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093B1 -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093B1
KR101263093B1 KR1020110046082A KR20110046082A KR101263093B1 KR 101263093 B1 KR101263093 B1 KR 101263093B1 KR 1020110046082 A KR1020110046082 A KR 1020110046082A KR 20110046082 A KR20110046082 A KR 20110046082A KR 101263093 B1 KR101263093 B1 KR 10126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ji
weight
additive
foaming
dimension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250A (ko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102011004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0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07Materials belonging to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Abstract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제조방법은 한지에 라바 52~65중량%, 발포제 34~45중량%, 증점제 1~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된 첨가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첨가물의 상부를 한지로 덮는 합지단계; 상기 합지단계를 거친 후 그늘에서 1~5일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후 열전사프레스로 발포하는 발포단계;로 이루어져, 한지와 한지 사이의 첨가물질을 조절하여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발포정도를 조절하여 곡선부분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에 한지가 형성되어 있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분접착제만으로도 접착이 매우 용이하여 한지공예작업시 기존 한지배접문양과 동일한 작업성과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한지와 한지 사이에 첨가되는 첨가물질이 종이처럼 열에 타는 물질이 아니라 물에 녹는 물질이기 때문에 레이져 커팅시에도 절단면에 탄흔이 생기지 않아 외관상 매우 깨끗하고, 첨가물에 색상을 조절하여 양면에 구성된 한지의 색상과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배색을 가미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METHOD TO PRODUCE KOREAN PAPER FOR SOLID PATTERN}
본 발명은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지에 라바 52~65중량%, 발포제 34~45중량%, 증점제 1~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된 첨가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첨가물의 상부를 한지로 덮는 합지단계; 상기 합지단계를 거친 후 그늘에서 1~5일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후 열전사프레스로 발포하는 발포단계;로 이루어져, 한지와 한지 사이의 첨가물질을 조절하여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발포정도를 조절하여 곡선부분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에 한지가 형성되어 있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분접착제만으로도 접착이 매우 용이하여 한지공예작업시 기존 한지배접문양과 동일한 작업성과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입체무늬용 한지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지는 한국 고유의 기법으로 뜬 독특한 종이를 일컫는 말로, 닥나무를 비롯하여 뽕나무, 삼지닥나무, 산닥나무 등의 껍질로부터 얻은 인피섬유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수록지 초지방법으로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특유의 무늬는 우리나라 전통의 멋을 잘 나타냄에 따라 각종 장식 및 마감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한지는 과거에는 평면적인 무늬를 주로 표현하였지만, 근래에는 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입체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다. 그러나 한지의 재질의 특성상 입체무늬를 나타내는 것이 매우 힘들었으며, 이에 따라 한지를 입체무늬로 형성하여 무엇보다 뚜렷하고 고급스러운 입체무늬를 표현할 수 있고,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과 같은 장식할 표면에 이를 부착할 수 있으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한지의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식수단의 제공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한지의 입체문양을 제조하기 위하여 한지를 여러 겹 붙여 두께를 두껍게 유지하여 컷팅하여 입체무늬를 만들었으나, 이는 한지가 고가이기 때문에, 고가인 한지를 여러 겹 붙여 제작하는 것은 경제성이 떨어져 상품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한지를 여러 겹 붙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가인 한지를 여러 겹 붙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지와 한지 사이에 합지를 붙여 두께를 유지한 후 컷팅을 하여 입체무늬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컷팅시에 주로 레이져 컷팅을 하기 때문에, 컷팅 면에 탄흔이 생겨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지와 한지 사이의 첨가물질을 조절하여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발포정도를 조절하여 곡선부분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에 한지가 형성되어 있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분접착제만으로도 접착이 매우 용이하여 한지공예작업시 기존 한지배접문양과 동일한 작업성과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한지와 한지 사이에 첨가되는 첨가물질이 종이처럼 열에 타는 물질이 아니라 열에 녹는 물질이기 때문에 레이져 커팅시에도 절단면에 탄흔이 생기지 않아 외관상 매우 깨끗하고, 첨가물에 색상을 조절하여 양면에 구성된 한지의 색상과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배색을 가미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제조방법은 한지에 라바 52~65중량%, 발포제 34~45중량%, 증점제 1~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된 첨가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첨가물의 상부를 한지로 덮는 합지단계; 상기 합지단계를 거친 후 그늘에서 1~5일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후 열전사프레스로 발포하는 발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의 상기 첨가물을 기준으로 호분 2~7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의 상기 첨가물을 기준으로 염료 또는 안료의 착색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에서 상기 첨가물을 도포한 후에 열경화성수지를 도포하고 합지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열가공 프레스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형성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은 한지와 한지 사이의 첨가물질을 조절하여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발포정도를 조절하여 곡선부분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에 한지가 형성되어 있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분접착제만으로도 접착이 매우 용이하여 한지공예작업시 기존 한지배접문양과 동일한 작업성과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지와 한지 사이에 첨가되는 첨가물질이 종이처럼 열에 타는 물질이 아니라 열에 녹는 물질이기 때문에 레이져 커팅시에도 절단면에 탄흔이 생기지 않아 외관상 매우 깨끗하고, 첨가물에 색상을 조절하여 양면에 구성된 한지의 색상과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배색을 가미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은 한지(100)에 라바 52~65중량%, 발포제 34~45중량%, 증점제 1~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된 첨가물(200)을 도포하는 도포단계(S1);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첨가물(200)의 상부를 한지(300)로 덮는 합지단계(S2); 상기 합지단계를 거친 후 그늘에서 1~5일간 건조하는 건조단계(S3);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후 열전사프레스로 발포하는 발포단계(S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단계(S1)는 한지(100)에 라바 52~65중량%, 발포제 34~45중량%, 증점제 1~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된 첨가물(200)을 도포한다.
상기 라바는 러버(rubber)라고 불리우고 있는데, 상품명 NEWPLEX RB-4NF이고 재료는 Acrylic copolymer compound in an medium 이거나, 상품명 RUBBER WHITE 108NF(화이트)이고 재료는 Acrylic copolymer and titanium oxide compound in an medium이며 내부에 스며들지 않고 쌓이면 얹혀 염료의 역할을 한다.
상기 라바는 상기의 한지(100)와 한지(300) 사이에 위치하여 염료의 역할과 상기 한지(100)와 한지(300)사이의 두께를 두껍게 해주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상기 라바는 상기 한지(100)와 한지(30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에 바로 노출되지 않고, 한지를 통하여 비춰져서 상기 라바의 색상을 은은하게 노출되게 한다.
상기 라바는 한지에 스며들지 않고 쌓이기 때문에, 상기 한지(100)와 한지(300) 사이의 두께를 주어, 입체무늬용 한지, 즉 두께가 있는 한지를 만드는데 적합하다.
상기 라바는 52~65중량%가 구성되는데, 52중량%보다 낮게 구성되면,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의 두께가 두껍지 않아 입체무늬용으로 적합하지 않고, 65중량%보다 더 많이 구성되면,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거나 경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52~65중량%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發泡劑, blowing agent)는 상품명은 FOAMING BINDER NF-9 이고 재료는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and biowing agent compound in aqueous medium이다. 이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과 배합해 기포를 만들어 내는 물질을 총칭한다. 수지 또는 고무의 종류와 특성·용도·가공방법·조건 등에 따라 적합한 발포제를 선택해야 하는데, 크게 화학적 발포제와 물리적 발포제의 두 종류로 나뉜다.
상기 발포제를 상기 라바와 혼합하여 상기 라바가 발포하도록 하여 상기 한지(100)와 한지(300) 사이의 두께를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발포는 열을 가하여 포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발포제는 34~45중량% 구성되는데, 34중량% 이하로 구성되면, 상기 라바가 충분히 발포되지 않아 라바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지 않아 입체무늬용 한지로 적합하지 않고, 45중량%이상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라바의 발포가 너무 과하게 일어나, 상기 한지(100)와 한지(300) 사이에 발포된 공간이 크게 생겨 표면이 매끄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후 한지공예시 컷팅면에 발포공이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나타나기 때문에, 34~45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增粘劑,thickening agent)는 상품명은 RYOPRINT PTF이고 재료는 Dispersion of an acrylic copolymer in an aliphatic hydrocarbon이며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서, 상기 라바의 점도를 증가시켜 두께를 두껍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증점제는 상기 라바가 상기 한지(100)의 표면에 도포될 때 흘러내리지 않고 한지(100)의 표면에 두께를 형성하며 쌓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증점제는 1~3중량% 구성되는데, 1중량% 이하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라바가 상기 한지(100)의 표면에서 흘러내려 발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고, 3중량% 이상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라바의 점도가 강해서 뭉치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 상기 한지(100)의 표면에 일정하게 평탄면을 이룰 수 없게 되기 때문에 1~3중량%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지단계(S2)는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첨가물(200)의 상부를 한지(300)로 덮어 완성한다.
상기 합지단계(S2)는 상기 한지(100)와 한지(300) 사이에 첨가물(2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첨가물(200)에 구성된 라바의 한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여 주며, 양쪽에 한지가 구성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한지공예시 사용하는 전분풀만으로도 본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를 재단하여 접착이 용이하고, 기존 한지의 배접 문양과 동일한 작업성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3)는 상기 합지단계를 거친 후 그늘에서 1~5일간 건조하여 완성한다.
상기 건조단계시에는 그늘에서 건조하여야 하는데,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시에는 변색이나 외형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후조건이나 실내건조시 환경에 따라 1일 내지 5일 건조시키는데, 1일 이상 건조하여야 완전히 건조가 되고, 5일 이상 건조할 시에는 역시 변형 등의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1~5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단계(S4)는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후 열전사프레스로 발포하여 완성한다.
상기 발포단계(S4)는 상기 한지(100)(300)사이에 구성된 첨가물(200)에 열을 가하여 발포가 일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열전사프레스를 이용한다. 이때 열전사프레스로 필요한 두께만큼의 간격을 띄우고 프레스하면, 필요한 한지 두께 만큼의 두께로 발포가 이루어진다. 이때 발포는 상기 발포제가 상기 라바의 발포를 유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S1)의 상기 첨가물(200)을 기준으로 호분(220) 2~7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분(胡紛)(220)(CaCO₃)은 흰색 안료. 바닷가 모래사장에 있는 풍화된 대합(大蛤), 굴 등의 조개껍질을 빻아 만들기 때문에 합분(蛤粉)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炭酸石灰)와 소량의 인산석회(燐酸石灰)가 주성분이다. 수비법으로 얻은 가루 중 입자가 굵은 것은 채색의 바탕용으로 쓰이며, 가는 것은 상품(上品)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탄산석회는 순수한 것은 백색분말 부정형 또는 백색결정이며 맛과 냄새가 없다. 연진탄산칼슘은 화학적으로 정제된 것이다.
상기 호분은 안료로 쓰이거나 질감(러버의 쿳션감을 보완하기위해 딱딱하게하는 하기위한 재료로 사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호분(220)은 2~7중량% 첨가되는데 2중량%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안료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7중량%이상 첨가될 경우에는 상기 첨가물(200)이 거칠어져 한지(100)와 한지(300)가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2~7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S1)의 상기 첨가물(200)을 기준으로 염료 또는 안료의 착색제(230)는 상품명은 MINTEX color이고 화학이름으로 YELLOW K, YELLOW GL, YELLOW P인 CI PIGMENT YELLOW 14등이 있으며,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료나 안료는 밝은 색에 진한 칼라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 라바는 진한원단에 라이트한 칼라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착색제(230)는 상품명은 MINTEX color이고 화학이름으로 YELLOW K, YELLOW GL, YELLOW P인 CI PIGMENT YELLOW 14등이 있으며, 첨가하여 한지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을 다양하게 배색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230)의 양은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원하는 양을 첨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극소량에서부터 극대량까지 원하는 색상에 맞추어 상기 첨가물(200)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S1)에서 상기 첨가물(200)을 도포한 후에 열경화성수지(210)를 도포하고 합지단계(S2)를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경화성수지(210)는 상기 한지(100)의 상부에 상기 첨가물(200)을 도포한 후 상기 첨가물(200)의 상부에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수지(210)를 도포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가 내부의 첨가물(200)이 발포되어 소프트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일측면에 상기 열경화성수지(210)를 도포하여 프레스하면 상기 열경화성수지(210)는 경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가 소프트하지 않고 경화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를 소프트하게 또는 하드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수지(210)를 사용하여 경화시키면 곡선부분 등의 표현을 할 때 한지가 밀리거나 찢기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원하는 대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포단계(S4)를 거친 후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프레스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형성단계(S5)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발포단계(S4)까지 거친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는 상기의 상태대로 레이켜컷팅기로 재단하여 입체무늬 공예를 하여도 되지만, 상기와 같이 무늬형성단계(S5)를 더 거쳐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 자체에 입체무늬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양각 또는 음각판에 한지를 올려놓고 열프레스로 가압하여 음각판의 공간에는 발포가 많고 양각된 부분에는 공간이 적어 발포가 적게되어 입체무늬를 만드는 것이다.
즉, 발포되어 부풀려진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를 원하는 형상 또는 글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프레스로 일정시간동안 가압하게 되면, 본 발명의 입체무늬용 한지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입체문양 또는 글씨가 표현되는 것이다.
1 :입체무늬용 한지 100 : 한지
200 : 첨가물 210 : 열경화성수지
220 : 호분(CaCO₃) 230 : 착색제(MINTEX color)
300 : 한지
S1 : 도포단계 S2 : 합지단계
S3 : 건조단계 S4 : 발포단계
S5 : 음각무늬 형성단계

Claims (5)

  1. 한지(100)에 라바 52~65중량%, 발포제 34~45중량%, 증점제 1~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된 첨가물(200)을 도포하는 도포단계(S1);
    상기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첨가물(200)의 상부를 한지(300)로 덮는 합지단계(S2);
    상기 합지단계를 거친 후 그늘에서 1~5일간 건조하는 건조단계(S3);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후 열전사프레스로 발포하는 발포단계(S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S1)의 상기 첨가물(200)을 기준으로 호분(220)(CaCO₃) 2~7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S1)의 상기 첨가물(200)을 기준으로 염료 또는 안료의 착색제(230)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S1)에서 상기 첨가물(200)을 도포한 후에 열경화성수지(210)를 도포하고 합지단계(S2)를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단계(S4)를 거친 후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프레스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형성단계(S5)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KR1020110046082A 2011-05-17 2011-05-17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KR10126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082A KR101263093B1 (ko) 2011-05-17 2011-05-17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082A KR101263093B1 (ko) 2011-05-17 2011-05-17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250A KR20120128250A (ko) 2012-11-27
KR101263093B1 true KR101263093B1 (ko) 2013-05-09

Family

ID=4751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082A KR101263093B1 (ko) 2011-05-17 2011-05-17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180B1 (ko) * 2022-07-27 2023-04-24 이향락 한지가 적용된 건축물의 바닥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2Y1 (ko) 2005-08-19 2005-11-03 박의석 인테리어용 방수한지 합지판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2Y1 (ko) 2005-08-19 2005-11-03 박의석 인테리어용 방수한지 합지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250A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61358A (zh) 一种仿石纹立体装饰效果的瓷质砖及其生产方法
CN103862905A (zh) 腰线水转印处理工艺
CN101157321A (zh) 立体布艺年画及其制作方法
CN101275429B (zh) 天然彩色软木拼花地毯或地板制备方法
CN2925925Y (zh) 彩妆雕刻板
KR101263093B1 (ko)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CN103407317A (zh) 瓷砖彩雕喷绘工艺及其制品
CN103306449B (zh) 浮雕板及其成型工艺
CN101633186B (zh) 一种重组木艺术装饰板板材及其成型方法
KR20100086648A (ko) 음각 및 양각 문양 조각 효과를 갖는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2910015B (zh) 一种反画反贴制作工艺
CN205380929U (zh) 一种纺织面料的凸起压花结构
CN204186020U (zh) 一种石头纸基负离子墙壁纸
CN201769251U (zh) 环保板材
KR101391590B1 (ko) 컬러합판 및 이를 이용한 컬러 서각작품의 제작방법
CN201484039U (zh) 一种重组木艺术装饰板板材和重组木艺术装饰板
CN207859628U (zh) 一种用于木质家具上的装饰印刷纸
KR200459941Y1 (ko) 건축자재용 표면재
CN106079824B (zh) 一种镂空式软木布料加工工艺
CN206106532U (zh) 无机人造石纤维水泥复合板
KR200299622Y1 (ko) 다중입체무늬의 바닥장식재
CN206319524U (zh) 一种木皮复合瓷砖
CN107672366A (zh) 一种家具或装饰品的深雕刻加工工艺
CN211949353U (zh) 一种无痕装饰石材及板材
KR102065210B1 (ko) 혼합 인쇄를 이용한 경량 엠보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