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210B1 -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210B1
KR102065210B1 KR1020170012475A KR20170012475A KR102065210B1 KR 102065210 B1 KR102065210 B1 KR 102065210B1 KR 1020170012475 A KR1020170012475 A KR 1020170012475A KR 20170012475 A KR20170012475 A KR 20170012475A KR 102065210 B1 KR102065210 B1 KR 10206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ing
gravure
foam layer
rotar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997A (ko
Inventor
이봄
이시영
정근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1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2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보가 깊게 형성됨으로써 입체감이 부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품 하중이 최소화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embossing wall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벽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엠보가 깊게 형성됨으로써 입체감이 부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품 하중이 최소화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상당 부분이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있다.
이때, 콘크리트면이 직접 노출되면 내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구조물의 내외부에 내장재 및 외장재를 덧붙여 내외관의 미려함을 높이고 있다.
이때, 내장재 중의 하나로 건축구조물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벽지가 있다.
벽지는 컬러 및 무늬가 다양하므로 이를 통해 건축구조물의 내벽면을 다양하게 장식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473호(공고일 : 2002. 09. 0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일부 벽지는 표면에 엠보가 형성됨으로써 엠보에 의해 입체감이 부여된다.
이때, 종래 엠보 벽지(A')의 엠보(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기재층(10'), PVC(Polyvinyl Chloride) 발포층(20'), 그라비아 인쇄층(30') 중에서 PVC 발포층(20')과 그라비아 인쇄층(30') 걸쳐 형성되었던바, 그 깊이가 통상 0.6mm 이하였으므로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PVC 발포층의 전체 두께를 높임으로써 해소될 수 있으나, PVC 발포층의 전체 두께를 높이게 되면 제품 하중 증가가 상당하여 시공 과정에서 부착 및 취급 등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벽지는 그 하중이 400g/m 이하 일 때 시공이 가능, 즉 부착 및 취급 등이 가능하나, PVC 발포층의 전체 두께를 높일 경우, 제품 하중이 400g/m를 초과하게 되어 시공 과정에서 부착 및 취급 등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엠보가 깊게 형성됨으로써 입체감이 부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품 하중이 최소화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엠보 벽지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엠보 벽지에서 엠보의 깊이가 미미함에 따라 엠보에 의한 입체감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엠보 벽지에서 PVC 발포층의 두께를 높일 때 하중 증가가 상담함에 따라 시공 과정에서 부착 및 취급 등이 곤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는, 종이로 형성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되는 PVC 발포층; 상기 PVC 발포층 상부에 형성되는 그라비아 인쇄층;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의 상부에 부분 형성되는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PVC 발포층 및 그라비아 인쇄층에 걸쳐 엠보가 형성된다.
상기 기재층, PVC 발포층, 그라비아 인쇄층,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는 0.5-1.0mm로 형성된다.
상기 경량 엠보 벽지의 최대 하중은 400g/m로 형성된다.
상기 PVC 발포층 및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수지, 가소제, 탄석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가소제 50-100 중량부, 탄석 50-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엠보 미형성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된다.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의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된다.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에 걸쳐 형성되는 엠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에 걸쳐 형성되는 엠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은, 종이로 형성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재층 상면에 PVC 발포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PVC 발포층 상면에 그라비아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 상면 일부에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의 상면에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 및 PVC 발포층을 부분 가압하여 엠보를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상면 일부에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을 형성하는 제5-1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1단계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면에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5-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부분 가압하여 추가로 엠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면에 형성되는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부분 가압하여 추가로 엠보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은, 그라비아 인쇄층 상부에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이 부분 형성되는바,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에 의해 엠보 외측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져 엠보가 깊어지므로 엠보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부의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상부에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이 형성될 수 있는바,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에 의해 엠보 외측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져 엠보가 깊어지므로 엠보에 의한 입체감이 더욱 부각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에 의해 엠보의 양각부가 도드라지는바, PVC 발포층의 두께를 이전에 비해 낮추더라도 엠보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PVC 발포층의 두께 감소에 따른 하중 감소에 의해 제품이 경량화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4는 종래 엠보 벽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A)는, 기재층(10), PVC 발포층(20), 그라비아 인쇄층(30),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및 엠보(60)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0)은 종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기재층(10)은 일반 벽지의 기재층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는바, 상기 기재층(1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PVC 발포층(20)은 상기 기재층(10) 상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PVC 발포층(20)은, 수지, 가소제, 탄석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가소제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도가 높아져 상기 기재층(10)에 도포가 곤란할 수 있고,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가소제 1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졸의 점도가 낮아져 가소제의 블리딩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탄석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엠보 형성 이후 단시간 내에 냉각하지 않을 때 엠보가 빠르게 복원될 수 있고, 수지 100 중량부 대비 탄석 2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상기 기재층(10)에 도포가 곤란할 수 있고, 발포 배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발포면이 불균일할 수 있고, 하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포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가소제 50-100 중량부, 탄석 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은 상기 PVC 발포층(20) 상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은 안료를 포함하는 인쇄 조성물로써 형성되는바, 안료에 의해 착색되므로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형성에 의해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된다.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부에 부분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부에 부분 형성되되, 상기 엠보(60) 미형성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노출이 가능하여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착색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도드라짐에 따라 상기 엠보(60)가 깊어질 수 있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된다.
이때,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은 수지, 가소제, 탄석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상기 발포 조성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은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상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은, 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 조성물로써 형성되되,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됨으로써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된다.
이때,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상부에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일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노출이 가능하여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착색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짐에 따라 상기 엠보(60)가 깊어질 수 있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더욱 부각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의 상부에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은, 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 조성물로써 형성되되,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됨으로써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 및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의 컬러에 의한 장식 효과가 부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은 수지, 가소제, 탄석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상기 발포 조성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60)는 상기 PVC 발포층(20) 및 그라비아 인쇄층(30)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엠보(60)는 상기 엠보(60)는 양각부 및 음각부를 형성하는 것일 뿐이므로 상기 엠보(6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기재층(10), PVC 발포층(20), 그라비아 인쇄층(30),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가 0.5mm 미만인 경우, 시공 과정에서 쉽게 찢어질 수 있고, 상기 기재층(10), PVC 발포층(20), 그라비아 인쇄층(30),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시공 과정에서 부착 등이 곤란할 수 있는바, 상기 기재층(10), PVC 발포층(20), 그라비아 인쇄층(30),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는 0.5-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량 엠보 벽지(A)의 최대 하중이 400g/m를 초과하는 경우, 시공 과정에서 부착 및 취급 등이 곤란할 수 있는바, 상기 경량 엠보 벽지(A)의 최대 하중은 400g/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량 엠보 벽지(A)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에 걸쳐 형성되는 엠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엠보(60)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에 형성되는 무늬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량 엠보 벽지(A)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 및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에 걸쳐 형성되는 엠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엠보(60)는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에 형성되는 무늬를 따라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은, 제1단계(S1), 제2단계(S2), 제3단계(S3), 제4단계(S4), 제5단계(S5) 및 제6단계(S6)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1)는 종이로 형성되는 기재층(10)을 준비한다.
상기 제2단계(S2)는 상기 기재층(10) 상면에 PVC 발포층(20)을 형성한다.
상기 제3단계(S3)는 상기 PVC 발포층(20) 상면에 그라비아 인쇄층(30)을 형성한다.
상기 제4단계(S4)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면 일부에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4단계(S4)에서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상면 일부,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엠보(60) 미형성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도드라지므로 상기 엠보(60)가 깊어질 수 있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된다.
상기 제5단계(S5)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의 상면에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5단계(S5)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상면 일부에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을 형성하는 제5-1단계(S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1단계(S5-1)에 의해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도드라지므로 상기 엠보(60)가 깊어질 수 있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된다.
그리고 상기 제5-1단계(S5-1)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 상면에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을 형성하는 제5-2단계(S5-2)를 포함한다.
상기 제5-2단계(S5-2)에 의해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과의 착색 컬러 차이에 의해 장식 효과가 부각된다.
상기 제6단계(S6)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및 PVC 발포층(20)을 부분 가압하여 엠보(6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6단계(S6)에서 상기 엠보(60)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에 형성되는 무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엠보(60)에 의해 상기 무늬의 입체감이 부각된다.
한편, 상기 제6단계(S6)에서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을 부분 가압하여 추가로 엠보(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형성되는 상기 엠보(60)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에 형성되는 무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이에 의해 상기 무늬의 입체감이 부각된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에서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 및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을 부분 가압하여 추가로 엠보(6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더 형성되는 상기 엠보(60)는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에 형성되는 무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이에 의해 상기 무늬의 입체감이 부각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A)는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및 상기 PVC 발포층(20)의 두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엠보(60) 형성 깊이가 제한될 수밖에 없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미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상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면의 엠보(60) 미형성 부위에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이 형성되는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지므로 이에 의해 상기 엠보(60)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된다.
이때,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의 상면에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된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이 형성되는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착색 컬러 및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착색 컬러에 의해 장식 효과가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상면 일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지므로 이에 의해 상기 엠보(60)가 깊이가 더욱 깊어질 수 있어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더욱 부각된다.
이때,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의 상면에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된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이 형성되는바,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의 착색 컬러,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의 착색 컬러 및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80)의 착색 컬러에 의해 장식 효과가 부여된다.
한편,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부로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등이 형성됨에 따라 제품 하중이 증가하여 제품 최대 하중이 400g/m를 초과하게 되면 부착 및 취급 등이 곤란해져 시공이 불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엠보(60) 외측, 즉 양각부가 도드라져 상기 엠보(60)의 깊이가 깊어지는바, 상기 PVC 발포층(20)의 두께를 이전에 비해 낮게 형성할 수 있어 상기 PVC 발포층(20)의 두께 감소에 따라 하중이 감소하므로 이에 의해 제품이 경량화되어 제품 최대 하중을 400g/m 미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시공 과정에서 부착 및 취급 등이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면 일부에 형성되고,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으로 인한 하중 증가는 상기 PVC 발포층(20)의 두께 감소에 따라 하중 감소에 비해 경미한바, 제품이 경량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A)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30) 상부에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이 부분 형성되는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져 상기 엠보(60)가 깊어지므로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부각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상부의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50) 상부에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에 의해 상기 엠보(60) 외측 양각부가 더욱 도드라져 상기 엠보(60)가 깊어지므로 상기 엠보(60)에 의한 입체감이 더욱 부각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40) 및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70)에 의해 상기 엠보(60)의 양각부가 도드라지는바, 상기 PVC 발포층(20)의 두께를 이전에 비해 낮추더라도 상기 엠보(60)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PVC 발포층(20)의 두께 감소에 따른 하중 감소에 의해 제품이 경량화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기재층 20, 20' : PVC 발포층
30, 30' : 그라비아 인쇄층 40 :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50 :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60, 60' : 엠보
70 :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80 :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A, A' : 엠보 벽지 S1 : 제1단계
S2 : 제2단계 S3 : 제3단계
S4 : 제4단계 S5 : 제5단계
S5-1 : 제5-1단계 S5-2 : 제5-2단계
S6 : 제6단계

Claims (19)

  1. 종이로 형성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되는 PVC(Polyvinyl Chloride) 발포층;
    상기 PVC 발포층 상부에 형성되는 그라비아 인쇄층;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의 상부에 부분 형성되는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PVC 발포층 및 그라비아 인쇄층을 부분 가압하여 상기 PVC 발포층 및 그라비아 인쇄층에 걸쳐 엠보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의 상부 엠보 이외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PVC 발포층, 그라비아 인쇄층,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는 0.5-1.0mm로 형성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엠보 벽지의 최대 하중은 400g/m로 형성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 발포층 및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수지, 가소제, 탄석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로써 형성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가소제 50-100 중량부, 탄석 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을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은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에 걸쳐 형성되는 엠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에 걸쳐 형성되는 엠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15. 종이로 형성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재층 상면에 PVC 발포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PVC 발포층 상면에 그라비아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 상면 일부에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의 상면에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 및 PVC 발포층을 부분 가압하여 상기 PVC 발포층 및 그라비아 인쇄층에 걸쳐 엠보를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의 상부 엠보 이외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층과 상이한 컬러로 착색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상면 일부에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을 형성하는 제5-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5-1단계는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면에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형성하는 제5-2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제1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부분 가압하여 추가로 엠보를 형성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제1그라비아 부분 인쇄층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및 상기 제2로터리스크린 인쇄 발포층 상면에 형성되는 제2그라비아 부분 인쇄층을 부분 가압하여 추가로 엠보를 더 형성하는 것인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제조방법.
KR1020170012475A 2017-01-26 2017-01-26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75A KR102065210B1 (ko) 2017-01-26 2017-01-26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75A KR102065210B1 (ko) 2017-01-26 2017-01-26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97A KR20180087997A (ko) 2018-08-03
KR102065210B1 true KR102065210B1 (ko) 2020-01-10

Family

ID=6325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475A KR102065210B1 (ko) 2017-01-26 2017-01-26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2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05Y1 (ko) 2002-10-04 2003-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적 엠보 무늬의 고후도 초경량 벽지
KR100376604B1 (ko) * 2000-10-23 2003-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형상을 가지는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10133B1 (ko) * 2010-12-30 2012-12-07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논피브이씨 수지를 이용한 발포 엠보 시트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926B1 (ko) * 2015-12-17 2016-06-21 주식회사 제일벽지 수지층 및 그라비아인쇄층을 발포하여 입체무늬를 갖는 벽지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604B1 (ko) * 2000-10-23 2003-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형상을 가지는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6305Y1 (ko) 2002-10-04 2003-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적 엠보 무늬의 고후도 초경량 벽지
KR101210133B1 (ko) * 2010-12-30 2012-12-07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논피브이씨 수지를 이용한 발포 엠보 시트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926B1 (ko) * 2015-12-17 2016-06-21 주식회사 제일벽지 수지층 및 그라비아인쇄층을 발포하여 입체무늬를 갖는 벽지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97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8277B (zh) 一种3d装饰膜及其制作方法
KR20130080938A (ko) Pvc를 이용한 바닥재 및 이 바닥재의 시공 방법
CN102795046A (zh) 一种油泥浮雕画的制作方法
CN104736350A (zh) 在冲压带和冲压板上的表面结构化
KR20140116580A (ko) 입체감이 우수한 엠보무늬 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벽지
KR102065210B1 (ko)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07053A (zh) 一种具有裂纹的地板及其制备方法
CN102910015B (zh) 一种反画反贴制作工艺
KR101263093B1 (ko)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KR20110103770A (ko) 타공으로 이미지를 연출한 고밀도 목재패널
KR200459941Y1 (ko) 건축자재용 표면재
KR101368613B1 (ko) 금속상감 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
KR200299622Y1 (ko) 다중입체무늬의 바닥장식재
CN2571879Y (zh) 具有装饰效果的装饰板材
US1220850A (en) Process for producing stencils for decorating fabrics.
CN214271495U (zh) 一种绒面壁纸
KR102396610B1 (ko)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CN101343917B (zh) 绿色环保装饰材料及其制造方法
KR200318305Y1 (ko) 엠보 심도차이를 이용한 장식재
KR980007041U (ko) 2단 인쇄에 의한 입체감을 갖는 바닥재
CN106427144B (zh) 三色板
JPH01320197A (ja) 装飾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321049Y1 (ko) 엠보심도차이를이용한바닥재
JPH0634400Y2 (ja) 壁 紙
KR20010086917A (ko)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