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11Y1 -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 Google Patents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11Y1
KR200479011Y1 KR2020150004257U KR20150004257U KR200479011Y1 KR 200479011 Y1 KR200479011 Y1 KR 200479011Y1 KR 2020150004257 U KR2020150004257 U KR 2020150004257U KR 20150004257 U KR20150004257 U KR 20150004257U KR 200479011 Y1 KR200479011 Y1 KR 200479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ceramics
present
r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
Original Assignee
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 filed Critical 노현
Priority to KR2020150004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를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완충링을 이용하여 적층하여 도자기에서 풍기는 심미감을 통해 전체적인 외장미를 향상시키고, 편백나무에 함유된 천연 항균물질(피톤치드)과 고유한 향기를 통해 살균 작용과 잡 냄새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또한 최상부에 조형물, 선반대 또는 옷걸이구 등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결합시켜 장식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ORNAMENTS USING A POTTERY}
본 고안은 실내·외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를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완충링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며, 편백나무에 함유된 천연 항균물질(피톤치드)과 고유한 향기를 통해 살균 작용과 잡 냄새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최상부에 조형물, 선반대 또는 옷걸이구 등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결합시켜 장식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흙을 빚어 높은 온도의 불에서 구워낸 그릇이나 장식물로서, 크게 1,200℃ 이하의 온도에서 구운 도기(陶器)와 1,300~1,350℃에서 구운 자기(磁器)로 분류할 수 있고, 그 원료로는 점토, 장석, 규석, 도석 등의 무기물질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성형한 다음, 열을 가하여 경화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도자기는 제조방법에 따라 그 자체로 은은하면서 맑고 신비한 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표면에 다양하고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도자기마다 독자적인 창안에 의한 이채로운 심미감을 제공함에 따라 최근 들어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들은 대부분 반지, 귀걸이, 목걸이, 브로치, 팔찌, 머리 장식구, 휴대폰 고리, 열쇠고리, 가방고리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에 부착하거나, 생활용품에 장착하는 장식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실내·외에 설치되어 전시되는 장식품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즉, 실내·외에 설치되는 장식품들은 벽돌 또는 타일 형태로 제작되어 벽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거나, 혹은 도자기 그 자체를 도자기 받침대에 올려놓고 전시하는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그 활용도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KR 10-1998-082649 A, (1998. 12. 05) KR 10-2010-0133798 A, (2010. 12. 22) KR 10-2014-0101569 A, (2014. 08. 20) KR 20-0174884 Y1, (2000. 01. 04)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고안은 실내·외의 일정 공간에 일정한 입체성을 갖고 설치되어 전시가 가능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제공하여 도자기의 활용도를 개선하면서, 도자기에서 풍기는 심미감을 통해 전체적인 외장미를 향상시키고, 살균작용과 향기를 통해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에 유익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에 별도의 조형물을 결합하여 장식성을 극대화하거나, 혹은 선반대 및 옷걸이구 등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결합시켜 장식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식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은, 도자기로 이루어진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를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완충링과, 도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결합된 장식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에 걸림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받침부, 상기 완충링 및 상기 장식체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볼트와, 상기 장식체의 하부 내측에 걸림되고, 상기 바디부의 종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식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너트에 의해 상기 장식체의 상부에 체결되고,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마감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링의 상부에 체결된 선반대, 옷걸이구 또는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물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외의 일정 공간에 일정한 입체성을 갖고 설치되어 전시가 가능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제공함으로써 도자기의 활용도를 개선하면서, 도자기에서 풍기는 심미감을 통해 전체적인 외장미를 향상시키고, 살균작용과 향기를 통해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을 갖는 조형물, 선반대 또는 옷걸이구 등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제품이 결합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장식품의 심미감과 장식성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10)은 받침부(11)와,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를 받침부(11)의 상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받침부(1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도자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장식품(10)이 지면(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지면에 접면하는 하부가 수평면을 가지고 내부가 빈 반구형 구조의 도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의 외면에는 동양의 아름다움과 심미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양 및 형상, 예를 들면 식물, 동물 또는 건축물(구조물) 등이 새겨질 수 있다.
상기 장식부는 받침부(11)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장식부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4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로서, 사용자(고객)의 취향과 설치장소의 공간을 고려하여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부는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완충링(13-1, 13-2, 13-3, 13-4)과, 도자기로 이루어진 장식체(12-1, 12-2, 12-3, 12-4)를 포함한다. 또한, 장식부 중 최상층에 적층된 장식체(12-4)의 상부를 덮는 마감링(13-5, 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링(13-1, 13-2, 13-3, 13-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의 볼트(14)가 관통하는 중공(13-1a, 13-2a, 13-3a, 13-4a)을 구비하여 비교적 깨지기 쉬운 도자기로 이루어진 받침부(11)와 장식체(12-1, 12-2, 12-3, 12-4)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받침부(11)와 장식체(12-1)를 상호 결합하거나 장식체들(12-1, 12-2, 12-3, 12-4)을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침부(11)와 장식체(12-1), 장식체들(12-1, 12-2, 12-3, 12-4)이 서로 직접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링(13-1, 13-2, 13-3, 13-4)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목재, 즉, 편백나무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받침부(11)와 장식체(12-1), 그리고 장식체들(12-1, 12-2, 12-3, 12-4)을 상호 결합할 때 가해지는 힘(즉 볼트(14)와 너트(15-1, 15-2, 15-3, 15-4) 간의 결합력에 상응하는 조임력)을 완화시켜 받침부(11)와 장식체(12-1, 12-2, 12-3, 12-4) 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받침부(11)와 장식체(12-1), 장식체들(12-1, 12-2, 12-3, 12-4)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링(13-1, 13-2, 13-3, 13-4)은 각각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난 편백나무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심적 안정성을 제공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편백나무에는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 냄새도 없애 줌에 따라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기를 정화시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장식체(12-1, 12-2, 12-3, 12-4)는 받침부(11)와 마찬가지로 도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그 형상에 있어서 받침부(11)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체(12-1, 12-2, 12-3, 12-4)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원형 또는 항아리 형상을 갖는 도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장식체(12-1, 12-2, 12-3, 12-4)는 서로 동일하거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식체(12-1, 12-2, 12-3, 12-4)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지름을 갖는 원형 또는 항아리 형상의 도자기를 접착시켜 적층시킨 구조, 예를 들면 상하로 '8'자형, 아령 구조, 장구형 또는 절구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체(12-1, 12-2, 12-3, 12-4)는 외면에 받침부(11)와 마찬가지로, 동양의 아름다움과 심미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양 및 형상, 예를 들면 식물, 동물 또는 건축물(구조물) 등이 새겨질 수 있다. 이때, 장식체(12-1, 12-2, 12-3, 12-4)에 형성된 문양 및 형상은 받침부(11)의 외면에 새겨진 문양 및 형상과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부(11)와 장식체(12-1, 12-2, 12-3, 12-4)의 외면에 새겨진 문양 및 형상은 서로 일체화된 단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링(13-5, 13-6)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볼트(14)가 관통하는 중공(13-5a, 13-6a)을 구비하여 장식체들 중 최상부에 체결된 장식체(1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장식체(12-4)의 상부를 덮는다. 이러한 마감링(13-5, 13-6)은 완충링(13-1, 13-2, 13-3, 13-4)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탄성을 갖는 목재, 즉 편백나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볼트(14)와 너트들(15-1, 15-2, 15-3, 15-4, 15-5)를 포함한다. 볼트(14)는 받침부(11)의 상부 내측에 걸림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신장되어 받침부(11), 완충링들(13-1, 13-2, 13-3, 13-4), 장식체들(12-1, 12-2, 12-3, 12-4) 및 마감링들(13-5, 13-6)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너트들(15-1, 15-2, 15-3, 15-4, 15-5)은 장식체(12-1, 12-2, 12-3, 12-4)의 하부 내측에 걸림되고, 상기 바디부의 종단부에 체결된다.
장식체들(12-1, 12-2, 12-3, 12-4)의 하부 내측부와 너트들(15-1, 15-2, 15-3, 15-4, 15-5) 사이에는 장식체들(12-1, 12-2, 12-3, 12-4)과 너트들(15-1, 15-2, 15-3, 15-4, 15-5)이 직접 접촉되어 장식체들(12-1, 12-2, 12-3, 12-4)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의 와셔(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셔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 또는 목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장식품은 장식체들(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부가 투시되는 조명창(도시되지 않음)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창이 마련된 장식체 내부에는 다수의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LED 모듈이 내장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산된 빛이 상기 조명창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여 은은한 조명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심미감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명창은 장식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 예를 들면, 비교적 얇은 아크릴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10)과 마찬가지로 받침부(11), 장식체들(12-1, 12-2, 12-3, 12-4), 완충링들(13-1, 13-2, 13-3, 13-4), 볼트(14), 너트들(15-1, 15-2, 15-3, 15-4, 15-4, 15-5) 및 마감링(13-5, 13-6)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된 옷걸이구(21)를 더 포함한다.
옷걸이구(21)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판(211)과, 체결판(211)의 중앙부로부터 상부로 신장된 지지봉(212)과, 지지봉(212)에 결합된 걸이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결판(211)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혹은 나사를 통해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되거나, 혹은 하부에 결합홈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볼트(14)의 종단부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10)과 마찬가지로 받침부(11), 장식체들(12-1, 12-2, 12-3, 12-4), 완충링들(13-1, 13-2, 13-3, 13-4), 볼트(14), 너트들(15-1, 15-2, 15-3, 15-4, 15-4, 15-5) 및 마감링(13-5, 13-6)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된 선반대(31)를 더 포함한다.
선반대(31)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마감링(13-6)의 상부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혹은 나사를 통해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되거나, 혹은 하부에 결합홈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볼트(14)의 종단부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20, 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1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마감링(13-6)의 상부에 옷걸이구(21) 또는 선반대(31)를 설치함으로써 장식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10)과 마찬가지로 받침부(11), 장식체들(12-1, 12-2, 12-3, 12-4), 완충링들(13-1, 13-2, 13-3, 13-4), 볼트(14), 너트들(15-1, 15-2, 15-3, 15-4, 15-4, 15-5) 및 마감링(13-5, 13-6)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된 조형물(41)을 더 포함한다.
조형물(41)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마감링(13-6)의 상부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혹은 나사를 통해 마감링(13-6)의 상부에 체결되거나, 혹은 하부에 결합홈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볼트(14)의 종단부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1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마감링(13-6)의 상부에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물(41), 예를 들면 십자가상, 예수님상, 부처님상 또는 성모마리아상 등과 같은 조형물(41)을 설치함으로써 장식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30, 40 : 장식품
11 : 받침부
12-1, 12-2, 12-3, 12-4 : 장식체
13-1, 13-2, 13-3, 13-4 : 완충링
14 : 볼트
15-1, 15-2, 15-3, 15-4, 15-4, 15-5 : 너트
13-5, 13-6 : 마감링
21 : 옷걸이구
31 : 선반대
41 : 조형물

Claims (4)

  1. 도자기로 이루어진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를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안착되고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완충링과, 도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결합된 장식체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체에는 내부가 투시되는 조명창이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LED 모듈이 내장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조명창을 통해 외부로 조사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에 걸림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받침부, 상기 완충링 및 상기 장식체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장식체의 하부 내측에 걸림되고 상기 바디부의 종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너트에 의해 상기 장식체의 상부에 체결되고,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마감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링의 상부에 체결된 선반대, 옷걸이구 또는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물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4257U 2015-06-25 2015-06-25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KR200479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57U KR200479011Y1 (ko) 2015-06-25 2015-06-25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57U KR200479011Y1 (ko) 2015-06-25 2015-06-25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11Y1 true KR200479011Y1 (ko) 2015-12-09

Family

ID=5502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257U KR200479011Y1 (ko) 2015-06-25 2015-06-25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500A (ko) 2020-05-20 2021-11-29 김경동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KR102454047B1 (ko) * 2021-05-18 2022-10-12 최수경 실내조명 및 장식기능을 갖는 상징조형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77Y1 (ko) 2009-02-20 2009-12-15 주식회사 윤토 항아리 조형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77Y1 (ko) 2009-02-20 2009-12-15 주식회사 윤토 항아리 조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500A (ko) 2020-05-20 2021-11-29 김경동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KR102454047B1 (ko) * 2021-05-18 2022-10-12 최수경 실내조명 및 장식기능을 갖는 상징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011Y1 (ko)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CN201381624Y (zh) 实木地板
CN204749696U (zh) 具有金属雕塑装饰的陶瓷
KR101354533B1 (ko) 보석조명판넬의 제조방법
CN205800611U (zh) 一种金箔水晶玻璃吊珠
CN204781721U (zh) 一种玄关背景墙
KR100460395B1 (ko) 거리와 주변장식용 화분 및 그 제조방법
CN202611150U (zh) 一种带灯笼的六角形石栏杆
CN101214770A (zh) 具有装饰作用的天然石料艺术品
CN201104675Y (zh) 一种新型装饰家具
CN102979288A (zh) 一种实木地板
KR200163759Y1 (ko) 폐목재를이용한탁자받침대
CN112237136A (zh) 一种可养植富贵竹的陶瓷工艺品
CN202902236U (zh) 仿珍珠草坪状装饰烛台
CN206514166U (zh) 花盆壁灯
CN201598786U (zh) 矿盐板
CN202915317U (zh) 珠钻相辉烛台
CN202469860U (zh) 深筒灯碟
CN203762959U (zh) 欧式美光玉石洁具
CN2602106Y (zh) 一种带花盆的墙面瓷砖
CN202593156U (zh) Led显示器的新型挂件
KR200208772Y1 (ko) 조명등갓 장식물
KR200439139Y1 (ko) 무늬형성물질로 장식된 전등커버
CN203223893U (zh) 叶钻相间装饰烛台
JP3065832U (ja) 素焼き製の多用途造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