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401B1 - 냉음수기 - Google Patents

냉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401B1
KR102397401B1 KR1020190179173A KR20190179173A KR102397401B1 KR 102397401 B1 KR102397401 B1 KR 102397401B1 KR 1020190179173 A KR1020190179173 A KR 1020190179173A KR 20190179173 A KR20190179173 A KR 20190179173A KR 102397401 B1 KR102397401 B1 KR 10239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drinker
inner cylind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760A (ko
Inventor
이미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
Priority to KR102019017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4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2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ld plate or a cooling b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냉음수기에 관한 것으로, 냉수가 공급되어 냉각되는 타원형 탱크를 포함하는 냉음수기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되며 물을 공급받아 처리하는 상기 타원형 탱크, 상기 내통 바닥면의 일정부분에 측면에서보면 원호형태로 설치되는 냉각판, 상기 탱크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통내에 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기 모터, 물의 공급과 냉음수기의 작동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내통으로 세척용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밸브, 내통으로 알칼리 및/또는 산성의 세제가 투입되도록 하는 세제펌프, 내통내의 물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 내통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내통내의 천정부근에 설치되며 내통 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볼, 상기 냉각판에 냉매를 공급 및 배출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실외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외기를 통하여 냉각하여 냉각된 물을 용기내의 냉각판에 공급함으로써 냉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입수관을 통해 냉음수기 안에 물이 들어오면 실외기 및 딤플플레이트 냉각판을 통해 냉음수기 안의 물이 컨트롤 박스에 의해 설정온도에 까지 냉각이 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음수기{Cooling Drinking Water Device}
본 발명은 냉음수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외기를 통하여 냉각하여 냉각된 물을 용기내의 냉판(냉각판)에 공급함으로써 냉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탱크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냉음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축사에서 사용되는 급수기는 상부 개구됨을 갖는 수통(水桶)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수통 속에 물을 채워 넣어 소나, 돼지들이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수통 형태일 경우, 수통 속에 물을 가득 채워 넣은 후 장기간이 지나게 되면 수통 속의 물이 고임저장에 의해 썩게 되고 이는 가축들의 사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축들에게 계절에 관계없이 음용수를 공급하기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온수 및 냉수를 별도로 공급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기는 하지만 장치가격이 고가의 제품이 대부분이고 고장시에는 수리에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면서도 계절의 변화에 따라 항상 사용가능한 형태의 음용수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007068호(2011년01월03일 등록)(발명의 명칭: 냉수통의 가열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수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여름철에는 공급되는 물을 실외기를 통하여 냉각하여 냉각된 물을 용기내의 냉판에 공급함으로써 냉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냉음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음수기 탱크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냉음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음수기는
냉수가 공급되어 냉각되는 타원형 탱크를 포함하는 냉음수기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되며 물을 공급받아 처리하는 상기 타원형 탱크,
상기 내통 바닥면의 일정부분에 측면에서보면 원호형태로 설치되는 냉각판,
상기 탱크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통내에 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기 모터,
물의 공급과 냉음수기의 작동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내통으로 세척용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밸브,
내통으로 알칼리 및/또는 산성의 세제가 투입되도록 하는 세제펌프,
내통내의 물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
내통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내통내의 천정부근에 설치되며 내통 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볼,
상기 냉각판에 냉매를 공급 및 배출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실외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외기를 통하여 냉각하여 냉각된 물을 용기내의 냉각판에 공급함으로써 냉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입수관을 통해 냉음수기 안에 물이 들어오면 실외기 및 딤플플레이트 냉각판을 통해 냉음수기 안의 물이 컨트롤 박스에 의해 설정온도에 까지 냉각이 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유지 기능을 수행하고,
세척이 선택되면, 세척 표시 창은 초 단위로 업 카운터 하는데, 이는 대기 중으로 START(시작)버튼을 누르면 1번 모드부터 초단위로 다운카운터로 진행되며, 전세척이 진행되면서 급수되며, 이때에 표시창의 1번 점 램프가 점등되며, 시간이 끝나면 다음 모드가 표시되면서 진행, 계속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 세척, 알카리세척, 알카리 헹굼, 산성세척, 헹굼 1, 헹굼 2,의 순서대로 자동으로 진행하여 세척이 끝나 면 END로 표시되고, 프로그램 진행중 다음(SKIP) 버튼을 누르면 1모드씩 다음 단계로 진행되고, 각 단계별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모드스위치", "감소스위치",등 총 2개의 스위치를 사용하고, 모드스위치는 설정하고자하는 단계를 선택하며, 누를때마다 상기 전 세척, 알카리세척, 알카리 헹굼, 산성세척, 헹굼 1, 헹굼 2의 1~25까지 모드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정시간 이후 통 안에 물이 비워지게 되면 냉음수기를 자동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급수변을 통해 물이 들어오고 세제펌프를 통해 알칼리 및 산성이 들어가며 세척볼을 통해 냉음수기 내부가 세척되면 배수밸브를 통해 세척된 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냉각판은 내통의 바닥면에 딤플형상으로 다수개의 스폿 용점지점이 구비되도록 스폿용접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판은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가 구비되어 냉매가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는 실외기를 통해 냉매 유입받아서 유지하고 있다가 냉매유출구를 통해 냉매가 유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에 의하면, 간편하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급수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일정온도로 냉각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냉판과 온도센서를 통해 해당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후 탱크내부의 세척이 자동으로 세척펌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탱크의 청결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장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고 기기의 성능을 최적화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와 연계된 실외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와 연계된 실외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는 탱크(1), 교반기 모터(2), 교반기 다이(3), 뚜껑(4), 뚜껑마개(5), 환기통(6), 사다리(7), 컨트롤 박스(8), 급수밸브(세척용 냉수, 온수)(9), 세제펌프(알칼리, 산성)(10), 온도센서(11), 이중간 밸브(12), 배수밸브(13), 탱크다리(14), 팽창변(15), 입수관(16), 오버플로관(17), 세척볼(18), 냉판(19), 실외기(20), 내통(21), 외통(22)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는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진 타원형태의 냉음수기와 실외기가 결합되어 있다.
내통과 외통은 스텐레스판으로 제작되며, 내통의 외면과 일정공간(S1)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 외통 외측면에는 냉각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딤플 냉각플레이트판(19)이 일체로 면접 설치되어 냉매 공급부와 연결되어 냉매가 공급됨에 따라 냉각이 가능하도록 된 구조이고, 제1 외통과 일정간격 떨어져서 제1 외통을 감싸는 제2 외통이 구비된다. 제2 외통은 외관을 형성한다. 내통과 외통사이에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우레탄폼재료) 채워져 있다. 상기 내통에 설치된 냉판(19)에는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물흐름도
음수용 물이 정수위밸브(입수관,16)를 통해 입수되어 내통(21)안에 차고 냉각된 물이 이중간 밸브(12)를 통해 출수된다.
냉각흐름도
실외기(20)에서 고압냉매가스가 팽창변을 통해 냉매가 되어 내통(21)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냉판(19)의 상부 녹색구멍(19a)으로 냉매가 흘러들어가 냉판(19)을 순환하여 내통(21)안에 들어 있는 물을 냉각시켜 주고 냉판(19) 하단 녹색구멍(19b)으로 냉매가 흘러나가 실외기(20)로 들어가는 순환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교반기는 일정회전수를 가지며, 중간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터치식 패드는, 셋팅된 자동제어프로그래밍에 의한 기능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셋팅된 자동제어프로그램은 PCB 회로(미도시)에 설치된다.
터치스크린은 표시장치로 제공되어 있고, 콘트롤러, 탑재 프로그램은 PCB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동작에 관한 부분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탑재 프로그램은 임베디드시스템도입에 따른 지속적인 펌웨어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범용 스크린터치패드와 콘트롤러를 사용하도록 하며, 펌웨어 소프트프로그램도 제품 업그레이드 가능하도록 되어있어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보면,
상기 내통의 바닥면에는 딤플형상으로 다수개의 스폿 지점이 구비되도록 스폿용접처리된 냉매유지용 냉각판(19)이 일체로 용접설치되어 있다. 냉각판(19)은 냉매유입구(19a) 및 냉매유출구(19b)가 구비되어 냉매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냉매유입구(19a) 및 냉매유출구(19b)는 실외기를 통해 연결되어있다. 상기 냉각판(19)은 냉매를 유입받아서 유지하고 있다가 냉매유출구(19b)를 통해 냉매가 유출되는 구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에 의하면, 저온살균, 교반, 냉각기가 결합된 형태의 제품으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다.
또한, 냉음수기를 통해 냉각을 위한 일정 동작이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된다.
냉음수기는 세척기 설정시 원터치의 전자동 세척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세척되는 자동세척기이다.
형상이 저상 타원형이라 관리가 용이하다. 저상으로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냉음수기에 장착된 제어장치(마이컴)는 0.1℃의 정확한 표시와 제어로, 이는 마이컴만의 장점으로 정확한 표시와 제어가 가능하다.
온도제어기는 소형 경량으로 온도제어와 냉각 후 교반기의 ON-OFF 자동교반을 별도의 타이머가 없이 마이컴에서 제어하므로써 장치가 간단하다.
초기 세척에서 헹굼까지 마이컴 제어에 의한 전자동 세척기로 초보자도 사용이 간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음수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외기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전기배전함은 전원의 인입과 전자접촉기, 릴레이, 런닝콘덴서, 기동콘덴서등이 있는 함이다.
압축기(219)는 냉각기에서 냉각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동력을 발휘하는 고압냉매의 가스를 압축하여 냉각작용을 하는 기기로 왕복동보다 효율이 높은 스크롤 압축기가 채용된다.
응축기(210)는 공기중으로 열을 방열함으로써 냉매를 응축하는 기기로 라디에타 등으로 불린다.
휀모터(211)는 응축기가 방열을 할 수 있도록 응축기에 강제로 통풍되도록 날개를 돌리는 모터이다.
드라이어(218)는 냉매중에 수분을 흡착하여 수분으로 인한 저온 동결 폐쇄, 부식, 수명 단축을 방지한다.
전자변(216)은 압축기 정지시 냉매를 차단, 압축기의 재가동시 액압축 방지하는 전기 개폐밸브이다.
열교환기는 압축기로 들어오는 저온의 흡입가스와 탱크로 나가는 고온의 액 냉매와의 상호 열 교환을 하는 기기로 탱크 뒤에 부착되어 있다.
투시경(220)은 냉매의 냉각과 수분의 함량 오일의 혼탁 등을 확인하는 장치로 보통은 투명하며 약간의 기포가 보인다.
팽창변은 탱크의 유량이나 온도 등에 의하여 흡입냉매의 과열도로 냉매량을 조절하는 장치로 탱크 뒤쪽 열교환기에 부착되어 있다.
액 발브는 액 라인을 차단하는 발브로 가동시 열림 상태이며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개폐하는 발브이다.
흡입 휠타(212)는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가스의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압축기 보호용 여과기이다.
DPS(215)는 이상 고압이나 저압시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압축기 보호용 차단 스위치이다.
PS(217)는 응축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응축기 휀모터를 응축압력으로 on-off하는 스위치이다.
체크밸브(214)는 냉매 가스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밸브이다.
무시땜(213)은 냉매가스를 주입, 배출하며, 압력을 체크하는 곳이다.
교반기 날개는 음수의 냉각이 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어 주는 SUS 스텐레스판이다.
교반기 축은 교반기의 날개와 교반기 모터 기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이다.
교반기 베아링은 교반기용 기어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베아링이다.
전원램프는 가동에 관계없이 전원만 투입되면 점등되는 전원표시등이다.
교반기어는 교반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교반기를 힘으로 돌려주는 감속기어이다.
교반기모터는 교반기를 돌려주는 모터로 소형이며 발열이 많다.
온도센서는 탱크하부 내통외부에 부착되며, 탱크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급수(이중관)밸브는 세척시 개폐하는 발브이다.
배수밸브는 배수시 세척수를 방출하는 전자 밸브이다.
연결호스는 배유발브와 세척라인을 연결하는 호스이다.
세척펌프는 세척시와 배수시 세척수의 가압 펌프이다.
사다리는 탱크내부 확인이나 수동 청소시에 올라가기 위한 계단이다.
냉온수발브는 세척시에 냉수(청)및 온수(적)를 공급하는 펌프이다.
세제펌프는 세척시에 세제(산,알칼리)을 빨아올려 탱크에 공급하는 펌프이다.
세척볼은 세척시에 냉수, 온수 및 세제를 압력으로 분사하여 탱크 내부를 세척하는 사각볼이다.
콘트롤 박스는 세척 프로그램의 PCB와 온도PCB, 세제펌프 등이 내장되어 냉각기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PCB 박스이다.
통풍구는 세척시나 냉각시 탱크의 압력방지를 위한 통풍을 담당하는 통풍구이다.
탱크뚜껑은 탱크를 여닫는 문이다.
오버플로관은 정수위밸브 고장으로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물 빼기 관이다.
입수관은 냉음수기의 음수 투입 수위 조절 밸브이다.
냉음수기는 전기, 전자, 기계, 고압가스(후레온 냉매)등 음수의 냉각과 저장을 목적으로 복합적으로 만들어진 기계장치이다.
냉음수기에 있어서,
압축기(냉각 콤푸)는 기계적 방법으로 냉각 효과를 얻기 위하여 냉음수기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압축기와 음수탱크의 증발기이다.
압축기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로 변화시키는 기기로 압축기가 가스를 압축할 때에는 가스의 단열 압축과정에서의 온도상승과 모터의 일에 열당량 만큼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손으로 압축기의 토출관을 잡으면 냉각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뜨거워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냉음수기는 냉판(냉각판)의 길이가 짧아 물이 없이 가동하면 탱크가 순간적으로 온도가 내려가 냉매가 탱크에서 기체로 증발하지 못하고 액상태의 압축기도 흡입되므로, 압축기는 액 압축과 압축기 활동부의 냉각축소 금속이 저온 취성에 약하게 되므로 소손 등 압축기에 심각한 고장 원인이 되므로 빈 상태로 가동을 하면 안된다.
응축기(기계실 실외기)
압축기로부터 고온 고압된 냉매가스는 이곳에서 공기중에 열을 버림으로써 응축되므로 이를 응축기라고 한다. 냉음수기의 기계실에는 벌집과 같은 모양으로 휀날개를 돌려 송풍기를 강제로 송풍하면 뜨거운 공기가 나오는 곳으로 주위의 온도나, 탱크내의 원유의 온도나 원유의 양에 따라 뜨거운 바람이나 미지근한 바람이 나올 수 있다.
응축기에 있는 휀(바람개비)은 주위의 온도나 원유의 양에 따라 돌 수도 안 돌 수도 있으며 냉각 속도가 정상이면서 휀이 돌때도 안 돌때도 있는 것은 자동 장치가 가동되는 것으로 인식하면 된다.
응축기는 얇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으므로 알루미늄 핀이 상하지 않도록 조심하여 청소하여야 하며, 먼지 상태가 심하면 중성세제를 뿌려서 고압의 물로 청소하면 효과적이다.
탱크(내부바닥 플레이트냉판=증발기:Evaporator)
냉음수기는 탱크의 역할이 가장 클 것으로 현재는 모두 Plate 직 냉각 방식이다.
탱크는 음수를 저장하는 기능과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로 냉각하여 유지, 보관, 냉음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냉동기에 있어서 최종목적을 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Plate 냉각기는 빈 탱크의 과도한 운전 상태일 때나 탱크 냉판이 영하 상태일 때 탱크에 뜨거운 물이나 음수를 투입하면 탱크의 표면이 급격히 팽창하고 이면은 아직 수축 상태이므로 이로 인하여 스폿트 용접 부분이 떨어지는 사고로 이어져 탱크의 가스 누설과 같은 고장이 날 수 있고 빈 냉음수기를 가동하면 냉각부하가 없는 관계로 냉매 액이 압축기로 흡입되어 압축기가 얼게 되어 압축기가 손상된다,
교반기
냉음수기에서 음수의 균일한 저온과 양호한 냉각효과를 얻기 위하여 탱크내의 음수를 모터를 이용하여 교반날개로 음수를 강제적으로 와류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는 냉각이 끝난 다음에도 계속적으로 3-5분 가동하고 30분-60분 정지하며, 이러한 주기적인 교반을 하므로써 냉음수의 상 하 온도차를 막아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반기 모터의 크기는 25W~100W 정도이며 밀폐 구조로 여름철에는 열이 많이 발생한다.
교반기의 역회전
교반기 는 냉각중이나 세척 중에는 정 회전을 하나 세척 배수 시에만 역회전 한다,
온도조절기 사용방법
온도조절기는 냉음수기의 가동이나 정지 등의 명령을 하는 곳으로 음수를 설정하는 온도까지 냉각시키며 냉각 후에도 설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기기이다.
타인의 오 설정이나, 습기나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기 위하여 DIP S/W를 내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냉각온도 유지는 4~5℃정도가 좋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보통 투입되는 물의 온도가 19~20℃인 경우 냉음수기내에서 17~15℃로 낮추어 공급할 수도 있다.
증감키를 이용하여 0.1 도에서 1도 단위로 설정이 가능하다.
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음수가 결빙되며, 압축기 결빙 파손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교반기가 고장의 원인이 된다.
냉음수기의 세척기 설정 및 사용 방법
자동세척기
전자동 세척기는 전기전자 프로그램이므로 미세한 자극에도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냉음수기는 스텐레스탱크와 냉동기계실과 전기전자세척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졌으며, 세척기는 온수와 냉수가 전자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세척, 배수가 진행되므로 항상 물에 노출되어 있으며, 낙뢰나 정전, 동절기의 동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세척순서와 시간, 세제 투입시간 세척수 분사시간 등 모든 기능을 1개의 반도체 칩 내에 프로그램으로 저장하여 콘트롤하는 전자기기로서 낙뢰나 써지 전압에 있어서 적은 노이즈에도 프로그램 진행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세척기 사용법
탱크를 비운 후 탱크의 배유 발브를 열고 잔류 음수가 없는지를 확인 후 세척호스를 연결 넛트를 조인 후 급수용 냉 온수의 호스를 연결 또는 발브를(발브가 항상 연 결되어 있으면 1개월에 1번씩 발브의 닫힘누수 확인요)연다.
이후, 세척 냉각 선택 스위치(S/W) 를 세척으로 올린다.
세척이 선택되면, 세척 표시 창은 초 단위로 업 카운터 하는데, 이는 대기 중으로 START(시작)버튼을 누르면 1번 모드부터 초단위로 다운카운터로 진행되며, 전세척이 진행되면서 급수되며, 이때에 표시창의 1번 점 램프가 점등되며, 시간이 끝나면 다음 모드가 표시되면서 진행, 계속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 세척, 알카리세척, 알카리 헹굼, 산성세척, 헹굼 1, 헹굼 2,의 순서대로 자동으로 진행하여 세척이 끝나 면 END로 표시된다. 프로그램 진행중 다음(SKIP) 버튼을 누르면 1모드씩 단음 단계로 진행됩니다.
세척프로그램 설정방법
각 단계별 시간 설정
각 단계별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모드스위치", "감소스위치",등 총 2개의 스위치를 사용한다.
모드스위치는 설정하고자하는 단계를 선택한다. 누를때마다 1~25까지 모드를 바뀜-
증가스위치는 설정값을 증가한다. 누를때 마다 10초씩 증가한다.
감소스위치는 설정값을 감소한다. 누를때 마다 10초씩 감소한다.
단계별 설정가능한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은 다음과 같다.
최대시간 : 기존 최대시간의 2배
최소시간 : 기존 최소시간의 1/2배
각 단계별 동작내용을 구분하여 살펴보면 예시적으로 아래 표1과 같다.
Figure 112019136036395-pat00001
냉음수기의 냉각 사용방법
냉각 세척 선택 스위치를 냉각으로 내리면 현재온도가 표시된다.
이때 온도가 표시되지 않고 LO 로 표시되면 센서의 단선이나, 영하 9℃ 이하이며, HI 로 표시되면 69℃이상이거나 센서나 센서 리드선의 합선으로 점검해야한다.
평소에는 선택S/W를 냉각으로 내리면 현재온도가 표시되면서 온도표시창의 우측 끝에 작은 점이 1회 깜박 깜박거리며 교반기가 가동된다.
2-3분대기후 우측 끝에 작은 점이 2회 깜박깜박 거리며, 1번 기계실(2단일경우1번)이 가동된다.
30초 후 우측 끝에 작은 점이 3회 깜박깜박 거리며 2번 기계실이 가동된다.
음수투입전 확인
음수냉각 탱크 내부에 잔여세척수가 남아 있으면, 음수투입을 하면안된다.
냉음수기 온도계의 냉각온도가 적정한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온도계의 고장 시, 옆의 스위치로 강제냉각을 하면 강제 냉각이 되나, 온도가 계속 내려가고 냉동기가 정지되지 않으므로 강제 냉각시에는 적정온도를 확인 후 수동으로 강제냉각 스위치를 내려야 한다.
음수가 얼지 말아야 한다.
가스의 부족이나 기기의 고장이나, 너무 낮은 온도 설정으로, 탱크 내부바닥 냉판 표면의 온도가 너무 낮아 음수가 얼면 탱크 내부의 상하 음수의 온도차가 심해지고 원하는 냉음수를 얻기 어려울 수도 있다.
냉각속도
냉음수기의 냉각능력은 탱크의 크기나 냉각방식, 냉동기계실의 크기나 통풍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아무리 좋은 효율의 냉각기라도 냉각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급수시간 등이 사용자의 감각적 냉각속도를 좌우할 것이며 냉음수기의 크기나 기계실의 종류 충분한 전력, 기계실의 통풍, 시간당 급수량이 냉각속도를 결정 한다.
통풍 불량이나 전압불량은 냉각속도가 느리며 압축기의 고장으로 이어진다.
냉음수기 설치 시 주의사항
사용되는 전기는 단상 220V, 삼상 380V 두 종류가 있고, 삼상 380V가 안정적이며 고장률이 적다.
냉각기의 접지
냉각기는 3종 접지를 해야 하고, 전압은 정격 이상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세척기 및 물 배관주변의 온도는 5도℃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전자제어 냉음수기는 낙뢰나 습기에 약하므로 낙뢰가 우려되면 주 전원을 (차단)내리고 냉음수기의 주변에 물 또는 잔류물 세제 잔류물 등이 없도록 사용자의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냉음수기 탱크가 빈 상태에서는 스위치를 내려 빈 냉음수기의 가동을 절대로 금한다.
높이가 낮게 설치하라
냉음수기의 높이가 낮을수록 사용하기가 편리하며 밀폐형 냉음수기는 자동세척을 하나 일상적으로 관리가 편리하여야 하므로 높이가 낮을수록 사용하기 편리하며 사람에 의한 청소나 내부 세척, 내부 점검 등 높이가 높으면 사용시 불편하므로 밀폐형의 경우도 반드시 낮을수록 좋으며 관리가 편리하다.
정기적으로 청소나 점검을 하여야 하므로 점검 및 수리, 청소하기 쉽게 설치하여야 한다.
냉음수기는 정기적으로 점검과 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응축기(방열기)에는 뜨거운 바람이 나오며, 여름철에는 통풍에 각별한 주위를 하여야 하며, 통풍이 안 되면 냉매의 응축 불량으로, 냉각성능 저하나 가동 정지, 고장 등 나쁜 영향이 많으므로 원활한 통풍이 될 수 있도록 벽을 기계실의 크기만큼 구멍을 뚫어 통풍이 잘 되게 하여야 한다.
전선의 전기가 흐르면 전선의 전기적 저항 때문에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이로 인한 전력손실 때문에 가급적 변압기로부터 가까이 설치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탱크
2: 교반기 모터
3: 교반기 다이
4: 뚜껑
5: 뚜껑마개
6: 환기통
7: 사다리
8: 컨트롤 박스
9: 급수밸브(세척용 냉수, 온수)
10: 세제펌프(알칼리, 산성)
11: 온도센서
12: 이중간 밸브
13: 배수밸브
14: 탱크다리
15: 팽창변
16: 입수관
17: 오버플로관
18: 세척볼
19: 냉판
20: 실외기
21: 내통
22: 외통

Claims (4)

  1. 냉수가 공급되어 냉각되는 타원형 탱크를 포함하는 냉음수기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되며 물을 공급받아 처리하는 상기 타원형 탱크,
    상기 내통 바닥면의 일정부분에 측면에서보면 원호형태로 설치되는 냉각판,
    상기 탱크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통내에 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기 모터,
    물의 공급과 냉음수기의 작동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내통으로 세척용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밸브,
    내통으로 알칼리 및/또는 산성의 세제가 투입되도록 하는 세제펌프,
    내통내의 물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
    내통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내통내의 천정부근에 설치되며 내통 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볼,
    상기 냉각판에 냉매를 공급 및 배출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실외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외기를 통하여 냉각하여 냉각된 물을 용기내의 냉각판에 공급함으로써 냉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입수관을 통해 냉음수기 안에 물이 들어오면 실외기 및 딤플플레이트 냉각판을 통해 냉음수기 안의 물이 컨트롤 박스에 의해 설정온도에 까지 냉각이 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유지 기능을 수행하며,
    세척이 선택되면, 세척 표시 창은 초 단위로 업 카운터 하는데, 이는 대기 중으로 START(시작)버튼을 누르면 1번 모드부터 초단위로 다운카운터로 진행되며, 전세척이 진행되면서 급수되며, 이때에 표시창의 1번 점 램프가 점등되며, 시간이 끝나면 다음 모드가 표시되면서 진행, 계속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 세척, 알카리세척, 알카리 헹굼, 산성세척, 헹굼 1, 헹굼 2,의 순서대로 자동으로 진행하여 세척이 끝나면 END로 표시되고, 프로그램 진행중 다음(SKIP) 버튼을 누르면 1모드씩 다음 단계로 진행되고, 각 단계별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모드스위치", "감소스위치",등 총 2개의 스위치를 사용하고, 모드스위치는 설정하고자하는 단계를 선택하며, 누를때마다 상기 전 세척, 알카리세척, 알카리 헹굼, 산성세척, 헹굼 1, 헹굼 2의 1~25까지 모드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시간 이후 통 안에 물이 비워지게 되면 냉음수기를 자동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급수변을 통해 물이 들어오고 세제펌프를 통해 알칼리 및 산성이 들어가며 세척볼을 통해 냉음수기 내부가 세척되면 배수밸브를 통해 세척된 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내통의 바닥면에 딤플형상으로 다수개의 스폿 용점지점이 구비되도록 스폿용접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가 구비되어 냉매가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는 실외기를 통해 냉매 유입받아서 유지하고 있다가 냉매유출구를 통해 냉매가 유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수기.
KR1020190179173A 2019-12-31 2019-12-31 냉음수기 KR10239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73A KR102397401B1 (ko) 2019-12-31 2019-12-31 냉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73A KR102397401B1 (ko) 2019-12-31 2019-12-31 냉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760A KR20210085760A (ko) 2021-07-08
KR102397401B1 true KR102397401B1 (ko) 2022-05-12

Family

ID=7689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173A KR102397401B1 (ko) 2019-12-31 2019-12-31 냉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9363A (zh) * 2021-12-14 2022-02-08 中博农畜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恒温恒液位奶牛饮水槽设备
KR20240028698A (ko) 2022-08-25 2024-03-05 류옥란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26A (ja) * 2006-02-27 2007-09-13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0352B2 (ja) * 1993-06-21 1999-02-24 株式会社土谷製作所 バルククーラにおける貯乳タンク
KR970003907U (ko) * 1995-07-10 1997-02-19 김기부 담뱃불 소화구
JPH10215718A (ja) * 1997-02-05 1998-08-18 Tsuchiya Seisakusho:Kk バルククーラにおける冷却保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26A (ja) * 2006-02-27 2007-09-13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760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401B1 (ko) 냉음수기
KR100796283B1 (ko) 토출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냉동장치
CN110410925B (zh) 一种空调外机自清洗的空调装置、控制方法及空调器
JPS6358079A (ja) 恒温多湿冷蔵庫
CN106595156A (zh) 空调器蒸发器清洗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06796062A (zh) 热泵式制热装置
EP2880213B1 (en) Washing machine
CN114353189A (zh) 移动空调及其控制方法
KR20170089049A (ko) 에어컨장치
JP2014214918A (ja) 冷却貯蔵庫用ユニットクーラ
CN113739351B (zh) 一种空调及其排水方法
US20150260448A1 (en) Internal control systems of evaporator and condenser fan motor assemblies of a refrigeration system in a refrigerator unit
JP2006240657A (ja) 飲料供給装置
KR100948584B1 (ko) 토출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냉동장치
KR20130008990A (ko) 냉장고 제상장치
JPH08226662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3091139A (zh) 空调器及空调器的自清洁方法
Size Technical information
KR100211719B1 (ko) 저온창고 냉동기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40014963A (ko) 산양유 살균 및 냉각장치
CN114811871B (zh) 空调器及其水泵的衰减补偿控制方法
CN220624528U (zh) 一种制冷系统、制冷装置及饮水机
KR100216474B1 (ko) 에어컨의 응결수 누수 방지장치
CN116951588A (zh) 水回收装置、空调外机、空调系统及控制方法、存储介质
CN208382408U (zh) 一种家用空调外机安装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