 날개 지지면(51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900)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710)이 중공부(90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710)의 양 측 끝단부를 90도로 구부려 중공부(900)의 턱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핸들(710)의 양측 끝단부에는 자성체(720)를 구비하여 핸들(710)이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스크류 내부에 부착되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압착스크류는 도 1 및 도 2의 압착스크류와 대비하여 중심축(100)의 형상에 대한 차이와 추가 스크류(800)를 더 포함하고 있을 뿐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는 중심축(100), 기어부(200), 결합부(300), 스크류부(500), 체결홈(400), 손잡이부(700), 돌기부(110), 스토퍼(120), 추가 스크류(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압착스크류는 중심축(10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10)는 기어부(200) 및 결합부(3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0)는 홀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20)는 돌기부(110)의 끝단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삽입되는 스크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 스크류(800)는 중심축(100)과 돌기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 스크류(800)는 중심축(100)에 끼움결합되며, 스토퍼(120)에서 추가스크류의 일측이 고정되고, 스크류부(500)의 결합에 의해 타측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스크류(800)는 나선 날개(510)의 1피치 단위로 나누어져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스크류(800)가 중심축(100)에 끼움결합되면, 각 추가 스크류(800)의 나선 날개(510)가 일치되어 하나의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110)를 균일한 간격으로 짝수개를 형성하게 되면 추가 스크류(800) 결합 시 결합방향이 어긋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스크류(800)의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110)를 홀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중심축
110 : 돌기부
120 : 스토퍼
200 : 기어부
300 : 결합부
400 : 체결홈
500 : 스크류부
510 : 나선 날개
511 : 재료 이송면
512 : 나선 측면
513 : 날개 지지면
520 : 서브 축
530 : 서브 스크류
531 : 서브 결합부
532 : 서브 체결홈
540 : 말단 서브 스크류
600 : 마킹홈
700 : 손잡이부
710 : 핸들
720 : 자성체
800 : 추가 스크류
900 : 중공부

Claims (8)

  1. 스크류를 회전시켜 재료를 압착하는 압착스크류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일측면 둘레에 기어의 이가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심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부;
    원통형의 몸체에 나선 날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일단에 서브 축이 형성된 스크류부; 및
    상기 스크류부의 타단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부와 상기 중심축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압착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스크류부의 진행방향으로 향하는 재료 이송면;
    상기 재료 이송면의 끝단에서 일정 두께의 나선모양으로 형성된 나선 측면; 및
    상기 나선 측면의 끝단에서 이어져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날개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의 내벽에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나사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체결홈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분해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나선 날개의 1 피치 단위에서 복수의 서브 스크류와 말단 서브 스크류로 분리하되,
    상기 서브 스크류의 일측 단면에는 상기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의 서브 결합부를 포함하며, 타측 단면에는 상기 체결홈과 동일한 형상의 서브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서브 스크류는 일측 단면에 상기 서브 축을 포함하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서브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크류 간의 나선 날개가 일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결합부 및 서브 체결홈의 일측에 마킹홈을 형성하여, 상기 서브 스크류 결합 시 상기 서브 결합부 및 서브 체결홈의 마킹홈이 마주한 상태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6. 제1항에 있어서,
    중심축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성된 돌기부;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중심축 및 돌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추가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추가 스크류가 상기 중심축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에서 상기 추가스크류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부에 의해 상기 추가 스크류의 타측이 고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스크류는 1피치 단위로 분리되어 상기 중심축에 끼움결합되면 스크류의 나선이 일치되어 하나의 나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나선 날개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스크류.
KR1020150174844A 2015-12-09 2015-12-09 압착스크류 KR10160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44A KR101604297B1 (ko) 2015-12-09 2015-12-09 압착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44A KR101604297B1 (ko) 2015-12-09 2015-12-09 압착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297B1 true KR101604297B1 (ko) 2016-03-17

Family

ID=5565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844A KR101604297B1 (ko) 2015-12-09 2015-12-09 압착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2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2174U1 (ru) * 2017-02-14 2018-08-06 Денис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тадниченко Шнек пресса для отжима масла
KR102399653B1 (ko) * 2021-09-13 2022-05-18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1B1 (ko) * 2021-09-13 2022-05-18 우성환 브러쉬관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4B1 (ko) * 2021-09-13 2022-05-18 우성환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2174U1 (ru) * 2017-02-14 2018-08-06 Денис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тадниченко Шнек пресса для отжима масла
KR102399653B1 (ko) * 2021-09-13 2022-05-18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1B1 (ko) * 2021-09-13 2022-05-18 우성환 브러쉬관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KR102399654B1 (ko) * 2021-09-13 2022-05-18 우성환 착즙 압출관체 교체형 농산물 착즙기용 압출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297B1 (ko) 압착스크류
US10598254B2 (en) High torque transmission
CN206749104U (zh) 一种螺旋轴及螺旋挤压固液分离机
US20090040863A1 (en) Extruder
WO2018170784A1 (zh) 一种骨肉分离机
EP2623047A1 (en) Craniotomy drill
CN202095449U (zh) 泥鳅宰杀机
DE10207483C1 (de) Exzenterschneckenpumpe
CN104315084A (zh) 单螺杆调整齿侧间隙的圆柱齿轮传动机构
DE102009037993A1 (de) Exzenterschneckenpumpe
CN108077351A (zh) 面团强力供给装置
KR101706572B1 (ko) 덩이 형태의 피성형물 성형장치
CN108670000A (zh) 一种榨汁设备
CN108575327A (zh) 一种农业用小型铡草机
DE1932151A1 (de) Rotierende Foerderschnecke zum Fuehren und Halten von Flaschen
EP2072218A3 (en) Kneading screw and extruder
CN104165174B (zh) 按摩器松紧调节连接装置
CN207297779U (zh) 自动消除间隙的螺旋传动装置
CN107088630B (zh) 一种用于加工双向扭簧的绕簧机
CN108657752A (zh) 一种模块化垂直螺旋输送机螺杆
CN205458248U (zh) 滚挤式核桃碎壳器
CN205052818U (zh) 一种双轴大蒜剥皮机
CN103352959B (zh) 自由组合链节
CN207683027U (zh) 一种压片机及其盘车机构
CN210661215U (zh) 一种压片机绞龙轴的传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