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610B1 -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 Google Patents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610B1
KR102396610B1 KR1020200060349A KR20200060349A KR102396610B1 KR 102396610 B1 KR102396610 B1 KR 102396610B1 KR 1020200060349 A KR1020200060349 A KR 1020200060349A KR 20200060349 A KR20200060349 A KR 20200060349A KR 102396610 B1 KR102396610 B1 KR 10239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exotic
ceramic plate
raised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500A (ko
Inventor
김경동
Original Assignee
김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동 filed Critical 김경동
Priority to KR102020006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6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5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ngrav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은 돋은 선 배경면 장식이 가능한 두께와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도판 또는 도자기를 준비하는 단계;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선이 도안된 디자인을 배치한 후, 선이 바탕면에 비해서 소정높이로 돋아 오르도록 점층하거나 선을 제외한 면을 깎거나 눌러서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돋은 선을 형성하는 단계; 돋은 선과 돋은 선들 사이를 이색토로 메우는 단계; 이색토를 메우는 과정에서 돋은 선에 넘치거나 번진 부분을 제거하여 돋은 선을 중심을 메운 부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정형화하는 단계; 및 이색토로 메운 부위가 도판 또는 도자기에 경화되도록 소정시간동안 보호하는 숙성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Method to decorate background surface using pop-up line}
본 발명은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각 상감의 반대로 선 상감의 주와 부가 뒤바뀐 상감을 제공하며,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돋은 선 문양을 통해 다양한 색과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감기법은 시간과 손이 많이 가지만 깔끔한 마무리와 이색토 상감 후에 투명, 영청 유약으로 코팅 소성의 장식 효과로 장식기법 중 으뜸을 차지할 정도로 고급 기법과 고급 상품으로 대우를 받는 장식기법이다.
일반적인 도자기의 상감 제작기법은 무늬나 그림 부분을 일정한 깊이 선으로 들어가게 파는 것을 위주로 하고, 파진 부위를 이색의 상감토로 메우고 여분의 상감토는 다듬고 제거하고 난후 유약 작업 후 고온으로 소성 단계를 거처 완성한다.
도자기의 상감 제작기법은 고려청자로 대변되며 현재의 장인들도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으로 제작하며 상감청자를 이어가고 유명세를 얻고 있다.
고려청자는 초기에 중국 도자기를 단순 모방하는 데 급급하였으나 고려의 중기 때부터 독자적인 양식의 청자상감기법이 개발되면서 빛나기 시작하였다.
고려 상감청자 시공과정을 보면 청자의 소지에 선무늬를 칼로 음각으로 파내고, 그 파여진 선에 백토니 또는 자토니 등 이색토를 붓으로 덮어 바른 뒤, 그것이 굳은 다음 기면에 넘쳐 묻은 이색토를 닦아내면 파여진 곳에만 이색토가 남아 있어 백색 또는 자색의 무늬가 나타난다. 그 위에 영청의 유약을 씌워서 구워내면 백토는 백색으로, 자토는 흑색으로 나타나며, 이 무늬는 유약을 통해서 투시되는 것이다.
흑상감, 백상감, 적상감으로 장식된 상감 위에 비색의 영청유를 시유하여 소성한 신비로운 비색청자는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내는 고급 공예품이며 세계가 감탄한 우리 도자의 자랑이다.
그러나 최근 장식법에는 도자기도 용기뿐이 아니라 인테리어 건축 등 다양한 부분으로 확대되면서 많은 부분이 일률적인 색상과 형상을 탈피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페인팅과 질감 있는 패턴 색무늬 찍기등으로 새로움을 시도하고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하고 쉽기는 하지만 그 어느 것도 상감만큼 영구적이지 못하거나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선명하게 재현되지 못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다른 상감 장식은 주로 금속이나 목재로 장식용이나 고급 장신구에 나타나는 입사 방식이며 소입이라던가 박아 넣는다는 표현을 하였다. 이는 속을 깎아 내거나 파낸 들어간 부분을 다른 재료를 끼우거나 두들겨서 채워 갈아내는 방식으로 상감청자 도자기의 방식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우리는 이 같은 상감 장식 방법을 청동기 입사 상감 이후 수천년이 넘도록 같은 방법을 지켜오고 있으며, 상감청자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방식의 상감청자 외의 다른 상감도자기는 성공할 수 없어 찾아 볼 수도 없는 형편이다.
한편, 주변을 긁어내는 비슷한 박지기법 등이 있지만 상감기법처럼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9011호, 2015년 12월 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감기법을 반대로 활용하여 기존의 상감보다 뚜렷한 무늬와 다양한 색감으로 상감과는 다른 신선함을 가지면서 장식적인 면의 크기 효과와 컬러의 다양성으로 도자기 용기뿐 아니라 도자 인테리어 도자도판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선각 상감의 반대로 선 상감의 주와 부가 뒤바뀐 상감을 제공하며, 도판 위에 다양한 색과 두께를 형성하여 도판을 판화와 같이 제작할 수 있는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색의 대비되는 효과로 청자뿐이 아니라 백자, 흑자, 칼라토를 이용한 조합용토에도 잘 어울리는 장식기법이다.
이렇게 완성되면 흙느낌부터 고급도자기 느낌까지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고 또한 컬러풀한 도자기판화를 보는 듯한 모습으로 보여진다. 더하여, 다양한 색과 두께를 가지게하면 좀더 입체적인 모습의 작품도 가능하다. 도자기를 판화처럼 그것도 칼라를 가진 회화같은 판화를 상감기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장식기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은 바탕면 장식이 가능한 두께와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도판 또는 도자기를 준비하는 단계;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선이 도안된 디자인을 배치한 후, 선이 바탕면에 비해서 소정높이로 돋아 오르도록 점층하거나 선을 제외한 면을 깎거나 눌러서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돋은 선을 형성하는 단계; 돋은 선과 돋은 선들 사이를 이색토로 메우는 단계; 이색토를 메우는 과정에서 돋은 선에 넘치거나 번진 부분을 제거하여 돋은 선을 중심을 메운 부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정형화하는 단계; 및 이색토로 메운 부위가 도판 또는 도자기에 경화되도록 소정시간동안 보호하는 숙성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돋은 선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판 또는 도자기의 바탕면 위에 돋은 선들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이색토로 메우는 단계에서는 제1 이색토를 메운 후에, 제1 이색토 위에 제1 이색토의 소정영역이 가려지도록 제1 이색토와 다른 색상의 제2 이색토로 메워 이색토의 높낮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형하는 단계에서 이색토로 메운 부위의 높낮이 차이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표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은 상감의 역발상과 같이 보여지는 면과 느껴지는 면이 상감이라 하기에 완전히 새롭고 다른 모습으로서, 장식적인 효과와 칼라의 다양성으로 도자기 용기뿐 아니라 도자기 인테리어 도자기판 건축 등에 새로운 상감 장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선이 도안된 디자인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돋은선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돋은 선 사이 사이를 이색토로 메운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돋은 선에 넘치거나 번진 부분을 제거하여 돋은 선을 중심을 메운 부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정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 후에 건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선이 도안된 디자인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돋은선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이고, 도 6은 돋은 선 사이 사이를 이색토로 메운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돋은 선에 넘치거나 번진 부분을 제거하여 돋은 선을 중심을 메운 부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정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 후에 건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판 또는 입체적인 형상의 도자기를 준비한다(S10).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때에, 판형상의 도판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앞서 예시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자기를 포함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판(110)은 돋은선의 배경면(113) 장식이 가능한 두께와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판(110)의 전체적인 외곽형상은 도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판 위에 돋은 선을 형성한다(S20). 이를 위해, 도판(110) 위에 선이 도안된 디자인(D)을 배치한따. 그리고, 선이 판 형상의 바탕면에 비해서 소정높이로 돋아 오르도록 점층하거나 선을 제외한 면을 깎거나 눌러서 도판(110) 위에 돋은 선(111)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점층이라함은 흙을 붙여서 한층을 더 형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돋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선각 상감의 반대로서 일반 상감의 주와 부가 뒤바뀌도록 만드는 과정으로, 솟아오른 선이 바탕색이 되도록 하며 솟아오른 선과선 사이 부분이 배경면이 되어 이색토를 상감하는 부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돋은선(111)이라 하면, 배경면(113)에서 비해서 상대적으로 앞으로 솟아오른(튀어나온) 선을 의미한다.
돋은선(111)은 3 ~ 5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높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5m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배경면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색토가 불필요하게 많이 채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돋은선(111)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지 않고 서로 다른 높이와 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다르게 형성하여 후술하는 이색토를 메우는 과정에서 높이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입체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돋은 선과 돋은 선들 사이를 이색토로 메운다(S30). 이색토(112)는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색토(112a)를 메운 후에, 제1 이색토(112a) 위에 제1 이색토(112a)의 소정영역이 가려지도록 제1 이색토(112a)와 다른 색상의 제2 이색토(112b)로 메워 이색토(112)의 높낮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색토(112)를 메울 때에, 바람직하게는 짜넣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색토는 백토 또는 밝은색의 조합토등에 칼라를 가진 안료를 색상에 어울리게 충분량을 첨가하여 만들어지며 때에 따라서 접착도를 높이는 소재인 점토를 첨가한 상감용토를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 이색토(112)가 메워진 상태에서 1차 자연건조한다(S40). 1차 자연건조를 통해서, 돋은선(111)에 넘치거나 번진 부분의 제거를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색토를 메우는 과정에서 돋은 선에 넘치거나 번진 부분을 제거하여 돋은 선을 중심을 메운 부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정형화한다(S50). 이 단계는 메워진 이색토가 묻어나지 않을 정도의 약한 고형이 된 상태에서 진행하며, 단번에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천천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색토로 메운 부위의 높낮이 차이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표현이 더욱 구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색토의 메운 부위가 이상 없이 접합 경화되도록 숙성건조한다(S60). 숙성건조는 일반적인 자연건조 시간이 비해서 2배 이상의 시간으로 숙성건조하며, 외부자연조건에 그대로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비닐, 천 또는 상자로 형성되는 공간안에 도판을 수용시킨 후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비닐(130) 또는 천에 복수의 통기홀(131)이 형성됨으로써 도판 또는 도자기가 갈라지지 않도록 안정적인 건조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숙성건조를 수행하게 되면 서서히 건조하고 수축하게 되어 도자기 작업의 특성상 건조 수축시에 오는 뒤틀림이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 후의 과정으로는 일반적인 도자기 제조의 방법인 800~900도의 초벌 과정초벌 소성단계(S70), 유약으로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S80) 및 다시 한번 구워내는 재벌 과정(S90)을 거쳐 돋은선 문양 장식의 도자기판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S70 ~ S90은 일반적인 도자기의 성형방법으로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은 상감의 역발상과 같이 보여지는 면과 느껴지는 면이 상감이라 하기에 완전히 새롭고 다른 모습으로서, 장식적인 효과와 칼라의 다양성으로 도자기 용기뿐 아니라 도자기 인테리어 도자기판 건축 등에 새로운 상감 장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도판
111 : 돋은선
112 : 이색토
113 : 배경면

Claims (3)

  1. 바탕면 장식이 가능한 두께와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도판 또는 도자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선이 도안된 디자인을 배치한 후, 상기 선이 상기 바탕면에 비해서 3~5mm의 높이로 돋아 오르도록 점층하여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 위에 3~5mm의 높이의 돋은 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돋은 선과 돋은 선들 사이를 이색토로 메우는 단계;
    상기 이색토가 고형이 되어 묻어나지 않도록 소정시간 동안 자연 상태에서 건조하는 자연건조 단계;
    상기 이색토를 메우는 과정에서 상기 돋은 선에 넘친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돋은 선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정형화하는 단계;
    자연 건조로 인한 뒤틀림과 갈라짐을 방지하며 상기 이색토와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가 접합 경화되도록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를 통기홀이 형성된 비닐 또는 천의 내부에 위치시켜 자연 상태에서의 건조 시간보다 2배 이상의 시간 동안 건조하는 숙성건조 단계;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를 소정온도에서 소정시간동안 가열하는 초벌 소성단계;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코팅하는 표면처리 단계; 및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를 소정온도에서 소정시간동안 가열하는 재벌 소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돋은 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도판 또는 도자기의 상기 바탕면 위에 상기 돋은 선들의 높이와 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이색토로 메우는 단계에서는,
    제1 이색토를 메운 후에, 상기 제1 이색토 위에 상기 제1 이색토의 소정영역이 가려지도록 상기 제1 이색토와 다른 색상의 제2 이색토로 메워 상기 이색토의 높낮이를 형성하고,
    상기 정형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색토로 메운 부위의 높낮이 차이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표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0349A 2020-05-20 2020-05-20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KR10239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49A KR102396610B1 (ko) 2020-05-20 2020-05-20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49A KR102396610B1 (ko) 2020-05-20 2020-05-20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00A KR20210143500A (ko) 2021-11-29
KR102396610B1 true KR102396610B1 (ko) 2022-05-12

Family

ID=7869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49A KR102396610B1 (ko) 2020-05-20 2020-05-20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6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01A (ja) * 1983-06-29 1985-01-18 太田 正之 単板の端面衝合装置
KR101833265B1 (ko) * 2014-11-17 2018-02-28 김인태 파인 세라믹 기재상에서의 색상 구현 방법
KR200479011Y1 (ko) 2015-06-25 2015-12-09 노현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00A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8777B (zh) 一种陶瓷雕刻工艺
US5866225A (en) Mosaic reproductions on a tile substrate
CN101823395A (zh) 一种陶瓷制品的制作方法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KR100360624B1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4528227A (en) Mosaic style artwork
KR102396610B1 (ko)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CN110156495A (zh) 一种3d釉面的施釉工艺方法
US6696136B2 (en) Mosaic decoration having a planar surface
CN107627780A (zh) 浮雕装饰墙面形成方法
US3925586A (en) Stencil casting process and resulting architectural art product
US6309491B1 (en) Method of making decorative pottery
CN110128101A (zh) 方型陶土浮雕板材的制备工艺
KR100592340B1 (ko) 입체 유리타일의 제조방법
KR102224455B1 (ko)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86722B1 (ko)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KR200424950Y1 (ko) 가로수 보호블록
KR102634792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KR102065210B1 (ko)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234526U (zh) 具有立体结构的艺术饰板
CN107521278A (zh) 立体瓷雕与大漆结合的工艺品及其制备工艺
KR20090119430A (ko) 가구재 및 가구재 제작방법
KR200416510Y1 (ko) 무늬부를 갖는 인조대리석
JP2000026178A (ja) 金装飾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048797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ttery provided with flowing patterns or spreading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