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016A -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4016A KR20120084016A KR1020110005296A KR20110005296A KR20120084016A KR 20120084016 A KR20120084016 A KR 20120084016A KR 1020110005296 A KR1020110005296 A KR 1020110005296A KR 20110005296 A KR20110005296 A KR 20110005296A KR 20120084016 A KR20120084016 A KR 201200840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bar
- main
- rail
- main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0—Carryin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18—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carrying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계단 답면과 경사면이 각각 복수의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의 조합에 의해 계단형태가 형성되거나 해제되어 운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메인바와 보조바는 각각의 체인루프와 루프에 의해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결합되어 구동이 통제되는 레일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구동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가 계단형태로 형성되거나 해제되는 것은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가 각각의 메인레일과 보조레일로 분리되어 일정거리가 유지되어 구동될 때 계단형태가 형성되고,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가 공동레일에 합류되어 구동될 때 계단형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계단은 컨베이어벨트가 복수의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에 의해 계단형태가 형성되거나 해제되어 운행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벨트, 메인바, 보조메인바, 보조바, 메인레일, 보조레일, 텐션바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승객용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가 복수의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의 주행궤적에 의해 계단형태가 형성되거나 해제되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특허 제10-0827049호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Escalator with Step Flange)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는 제1 패널 부재는 계단의 답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배치되는 패널의 에지를 따르는 아치형 경계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1 패널 부재는 롤러 아암의 단부에서 롤러를 지지한다. 롤러는 에스컬레이터 트러스 구조체의 부분인 트랙을 따라 이동 한다. 롤러 아암은 제1 패널 부재에 단단히 고정된다.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장점은, 롤러가 종래에 행해지던 바와 같이 계단의 하부 측에 배치되기 보다는 계단의 외부 측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보다 콤팩트한 계단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며, 대응 에스컬레이터 트러스 트랙의 배치에 있어서의 보다 많은 다양성을 제공한다.
롤러 위치의 다양성은, 종래 행해졌던 바와 같은 다수의 가동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계단의 에지를 덮는데 효과적인 독창적인 계단 플랜지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신규한 특징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구동 벨트 또는 구동 체인에 계단 체인을 결합하는 종래의 방식은 계단의 후방 단부를 구동 체인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후방 단부보다는 각각의 계단의 전방 단부를 구동 체인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방 단부를 구동 체인에 부착한 상태로, 계단 체인이 에스컬레이터 루프를 운행할 때 계단의 답면이 계단 체인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계단 답면과 구동 체인 사이의 최대 높이차는 루프의 경사부 사이에 있다. 최소 높이차는 전이 구역과 편평부에서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킬 경우, 계단 부재의 인출과 인입 시 일정 궤도로 활주되도록 계단의 단면과 경사면에 형성된 요홈에 이물질이 끼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어 우수하다 할 수 없다.
또한, 구조 특성상 계단의 소재를 일반적으로 철재를 사용함으로 중량이 무거워 경제성이 우수하다 할 수 없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성과 내구성이 낮고 유지관리가 어려워 효율성이 우수하다할 수 없다.
에스컬레이터 이용자의 오염된 신발이나 그 밖의 이물질로 인한 잦은 고장을 줄일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고, 계단 소재의 중량이 보다 가벼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절감 및 유지관리비 절감과 사용할 때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 비해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의 중량이 비교적 가벼운 연질의 소재로 제조된 컨베이어벨트가 복수의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가 결합되어 각각의 레일에 주행궤적으로 순환되어 시퀀스 됨에 따라 계단형태가 형성되거나 해제되어 주행궤적으로 순환되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메인바 및 메인보조바와 보조바가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컨베이어벨트가 계단형태로 형성되거나 해제되어 가역적으로 구동됨으로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계단 부재가 활주되어 인입되고 인출되는 방식에 비해 비교적 고장 요인이 적어 유지 관리비가 절감될 수 있고, 종래에는 구조특성상 철재를 주로 사용하는데 비해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에너지가 절감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1은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3은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모습으로, 보조바(64)가 보조레일(60)에 위치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4는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모습으로, 보조바(63)가 공동레일(70)에 위치되어 계단형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5는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6은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모습으로, 일 측의 메인바(53)와 메인보조바(54)는 메인레일(50)에 위치되어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이 강제되어 구동되고 일 측의 메인바(55)와 보조메인바(56)는 공동레일(70)에 위치되어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이 해제되어 구동되고, 일 측의 보조바(61)는 보조레일(60)에 위치되어 계단 형태가 형성되어 구동되고, 일 측의 보조바(63)는 공동레일(70)에 위치되어 계단 형태가 해제되어 구동되는 모습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7은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모습으로, 보조바(65)가 분리부(71)에 위치되고, 메인바(57)와 보조메인바(58)가 메인레일(50)에 위치되어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이 강제되어 계단 형태가 형성되기 직전 상태의 모습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41)와 계단(42)과 메인바(51, 53, 55, 57)와 메인보조바(54, 56, 58) 및 보조바(61, 63, 64, 65)와 메인레일(50)과 보조레일(60) 및 공동레일(70)과 분리부(71)와 합류부(72)와 텐션롤러(81)와 텐션바(82, 83)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2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메인바(51) 와 보조바 (61)가 각각의 체인루프(도시않음)와 루프(도시않음)와 결합되어 프레임(도시않음)에 고정된 레일(50, 60, 70) 내에서 일정거리가 유지되어 메인레일(50)과 보조레일(60)과 공동레일(70) 내에서 구동이 통제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시퀀스 되어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구동되는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로, 복수의 메인바(51)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체인루프와 결합되어 보조메인바(도시않음)와 각각 결합되고, 보조바(61)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루프(도시않음)와 결합되고 구동수단(도시않음)이 구비되어,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는 메인레일(50)과 공동레일(70)을 주행궤적으로 순환되고, 보조바는 보조레일(60)과 공동레일(70)을 주행궤적으로 순환되도록 구비되어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가 컨베이어벨트(41)와 결합되어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가역적으로 순환되어 컨베이어벨트(41)가 분리부(71)에서 계단형태로 형성되고 합류부(72)에서 계단형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3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메인바(51) 및 보조메인바(54)와 보조바(61, 64)가 각각의 체인루프(도시않음) 및 루프(도시않음)와 결합되어 프레임(도시않음)에 고정된 레일(50, 60, 70) 내에서 일정거리가 유지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구동이 통제되어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가역적으로 구동되는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로, 각각 주행궤적의 순환구동에 의해 계단이 상승되어 일 측의 승하차발판(43)이 분리부(71)에서 메인바(51)와 보조바(64)가 분리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4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메인바(51)와 보조바 (61, 63)가 각각의 체인루프(도시않음) 및 루프(도시않음)와 결합되어 프레임(도시않음)에 고정된 레일(50, 60, 70) 내에서 일정거리가 유지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구동이 통제되어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가역적으로 시퀀스 되는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로, 주행궤적의 순환구동에 의해 계단이 상승되어 일 측의 승하차발판(44)이 합류부(72)에서 메인바(51)와 보조바(61)가 합류되어 계단형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5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구성 부품의 모습을 보인 평단면도로, 계단(42)과 메인바(51) 및 보조바(61)와 메인바와 보조바의 시퀀스 밸런스가 적절히 조절되는 복수의 체인루프조절부(22)와 계단(42)의 기울기 밸런스가 적절히 조절되는 메인바(51)와 보조바(61)의 거리조절용 복수의 루프조절부(32)와 컨베이어벨트의 두께에 따라 메인바(51, 53, 55, 57)와 보조메인바(54, 56, 58)의 축거리 조절용 복수의 축거리조절부(52, 6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6은 도시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상단부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으로, 메인바(53, 55)가 동력 전달 수단을 갖는 체인루프(도시않음)에 의해 일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고정 결합되어 각각의 보조메인바(54, 56)와 결합되고, 보조바(61, 63)는 동력 전달 수단을 갖는 루프(도시않음)에 의해 일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고정 결합되어 구비되고, 컨베이어벨트의 두께에 따라 메인바(53, 55)와 보조메인바(54, 56)의 축간거리 조절과 적절한 텐션이 유지되는 축텐션 조절수단(도시않음)이 구비되어 메인레일(50) 내에서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이 통제되도록 메인바(53)와 보조메인바(54)에 의해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되고 밀착되어 메인레일(50) 내에서 주행궤적으로 구동되고, 합류부(72)에서 합류되어 공동레일(70) 내에서 메인바(55)와 보조메인바(56)의 밀착이 해제되어 컨베이어벨트(41)와 바(55, 56)가 구동되도록 구비되어 주행궤적으로 구동되고, 보조바(61)가 보조레일(60)에서 주행궤적으로 구동되어 합류부(72)에서 합류되어 공동레일(70)에 위치된 보조바(63)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계단형태가 해제된 상태의 모습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의 일 실시예로, 메인바(55) 및 보조메인바(56)와 한 조로 조합되는 보조바(63)가 시퀀스 되어 공동레일(70)에 위치되어 계단형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하단부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으로, 컨베이어벨트의 두께에 따라 메인바(53)와 보조메인바(54)의 축간거리 조절과 적절한 텐션이 유지되는 축텐션 조절수단(도시않음)이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풀림이 통제도록 구비되어 메인바(53)와 보조베인바(54)에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되어 공동레일(70)내에서 바(53, 54)간에 밀착이 해제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 통제가 해제되어 주행궤적으로 구동되어 메인레일(50)에 위치되어 바(57, 58)간에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이 강제되고, 이때 보조바(64)는 공동레일(70)에서 주행궤적으로 구동되어 보조레일(60)에 위치되고 컨베이어벨트(41)가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모습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의 일 실시예로, 메인바(57) 및 보조메인바(58)와 보조바(64)가 한 조로 구동되도록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41)와 결합되어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도록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는 구동모터(10) 및 구동축(11)과 스프로킷(13, 14)의 구동에 의해 동력전달 수단을 갖는 체인루프(21) 및 루프(31)와 메인바(51, 53, 55, 57)와 보조메인바(54, 56, 58) 및 보조바(61, 63, 64, 65)와 컨베이어벨트(41)가 레일(50, 60, 70) 내에서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가역적으로 순환되어 구동되고, 이때 분리부(71)에서 메인바(51, 53, 55, 57) 및 보조메인바(54, 56, 58)와 보조바(61, 63, 64, 65)가 분리되어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되고, 합류부(72)에서 메인바(51, 53, 55, 57)와 보조메인바(54, 56, 58) 및 보조바(61, 63, 64)가 합류되어 주행궤적으로 시퀀스 되어 계단형태가 해제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역주행으로 구동될 때는 합류부(72)에서 분리되고 분리부(71)에서 합류되어 역주행 실시가 가능케 되고 분리부(71)와 합류부(72)에 별도의 분리 및 합류 유도수단(도시않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삭제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활주방식 인?출입 계단에 비해 이물질로 인한 고장 빈도가 낮은 고효율의 에스컬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재의 중량 감소로 인한 에너지절감 효과가 우수한 에스컬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루프(21) 및 루프(31)의 구성은 각각의 메인바(51, 53, 55, 57) 및 보조바(61, 63, 64)의 축간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축간거리 조절이 용이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타이밍벨트 및 치형기어로 변형되어 축간 거리가 고정되어 활용될 수도 있고, 거리 조절이 삭제되거나 변형되어 일정거리가 유지되거나, 또한 각각 다른 축간거리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41)의 적절한 텐션이 유지되도록 텐션롤러(81)와 텐션바(82, 83)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삭제되어 고정된 텐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41)의 풀림이 통제도록 각각의 메인바(51, 53, 55, 57)와 각각의 보조메인바(54, 56, 58)에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되어 공동레일(70)내에서 풀림이 해제되고 메인레일(50) 내에서 풀림이 강제되는 것은 레일(50, 70)의 크기에 따라 메인바(51, 53, 55, 57)와 보조메인바(54, 56, 58)의 유격에 의해 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또 다른 별도의 풀림 강제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은 구동모터(10)와 구동축(11) 및 스프로킷(13, 14)과 동력전달 수단을 갖는 체인루프(21) 및 루프(31)로 구성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컨베이어벨트(41)에 치형기어가 형성되거나 타이밍벨트가 활용되거나 별도의 동력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메인바가 메인레일에 인입되고 보조바가 보조레일에 인입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메인바와 보조바가 공동레일에 인입되어 계단형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일부구성부품을 결합하여 일 측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가 공동레일에 위치되어 계단형태가 해제되고, 일 측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는 메인레일에 위치되고 보조바는 보조레일에 위치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된 모습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가 구비되어 일 측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메인레일에 위치되고 보조바는 보조레일에 위치되어 계단형태가 형성된 모습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이고,
도8은 종래기술의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Claims (3)
-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각각 복수의 메인바 및 보조바가 구비되고 각각의 동력 전달 수단을 갖는 체인루프 및 루프가 구비되어 일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결합 되는 바 및 루프와;복수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구비되어 바의 거리가 밀착되거나 유격이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이 통제되도록 구비되는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가 메인레일과 보조레일 및 공동레일 내에서 구동이 통제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구동되도록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구비되는 메인레일과 보조레일 및 공동레일과;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메인레일과 공동레일에 주행궤적으로 순환되고, 보조바가 보조레일과 공동레일에 주행궤적으로 순환되도록 구비되어 메인바 및 보조메인바와 보조바가 시퀀스 되어 분리되고 합류되는 분리부 및 합류부와;복수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구비되어 각각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바조절부와;복수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구비되어 각각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된 바와 바의 거리가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가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풀림이 통제되는 메인레일과;복수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구비되어 각각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된 바와 바 간의 유격이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가 풀려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공동레일과;컨베이어벨트와 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의 텐션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텐션바 및 텐션롤러와 텐션조절부와 동력전달 수단을 갖는 구동모터가 전원이 통전되어 구비되고 구성되어 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가 컨베이어벨트와 결합되어 메인레일과 보조레일 및 공동레일 내에서 구동이 통제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시퀀스 되어 각각의 주행궤적으로 순환되어 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가 분리부에서 분리됨에 따라 계단형태가 형성되고, 메인바와 보조메인바 및 보조바가 합류부에서 합류됨에 따라 계단형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컨베이어벨트의 풀림이 통제되는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복수의 메인바와 보조메인바가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가 비꼬아져 고리형상으로 결합되어 풀림이 통제되도록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296A KR20120084016A (ko) | 2011-01-19 | 2011-01-19 | 에스컬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296A KR20120084016A (ko) | 2011-01-19 | 2011-01-19 | 에스컬레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016A true KR20120084016A (ko) | 2012-07-27 |
Family
ID=4671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5296A KR20120084016A (ko) | 2011-01-19 | 2011-01-19 | 에스컬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8401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6828B1 (ko) | 2020-09-03 | 2021-10-22 | 김창환 | 핸드 레일 살균 장치 |
-
2011
- 2011-01-19 KR KR1020110005296A patent/KR201200840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6828B1 (ko) | 2020-09-03 | 2021-10-22 | 김창환 | 핸드 레일 살균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76597B2 (en) | Truss construction for a passenger conveyor | |
US6450317B1 (en) | Escalator drive machine | |
KR101439383B1 (ko) |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 |
RU2191153C2 (ru) | Транспортер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людей | |
AU2001292771A1 (en) | Escalator drive machine with drive belts for simultaneously propelling handrail and conveyor surface | |
US8636134B2 (en) | Moving skirt mechanism for chain driven passenger conveyors | |
KR20120084016A (ko) | 에스컬레이터 | |
AU2004203530A1 (en) | Drive equipment for escalator step or moving walkway plate | |
CN102701061A (zh) | 一种与扶梯同步运行的行李运输装置 | |
JP5937240B1 (ja) | 乗客コンベア | |
KR20170137805A (ko) |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 |
US8757350B2 (en) | Adjustable bracket for step flange cover | |
AU2004203529A1 (en) | Drive equipment for escalator step or moving walkway plate | |
CN100560465C (zh) | 乘客传送装置 | |
JP6139753B1 (ja) | 乗客コンベア | |
JP5050535B2 (ja) | マンコンベア | |
TWI802549B (zh) | 具有可在返回行程中彼此相互嚙合之踏板的自動扶梯 | |
JP2009190897A (ja) |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 |
CN211310521U (zh) | 乘客输送机 | |
JP6781240B2 (ja) | 手摺り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 |
WO2011113487A1 (en) | Passenger conveyor | |
JP6096870B1 (ja) | 乗客コンベア | |
JP4325322B2 (ja) | 乗客コンベア | |
JP6266698B2 (ja) |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の組み立て方法 | |
JP2009269755A (ja) |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