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371B1 - 복귀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복귀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371B1
KR102399371B1 KR1020197012252A KR20197012252A KR102399371B1 KR 102399371 B1 KR102399371 B1 KR 102399371B1 KR 1020197012252 A KR1020197012252 A KR 1020197012252A KR 20197012252 A KR20197012252 A KR 20197012252A KR 102399371 B1 KR102399371 B1 KR 10239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treads
roller guide
tread
esca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929A (ko
Inventor
토마스 노파첵
쿠르트 슈트라이비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7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설치 공간-절감 방식으로 구성되고 낮은 마모로 작동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1) 가 설명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는 복수의 트레드들 (3) 및 특히 복귀 진행 중에 상기 트레드들 (3) 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를 갖는다. 각각의 트레드 (3) 는 전방을 향해 지향된 단부 면 (31) 에서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및 라이저 (25) 의 후향으로 지향된 영역 (39) 에서,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를 갖고, 전방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은 전향으로의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상보적으로 구성된다. 에스컬레이터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의 특정한 구성을 통해, 적어도 경사지게 이동하는 복귀 진행의 중앙 영역 (11) 에서,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치수들은 감소될 수 있고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은 정합하는 맞물림부를 통해 서로 상호 안내될 수 있고, 이로써 마모의 징후가 감소된다. 복귀 진행에서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정합하는 맞물림부는 예를 들면 함께 보다 가까워지도록 프로세스 중에 서로에 대해 의도적으로 틸팅되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복귀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종 이동하는 계단들로 설명되는 에스컬레이터들은 트레블 경로를 따라 두개의 레벨들 사이로 사람들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에스컬레이터는 트레블 경로를 따라 잇달아 배열된 복수의 트레드들을 제공한다. 트레드들의 각각은 에스컬레이터의 전향으로의 진행 중에 상향으로 배향된 트레드 표면을 제공하고 수송될 사람을 위해 위쪽이 단차형으로 될 수 있다. 이송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단을 향하는 이러한 트레드 표면의 후방 단부에서, 이러한 트레드 표면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라이저는 그것에 맞닿는다. 트레드들은 트랙션 수단, 예를 들면 단차형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함께 연결되고, 단차형 밴드를 형성한다. 드라이브 유닛은 단차형 밴드 또는 단차형 체인을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향으로의 진행에서 트레블 경로를 따라 트레드들을 변위시킬 수 있다. 바닥으로부터 상단으로 이송하는 에스컬레이터에서 트레블 경로의 전향으로의 진행은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에 인접하는 하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으로부터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을 거쳐 에스컬레이터의 출구에 인접하는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을 통해 연장된다. 단차형 밴드 또는 단차형 체인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귀 진행 중에 트레드들은 전향으로의 진행의 트레블 경로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트레드들의 각각은 전형적으로 트레드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전향으로 지향된 단부 면에서 인접하는 리브들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을 구비한 전방 상호 정합 구조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트레드는 전형적으로 또한 라이저의 후향으로 지향된 영역에서 인접하는 리브들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을 구비한 후방 상호 정합 구조를 갖는다. 전방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들은 따라서 서로 조정되고 바람직하게 서로 상보적으로 구성되어 그것들은 에스컬레이터의 전향으로의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상이하게 표현하면, 에스컬레이터가 트레블 경로의 전향으로의 진행을 따라 이동한다면, 트레드들의 하나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는, 전방 상호 정합 구조의 리브들이 후방 상호 정합 구조의 그루브들에 맞물리고 후방 상호 정합 구조의 리브들이 전방 상호 정합 구조의 그루브들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에 맞물린다. 한편으로, 이에 의해, 인접하는 트레드들 사이에 불가피하게 제공된 갭은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승객들의 신발과 같은 물체가 그에 걸릴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인접하는 트레드는 또한 트레드의 안내를 지원할 수 있고, 이는 인접한 트레드들이 서로에 대해 트레블 경로에 횡방향의 방향으로 거의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의 에스컬레이터들은 승객들에 대해 최적의 안정성 및 높은 레벨의 트레블링 안락감을 생성하도록 최적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상호 정합 구조의 타입 뿐만 아니라 트레드들이 전향으로의 진행에서 트레블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방식은 이와 관련하여 조정되었고 따라서 상호 정합 구조들은 인접하는 상호 정합 구조들 사이에서 가장 작은 갭을 갖고서 그리고 가능한 안전하게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전향으로의 진행에 대한 복귀 진행 중에 반대의 운동 방향 및 전향으로의 진행에 대한 복귀 진행 중에 인접하는 트레드들 사이의 그 결과로 인한 상이한 상대적인 운동으로 인해 트레드들의 정상적인 편향이 존재할 때에, 당연히 에스컬레이터의 트레드들이 복귀 진행 중에 서로에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또는 적어도 위험성과 연관되어 허용될 수 없다고 여겨져 왔다.
이러한 선입견에 기초하여, 에스컬레이터들이 이전에 그들의 트레드들은 항상 복귀 진행 중에 충분히 이격되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에스컬레이터들은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갖도록 구성되어야만 했고, 이로써 에스컬레이터를 위해 필수적인 설치 공간은 증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트레드들은 트레블 경로에 횡방향인 방향으로 트레블 경로부터 그들의 편차를 방지하도록 적절한 장치들을 사용하여 복귀 진행 중에 측방향으로 안내되어야 하고, 이로써 부가적인 구성 장치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구되었고, 많은 경우들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구성 요소들에서 증가된 마모가 잇달아 발생되었다.
복귀 진행에서 정합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는 실제로 JP 3 790788 B2 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하고 매우 비싼 편향 메카니즘을 요구하여 트레드들의 트레드 표면들은 전향으로의 진행에서와 같이 복귀 진행에서 상향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이전에 언급된 단점들이 특히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되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작은 설치 공간 및/또는 낮은 마모 및 찢어짐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필요성은 독립항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 뿐만 아니라 다음의 설명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는 트레블 경로를 따라 잇달아 배향된 복수의 트레드들을 갖도록 제안되고, 각각의 트레드는 트레드 표면 및 트레드 표면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고 트레드 표면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라이저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는 트레드들의 체인 롤러들을 안내하는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레드들의 아이들러 롤러들을 안내하는 아이들러 롤러-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를 갖는다. 이들 가이드 레일들은 트레블 경로의 하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으로부터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을 통해 트레블 경로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을 향하는 전향으로의 진행에 걸쳐 그리고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귀 진행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트레드는 전방 상호 정합 구조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를 갖고, 전방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들은 서로를 향해 배향된 이웃하는 트레드들의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과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사이에는 전이 영역이 존재한다. 복귀 진행의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또는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은 예리한 곡률을 갖는 상부 및 중앙 영역들의 경계부에 가까운 두개의 만곡된 영역들 및 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는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을 갖는다. 가이드-레일 어셈블리의 이러한 특별한 구성은 적어도 경사지게 진행하는 복귀 진행의 중앙 영역에서, 인접하는 트레드들의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이 무엇보다도 그리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아래에 설명된 사상과 발견들에 종속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시작부에서 언급된 오랫동안 여겨져 온 편견에도 불구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인접하는 트레드들은 유리하게 그리고 특히, 과도한 위험성 없이 심지어 그들의 복귀 진행 중에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이를 위해 본질적으로 트레드들은 이전의 에스컬레이터들의 경우에 존재했던 복귀 진행 중에 상이한 방식으로 안내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환언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트레드들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는 특히 그것이 복귀 진행을 따라 트레드들을 안내하는 그러한 지점에서 적당히 변경되고 특별히 구성되어, 인접하는 트레드들이 서로 보다 가깝게 안내되고 그 대향하는 상호 정합 구조들에 의해 안전한 맞물림 및 따라서 정합 정렬로 된다는 것이 판별되었다.
트레드들이 적당히 조정된 가이드-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심지어 복귀 진행 중에 서로 상호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게 안내될 수 있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한편으로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필수적인 설치 공간의 감소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복귀 진행 중에, 트레드들은 함께 보다 가깝게 놓이도록 이동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복귀 트레블에 대한 공간 요구 조건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다른 한편으로, 또한 복귀 진행 중에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안내하는 옵션은 에스컬레이터의 종방향에 횡방향인 방향으로의 그들의 운동 범위를 보다 크게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는 복귀 진행 중에 트레들의 보다 양호한 측방향 가디언스를 허용한다. 예를 들면, 이는 트레드들의 측방향 가디언스를 위한 부가적인 구성 장치들을 방지하고 또는 적어도 그것들을 최소화하고 및/또는 트레드들의 구성 요소들의 마모 및 찢어짐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레일 어셈블리는 트레드들의 체인 롤러들를 안내하기 위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레드들의 아이들러 롤러들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을 갖는다.
환언하면, 체인 롤러들 및 아이들러 롤러들의 형태의 상이한 롤러들은 전형적으로 트레블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방식으로 트레드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레드에 장착된다. 상이한 가이드 레일들을 사용하여 이들 상이한 롤러들을 안내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인식되었다. 체인 롤러들은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고 아이들러 롤러들은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된다. 두개의 타입들의 가이드 레일들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상응하는 롤러들이 반드시 평행하게 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상이한 경로들을 따라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안내되는 체인 및 아이들러 롤러들에 의해 유지되는 트레드가 프로세스 중에 원하는 방향으로 스위블링되거나 틸팅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트레드들의 그러한 틸팅 또는 스위블링은 유리하게 그들의 치형부들이 간단하게 그리고 충돌 또는 캔팅 (canting) 의 현저한 위험성 없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게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보다 가깝게 트레드들을 이동시키도록 복귀 진행을 통한 통과 중에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을 가져야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러나, 체인 롤러들 및 아이들러 롤러들은 트레드들의 두개의 대향하는 측들에 부착되어, 보통 두개의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들 및 두개의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이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에 제공된다. 이들은 트레블 경로의 대향하는 측들을 따라 그리고 거의 그들 사이로 진행하는 트레드들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에서 각각 배열된다. 용어 체인 롤러는 여기서 보다 폭넓게 해석되어야 하고, 이는 체인의 일부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상기 용어는 트레드들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는 트랙션이 안내되는 그러한 롤러들을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전방 단부에 가까운 각각의 트레드는 제 1 거리에서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이격된 체인 롤러를 가질 수 있고 그 후방 단부에 가까운 트레드는 제 1 거리보다 더 큰 제 2 거리에서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이격된 아이들러 롤러를 가질 수 있다. 트랙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은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랙의 중간 영역에서보다 서로 더 멀리 이격된다. 부가적으로,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및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레블 경로의 중앙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곡률로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를 따라 안내되는 인접하는 트레드들은, 양쪽 트레드들이 트랙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을 따라 이동되는 한,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가 갭을 갖고서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로부터 이격되고, 두개의 트레드들이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랙의 중앙 영역의 전이 영역을 따라 잇달아 이동한다면,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가 라이저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내에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고, 이들 사이에 갭이 수평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환언하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및 바람직하게 적어도 두개의 체인 롤러들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두개의 아이들러 롤러들이 각각의 트레드에 부착된다. 체인 롤러들은 따라서 트레드의 전방 단부에 가깝되 부착되고 아이들러 롤러들은 후방 단부에 가깝게 부착된다.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롤러들의 거리는 따라서 아이들러 롤러들에 대해서보다 체인 롤러들에 대해서 보다 작다. 무엇보다도, 이는 전향으로의 진행 중에 트레드를, 단일한 가이드 레일 또는 대안적으로 그들의 트레드 표면들이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서로 평행한 두개의 체인 롤러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그 체인 및 아이들러 롤러들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한다.
에스컬레이터의 복귀 진행에서, 체인 롤러들은 현재 그에 제공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한편, 아이들러 롤러들은 그로부터 분리된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된다.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은 따라서 수직한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이들 상이한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거리는 그러나, 복귀 진행의 동일한 트레블 경로를 따라 일정하지 않다. 대신에, 트랙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과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사이의 거리는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랙의 중간 영역에서보다 서로 더 멀리 이격된다. 협소하게 이격된 체인-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로 인해, 트레드들은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간 영역에서 함께 보다 가깝게, 특히 그들의 대향하는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보다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서로로부터 체인-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의 협소한 이격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필수적인 설치 공간은 따라서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특히 함께 인접하는 트레드들을 안내하는 절차 및 서로 대향하는 상호 정합 구조들을 맞물리게 하는 절차는 중요할 수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특히, 대향하는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상보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어서, 하나의 상호 정합 구조의 리브들이 다른 상호 정합 구조의 그루브들 내에 정확하게 피팅되지 않을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의 상호 정합 구조들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트레드들 사이의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호 정합 구조들이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상호 정합 구조들에서 마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최악의 경우로서, 상호 정합 구조들은 심지어 굽혀질 수 있고, 이로써 현저한 위험성들이 에스컬레이터의 무결성 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하는 승객들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 정확하게 이들 이유들로, 이전에 에스컬레이터의 복귀 진행에서 트레드들의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변위는 너무 위험하다고 여겨졌다.
현재 나타낸 위험성들이,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과 트랙의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들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이 매우 특별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상이하게 경사져 진행하도록 구성된다면 최소화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환언하면, 분명히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이 본질적으로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의 큰 섹션들에서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랙의 중앙 영역에서 서로 평평하게 그리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두개의 영역들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두개의 가이드 레일들은 각각 만곡되어야만 하고, 상이한 곡률 반경들 및/또는 상이한 커브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상이한 방식으로 두개의 가이드 레일들을 만곡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고 인식되었다.
특히, 상이한 가이드 레일들의 상이한 커브 형상들은, 양쪽 트레드들이 트랙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을 따라 이동되는 한 하나의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가 갭에 의해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가이드-레일 어셈블리를 따라 안내되는 인접하는 트레드들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트레드들이 전이 영역 내로 연속적으로 서로 추종하고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랙의 중앙 영역 내로 이러한 전이 영역을 따라 이동되자 마자,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는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 내에서 맞물리고, 서로에 대해 트레드들의 이동은 하나의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가 그에 제공된 상호 정합 구조에서 인접하는 트레드의 라이저의 영역 내로 안내되고 따라서 두개의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때까지 두개의 상호 정합 구조들 사이의 갭이 연속적으로 보다 작게 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용어 "수평의" 는 본 문맥에서 보다 폭넓게 해석되어야 하고 가이드 레일의 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환언하면, 이전에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들에서의 복귀 진행에서 인접하는 트레드들은 단지 트레드들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방식으로만 정합 가능하게 맞물림될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는 아래로부터 인접하는 트레드에 보다 가깝게 이동되고, 이로써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충돌하고 손상될 위험성 현저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현재 그것들이 서로를 향해 수직으로 이동되지는 않지만, 수평의 방향으로 트레드들 사이에 감소하는 갭을 갖도록 트랙의 경사지게 진행하는 영역과 수평의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의 특별한 형태에 의해 트레드들을 안내하는 것이 제안된다. 두개의 트레드들의 상호 정합 구조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보다 양호하게 맞물릴 수 있다. 심지어 두개의 상호 정합 구조들이 서로 정확하게 상보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하나의 트레드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와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 사이의 약간의 오프셋은, 그것들이 서로를 향해 수평으로 이동된다면, 두개의 트레드들 사이의 약간의 측방향 상대 이동들에 의해 대부분 균등화될 수 있는 데, 왜냐하면 특히 후방 상호 정합 구조가 트레드의 가장 완만하게 만곡된 라이저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곡률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과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사이의 거리가 처음에 증가하고 그후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을 향해 추가로 감소된다.
환언하면,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은 트랙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의 확장 부분에 걸쳐 서로 제 1 거리를 갖고서 그리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전이 영역에 진입할 때에, 이러한 거리는 바람직하게 처음에 증가하여 그후 경사지게 진행하는 트랙의 영역을 향해 전이 영역의 추가의 진행에서 다시 감소되고 심지어 제 1 거리보다 작게 된다.
전이 영역의 과정에서 두개의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거리의 편차에 의해, 그들의 체인 롤러들 및 아이들러 롤러들을 통해 가이드 레일에서 안내되는 트레드들은 특별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특히 서로에 대해 틸팅된다. 인접하는 트레드들의 동시 수렴 중에 트레드들의 그러한 틸팅은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트레드들을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어서, 상호 정합 구조들이 결국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때에 충돌들의 위험성은 최소화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그 경계부에 가까운 예리한 곡률의 두개의 만곡된 영역들을 갖고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은 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는다.
다르게 표현하면,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처음에 그것이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으로 전이되는 전이 영역의 경계부에서 예리한 곡률을 갖고 그후 처음에 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는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으로 도중에 연장되고, 그후 다시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으로의 전이 전에 전이 영역의 다른 경계부에서 보다 예리한 곡률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곡되는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의 구성으로 인해, 그 안으로 안내되는 체인 롤러들은 전이 영역을 통해 통과할 때에 안내되는 트레드들의 원하는 이동이 트레드의 특히 원하는 틸팅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경계부에 가까운 만곡된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연관된 영역에서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보다 더 예리한 곡률을 갖는다.
환언하면,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들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이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들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개의 영역들을 연결하는 전이 영역 내에서의 방향의 변경은, 그러나 바람직하게 동시에 실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경계부에 가까운 상응하는 만곡된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보다 더 만곡된다. 바람직하게, 양쪽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을 경계짓는 것을 의미하는 경계부에 가까운 두개의 만곡된 영역들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보다 더 만곡된다. 이는 경계부에 가까운 이들 만곡된 영역들의 하나 또는 양쪽을 통해 안내되는 트레드의 보다 큰 틸팅을 발생시키고, 상기 틸팅은 두개의 가이드 레일들이 서로 동시에 그리고 균등히 만곡되는 경우에서보다 더 현저하다.
본 문맥에서,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의 "연관된 영역" 은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의 관련된 영역에 가장 가깝게 놓이거나, 또는 동일한 트레드의 체인 롤러가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의 상응하는 영역에 걸쳐 롤링한다면 트레드의 트랙션 롤러가 롤링하는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상응하는 영역에서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다.
다르게 말하면,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거의 전이 영역의 바로 중간에 있을 때에, 바람직하게 연관된 영역에서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보다 적게 만곡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바람직하게 심지어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에서 동일한 높이일 수 있고, 이는 제로의 곡률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그 경계부 영역들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은 매우 크게 만곡되고, 특히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의 상응하는 영역들보다 더 크게 만곡될 수 있고, 그러나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에서 동일한 높이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경계부 영역들 및 사이에 개재된 영역에서의 곡률은 동일한 방향들에서 형성되고, 또는 사이에 개재된 영역은 만곡되지 않고, 이는 동일한 높이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이에 개재된 영역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약간 만곡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고, 이는 양쪽 경계부 영역들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사이에 개재된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인 영역들에서 약간 오목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그들의 국소적으로 변하는 곡률들과 관련하여 체인 롤러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의 상기 언급된 가능한 구성들로 인해,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이 영역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들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들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곡률로 구성될 수 있어서, 트레드는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전이 영역을 통해 통과하면서, 처음에 그 전방 상호 정합 구조가 틸팅 방식으로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로부터 멀리 이동되게 하고 그후 인접하는 트레드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를 향해 대향하는 방향으로 틸팅되게 이동된다.
그 이전에 인접하는 트레드로부터 트레드의 떨어진 그러한 최초의 틸팅 및 이러한 인접하는 트레드로부터의 차후의 틸팅은 그후 손상 없이 서로 그것들을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그들 사이의 갭을 감소시키는 적절한 방식으로 두개의 트레드들의 대향하는 상호 정합 구조들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전방 상호 정합 구조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의 인접하는 리브들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은 바람직하게 정합하는 맞물림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뿔형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은 특히 많은 작동 시간들 및 따라서 트랙션 수단들의 관절 연결 지점들에서 보다 큰 유격을 갖는 단차형 밴드들에서 부가적으로 용이한 데, 왜냐하면 단부 면에서 그루브 폭이 보다 크고 단부 면에서 리브 폭은 보다 협소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발생되는 측방향 힘들로 인해 상호 정렬된 두개의 인접하는 트레드들의 리브들의 플랭크들의 이동이다.
리브들 및 그루브들의 원뿔형 횡단면은 0.5° 내지 10°, 바람직하게 1°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 3° 의 플랭크 각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의 일부가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산출하도록 적절할 때 조합되거나, 조정되거나 또는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고, 도면 및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바와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은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도 2 의 (a), (b) 및 (c) 는 트레드의 측면도 및 트레드의 라이저 또는 트레드 표면에서 양쪽 전방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트레드들의 정합하는 맞물림 중에 발생하는 이론적 이동 순서를 예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트레드들이 함께 정합 가능하게 이동될 때에 의도된 이동 순서를 예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본질적인 구성 요소의 기하학적 구성을 예시한다.
도 6 의 (a) 내지 (d)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복귀 진행을 따라 이동하는 트레드들의 시간 순서를 예시한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고 축적에 적용되지 않는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또는 비슷한 특징을 나타낸다.
도 1 은 예를 들면 사람들이 두개의 레벨들 (E1, E2) 사이로 운반될 수 있는 예시적인 에스컬레이터 (1) 를 도시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수평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두개의 폐쇄된-루프 컨베이어 체인들 (5) (단지 하나만이 도 1 에 도시됨) 을 사용하는 잇달아 배열되고 트레블 경로를 따르는 이동 (6) 에 반대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복수의 트레드들 (3) 을 갖는다. 각각의 트레드 (3) 는 따라서 컨베이어 체인들 (5) 의 하나에서 그 측방향 단부에 가깝게 장착된다. 컨베이어 체인들 (5) 을 변위시키도록, 에스컬레이터 (1)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되는 편향 또는 체인 휠들 (15, 17) 을 갖는 드라이브 어셈블리 (19) (이는 단지 도 1 에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됨) 를 제공한다. 에스컬레이터 (1) 의 체인 또는 편향 휠들 (15, 17)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지지 구성 요소들은 지지 구조 (도 5 및 도 6 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지만, 도 1 에서는 명확성을 위해 예시 생략됨) 에 유지되고, 이는 뼈대 구조의 형태로 대부분 구성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핸드 레일 (21) 을 추가로 제공한다.
트레드들 (3) 은 따라서 하부 레벨 (E1) 을 경계짓는 하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9) 으로부터 상부 레벨 (E2) 을 경계짓는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에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을 통해 전향으로의 진행으로 상향의 이송 작동 중에 이동되고 그후 복귀 진행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드 (3) 는 전향으로의 진행 중에 상향으로 지향된 트레드 표면 (23) 을 갖는다. 트레드 (3) 가 전향으로의 진행에서 레벨 (E2) 을 향해 위로 이동하는 이동 방향 (6') 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표면 (23) 에 횡방향으로 하향으로 연장되는 트레드 (3) 의 후방 에지에서 라이저 (25) 가 존재한다. 트레드 (3) 는 그 전방 단부 아래에 체인 롤러 (27) 및 그 후방 단부 아래에 아이들러 롤러 (29) 를 갖는다. 체인 롤러 (27) 는 따라서 아이들러 롤러 (29) 보다 트레드 표면 (23) 으로부터 더 작은 거리에서 트레드 표면 (23) 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2 의 (a) 에 대해 90° 회전된 평면도로 도 2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 (35)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 (37) 을 갖는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는 트레드 표면 (23) 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전향을 향하는 단부 면 (31) 에 형성된다. 이에 상보적이고, 또한 리브들 (43)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 (45) 을 갖는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은 도 2 의 (a) 에 대해 90° 로 회전된 절단도로 도 2 의 (c)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이저 (25) 의 후향으로 향하는 영역 (39) 에 형성된다.
전향으로의 진행 중에, 에스컬레이터 (1) 의 트레드들 (3) 은 그들의 전방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이 서로 정합하는 방식으로 전형적으로 안내되고 이는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고 따라서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최소화한 및 구불구불한 갭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귀 진행 중에, 그러나,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들 (1) 에서 트레드들 (3) 은 이전에 적어도 위험하다고 여겨지던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정합 가능한 맞물림을 방지하도록 서로 충분한 거리에서 안내된다.
여기서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벨 (E1) 로 아래로 운동 방향 (6") 을 의미하는 복귀 진행 중에, 이에 인접하는 리딩 트레드 (3') 및 트레일링 트레드 (3") 는 단지 트레일링 트레드 (3") 의 전방 단부 면 (31) 이 아래로부터 전향으로 진행하는 트레드 (3') 의 후방 에지 영역 (47) 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전방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고 이전에 추측되었다. 이러한 정렬에서, 도 3 에 도시된 화살표 (49) 를 사용하는 이론적인 종래의 접근 운동으로서, 전방 단부 면 (31) 을 경계짓는 트레일링 트레드 (3") 의 전방 에지 영역 (48) 은 처음에 그 후방 에지 영역 (47) 에서 리딩 트레드 (3') 의 트레드 표면 (23) 에 대해 거의 수평으로 및 그후 거의 수직으로 이동할 것이다.
특히 에스컬레이터 (1) 에서 안내 메카니즘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격을 발생시키고 트레드들 (3) 을 더이상 정확하게 안내할 수 없다면, 단부 면 (31) 에서 전방 상호 정합 구조들 (33) 은 리딩 트레드 (3') 의 후방 에지 영역 (47) 에서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에 더이상 정확하게 상보적으로 피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사이의 충돌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의 마모 및 찢어짐, 또는 최악의 경우에는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손상된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은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의 콤 플레이트들와 충돌하고 따라서 추가의 손상을 유발하고 가능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손상된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은 또한 승객들에 대한 위협, 예를 들면, 전도 위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복귀 진행 중에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으로부터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을 허용하는 것은 지금까지 회피되어 왔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 (1) 에 대해 증가된 공간 요구 조건 뿐만 아니라, 이는 또한 서로 관련하여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가디언스의 부재를 발생시킨다. 개별적인 트레드들 (3) 은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에서 맞물림에 의해 안내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가디언스 메카니즘들이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면, 체인 롤러들 (27) 또는 아이들러 롤러들 (29) 와 같은 안내 롤러들은 그들의 측방향 에지들을 따라 연결 피스들 또는 상승부들을 갖는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리딩된다. 그러나, 그러한 규제들은 안내된 롤러들 (27, 29) 에서 원치않는 마찰 손실들 및/또는 현저하게 증가된 마모 및 찢어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1) 에서 인접하는 트레드들 (3', 3") 이 서로 그들의 수렴 중에 변경된 접근 운동 (51) 으로 특별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특히 서로에 대해 틸팅되는 경우에,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의 본질적으로 위험성없는 정합 가능한 맞물림이 또한 복귀 진행시에 위치된 트레드들 (3) 에 대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인접하는 트레드들 (3', 3") 의 상응하는 상대적인 운동은 화살표 (51) 를 사용하여 도 4 에 도시된다. 트레일링 트레드 (3") 는 따라서 그것이 리딩 트레드 (3') 에 접근할 때 처음에 적당히 틸팅되어, 그 전방 에지 영역 (48) 은 수직으로 변위되고 더이상 리딩 트레드 (3') 에서 트레드 표면 (23) 아래에 위치되지 않고, 트레드 표면 (23) 의 후방 에지 영역 (47) 위에 그리고 리딩 트레드 (3') 의 라이저 (25) 위에 수평으로 위치된다. 단지 그러한 틸팅 후에 트레일링 트레드 (3") 및 리딩 트레드 (3') 는 그후 트레일링 트레드 (3") 의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가 리딩 트레드 (3') 의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에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때까지 본질적으로 수평의 방향으로 그들 사이의 갭 (s) 이 점진적으로 보다 작게 되는 방식으로 함께 이동된다. 본 문맥에서 "수평의" 는 폭넓게 해석되어야 하고 예를 들면 ±30° 의 허용 오차를 갖는 가이드 레일들 (57, 59) (도 5 및 도 6 을 참조) 의 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1) 의 인접하는 트레드 (3) 의 상응하는 상대적인 운동은 도 5 뿐만 아니라 도 6 의 (a) 내지 (d) 에 도시된다. 트레드들 (3) 의 운동들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이들 운동들의 이해와 관련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 (1) 의 체인 휠 (17) 과 같은 지지 구조 (53) 의 부가적인 구조들 또는 구성 요소들의 예시는 생략되었다.
도 5 뿐만 아니라 도 6 의 (a) 내지 (d) 는 따라서 시간 순서로 에스컬레이터 (1) 의 트랙의 상부 영역을 나타내지만, 트레드들 (3) 은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으로부터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으로 복귀 진행 시에 운동 방향 (6") 으로 안내된다. 잇달아 배열된 트레드들 (3) 은 따라서 문자들 A 내지 F 로 연속적으로 넘버링되고, 도 5 또는 도 6 의 (a) 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운동 방향 (6") 으로 다음의 도 6 의 (b) 내지 (d) 에서 더 멀리 좌측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도 6 의 (a) 는 따라서 도 5 에 상응하고, 명확성의 관점에서, 도 5 에 등록된 명칭들의 몇몇은 생략된다.
트레드들 (3) 의 각각은 따라서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를 사용하여 트레블 경로를 따라 그 운동으로 안내된다. 트레드 (3) 의 전방에 부착된 체인 롤러들 (27) 은 따라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을 따라서 각각 진행하는 한편, 트레드 (3) 의 후방에 부착된 아이들러 롤러들 (29) 은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를 따라 각각 안내된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하나의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따라서 트랙을 측방향으로 경계짓도록 배열되고 이는 트레드 (3) 의 측방향 에지들의 하나에 인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그들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지른다는 것을 의미하는 수직한 방향 (H) 으로 서로 분리된다.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및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의 확장된 부분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한다.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에서 두개의 가이드 레일들 (57, 59) 사이의 거리 (H1) 는 따라서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에서의 거리 (H2) 보다 현저하게 크고, 예를 들면 50%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2배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엇보다도,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에서 지지 구조 (53) 의 높이 (h) 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1) 보다 작을 수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1) 는 그 일반적으로 보다 작은 구성으로 인해 빌딩 내에 보다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고 또한 보다 작은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과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사이로 뻗고 이들 영역들 (13, 11) 을 연결하는 전이 영역 (61) 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현저하게 상이하게 만곡된 코스들을 갖는다.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이 균일한 곡률 반경 (R4) 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거의 전이 영역 (61) 의 중앙에서의 그 곡률이 최대 곡률 반경 (R4) 을 취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만곡되는 한편,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은 세개의 상이한 곡률들 (R1, R2 및 R3) 을 갖는 상이한 부분적인 영역들을 갖는다.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에서 전이 영역 (61) 을 경계짓는 경계부에 가까운 제 1 만곡된 영역 (KR1) 은 이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의 연관된 영역에서 곡률 (R4) 보다 더 예리한 제 1 곡률 (R1) 을 여기에서 갖는다. 경계부에 가까운 이러한 제 1 만곡된 영역 (KR1) 은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 구조 (53) 를 형성하는 뼈대의 수평의 부분이 경사지게 진행하는 이러한 뼈대의 일부로 전이되는 예리한 굽힘부 (K) 에 걸친다.
전이 영역 (61) 이 경사지게 진행하는 중앙 영역 (11) 에 맞닿는 경계부에 가까운 대향하는 제 2 만곡된 영역 (KR2) 은 또한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의 연관된 영역에서의 곡률 (R4) 보다 예리할 수 있는 제 2 곡률 (R2) 을 가질 수 있지만, 이는 적어도 사이에 개재된 곡률 영역 (KZ) 에서의 곡률 (R3) 보다 더 크다.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 (KZ) 에서, 곡률은 경계부에 가까운 두개의 인접하는 만곡된 영역들 (KR1 및 KR2) 에서보다 실질적으로 더 완만하고 특히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의 곡률 (R4) 보다 더 완만하다. 특히,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 (KZ) 은 곡률을 갖지 않거나 또는 무한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률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거의 플랫형일 수 있다.
도 6 의 (a) 내지 (d) 에 예시된 운동 순서에서, 복귀 진행에서 트레드들 (3) 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된다. 트레드들 (3) 의 각각에 대해, 나타낸 트레드 (3) 가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의 가디언스로 인해, 운동 순서의 상응하는 스테이지에서 틸팅되는, 화살표에 의해 상이한 도면으로 마킹된 틸팅 운동이 존재한다.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으로부터 나오고 전이 영역 (61) 내로 트레블링하는 표시 C 를 갖는 트레드와 같은 하나의 트레드 (3) 는, 경계부에 가까운 만곡된 영역 (KR1) 에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과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사이의 거리가 최초로 증가되기 때문에 처음에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거리는 그후 트레드 (3) 가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 (KZ) 을 통해 진행한다면 추가의 트레블에서 다시 감소된다. 트레드 (3) 는 그후 이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틸팅된다. 동시에 트레드 (3) 는 그것이 리딩 트레드 (3) 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에 의해 안내된다. 하나의 트레드 (3) 의 전방 단부 면 (31) 과 인접하는 트레드 (3) 의 라이저 (25) 사이의 갭 (s) 은 연속적으로 보다 작게 되어 전방 에지 면 (31) 의 상호 정합 구조 (33) 는 수평의 방향으로 라이저 (25) 에서 상호 정합 구조 (41) 에 접근하고 마지막에 그것에 정합 가능하게 맞물린다.
전이 영역 (61) 을 통한 통과 중에,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은 따라서 한편으로, 그것들이 특히 그 예리한 굽힘부 (K) 의 영역에서 지지 구조 (53) 와 충돌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그리고 지지 구조 (53) 에 대해 안내되고 틸팅된다. 다른 한편으로, 트레드들 (3) 은 트레일링 트레드의 단부 면 (31) 이 아래로부터가 아니라 뒤로부터 인접하는 트레드, 특히 그 라이저 (25) 에 보다 가까워지게 이동되는 방식으로, 본질적으로 수평의 방향으로 서로 보다 가깝게 이동된다.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의 이러한 본질적으로 수평의 수렴을 통해, 한편으로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함께 이동되고, 따라서 이들이 필수적이라면 서로 자체적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유지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아래로부터 트레드 표면 (23) 과 맞닿는 것이 아니라, 라이저 (25) 을 향해 뒤로부터 수평으로 인접하는 트레드 (3) 와 맞닿게 이동되는 그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를 갖는 트레일링 트레드 (3) 로 인해,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이 처음에 함께 정확하게 피팅되도록 정렬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롤러들 (27, 29) 및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55) 에서 과도한 힘의 작용 및, 최악의 경우에 그들에 대한 손상은 회피될 수 있다.
정합 가능한 맞물림을 지지하기 위해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의 인접하는 리브들 (35, 43)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 (37, 45) 은 바람직하게 원뿔형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은 단부 면 (31) 및 라이저 (39) 의 후향으로-향하는 영역에서 그루브들 (37, 45) 의 그루브 폭이 보다 더 커지고 리브들 (35, 43) 의 리브 폭이 상응하게 보다 협소해지기 때문에 현저하게 보다 용이하게 행해진다. 기껏해야 정합 가능한 맞물림 중에 발생하는 측방향 힘들로 인해 서로 정렬되는 두개의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리브들 (35, 43) 의 측방향 플랭크들의 접촉이 발생된다.
리브들 (35, 43) 및 그루브들 (37, 45) 의 원뿔형 횡단면은 0.5° 내지 10°, 바람직하게 1°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 3° 의 플랭크 각도 (α, β) 를 갖는다. 물론, 두개의 플랭크 각도들 (α, β) 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예시를 통해 설명되지만, 수많은 부가적인 실시형태의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5 의 (a) 내지 (d) 에 도시된 운동 순서는 특히 그러한 목적을 위해 구성되고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의 형상에 매칭되는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의 형상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로부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대신에,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이 세개의 상이한 만곡된 영역들 (KR1, KR2, KZ) 을 갖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명백히,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뿐만 아니라 트랙션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따라서 적어도 또한 경사지게 진행하는 복귀 진행의 중앙 영역 (11) 에서 가이드-레일 시스템 (55) 의 제안된 특별한 구성을 통해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방식으로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의 정렬을 달성하도록 세개의 상이한 만곡된 영역들 (KR1, KR2, KZ) 을 구비한 구성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하지 않고, 단수형의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실시형태들의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또한 상기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들에서 도면 부호는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1)

  1. 에스컬레이터 (1) 로서:
    트랙을 따라 잇달아 배열된 복수의 트레드들 (3) 로서, 상기 복수의 트레드들 (3) 의 각각은 트레드 표면 (23) 및 상기 트레드 표면 (23) 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트레드 표면 (23) 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라이저 (25) 를 갖는, 상기 복수의 트레드들 (3);
    상기 트랙의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을 향해 경사져 진행하는 상기 트랙의 중앙 영역 (11) 를 거쳐 상기 트랙의 하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9) 의 전향으로의 진행 중에 그리고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귀 진행 중에 상기 트레드들 (3) 의 체인 롤러들 (27) 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상기 트레드들 (3) 의 아이들러 롤러들 (29) 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을 갖는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 (55) 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레드 (3) 는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및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를 갖고, 상기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및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는 서로를 향해 배향된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의 상호 정합 구조들 (33, 41) 이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과 경사지게 진행하는 상기 중앙 영역 (11) 사이에 전이 영역 (61) 이 존재하고, 상기 복귀 진행의 상기 전이 영역 (61)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또는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예리한 곡률 (R1, R2) 을 갖는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및 상기 중앙 영역들 (11) 의 에지들에 가까운 두개의 만곡된 영역들 (KR1, KR2) 및 보다 완만한 곡률 (R3) 을 갖는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 (KZ)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레드 (3) 는 그 전방 단부의 근처에서 상기 트레드 표면 (23) 으로부터 직각으로 제 1 거리로 이격된 체인 롤러 (27) 를 갖고, 그 후방 단부의 근처에서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로 상기 트레드 표면 (23) 으로부터 직각으로 이격된 아이들러 롤러 (29)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경사지게 진행하는 상기 트랙의 중간 영역 (11) 에서보다 서로 더 멀리 이격되고;
    상기 트랙의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과 경사지게 진행하는 상기 트랙의 상기 중앙 영역 (11) 사이의 상기 전이 영역 (61)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곡률들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 (55) 를 따라 안내되는 인접하는 트레드들 (3) 은, 양쪽 트레드들 (3) 이 상기 트랙의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을 따라 이동되는 한, 트레드 (3) 의 상기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가 상기 인접하는 트레드 (3) 의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로부터 갭 (s) 을 갖고 이격되는 방식으로 안내되고,
    상기 트레드 (3) 의 상기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는, 상기 두개의 트레드들 (3) 이 경사지게 진행하는 상기 트랙의 상기 중앙 영역 (11) 에서 상기 전이 영역 (61) 을 따라 잇달아 이동된다면, 상기 수평의 방향으로 상기 전방 상호 정합 구조와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사이의 상기 갭 (s) 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라이저 (25) 의 영역 (39) 에서 상기 인접하는 트레드 (3) 의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에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에스컬레이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 (61)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곡률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으로부터 나오는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과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사이의 거리는 처음에 증가되고 그후 경사지게 진행하는 상기 중앙 영역 (11) 을 향해 추가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에스컬레이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만곡된 영역들 (KR1, KR2)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은 상응하는 영역들에서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보다 상기 에지에 더 가까운 보다 예리한 곡률 (R1, R2) 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 (KZ)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은 상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보다 더 작은 곡률 (R3) 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에 개재된 만곡된 영역 (KZ)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은 동일한 높이인, 에스컬레이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 (61) 에서 상기 체인 롤러 가이드 레일 (57) 및 상기 아이들러 롤러 가이드 레일 (59) 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곡률들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트레드 (3) 는 상기 상부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영역 (13) 으로부터 나오는 상기 전이 영역 (61) 을 가로지르면서, 첫번째로 상기 인접하는 트레드 (3) 의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로부터 떨어져 틸팅된 그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와 떨어져 이동되고, 그후 그와 반대로 상기 인접하는 트레드 (3) 의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을 향해 틸팅되는, 에스컬레이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는 인접하는 리브들 (35)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 (37) 을 통해 상기 트레드 표면 (23) 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트레드 (3) 의 전향으로의 지향된 단부 면 (31) 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는 인접하는 리브들 (43)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 (45) 을 통해 라이저 (25) 의 후향으로 지향된 영역 (39) 에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호 정합 구조 (33) 및 상기 후방 상호 정합 구조 (41) 의 상기 인접하는 리브들 (35, 43) 및 사이에 개재된 그루브들 (37, 45) 은 정합하는 맞물림부를 지지하도록 원뿔형 횡단면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리브들 (35, 43) 및 그루브들 (37, 45) 의 상기 원뿔형 횡단면들은 0.5° 내지 10°의 플랭크 각도 (α, β)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KR1020197012252A 2016-10-31 2017-10-20 복귀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KR102399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6543 2016-10-31
EP16196543.9 2016-10-31
PCT/EP2017/076803 WO2018077730A1 (de) 2016-10-31 2017-10-20 Fahrtreppe mit im rücklauf ineinander kämmend eingreifenden trittstu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929A KR20190070929A (ko) 2019-06-21
KR102399371B1 true KR102399371B1 (ko) 2022-05-17

Family

ID=5721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252A KR102399371B1 (ko) 2016-10-31 2017-10-20 복귀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800639B2 (ko)
EP (1) EP3532422B1 (ko)
KR (1) KR102399371B1 (ko)
CN (1) CN109890743B (ko)
AU (1) AU2017349993B2 (ko)
BR (1) BR112019006672A2 (ko)
CL (1) CL2019000937A1 (ko)
ES (1) ES2843899T3 (ko)
MX (1) MX2019005023A (ko)
PL (1) PL3532422T3 (ko)
RU (1) RU2753089C2 (ko)
SG (1) SG11201902746PA (ko)
TW (1) TWI802549B (ko)
WO (1) WO20180777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111975A1 (ru) * 1983-06-09 1984-09-07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Эскалаторостроения Эскалатор
JP3790788B2 (ja) * 1999-05-21 2006-06-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JP4739477B2 (ja) * 1999-09-07 2011-08-03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スカレータステップ
US6450317B1 (en) * 2000-09-26 2002-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drive machine
EP1502892A1 (de) * 2003-07-31 2005-02-02 Inventio Ag Antriebseinrichtung für Fahrtreppenstufe
US7381006B2 (en) 2005-01-07 2008-06-03 Inventio Ag Device for fastening components
ES2574954T3 (es) * 2006-12-21 2016-06-23 Inventio Ag Dispositivo de traslación con guía de escalones simplificada
CN101948074A (zh) * 2010-10-08 2011-01-19 苏州帝奥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梯级的设置结构
WO2011138844A1 (ja) * 2010-12-21 2011-11-10 Teramoto Katsuya 加減速装置とこれを備えた加減速エスカレータ
RU119339U1 (ru) * 2012-05-18 2012-08-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скомстроймонтаж-сервис" (ЗАО "Эс-сервис") Настил ступени эскалатора
TWI612241B (zh) * 2012-12-07 2018-01-21 伊文修股份有限公司 具有梯級帶之升降梯及具有板帶之移動步道
CN105916796B (zh) * 2014-01-28 2017-10-20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移动步道的托板或者用于自动扶梯的梯级
JP5814454B1 (ja) * 2014-11-14 2015-11-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
WO2016177414A1 (en) * 2015-05-06 2016-11-10 Otis Elevator Company Tread element for people conveyor comprising a cantilever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23138A (zh) 2018-07-01
ES2843899T3 (es) 2021-07-20
MX2019005023A (es) 2019-06-20
CN109890743A (zh) 2019-06-14
SG11201902746PA (en) 2019-05-30
KR20190070929A (ko) 2019-06-21
US20190263633A1 (en) 2019-08-29
EP3532422A1 (de) 2019-09-04
RU2753089C2 (ru) 2021-08-11
CN109890743B (zh) 2020-05-12
CL2019000937A1 (es) 2019-07-26
EP3532422B1 (de) 2020-12-09
AU2017349993A1 (en) 2019-05-02
RU2019113337A (ru) 2020-10-30
US10800639B2 (en) 2020-10-13
BR112019006672A2 (pt) 2019-06-25
TWI802549B (zh) 2023-05-21
AU2017349993B2 (en) 2020-09-10
PL3532422T3 (pl) 2021-05-04
RU2019113337A3 (ko) 2020-12-21
WO2018077730A1 (de)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614B2 (en)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US4064986A (en) Escalator having guide wheels and guide track with cooperative non-flat surfaces
US9227818B2 (en)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US10214389B2 (en) Drive chain and drive chain mechanism and conveyor comprising such a drive chain mechanism
EP3292068B1 (en) Tread element for people conveyor comprising a cantilever arm
KR102399371B1 (ko) 복귀 진행에서 서로 정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트레드들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EP0424209A2 (en) Escalator with verical planar step risers and constant horizontal velocity
US10647549B2 (en) Chain drive for a people conveyor
US8622193B2 (en) Bidirectional moving walkway
US7124875B2 (en) Escalator with high speed inclined section
US1288196A (en) Conveyer.
CN110603221B (zh) 自动扶梯
US617789A (en) Elevator
EP3617126A1 (en) Endless chain for a handrail of a moving walk, handrail and moving walk
TH1901002585A (th) บันไดเลื่อนที่มีขั้นบันไดที่เกี่ยวประสานระหว่างกันในการวิ่งกลับมา
SU967899A1 (ru) Приводна станци конвейерного поезда
KR20120084016A (ko) 에스컬레이터
JPH115680A (ja) 可変速型乗客コンベヤ
WO2009011698A1 (en) Drive belt configuration for passenger convey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