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484B1 -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484B1
KR102398484B1 KR1020200006222A KR20200006222A KR102398484B1 KR 102398484 B1 KR102398484 B1 KR 102398484B1 KR 1020200006222 A KR1020200006222 A KR 1020200006222A KR 20200006222 A KR20200006222 A KR 20200006222A KR 102398484 B1 KR102398484 B1 KR 10239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ibiscus
hot water
separation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628A (ko
Inventor
박승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라이언스랩
Publication of KR2020009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공정으로 제조되는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HIBISCUS EXTRACTS CONTAINING FOOD COMPOSITION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HIBISCUS EXTRACTS}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공정으로 제조되는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피부나 장기의 주된 구성성분 중 하나로써 3개의 폴리펩타이드가 섬유상으로 꼬여있는 단백질섬유이다.
일반적인 콜라겐 제조방법은 약품이나 중금속 처리를 포함하는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치거나 효소처리를 통한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며, 동물성콜라겐은 광우병이나 구제역 등과 같은 질병에 의해 기피되고 있으며, 마린콜라겐 역시 해양오염으로 인해 우려되고 있는 실정으로써 대체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식품의 원료로써 안전하게 적용되고 제조공정의 단순화 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개발 또한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번호 제10-2004-0027283호,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국내공개번호 제10-2015-0085565호, 식용식물추출액을 포함하는 어린 콜라겐 건조분말 및 이를 혼합하여 제조된 기능성 밀가루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화된 공정으로 제조되는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히비스커스 열매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열수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순화된 공정으로 식물성콜라겐을 추출할 수 있으며, 동물성콜라겐이나 마린콜라겐의 우려되는 바를 해소하고 대체품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추출 및 열수추출과 여과 후 원심분리기를 활용하여 분리정제를 함으로써, 화학적 처리를 배제하고 식품용 원료로 식물성콜라겐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공정을 단순화하여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조방법에 따른 히비스커스 열매로부터 식물성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다.
히비스커스(Hibiscus)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9cm 내외로 잎자루가 있으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진녹색이다. 꽃은 넓은 깔때기형이고, 새가지 윗부분의 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작은 꽃 가지가 있다. 꽃받침은 통같이 생기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붉고 5개이며, 수술은 통처럼 합쳐져서 끝에 많은 꽃밥이 달린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꽃이 피지만 적당한 온도가 유지될 때는 연중 꽃이 핀다. 겨울에는 저온으로 인해 개화가 중지되고, 16℃ 내지 30℃에서 잘 생육하며 5℃ 이상에서 월동하며 광선을 좋아한다. 미국 하와이주에서 3,000종 이상이 개발되었고, 꽃의 색깔은 백색·홍색·자홍색·적색·황색 등이고 겹꽃도 있으며, 꽃의 지름이 10cm 내지 25cm인 것도 있다. 또한, 상기 히비스커스는 인체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음용 시 노폐물의 배설을 빠르게 배설시키며, 동맥경화, 항암성분, 장염, 기관지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추출물 내 피루브산(pyruvic acid)은 DHA(dihydroxyacetone) 와 같이 음용하면 지방분해가 촉진되어 체중감소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 용해 작용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히비스커스 열매를 적용하여 식물성 추출물을 얻고 이를, 식품 조성물에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이후 설명하는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흰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로 냄새가 없고 약간의 단맛이 나는 식품 첨가물로, 예를 들어 전분 Bacillus macerans를 생성하는 전이효소(Cycloamylose glucano transferase: CGT-Ase)를 작용시켜 생성될 수 있는데, 6 내지 12개 포도당이 각각 α-1,4 글리코시드결합을 한 고리모양의 올리고당을 형성한다. 그 형태에 따라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이라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안정화하는 결합제로 적용한다.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과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1: 0.7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1: 0.9 내지 1.1 중량비료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과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을 함께 상기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는 경우,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충분한 안정화를 도모하면서도 제조되는 식품 조성물을 분말화 하였을 경우 우수한 촉감과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시클로덱스트린 이외에 식품 조성물로 적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조 분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건조 분말은 예를 들어 동결건조 분말 또는 열풍건조 분말일 수 있다. 이렇게 건조 분말 형태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보관하는 경우, 보관 용이성과 보관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그 자체로 적용하거나 이후 설명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기에 편리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과 피부미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과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이의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 중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향미증진제, 착색제, 천연향, 천연색소 등이 상기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전처리단계; 알코올추출단계;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건조된 히비스커스 열매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는 세척 및/또는 건조된 것을 분쇄하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는 그 크기를 약 30 내지 150 메쉬,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100 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에는 통상 적용되는 분쇄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이나 적용 기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코올용매는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이고, 상기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주정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과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용매는 i) 메탄올, 에탄올, 주정 및 이들의 혼합물과 ii)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용매는 무수에탄올을 50 내지 90 중량%로 함유하는 에탄올용매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용매를 위의 제조방법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콜라겐 등 유용한 성분들을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에서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분쇄물과 상기 알코올용매는 1: 2 내지 15의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고, 1: 5 내지 11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추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온(15 내지 28 ℃)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상온에서 침지 및 방치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10 내지 4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18 내지 3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추출단계가 10 시간 미만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콜라겐 등의 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어려울 수 있고 40 시간 초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성을 불필요하게 저해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알코올추출물은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 분쇄물과 상기 알코올 추출물이 혼재된 것으로 여과처리 없이 그대로 열수추출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은 정제수, 탈이온수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상기 물은 1: 1 내지 12의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고, 1: 3 내지 8 중량비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추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가온은 60 내지 98 ℃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가온은 75 내지 85 ℃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의 범위로 가온이 진행되는 경우, 열수추출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콜라겐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알코올추출물 등으로부터 열수로 추출해낼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10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16 내지 30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가 10 시간 미만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콜라겐 등의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할 수 있고, 72시간 초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지는 열수추출물은 이후 과정에서 고형분이 제거되고 분리/정제되어 콜라겐이 함유된 히비스커스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여과과정, 1차분리정제과정, 그리고 2차분리정제과정이 순차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과정은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고형물질을 제거하여 액상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형물질의 제거는 통상 추출물에서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필터를 적용한 여과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는 0.3 내지 0.7 um의 여과공을 갖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은 상기 액상추출물을 2,000 G 이하의 중력가속도에서 1차원심분리하여 1차정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2,000 G 이하일 수 있고, 1,500 G 이하일 수 있으며, 1,300 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500 G 이상일 수 있고, 800 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1차원심분리는 1 내지 30분간 진행될 수 있고, 5 내지 20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를 적용하는 경우 효율적인 원심분리 과정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은 상기 1차정제물을 10,000 G 이상의 중력가속도에서 2차원심분리하여 2차정제물인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는 10,000 G 이상일 수 있고, 30,000 G 이상일 수 있으며, 70,000 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의 중력가속도는 100,000 G 이하일 수 있고, 90,000 G 이하일 수 있으며, 85,000 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2차원심분리는 30 내지 180분간 진행될 수 있고, 30 내지 90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상당히 강한 중력가속도를 적용하여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원심분리를 적용하는 경우, 식물성 콜라겐을 원심분리 과정으로 정제하고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1차원심분리와 상기 2차원심분리에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1: 30 내지 100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되는 것이 좋고, 1: 60 내지 90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되는 것이 좋으며, 1: 75 내지 85 배의 차이가 나도록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1차원심분리와 2차원심분리를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액상추출물로부터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2차원심과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액상으로 다수의 층으로 나뉘어진 추출물의 각 층을 분리하고 콜라겐이 함유되어 있는 층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의 함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통상 콜라겐 함유 여부를 확인, 검출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건조과정을 거쳐 분말 형태의 히비스커스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안정화제 또는 결합제 역할을 하는 시클로덱스트린을 위에서 설명한 함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건조해 분말화될 수 있다. 상기 건조의 방법으로 열풍건조 또는 종결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전처리단계
성분의 원활한 추출을 위해 분쇄기를 이용해 건조된 히비스커스열매를 50~100매쉬 (mesh) 정도로 잘게 분쇄하였다.
2. 1차 추출단계: 알코올 추출단계
분쇄한 히비스커스열매 분말을 중량대비 8배의 70%무수에탄올에 넣어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2차 추출단계: 열수 추출단계
알코올추출물을 중량대비 5배의 정제수에 희석한 후 80℃까지 가온하여 24시간 동안 열수추출을 진행하고, 열수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 여과과정
상기 열수추출물을 멤브레인필터(0.45㎛, whatman,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였다.
5. 1차원심분리과정
여과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1차 원심분리를 하였다. 이때 원심분리는 1,000g(중력가속도)에서 10분간 작동시켰고, 콜라겐이 함유된 층을 얻었다.
6. 2차 분리정제단계
1차 원심분리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2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이때 원심분리는 80,000g(중력가속도)에서 1시간 작동시켰다. 원심분리된 추출물 중에서 식물성콜라겐을 함유하고 있는 층을 확인하여 분리하였다.
7. 분리해낸 액상형태의 식물성콜라겐을 결합제(시클로덱스트린)와 5:5로 혼합하여 동결건조(FD) 또는 열풍건조(SD)를 통해 식물성콜라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고,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이고,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과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1: 0.7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건조된 히비스커스 열매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열수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통해 추출되고,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는 50메쉬 내지 1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준비되고,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15 내지 28℃에서 진행되며, 10 내지 40시간 동안 진행되고,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고형물질을 제거하여 액상추출물을 마련하는 여과과정,
    상기 액상추출물을 2,000 G 이하의 중력가속도에서 1차원심분리하여 1차정제물을 마련하는 1차분리정제과정, 그리고
    상기 1차정제물을 10,000 G 이상의 중력가속도에서 2차원심분리하여 2차정제물인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마련하는 2차분리정제과정
    이 순차로 진행되고,
    상기 1차원심분리와 상기 2차원심분리에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1: 30 내지 100 배이고,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10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되고,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1차원심분리는 1 내지 30분 동안 진행되고,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2차원심분리는 30 내지 180분 동안 진행되는,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건조 분말 형태를 갖는, 식품 조성물.
  6. 건조된 히비스커스 열매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를 알코올용매에 넣고 침지하여 알코올추출물을 마련하는 알코올추출단계;
    상기 알코올추출물과 물을 혼합한 후 가온하여 열수추출물을 마련하는 열수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열수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식물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분리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상기 히비스커스 열매는 50메쉬 내지 1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준비되고,
    상기 알코올추출단계는 15 내지 28℃에서 진행되며, 10 내지 40시간 동안 진행되고,
    상기 분리정제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물로부터 고형물질을 제거하여 액상추출물을 마련하는 여과과정,
    상기 액상추출물을 2,000 G 이하의 중력가속도에서 1차원심분리하여 1차정제물을 마련하는 1차분리정제과정, 그리고
    상기 1차정제물을 10,000 G 이상의 중력가속도에서 2차원심분리하여 2차정제물인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마련하는 2차분리정제과정
    이 순차로 진행되고,
    상기 1차원심분리와 상기 2차원심분리에 적용되는 중력가속도는 1: 30 내지 100 배이고,
    상기 열수추출단계는 10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되고,
    상기 1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1차원심분리는 1 내지 30분 동안 진행되고,
    상기 2차분리정제과정에서 상기 2차원심분리는 30 내지 180분 동안 진행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단계에서 가온은 60 내지 98 ℃로 진행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건조과정을 거쳐 분말 형태의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마련하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06222A 2019-01-21 2020-01-16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98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7372 2019-01-21
KR1020190007372 2019-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28A KR20200090628A (ko) 2020-07-29
KR102398484B1 true KR102398484B1 (ko) 2022-05-16

Family

ID=7189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222A KR102398484B1 (ko) 2019-01-21 2020-01-16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107B1 (ko) * 2021-03-04 2021-11-18 농업회사법인 (주)로가 히비스커스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299846B1 (ko) * 2021-03-04 2021-09-09 농업회사법인 (주)로가 히비스커스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7110B1 (ko) 2021-10-12 2023-12-27 허브아일랜드화장품 주식회사 항산화기능이 우수하고, 콜라겐 흡수를 증진하여 우수한 탄력 개선 및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히비스커스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9507A (ja) * 2007-03-26 2008-10-09 Fancl Corp コラーゲンの三重螺旋構造安定化剤
CN102274312B (zh) * 2011-08-08 2013-09-18 福建中医药大学 一种芙蓉李总多酚的提取纯化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913B1 (ko) 2003-05-21 2005-05-11 장부식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KR20150085565A (ko) 2014-01-15 2015-07-24 윤규형 식용식물추출액을 포함하는 어린 콜라겐 건조분말 및 이를 혼합하여 제조된 기능성 밀가루
KR101783469B1 (ko) * 2015-09-07 2017-09-29 청양포포나무농장영농조합법인 금화규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9507A (ja) * 2007-03-26 2008-10-09 Fancl Corp コラーゲンの三重螺旋構造安定化剤
CN102274312B (zh) * 2011-08-08 2013-09-18 福建中医药大学 一种芙蓉李总多酚的提取纯化工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Won Shin 외 5명,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om extracts Hibiscus esculentus’, P09-1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355-356쪽, (2014년 10월 31일)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28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tson Polyphenols in plants: isolation, purification and extract preparation
KR102398484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Mourtzinos et al. Polyphenols in agricultural byproducts and food waste
CN101756145B (zh) 一种从花椒中提取花椒精油和花椒麻素的方法
MX2007000412A (es) Proceso de extraccion de fibras de citricos a partir de vesiculas de citricos.
CN104140889A (zh) 一种玫瑰净油的制备方法
US20100040758A1 (en) Integrated production of phytochemical rich plant products or isolates from green vegetation
Galanakis et al. Patented and commercialized applications
JP2018012652A (ja) 杜仲葉抽出物の脱色方法、脱色された杜仲葉抽出物及びこれらの利用
KR101978336B1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808586B1 (ko) 정유성분을 제거한 고순도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JP571357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AGEs生成抑制剤
KR101930869B1 (ko)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
US9879284B2 (en) Method for obtaining natural extracts, oleoresins, condiments, colorants, flavoring substances and aromas from aromatic plant substances, alfalfa, flowers with pigments, and vegetables
JP2010516260A (ja) 植物性タンパク質調製品の風味プロファイルを変更する方法
Oussou et al. Valorization of cocoa, tea and coffee processing by-products-wastes.
JP4319735B2 (ja) モノアミ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および飲食物
KR101883747B1 (ko) 생리활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도라지잎차의 제조방법
CN104544484A (zh) 一种从刺角瓜果肉中分离果籽、果浆的方法
KR101656442B1 (ko) 홍마늘 잼 제조방법
KR101551372B1 (ko) 산초유 치즈 및 그 제조 방법
CN113543654B (zh) 莴苣提取物
RU250128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лочно-растительного напитка из травы стевии
KR102054431B1 (ko) 유효 성분의 함량이 증대된 구기자 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 발효액을 함유하는 구기자 조성물
RU222686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желейного мармела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