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181B1 -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181B1
KR102399181B1 KR1020210062056A KR20210062056A KR102399181B1 KR 102399181 B1 KR102399181 B1 KR 102399181B1 KR 1020210062056 A KR1020210062056 A KR 1020210062056A KR 20210062056 A KR20210062056 A KR 20210062056A KR 102399181 B1 KR102399181 B1 KR 10239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ece
wheel guard
unit
welding machin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근
유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Priority to KR102021006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2승강블록이 상승, 복귀하도록 조작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순서에 대한 순번이 바뀌는 작업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하여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의 품질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취출이 간편하도록 하여 취출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휠 가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Wheel guard weld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2승강블록이 상승, 복귀하도록 조작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순서에 대한 순번이 바뀌는 작업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하여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의 품질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취출이 간편하도록 하여 취출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휠 가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 중 외부 소음이 차량 내부로 유입된다.
다시 말해서, 자동차가 주행하면, 차체 및 타이어 주위에서 공기가 유동하고, 타이어 주위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난류 및 와류에 의하여 상당한 크기의 주행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타이어에 묻은 흙, 빗물 등의 이물질이 바디 패널이나 바디 하부로 유입되어 바디가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이 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 둘레의 바디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휠 가드(Wheel guard)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휠 가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제작되고 있으며, 예컨대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74751호 2013.06.07. 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휠 가드로서, “차량용 휠 가드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차량용 휠가드 조립체”는 두 개의 조립편이 상호 조립을 통해 연결되는 휠 가드로서, 일측단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조립편; 및 상기 제1 조립편에 결합되는 일측단에 상기 결합공에 조립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 조립편;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1 조립편과 상기 제2 조립편을 가조립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임시로 끼워지는 도입공부; 및 상기 도입공부와 함께 상기 결합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고정공부;로 구성되어, 별도의 지그를 통해 제1 및 제2 조립편을 고정하지 않고도 두 조립편의 결합 위치를 가조립 상태에서 정확하게 맞춘 다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휠 가드는 두 개의 조립편으로서, 제1 및 제2 조립편이 결합공과 결합돌기의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두 개의 조립편에 대한 연결부분이 쉽게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두 개의 조립편에 대한 연결부분이 리베팅 구조를 통해 연결되는 차량용 휠 가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휠 가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아치부를 덮는 전방 조립편(110)과 후방 조립편(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방 및 후방 조립편(110,120)은 조립연결을 위해 서로 인접하여 중첩되는 끝 부분을 리벳(121)에 의해 연결시킨다.
다시 말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110,120)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겹쳐 놓고, 직각 방향으로 리벳공을 천공한 다음, 리벳공을 통해 리벳(121)을 리베팅함으로써 조립연결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리벳팅에 의해 전방 및 후방 조립편(110,120)을 조립 연결하는 경우, 조립 연결을 위해 일정간격을 가지고 리베팅되는 것으로서, 연결부분 전체에 대해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결상태가 불안정함과 동시에 견고한 연결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차량용 휠 가드는 반자동 설비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통해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마주하여 중첩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을 통해 중첩되는 연결부분 전체 면적에 걸쳐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차량용 휠 가드를 초음파 융착을 통해 조립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는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을 일정길이 중첩되게 고정지그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상호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의 차량용 휠 가드 초음파 융착기는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시 전방 조립편이 1차로 안착되고 후방 조립편이 2차로 안착되어야 하나 작업자의 작업 오류로 인해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의 안착 순서가 바뀐 채 조립연결되는 오조립연결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불량품의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을 일정길이 중첩되게 고정지그에 순차적으로 안착시켜 융착을 통해 조립연결한 후에, 휠 가드를 고정지그 상면에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중첩된 상태로 고정토록 돌출된 정렬고정핀으로부터 취출시 융착처리된 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고정지그로부터 휠 가드를 뜯어 취출시킬 때 휠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품질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고정지그로부터 뜯어 취출시켜야 하므로 작업성 저하 및 작업시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생산성을 현격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순서에 대한 순번이 바뀌는 작업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하여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의 품질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취출이 간편하도록 하여 취출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휠 가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74751호 2013.06.0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0553호 2009.01.2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40233호 2020.07.27.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2승강블록이 상승, 복귀하도록 조작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순서에 대한 순번이 바뀌는 작업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이 적용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의 품질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되면서 취출이 간편하도록 하여 완성된 휠 가드의 취출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휠 가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는 반구 형상을 이루도록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이 각각의 정렬고정공이 연통토록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안착고정한 후 초음파 융착을 통해 조립연결하면서 휠 가드를 완성하여 취출시키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에 있어서, 하부에 캐비닛이 구비되고, 캐비닛 상단 중앙에 전방 측으로 돌출설치대가 구비되는 본체; 상면에 전방 조립편 또는 후방 조립편이 안착되는 다수의 블록 구조가 적용되어 본체의 돌출설치대 상에 설치되며, 휠 가드를 구성하는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이 일정길이 중첩되게 순차적으로 안착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초음파 융착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를 상승시켜 취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지그유닛; 한 쌍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고정지그유닛의 상단 후방 측에 일단이 회동가능케 고정되되 타단 측이 일정각도 회전, 복귀 가능토록 설치되며, 각각의 바 형상에 대한 회전방향의 면에 복수 개로 밀착블록이 돌출형성되어, 고정지그유닛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에 대하여 융착을 위해 마주하여 일정길이 중첩된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면을 각각 복수의 밀착블록이 클램핑 고정하는 고정클램프; 고정지그유닛의 수직방향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의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되도록 하는 수직융착유닛; 고정지그유닛의 후방 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되도록 하는 경사융착유닛; 및 본체의 캐비닛 상부 일 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고정지그유닛과, 수직융착유닛과, 경사융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유닛은 본체의 돌출설치대 상부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지그설치대와, 지그설치대의 상면 중앙에 일정 폭을 가지고 상향 돌출되게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면 폭 방향 중앙에 전방으로부터 후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정렬고정핀이 돌출 형성되며,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이 각각의 정렬고정공이 연통토록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안착고정되도록 하는 중앙고정지그와, 중앙고정지그의 일 측에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어 상면이 중앙고정지그와 동일선상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완성된 휠 가드의 취출을 위해 상향 일정거리 상승한 후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제1승강블록과, 중앙고정지그의 일 측에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어 상면이 중앙고정지그와 동일선상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방 조립편이 안착되기 이전에 상승한 후 전방 조립편이 안착된 후 하강하도록 작동되거나 또는,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이 안착되고 초음파 융착된 후 완성된 휠 가드의 취출을 위해 상향 일정거리 상승한 후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제2승강블록과, 제1승강블록의 중앙고정지그 반대 측에 대한 일정거리 떨어진 하측에 블록 타입으로 고정설치되어, 전방 조립편의 후방 조립편과 중첩되는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하면을 밀착지지하며, 제1승강블록과 마주하는 측면 부분에 전방 조립편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제1곡면받침블록 및 제2승강블록의 중앙고정지그 반대 측에 대한 일정거리 떨어진 하측에 블록 타입으로 고정설치 고정설치되어, 후방 조립편의 전방 조립편과 중첩되는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하면을 밀착지지하며, 제2승강블록과 마주하는 측면 부분에 후방 조립편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제2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제2곡면받침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융착유닛은 고정지그유닛의 수직방향 상부에 하단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하단이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의 일정길이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을 초음파 융착한 후에 원위치로 상승하는 수직융착기와, 로드 하측에 수직융착기가 연결설치되어 수직융착기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본체의 전방 측 상부에 배치되어 로드 하측에 수직융착기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가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수직융착기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여 정위치로 세팅하는 전후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후조절부는 어느 하나의 설치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레일 타입으로 상호 맞물려 연결되는 한 쌍의 설치판과, 핸들이 연결된 나사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핸들에 대한 일 방향 또는 타 방향 회전시 어느 하나의 설치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융착유닛은 고정지그유닛의 후방 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한 후에 원위치로 상승하는 경사융착기와, 로드 하측에 경사융착기가 연결설치되어 경사융착기를 선택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본체의 후방 측 상부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걸쳐 배치되며, 로드 하측에 경사융착기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가 고정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경사융착기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여 정위치로 세팅하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하조절부는 로드 하측에 경사융착기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승강연결프레임과, 승강연결프레임이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기립 설치된 설치패널의 상, 하단 부분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는 승강봉 및 승강봉의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는 측 하부에 베벨기어 타입의 기어구조로 연결된 축 단부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승강연결프레임, 고정프레임, 승강실린더, 경사융착기가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조작되는 승강핸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본체는 캐비닛의 하단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캐스터 및 나사봉에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시 일정길이 승강 조절하는 받침구로 구성된 승강조절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한편, 돌출설치대의 전방 측 하단에는 나사봉에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시 일정길이 승강 조절하는 받침구로 구성된 승강조절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2승강블록이 상승, 복귀하도록 조작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순서에 대한 순번이 바뀌는 작업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이 적용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의 품질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셋째,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되면서 취출이 간편하도록 하여 완성된 휠 가드의 취출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휠 가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휠 가드를 나타낸 것으로, 전방 조립편과 후방 조립편에 대한 연결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의 요부에 대한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의 요부에 대한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예시도이다.
도 2 내지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1000)는 반구 형상을 이루도록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각각의 정렬고정공(11a, 12a)이 연통토록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안착고정한 후 초음파 융착을 통해 조립연결하면서 휠 가드(10)를 완성하여 취출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본체(100), 고정지그유닛(200), 고정클램프(200a), 수직융착유닛(300), 경사융착유닛(400) 및 컨트롤박스(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하부에 캐비닛(110)이 구비되고, 캐비닛(110) 상단 중앙에 전방 측으로 돌출설치대(1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캐비닛(110)은 전방에 여닫이 식으로 개폐문이 구비된 함체 형상의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돌출설치대(120)는 캐비닛(110)의 상단 중앙부분에 전방측으로 판 상으로 돌출되어 하향 지지다리가 구비되는 형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본체(100)는 캐비닛(110)의 상부로 모서리 등에 다수의 상향 연장되는 파이프 구조가 더 적용되며, 파이프 구조의 상단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파이프나 판이 더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본체(100)는 캐비닛(110)의 하단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캐스터(150) 및 나사봉(161)에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시 일정길이 승강 조절하는 받침구(162)로 구성된 승강조절받침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출설치대(120)의 전방 측 하단에는 나사봉(161)에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시 일정길이 승강 조절하는 받침구(162)로 구성된 승강조절받침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상기 고정지그유닛(200)은 상면에 전방 조립편(11) 또는 후방 조립편(12)이 안착되는 다수의 블록 구조가 적용되어 본체(100)의 돌출설치대(110) 상에 설치되며, 휠 가드(10)를 구성하는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일정길이 중첩되게 순차적으로 안착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초음파 융착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10)를 상승시켜 취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200a)는 한 쌍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고정지그유닛(200)의 상단 후방 측에 일단이 회동가능케 고정되되 타단 측이 일정각도 회전, 복귀 가능토록 설치되며, 각각의 바 형상에 대한 회전방향의 면에 복수 개로 밀착블록(230a, 240a)이 돌출형성되어, 고정지그유닛(200)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에 대하여 융착을 위해 마주하여 일정길이 중첩된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면을 각각 복수의 밀착블록(230a, 240a)이 클램핑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융착유닛(300)은 고정지그유닛(200)의 수직방향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200)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융착유닛(400)은 고정지그유닛(200)의 후방 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200)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500)는 본체(100)의 캐비닛(110) 상부 일 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고정지그유닛(200)과, 수직융착유닛(300)과, 경사융착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컨트롤박스(500)는 고정클램프(200a)에 대한 작동도 제어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1000)에서, 주요부인 상기 고정지그유닛(200)은 크게 지그설치대(201)와, 중앙고정지그(210)와, 제1승강블록(230)과, 제2승강블록(240)과, 제1곡면받침블록(250) 및 제2곡면받침블록(26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지그설치대(201)는 본체(100)의 돌출설치대(120) 상부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지그(210)는 지그설치대(201)의 상면 중앙에 일정 폭을 가지고 상향 돌출되게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면 폭 방향 중앙에 전방으로부터 후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정렬고정핀(211)이 돌출 형성되며,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각각의 정렬고정공(11a, 12a)이 연통토록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안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블록(230)는 중앙고정지그(210)의 일 측에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어 상면이 중앙고정지그(210)와 동일선상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완성된 휠 가드(10)의 취출을 위해 상향 일정거리 상승한 후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승강블록(240)은 중앙고정지그(210)의 일 측에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어 상면이 중앙고정지그(210)와 동일선상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방 조립편(11)이 안착되기 이전에 상승한 후 전방 조립편(11)이 안착된 후 하강하도록 작동되거나 또는,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안착되고 초음파 융착된 후 완성된 휠 가드(10)의 취출을 위해 상향 일정거리 상승한 후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승강블록(240)은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을 순차적으로 안착시켜 초음파 융착처리한 후 완성된 휠 가드(10)를 취출시키는 본 발명의 융착기(1000)에 대한 작동시, 최초 후방 조립편(12)이 먼저 안착되는 것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인지함과 동시에 안착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승하도록 작동된다.
더욱이, 상기 제2승강블록(240)은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안착되고 초음파 융착된 후 완성된 휠 가드(10)의 취출을 위한 작동시 제1승강블록(230)과 함께, 동시에 상승하도록 작동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휠 가드(10)에 대한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곡면받침블록(250)은 제1승강블록(230)의 중앙고정지그(210) 반대 측에 대한 일정거리 떨어진 하측에 블록 타입으로 고정설치되어, 전방 조립편(11)의 후방 조립편(12)과 중첩되는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하면을 밀착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곡면받침블록(250)은 특히, 1승강블록(230)과 마주하는 측면 부분에 전방 조립편(11)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2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감지센서(2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제1감지센서(250')에 의해 전방 조립편(11)의 안착이 감지된 경우에만, 제2승강블록(240)의 하강을 위한 컨트롤박스(500)의 조작버튼을 눌렀을 때 하강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곡면받침블록(260)은 제2승강블록(240)의 중앙고정지그(210) 반대 측에 대한 일정거리 떨어진 하측에 블록 타입으로 고정설치되어, 후방 조립편(12)의 전방 조립편(11)과 중첩되는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하면을 밀착지지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제2곡면받침블록(260)은 제2승강블록(240)과 마주하는 측면 부분에 후방 조립편(12)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제2감지센서(2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제2감지센서(26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제2감지센서(280')에 의해 후방 조립편(12)의 안착이 감지된 경우에만, 고정클램프(200a)의 클램핑 조작을 위한 컨트롤박스(500)의 조작버튼을 눌렀을 때 클램핑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1000)에서의, 상기 수직융착유닛(300)은 크게 수직융착기(310)와, 승강실린더(320) 및 전후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직융착기(310)는 고정지그유닛(200)의 수직방향 상부에 하단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하단이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일정길이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을 초음파 융착한 후에 원위치로 상승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20)는 로드(321) 하측에 수직융착기(310)가 연결설치되어 수직융착기(31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조절부(330)는 본체(100)의 전방 측 상부에 배치되어 로드(321) 하측에 수직융착기(310)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320)가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수직융착기(310)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여 정위치로 세팅하는 것이다.
이때, 정위치라 함은 수직융착기(310)의 하단이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하강할 때,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안착 상태에서의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전후조절부(330)는 도면 부호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어느 하나의 설치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레일 타입으로 상호 맞물려 연결되는 한 쌍의 설치판과, 핸들이 연결된 나사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핸들에 대한 일 방향 또는 타 방향 회전시 어느 하나의 설치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1000)에서의, 상기 경사융착유닛(400)은 크게 경사융착기(410)와, 승강실린더(420) 및 상하조절부(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융착기(410)는 고정지그유닛(200)의 후방 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200)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한 후에 원위치로 상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420)는 로드(421) 하측에 경사융착기(410)가 연결설치되어 경사융착기(410)를 선택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조절부(430)는 본체(100)의 후방 측 상부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걸쳐 배치되며, 로드(421) 하측에 경사융착기(410)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420)가 고정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경사융착기(410)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여 정위치로 세팅하는 것이다.
이때, 정위치라 함은 경사융착기(410)의 하단이 승강실린더(420)에 의해 하강할 때,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안착 상태에서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사융착유닛(400)에서, 특히 상기 상하조절부(430)는 고정프레임(431)과, 승강연결프레임(432)과, 승강봉(434) 및 승강핸들(435)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431)은 로드(421) 하측에 경사융착기(410)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42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연결프레임(432)은 고정프레임(431)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봉(434)은 승강연결프레임(432)이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본체(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기립 설치된 설치패널(433)의 상, 하단 부분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승강봉(434)은 회전시 승강연결프레임(432)에 대해 상승 또는 승강하도록 승강연결프레임(432)과 나사결합 구조를 통해 승강 가능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핸들(435)은 승강봉(434)의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는 측 하부에 베벨기어 타입의 기어구조로 연결된 축 단부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승강연결프레임(432), 고정프레임(431), 승강실린더(420), 경사융착기(410)가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조작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1000)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초의 작업 초기상태로서 제2승강블록(240)이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방 조립편(11)을 정렬고정공(11a)이 중앙고정지그(210)의 정렬고정핀(211)을 관통하도록 하면서 중앙고정지그(210), 제1승강블록(230), 제1곡면받침블록(250)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1곡면받침블록(250)의 제1승강블록(230)과 마주하는 측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250')를 통해 전방 조립편(11)의 안착 상태가 감지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승강블록(240)을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한 상태에서, 후방 조립편(12)을 정렬고정공(12a)이 중앙고정지그(210)의 정렬고정핀(211)을 관통하면서 전방 조립편(11)과 일정길이 중첩되게 중앙고정지그(210), 제2승강블록(240), 제2곡면받침블록(260)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2곡면받침블록(260)의 제2승강블록(240)과 마주하는 측에 설치된 제2감지센서(260')를 통해 후방 조립편(12)의 안착 상태가 감지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200a)를 작동시켜, 상호 일정길이 중첩되게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된 부분에 대한 양측을 클램핑 고정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융착유닛(300)과 경사융착유닛(400)을 작동시켜 초음파 융착을 통해 휠 가드(10)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200a)를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작동시키며, 이후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승강블록(230)과 제2승강블록(240)을 동시에 상승하도록 작동시켜 완성된 휠 가드(10)에 대하여 작업자에 의한 취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 이후, 작업자가 완성된 휠 가드(10)를 취출시키며, 이후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승강블록(230) 및 제2승강블록(240)이 동시에 원위치로 하강하여 작업 이전의 초기 세팅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초기 세팅 상태가 된 이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 5 내지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2승강블록(240)의 상승 작동으로부터 초기 세팅 상태에 이르도록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반자동의 작업을 통해, 간편하게 융착 후 취출시킨 휠 가드(10)를 반복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에 의하면,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2승강블록이 상승, 복귀하도록 조작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의 안착순서에 대한 순번이 바뀌는 작업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이 적용되면서 전방 및 후방 조립편이 중첩된 상태로 융착시킨 후의 휠 가드를 취출시 조립연결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의 조립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등의 품질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 제1승강블록과 제2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지그유닛, 고정클램프, 수직융착유닛, 경사융착유닛, 컨트롤박스가 적용됨으로써 제1, 제2승강블록이 상승하도록 조작하는 자동 취출방식을 적용되면서 취출이 간편하도록 하여 완성된 휠 가드의 취출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휠 가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휠 가드 융착기
100: 본체 110: 캐비닛
120: 돌출설치대 150: 캐스터
160: 승강조절받침대 161: 나사봉
162: 받침구 200: 고정지그유닛
201: 지그설치대 210: 중앙고정지그
211: 정렬고정핀 230: 제1승강블록
240: 제2승강블록 250: 제1곡면받침블록
250': 제1감지센서 260: 제2곡면받침블록
260': 제2감지센서 200a: 고정클램프
230a, 240a: 밀착블록
300: 수직융착유닛 310: 수직융착기
320: 승강실린더 321: 로드
330: 전후조절부 400: 경사융착유닛
410: 경사융착기 420: 승강실린더
421: 로드 430: 상하조절부
431: 고정프레임 432: 승강연결프레임
433: 설치패널 434: 승강봉
435: 승강핸들 500: 컨트롤박스
10: 휠 가드
11: 전방 조립편
11a, 12a: 정렬고정공
12: 후방 조립편

Claims (7)

  1. 반구 형상을 이루도록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각각의 정렬고정공(11a, 12a)이 연통토록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안착고정한 후 초음파 융착을 통해 조립연결하면서 휠 가드(10)를 완성하여 취출시키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1000)에 있어서,
    하부에 캐비닛(110)이 구비되고, 캐비닛(110) 상단 중앙에 전방 측으로 돌출설치대(120)가 구비되는 본체(100);
    상면에 전방 조립편(11) 또는 후방 조립편(12)이 안착되는 다수의 블록 구조가 적용되어 본체(100)의 돌출설치대(110) 상에 설치되며, 휠 가드(10)를 구성하는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일정길이 중첩되게 순차적으로 안착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초음파 융착을 통해 완성된 휠 가드(10)를 상승시켜 취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지그유닛(200);
    한 쌍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고정지그유닛(200)의 상단 후방 측에 일단이 회동가능케 고정되되 타단 측이 일정각도 회전, 복귀 가능토록 설치되며, 각각의 바 형상에 대한 회전방향의 면에 복수 개로 밀착블록(230a, 240a)이 돌출형성되어, 고정지그유닛(200)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에 대하여 융착을 위해 마주하여 일정길이 중첩된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면을 각각 복수의 밀착블록(230a, 240a)이 클램핑 고정하는 고정클램프(200a);
    고정지그유닛(200)의 수직방향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200)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되도록 하는 수직융착유닛(300);
    고정지그유닛(200)의 후방 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200)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되도록 하는 경사융착유닛(400); 및
    본체(100)의 캐비닛(110) 상부 일 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고정지그유닛(200)과, 수직융착유닛(300)과, 경사융착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유닛(200)은 본체(100)의 돌출설치대(120) 상부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지그설치대(201)와,
    지그설치대(201)의 상면 중앙에 일정 폭을 가지고 상향 돌출되게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면 폭 방향 중앙에 전방으로부터 후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정렬고정핀(211)이 돌출 형성되며,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각각의 정렬고정공(11a, 12a)이 연통토록 일정길이 중첩된 상태로 안착고정되도록 하는 중앙고정지그(210)와,
    중앙고정지그(210)의 일 측에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어 상면이 중앙고정지그(210)와 동일선상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완성된 휠 가드(10)의 취출을 위해 상향 일정거리 상승한 후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제1승강블록(230)과,
    중앙고정지그(210)의 일 측에 블록 타입으로 설치되어 상면이 중앙고정지그(210)와 동일선상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방 조립편(11)이 안착되기 이전에 상승한 후 전방 조립편(11)이 안착된 후 하강하도록 작동되거나 또는,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이 안착되고 초음파 융착된 후 완성된 휠 가드(10)의 취출을 위해 상향 일정거리 상승한 후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제2승강블록(240)과,
    제1승강블록(230)의 중앙고정지그(210) 반대 측에 대한 일정거리 떨어진 하측에 블록 타입으로 고정설치되어, 전방 조립편(11)의 후방 조립편(12)과 중첩되는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하면을 밀착지지하며, 제1승강블록(230)과 마주하는 측면 부분에 전방 조립편(11)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250')가 설치되는 제1곡면받침블록(250) 및
    제2승강블록(240)의 중앙고정지그(210) 반대 측에 대한 일정거리 떨어진 하측에 블록 타입으로 고정설치되어, 후방 조립편(12)의 전방 조립편(11)과 중첩되는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하면을 밀착지지하며, 제2승강블록(240)과 마주하는 측면 부분에 후방 조립편(12)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제2감지센서(260')가 설치되는 제2곡면받침블록(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융착유닛(300)은 고정지그유닛(200)의 수직방향 상부에 하단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하단이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일정길이 중첩되어 평평한 부분을 초음파 융착한 후에 원위치로 상승하는 수직융착기(310)와,
    로드(321) 하측에 수직융착기(310)가 연결설치되어 수직융착기(31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0) 및
    본체(100)의 전방 측 상부에 배치되어 로드(321) 하측에 수직융착기(310)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320)가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수직융착기(310)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여 정위치로 세팅하는 전후조절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조절부(330)는 어느 하나의 설치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레일 타입으로 상호 맞물려 연결되는 한 쌍의 설치판과, 핸들이 연결된 나사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핸들에 대한 일 방향 또는 타 방향 회전시 어느 하나의 설치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융착유닛(400)은 고정지그유닛(200)의 후방 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하단 부분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하강하여 하단이 고정지그유닛(200) 상에 안착된 전방 조립편(11)과 후방 조립편(12)의 중첩되어 곡면으로 경사진 부분을 상호 초음파 융착한 후에 원위치로 상승하는 경사융착기(410)와,
    로드(421) 하측에 경사융착기(410)가 연결설치되어 경사융착기(410)를 선택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20) 및
    본체(100)의 후방 측 상부로부터 하향 일정거리에 걸쳐 배치되며, 로드(421) 하측에 경사융착기(410)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420)가 고정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경사융착기(410)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여 정위치로 세팅하는 상하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430)는 로드(421) 하측에 경사융착기(410)가 연결설치된 승강실린더(420)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431)과,
    고정프레임(431)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승강연결프레임(432)과,
    승강연결프레임(432)이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본체(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기립 설치된 설치패널(433)의 상, 하단 부분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는 승강봉(434) 및
    승강봉(434)의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는 측 하부에 베벨기어 타입의 기어구조로 연결된 축 단부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승강연결프레임(432), 고정프레임(431), 승강실린더(420), 경사융착기(410)가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조작되는 승강핸들(4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캐비닛(110)의 하단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캐스터(150) 및 나사봉(161)에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시 일정길이 승강 조절하는 받침구(162)로 구성된 승강조절받침대(160)가 더 구비되는 한편,
    돌출설치대(120)의 전방 측 하단에는 나사봉(161)에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시 일정길이 승강 조절하는 받침구(162)로 구성된 승강조절받침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KR1020210062056A 2021-05-13 2021-05-13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KR10239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56A KR102399181B1 (ko) 2021-05-13 2021-05-13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56A KR102399181B1 (ko) 2021-05-13 2021-05-13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181B1 true KR102399181B1 (ko) 2022-05-18

Family

ID=8180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056A KR102399181B1 (ko) 2021-05-13 2021-05-13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001B1 (ko) 2023-09-06 2023-12-28 동진이공(주) 휠가드 열융착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443A (ja) * 1992-10-22 1994-05-1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ルーフトリ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80553B1 (ko) 2008-02-25 2009-01-30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차량용 휠가드의 결합구조
KR100980714B1 (ko) * 2008-10-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하우스 기구
KR101274751B1 (ko) 2011-11-21 2013-06-1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휠가드 조립체
KR101856319B1 (ko) * 2016-04-29 201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 가지 공정 연속 수행 방식 제품조립장치와 이를 이용한 범퍼 스키드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140233B1 (ko) 2019-05-28 2020-07-31 (주)한국에프엠 자동차 휠가드 리벳 조립장치
JP2020196269A (ja) * 2018-04-13 2020-12-10 精電舎電子工業株式会社 超音波溶着方法、超音波溶着方法で溶着した構造物、超音波溶着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443A (ja) * 1992-10-22 1994-05-1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ルーフトリ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80553B1 (ko) 2008-02-25 2009-01-30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차량용 휠가드의 결합구조
KR100980714B1 (ko) * 2008-10-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하우스 기구
KR101274751B1 (ko) 2011-11-21 2013-06-1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휠가드 조립체
KR101856319B1 (ko) * 2016-04-29 201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 가지 공정 연속 수행 방식 제품조립장치와 이를 이용한 범퍼 스키드 플레이트 제조방법
JP2020196269A (ja) * 2018-04-13 2020-12-10 精電舎電子工業株式会社 超音波溶着方法、超音波溶着方法で溶着した構造物、超音波溶着装置
KR102140233B1 (ko) 2019-05-28 2020-07-31 (주)한국에프엠 자동차 휠가드 리벳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001B1 (ko) 2023-09-06 2023-12-28 동진이공(주) 휠가드 열융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1507A1 (en) Roof laser brazing system
KR101909442B1 (ko) 지그장치
KR102399181B1 (ko)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US10265793B2 (en) Side panel home-positioning jig for roof laser-brazing system
KR200461575Y1 (ko)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KR20110085087A (ko) 벤딩 기능을 갖는 차량 프레임 용접용 지그장치
JP3993772B2 (ja) 車両ルーフ用の透明なパネルを発泡包埋するための装置
KR102148916B1 (ko) 샤시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US20170320186A1 (en) Post-process tool
KR102540437B1 (ko) 트렁크 리드 조립용 지그장치
KR20100035995A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CN208083754U (zh) 一种汽车门环加工定位工装
KR102196606B1 (ko) 프레임 용접용 지그
KR101890529B1 (ko) 지그 착탈식 레이저 융착장치
KR101876442B1 (ko)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조립체 제조용 지그
KR102059062B1 (ko) 자동 용접 장치
KR102282621B1 (ko) 자동차 부품 용접용 작업장치
JPH09323873A (ja)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研削装置
JP5225669B2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の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の製造方法
KR100566485B1 (ko) 정밀 조립·검사대
JP6887738B2 (ja) 車体の組立ライン
CN110640368A (zh) 免点焊自动焊接机
KR102502630B1 (ko) 창호 제작을 위한 용접기의 프로파일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200449154Y1 (ko) 필름 접합장치
CN210937824U (zh) 免点焊自动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