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55B1 -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55B1
KR102224455B1 KR1020200112453A KR20200112453A KR102224455B1 KR 102224455 B1 KR102224455 B1 KR 102224455B1 KR 1020200112453 A KR1020200112453 A KR 1020200112453A KR 20200112453 A KR20200112453 A KR 20200112453A KR 102224455 B1 KR102224455 B1 KR 10222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imensional
ceramic composition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은
Original Assignee
김채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은 filed Critical 김채은
Priority to KR102020011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5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produced by processes involving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4Colouring ma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09Pigments for ceram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44Zirconium oxides, zirconates, hafnium oxides, hafn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27Silicates other than clay, e.g. water glass
    • C04B2235/3463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mul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3Nitrates or nit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4Halide containing anions, e.g. bromide, iodate, chlorite
    • C04B2235/445Fluoride containing anions, e.g. fluosilic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은,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안료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 상기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면에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지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 그림 오브젝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도자기 그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도자기 조성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를 제작하는 제 1 단계; 상기 베이스 면에 상기 도자기 조성물을 발라 그림 오브젝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그림 오브젝트가 형성된 액자를 소성 처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림 오브젝트 및 그림 오브젝트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액자를 통해 입체 도자기 그림에 입체감을 부여 및 재질의 통일성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THREE-DIMENSIONAL CERAMIC PAINTING USING CERAM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FOR}
본 발명은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도기 또는 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그림에 입체적 형상 및 질감을 부가함으로써 유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입체감을 통해 심미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도기와 자기를 총칭하는 합성어로써 일상적으로는 도기 및 자기를 구분하여 부르지 않고 도자기로 부르고 있지만 도기와 자기의 원료와 제조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우선, 도기는 진흙으로 형태를 빚은 다음 1100℃ 이하의 온도에서 구워내 모양을 잡은 것으로서, 도기에 사용되는 진흙은 쉽게 구할 수 있고 요구되는 온도 또한 매우 높지 않아 고대 인류가 가장 먼저 창조한 도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기를 구울 때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는데, 이를 통해 진흙의 금속 성분이 산화되어 흙의 탁한 색깔이 드러나고, 높지 않은 경도 및 강도를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더불어, 자기는 규석, 장석과 같은 돌을 으깬 가루를 반죽하고 형태를 빚은 다음 1200℃ 이상의 온도에서 구워내 모양을 잡은 것으로서, 도기의 원료인 진흙과 달리 형태를 빚기 어렵고 높은 온도가 요구되어 도기보다 늦게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나, 수려한 광택과 경도를 가진 자기는 예로부터 생활용품 또는 예술 작품으로 우리의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도기와 자기의 총칭인 도자기에는 학, 소나무, 꽃과 같은 다양한 그림을 포함시켜 심미적인 요소를 부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흔히 알려진 상감청자의 예를 들면 상감청자에 그림을 포함시키는 기법인 상감 기법은 형태를 빚은 반죽의 표면에 음각으로 홈을 만들고 이 홈에 청자와 다른 색을 띄는 재료를 삽입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상감 기법은 전통적인 기술이므로 이미 고착화되고 고전적인 틀에 국한된 문제점과 함께 그림 자체를 도자기의 표면에 돌출시켜 입체감을 부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유화는 기름에 갠 물감으로 그린 서양화의 한 종류로서, 그림을 그리면 물감이 층층이 쌓이게 되면서 특유의 울퉁불퉁한 질감을 나타낸다.
유화에 질감을 부여하는 채색 기법은 예를 들어, 물감을 두껍게 덧칠하는 기법인 임파스토 및 나이프로 물감을 떠서 바르는 나이프 페인팅 및 건조된 유화 위에 새로운 물감을 발라 색의 변화를 주는 바림과 같은 다양한 기법이 있다.
이러한 채색 기법으로 채색된 유화는 특유의 질감을 통해 어느 정도 입체감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아무리 덧입혀도 물감이 일정 높이 이상 쌓이지 않고 주변으로 퍼지게 되어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입체적인 질감을 가지는 그림을 표현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바, 그림으로서 입체감을 부여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0930086호(발명의 명칭: 입체 그림)이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그림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농담과 원근을 느낄 수 있는 입체 그림에 관한 것인데, 일면에 단위 그림이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투광 부재들과, 투광 부재들의 단위 그림들이 중첩되어 보이도록 투광 부재들을 상호 이격 또는 인접되게 배열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며, 각 단위 그림은 원근에 따라 상기 투광 부재들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원근감을 부여한 그림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투명판에 그려진 여러 개의 그림이 중첩되어 원근감에 의해 입체적으로 보일 수는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또한 결국 3차원적인 입체감이 아닌 원근감에 의한 착시 효과(즉, 실제적인 입체감이 아니라는 의미)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도자기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그림을 통해, 입체적인 그림 기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림이 형성되는 매개 또한 그림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질의 통일성 또한 부가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자기 재료를 매개로 액자의 표면에 그림을 입체적인 그림을 제공함과 아울러 액자 역시 도자기 재료로 형성하여 그림과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는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의 둘레에 격벽을 형성하여 입체감을 강화함과 동시에 액자의 표면에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자기 재료에 더욱 다양한 질감 및 입체감을 부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소성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자기 재료에 균열저감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은,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안료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 상기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면에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지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 그림 오브젝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도자기 그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도자기 조성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를 제작하는 제 1 단계; 상기 베이스 면에 상기 도자기 조성물을 발라 그림 오브젝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그림 오브젝트가 형성된 액자를 소성 처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액자는, 둘레 부위를 따라 기립 형성된 격벽 및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도자기 조성물은, 종이, 스펀지,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1) 도자기 조성물로 그림을 형성하여 입체적인 그림을 제공하면서 액자 역시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하여 입체적인 그림과의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고,
2) 액자의 둘레에 격벽을 형성하여 액자 자체의 입체감을 강화하면서 그림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3) 도자기 조성물에 종이, 스펀지, 실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더욱 다양하고 독특한 질감을 부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균열저감제를 통해 소성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그림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입체 도자기 그림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입체 도자기 그림의 또 다른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베이스 면이 굴곡 형상을 가진 액자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세라믹 물감으로 이루어진 안료를 예시한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입체 도자기 그림에 격벽이 포함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 및 도 9는 입체 도자기 그림에 고리가 포함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첨가제가 포함된 입체 도자기 그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입체 도자기 그림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은 액자(10) 및 그림 오브젝트(2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이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입체 도자기 그림의 제조 과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제조 방법은 3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제 1 단계(S110): 액자 제작 단계
본 발명의 제 1 단계(S110)는 도자기 조성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10)를 제작하는 단계로서, 도자기 조성물에 물을 혼합해 반죽한 다음 액자(10)의 형상을 갖추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액자(10)는 후술할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되는 받침판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액자(10)는 도 1에서 보이는 원형 형상을 액자(10)의 정면 형상이라 할 때 사각형, 삼각형, 타원과 같은 다양한 정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액자(10)는 다양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액자(10)는 전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거나 액자(10)의 부위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액자(10)는 베이스 면을 포함하는바. 베이스 면은 후술할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되는 부위로서, 매끄러운 평면인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울퉁불퉁한 질감이 있는 굴곡 면일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면은 액자(10)의 표면(도 1에서는 정면) 전체일 수도 있고, 액자(10)의 표면 중 일부일 수도 있다.
상술하였듯이 액자(10)는 도자기 조성물로 제조되는데, 도자기 조성물은 도기의 재료인 흙 또는 자기의 재료인 돌가루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자기 조성물에 따라 액자(10)는 도기 재질 또는 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흙은 소지로도 불리는 도기의 주재료로서 예를 들어 황토, 옹기토, 세인토와 같은 흙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흙이 포함된 도자기 조성물은 후술할 돌가루를 혼합한 도자기 조성물보다 유동성이 높아 혼합 및 성형이 용이하고 액자(10)에 거친 질감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돌가루는 장석, 규석과 같이 자기의 재료인 돌을 곱게 분쇄한 것으로서, 돌가루의 입자 크기는 반죽되기 용이한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가루가 혼합된 도자기 조성물은 흙이 혼합된 도자기 조성물보다 단단하고 유동성이 적어 성형이 어려울 수 있으나, 성형된 다음 형태를 잘 유지하고 액자(10)에 매끄러운 질감과 높은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도자기 조성물에는 흙 및 돌가루를 반죽하기 위한 물이 포함되는데, 물이 포함된 도자기 조성물은 힘을 가하면 형태가 변하고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형태가 고정되는 성질인 가소성(可塑性)을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물은 도자기 조성물에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가능한바, 예를 들어 물을 전체 도자기 조성물 대비 40 중량부로 혼합한 경우, 도자기 조성물은 천천히 흘러내릴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보유하게 되는데, 이 도자기 조성물을 물을 흡수하는 석고 재질의 성형 틀에 넣어 여분의 물을 흡수시킴으로써 액자(10)의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자기 조성물은 안료를 포함한다. 안료는 도자기 조성물에 다양한 색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액자(10)를 소성(燒成)하는 온도에서도 증발하지 않아 색을 보존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갖추는 것이 기본적이다.
예를 들어, 안료는 아연, 철, 구리, 코발트와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아연을 포함한 안료는 백색을 부여하고, 철을 포함한 안료는 붉은색을 부여하며, 구리를 포함한 안료는 녹색을 부여하고, 코발트를 포함한 안료는 푸른색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공지의 코발트 등의 안료 이외에 세라믹 물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흙 또는 돌가루, 물, 안료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에는 흙 및 돌가루 중 어느 것이 포함되는지에 따라서 물이 혼합되는 비율 및 성형 과정이 달라 질 수 있는바, 이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자기 조성물이 도기 재질 즉, 흙인 경우, 제 1 단계(S110)는 흙 55 내지 75 중량부, 물 20 내지 40 중량부, 안료 5 내지 10 중량부를 공지의 반죽기를 통해 혼합하여 도자기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베이스 면을 포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성형 틀에 압착시켜 액자(10)를 제조하는 과정일 수 있다.
더불어, 도자기 조성물이 자기 재질, 즉 돌가루인 경우, 제 1 단계(S110)는 돌가루 45 내지 65 중량부, 물 30 내지 50 중량부, 안료 5 내지 10 중량부를 공지의 반죽기를 통해 혼합하여 도자기 조성물을 제조한 후, 전동 프레스와 같이 반죽을 강하고 빠르게 두드릴 수 있는 장비로 반죽의 기포를 제거한 다음, 성형 틀에 압착시켜 액자(10)를 제조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성형 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분의 물을 흡수하여 도자기 조성물을 액자(10)의 형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석고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자기 조성물은 액자(10)에 부여될 질감과 함께 액자(10)의 경도 및 혼합의 용이성과 같은 변수에 따라 흙 또는 돌가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조된 액자(10)는 후술할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되는 표면(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액자(10) 자체로도 도기 또는 자기로 이루어진 조형물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에 재질의 통일성을 부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제 2 단계(S120): 그림 오브젝트 형성 단계
제 2 단계(S120)는 베이스 면에 도자기 조성물을 발라 그림 오브젝트(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림 오브젝트(20)는 상술한 액자(10)와 같이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 면에서 특정 색상은 물론 입체적으로 돌출되어 그림을 표현하는 객체, 즉 오브젝트(object)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 오브젝트(20)는 베이스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패턴, 풍경, 인물, 유명 그림의 모사화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림 오브젝트(20)가 여러 개의 꽃이 피어있는 풍경으로 표현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림 오브젝트(20)의 도자기 조성물은 상술한 액자(10)의 도자기 조성물과 같은 조성물일 수 있거나, 아니면 예를 들어 그림 오브젝트(20)의 도자기 조성물은 자기 재질이고 액자(10)의 도자기 조성물은 도기 재질과 같이 다른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오브젝트(20)의 도자기 조성물은 흙 40 내지 60 중량부, 물 20 내지 40 중량부, 안료 5 내지 15 중량부를 공지의 반죽기를 통해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그림 오브젝트(20)의 도자기 조성물에 포함된 안료는 액자(10)애서의 안료보다 높은 중량부를 가짐으로써, 그림 표현의 주축이 되는 그림 오브젝트(20)를 액자(10)로부터 부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그림 오브젝트(20)를 베이스 면에 바르는 단계는 공지의 로봇 암(robot arm)을 매개로 베이스 면에 바르는 방식으로 자동 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그림 오브젝트(20)를 베이스 면에 바르는 로봇 암은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같은 그림을 표현하도록 구동 동작이 패턴 처리된 상태에서 도자기 조성물을 붓을 사용하여 베이스 면에 수 차례 방법 등으로 베이스 면에 그림 오브젝트(20)를 형성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그림 오브젝트(20)는 도 1과 같이 베이스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바, 이에 따르면 기존의 그림 기법인 유화는 액체 및 겔 상의 물감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감을 여러 차례 덧칠하여도 물감이 주변으로 퍼지거나 흐르게 되어 입체감에 한계가 있었으나, 그림 오브젝트(20)는 도자기 조성물의 입경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다양한 입체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기반에서 도자기 조성물 특유의 가소성에 의해 유화보다 높은 돌출감이나 질감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제 3 단계 (S130): 소성 처리 단계
제 3 단계(S130)는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된 액자(10)를 소성 처리하는 단계로서, 제 3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이 완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성 처리는 액자(10) 및 그림 오브젝트(20)를 이루는 도자기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는 온도로 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성 처리의 온도 및 시간은 도자기 조성물이 흙 및 돌가루 중 어느 것이 포함되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는바 이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자기 조성물이 흙을 포함한 경우, 제 3 단계(S130)는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된 액자(10)를 900 내지 110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도자기 조성물이 돌가루를 포함한 경우, 제 3 단계(S130)는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된 액자(10)를 1200 내지 1400℃의 온도에서 15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도자기 조성물이 돌가루를 포함하는 경우에 더 높은 소성 온도 및 긴 소성 시간이 요구되는데, 이는 높은 점도의 도자기 조성물에서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키기 어려운 이유 및 돌가루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이 세라믹화(소성 처리되어 익히 알려진 도자기와 같이 단단해 지는 것을 의미한다) 되기 위해 요구되는 온도가 흙을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보다 세라믹화 하는데 필요한 온도보다 높은 이유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소성 처리 단계(S130) 이전에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된 액자(10)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
유약은 일반적으로 도자기의 광택 및 질감 개선을 위해 도포되는 것으로서, 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산화물과 나트륨, 마그네슘, 바륨과 같은 염기 성분을 포함하는바, 소성 처리 중 유약의 성분이 산소와 만나 안정화되며 도자기의 표면에 얇은 유약 층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유약을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된 액자(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입체감은 유지하면서도 매끄러운 광택과 질감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다양한 예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입체 도자기 그림의 또 다른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베이스 면이 굴곡 형상을 가진 액자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액자(10)에 울퉁불퉁한 질감을 부여하는 한편 푸른색으로 바다를 표현하고 푸른색과 대비되는 옅은 회색으로 지면을 표현한 다음, 바다와 지면의 경계 부위와 지면 일부에 복수의 그림 오브젝트(20)가 형성된 입체 도자기 그림이다.
이러한 도 3의 입체 도자기 그림은 그림 오브젝트(20)의 돌출 높이나 색상을 조절하면서 역동적인 파도와 입체적인 조약돌을 표현함으로써 바닷가의 풍경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액자(10)는 부정형의 형태, 다시 말해 도 1과 같이 정형적인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베이스 면까지 울퉁불퉁하게 굴곡진 상태를 가져 마치 실제 바위 조각을 떼어낸 것과 같은 실물감과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그림 오브젝트(20)는 액자(10)의 베이스 면에 여러 장의 꽃잎을 겹쳐놓은 듯이 표현되어, 도 4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면 바위 조각에 꽃이 피어난 것과 같이 보이게 된다.
즉, 이러한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은 평면에 그려지는 일반적인 그림과 차별화되도록 입체적이고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은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림 오브젝트(20)가 베이스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기존의 유화의 입체감을 넘어선 입체감과 질감을 표현함과 아울러, 액자(10) 및 그림 오브젝트(20)를 동일/유사한 도자기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액자와 그림의 일체감을 부여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그림 형태를 창출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세라믹 물감으로 이루어진 안료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안료는 세라믹 물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세라믹 물감은 사전적 의미로 도기 및 자기에 색과 그림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공작용 물감을 뜻하는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법이 간단해 초보자 및 어린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안료로 적용하기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물감은 공지의 안료는 물론, 아크릴 수지 및 프탈레이트 수지와 같은 유성수지와 유성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자일렌(Xylene),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과 같은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라믹 물감은 유동성 또한 보유하여 편리하게 혼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라믹 물감은 도 5와 같이 세라믹 물감이 나무판에 색상별로 구분되어 올려진 상태에서, 나무판을 팔레트로 이용해 파란색 및 빨간색을 가진 세라믹 물감을 혼합함으로써 보라색을 만드는 식으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세라믹 물감에 숫자를 새겨 넣음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세라믹 물감의 색상이나 도포될 위치를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세라믹 물감은 여러 색상이 혼합되어 새로운 색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쉽게 혼합되거나 색상 별로 표시를 남기는 것과 같은 다양한 편의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바, 코발트 등의 도자기 안료보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은 입체 도자기 그림에 격벽이 포함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액자(10)에는 격벽(3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격벽(30)은 액자(10)의 둘레 부위를 따라 기립 형성된 구조체를 의미한다. 즉, 격벽(30)은 액자(10)의 둘레 부위를 따라 마치 액자(10)의 테두리를 이루듯이 기립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격벽(30)은 액자(10)의 둘레 부위 외에도 액자의 베이스 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격벽(30)이 베이스 면을 가로지르듯이 기립 형성되어 베이스 면을 구획 처리함으로써, 구획된 각각의 베이스 면에 다른 형상 및 주제의 그림 오브젝트(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격벽(30)은 그림 오브젝트(20)뿐만 아니라 액자(10) 역시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고, 격벽(30)으로 둘러싸여진 그림 오브젝트(20)에 시선을 집중시킴으로써 그림 오브젝트(20)의 입체감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8 및 도 9는 입체 도자기 그림에 고리가 포함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고리(40)는 액자(10)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리(40)는 액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고리(40)는 액자(10)를 벽에 걸거나 끈 및 스트랩을 연결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고리(40)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원, 반원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서는 고리(40)의 형상이 삼각형인 일 예를 도시하였고, 도 9에서는 고리(40)의 형상이 원인 일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입체 도자기 그림에는 격벽(30) 및 고리(40)가 함께 포함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고리(40)는 액자(10)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시, 보관, 장식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다양한 형상을 통해 고리(40)만으로도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첨가제가 포함된 입체 도자기 그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도자기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가제는 입체 도자기 그림에 다양한 입체감과 질감을 강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첨가제의 종류는 종이, 스펀지, 실과 같이 다양할 수 있는바, 이하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각각 부여된 입체감 및 질감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는 도자기 조성물에 첨가제로 종이를 포함시킨 실시예로서, 종이는 구기거나 접어 모양을 변형시키기 용이한 한지, 크라프트지, 모조지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종이일 수 있는바, 이러한 종이를 구긴 모양 및 접은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패턴은 물론 입체감과 질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a)는 종이를 통해 입체 도자기 그림에 완만하면서도 패턴화되지 않은 요철을 형성하여 울퉁불퉁한 입체감과 질감을 부여한 것을 예시하였다.
도 10(b)는 도자기 조성물에 첨가제로 스펀지를 포함시킨 실시예로서, 스펀지는 수많은 공극을 보유한 특징을 통해 입체 도자기 그림에 도 10(b)와 같이 거친 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자르기 용이하므로 이를 통해 입체적인 표현을 극대화할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원뿔 형상으로 자른 스펀지를 도자기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원뿔이 돌출된 그림 오브젝트(20)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입체감 강화에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c)는 도자기 조성물에 첨가제로 실을 포함시킨 실시예로서, 실은 면사, 견사, 마사와 같은 천연 섬유 및 레이온사, 나일론사와 같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도 10(c)를 참조하면 도자기 조성물은 이러한 실을 한 방향으로 복수 개 포함함으로써 입체 도자기 그림에 직선적으로 패턴화된 복수 개의 요철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첨가제는 복수 개의 재질의 첨가제가 함께 포함되어 독특한 입체감 및 질감을 부여할 수도 있는데, 도 10(d)는 첨가제로 종이 및 스펀지를 포함시킨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첨가제 종류를 통해 도 10(a) 및 도 10(b)보다 거칠고 입체적인 요철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첨가제는 도자기 조성물에 다양한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가능한바, 여기서 첨가제의 비율은 첨가제의 종류와 부여하고자 하는 입체감 및 질감의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들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첨가제가 도자기 조성물에 포함된 경우, 첨가제를 감싼 도자기 조성물이 소성 단계(S130)에서 첨가제가 열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 및 산소를 차단하여 발화를 예방할 수 있다.
더불어, 첨가제가 소성 단계(S130) 중 열에 의해 파괴된 경우, 액자(10) 및 그림 오브젝트(20)의 내부에는 첨가제의 형상과 같은 모양의 공극이 형성되어 첨가제에 의한 입체감 및 질감 부여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극에 의해 입체 도자기 그림의 내구성이 저하될 개연성이 따를 수 있으나, 무언가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존의 도자기에 비하여 심미적인 효과가 강조되는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 그림의 특성에 따라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도자기 조성물은 첨가제를 통해 성형 틀에 압착되거나 액자(10)에 발라지는 방식으로 부여될 수 있는 입체감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다양하고 독특한 질감을 부가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도자기 조성물에는 균열 저감제가 포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균열 저감제는 도자기 조성물이 소성 단계(S130)에서 수축되어 입체 도자기 그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 내지 방지하는 것으로서, 균열 저감제가 포함된 도자기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예를 들어, 흙 40 내지 55 중량부, 물 25 내지 40 중량부, 안료 5 내지 10 중량부, 균열 저감제 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균열 저감제는 불화규산(H2SiF6)을 포함하는바, 불화규산은 소성 단계(S130) 도중 도자기 조성물에서 증발된 수분이 재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성을 보유하여 수분의 재침투에 의한 수축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불화규산을 포함한 균열 저감제는 불화규산 수용액 제조 단계, 안정화 용액 제조 단계, 균열 저감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불화규산 수용액 제조 단계는 물 50 내지 80 중량부, 불화규산(H2SiF6)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불화규산 수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불화규산은 상술하였듯이 균열 저감제의 수축 저감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인바, 이때 불화규산만을 균열 저감제에 사용하게 되면 안정성이 떨어지며 취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후술할 금속염을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안정화 용액 제조 단계는 불화규산 수용액 85 내지 95 중량부, 금속염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안정화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금속염은 아연염과 마그네슘염의 혼합물인 것이 가능한데, 각각의 아연염 20 내지 40 중량부, 마그네슘염 60 내지 80 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염은 상술한 불화규산과 반응하여 가교(cross linked)되어 현탁(suspension)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균열 저감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균열 저감제 완성 단계는 안정화 용액 70 내지 90 중량부, 질산염계 무기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열 저감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중 질산염계 무기화합물은 질산칼륨(KNO3), 질산아연(Zn(NO3)2*6H2O) 등이 될 수 있으며, 도자기 조성물이 소성될 시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고, 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도자기 조성물의 균열의 저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균열 저감제는 도자기 조성물의 균열 발생을 저감 내지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분의 재침투 방지 기능을 통해 완성된 입체 도자기 그림의 품질의 증진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술한 균열 저감제 완성 단계에는 뮬라이트(Mullite) 및 코디어라이트(Cordierite)를 포함하는 내열성 보강재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열성 보강재가 포함된 균열 저감제 완성 단계는 안정화 용액 70 내지 80 중량부, 질산염계 무기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뮬라이트(Mullite) 및 코디어라이트(Cordierite)를 포함하는 내열성 보강재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뮬라이트는 강한 공유결합을 보유한 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계열의 광물로서, 균열 저감제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온에서의 안정성 및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짐으로써 가열에 의한 균열을 적게 유발하는 물질이다.
또한, 코디어라이트는 뮬라이트와 마찬가지로 강한 공유결합을 보유한 산화마그네슘-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계열의 광물로서, 뮬라이트보다 낮은 강도를 가지나 열팽창 계수가 뮬라이트보다 낮으므로 가열에 의한 균열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뮬라이트 및 코디어라이트를 포함한 내열성 보강재는 균열 저감제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균열 저감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내열성 보강재는 1차 물질 제조 단계, 2차 물질 제조 단계, 3차 물질 제조 단계, 분쇄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물질 제조 단계는 뮬라이트(Mullite) 50 내지 60 중량부, 물 40 내지 50 중량부를 1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뮬라이트는 상술하였듯이 균열 저감제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물질이고, 물은 1차 물질의 분산매 및 후술할 2차 물질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의 용매이다.
다음, 2차 물질 제조 단계는 1차 물질 40 내지 50 중량부,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3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20 내지 30 중량부를 200 내지 2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중, 코디어라이트는 상술한 뮬라이트와 같이 균열 저감제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물질이고, 폴리비닐알코올은 접착능을 가진 물질로서 물에 용해되어 뮬라이트 및 코디어라이트를 분산 및 함유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어서, 혼합 단계는 2차 물질 80 내지 90 중량부,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10 내지 20 중량부를 200 내지 2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는 과정이고, 분쇄 단계는 이렇게 제조된 3차 물질을 분쇄하여 내열성 보강재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산화지르코늄은 2차 물질 내의 뮬라이트 및 코디어라이트 사이의 결합을 매개하여 내열성 보강재의 밀도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물질이다. 더불어, 분쇄 단계는 내열성 보강재를 균열 저감제에 포함되기 용이하면서도 기계적 강도 보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20 내지 50㎛의 입경으로 분쇄하는 과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액자 20: 그림 오브젝트
30: 격벽 40: 고리
S110: 제 1 단계 S120: 제 2 단계
S130: 제 3 단계

Claims (11)

  1.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으로서,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안료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
    상기 도자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면에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지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 그림 오브젝트;를 포함하되,
    상기 도자기 조성물은,
    불화규산(H2SiF6)을 포함한 균열 저감제를 포함하고,
    상기 균열 저감제는,
    물 50 내지 80 중량부, 불화규산(H2SiF6)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불화규산 수용액을 제조하는, 불화규산 수용액 제조 단계;
    상기 불화규산 수용액 85 내지 95 중량부, 금속염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안정화 용액을 제조하는, 안정화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안정화 용액 70 내지 80 중량부, 질산염계 무기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뮬라이트(Mullite) 및 코디어라이트(Cordierite)를 포함하는 내열성 보강재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열 저감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고,
    상기 내열성 보강재는,
    상기 뮬라이트(Mullite) 50 내지 60 중량부, 물 40 내지 50 중량부를 1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물질 40 내지 50 중량부, 상기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3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20 내지 30 중량부를 200 내지 2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물질 80 내지 90 중량부,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10 내지 20 중량부를 200 내지 2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차 물질을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자기 그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특정 색상을 가진 세라믹 물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자기 그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둘레 부위를 따라 기립 형성된 격벽 및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자기 그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조성물은,
    종이, 스펀지,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자기 그림.
  5. 제 1항에 따른 입체 도자기 그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안료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균열 저감제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베이스 면을 구비한 액자를 제작하는 제 2 단계;
    상기 베이스 면에 상기 도자기 조성물을 발라 그림 오브젝트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그림 오브젝트가 형성된 액자를 소성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자기 그림을 제조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12453A 2020-09-03 2020-09-03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2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53A KR102224455B1 (ko) 2020-09-03 2020-09-03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53A KR102224455B1 (ko) 2020-09-03 2020-09-03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455B1 true KR102224455B1 (ko) 2021-03-08

Family

ID=7518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453A KR102224455B1 (ko) 2020-09-03 2020-09-03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998A (ja) * 1996-03-14 1997-09-22 Keigo Kimura 記念陶画
KR100561233B1 (ko) * 2005-06-15 2006-03-15 주식회사 삼표 수밀성 무기질 균열저감제가 함유된 레미콘 조성물
KR20120013500A (ko) * 2010-08-05 2012-02-15 나유석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JP2019172482A (ja) * 2018-03-27 2019-10-10 愛媛県 多層絵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998A (ja) * 1996-03-14 1997-09-22 Keigo Kimura 記念陶画
KR100561233B1 (ko) * 2005-06-15 2006-03-15 주식회사 삼표 수밀성 무기질 균열저감제가 함유된 레미콘 조성물
KR20120013500A (ko) * 2010-08-05 2012-02-15 나유석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JP2019172482A (ja) * 2018-03-27 2019-10-10 愛媛県 多層絵付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787B1 (ko)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EP1437332A1 (en) Three-dimensional colour pattern slabs which formed by sintering ceramic powder
KR101924461B1 (ko) 채색 석재 장식품 및 상감 세공방법
CN106083212A (zh) 一种渗透墨水新型大理石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KR20000036284A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224455B1 (ko)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057335A (zh) 立体呈现的陶瓷画绘制方法
CN206737329U (zh) 一种闪光干粒糖果釉陶瓷砖
CN107627780A (zh) 浮雕装饰墙面形成方法
CN204282723U (zh) 组合多边形立体瓷砖及其制作模具
EP1688271A1 (en) Tridimensional imitated stone pattern porcelain plate with the micropowder patter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final products of this plate
CN106903941A (zh) 逆向成型制备仿石贴片的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仿石贴片
US20040265547A1 (en) Slurry-casting products with threee-dimensional colour patterned with well-proportioned granule and colours in the mass
CN111975929A (zh) 一种建水紫陶刻绘烧制方法
CN108752053A (zh) 一种高温色釉和青花瓷混合烧造新工艺
Gökçe Iznik ceramics: History and present-day
CN107521278A (zh) 立体瓷雕与大漆结合的工艺品及其制备工艺
KR102675014B1 (ko) 트임기법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03253056A (zh) 一种砖雕制作方法
JPH01239050A (ja) 木目模様のセラミック質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2396118Y (zh) 一种有装饰面的烧制粘土砖
KR101387245B1 (ko) 도자기 제작방법
KR101948486B1 (ko) 유약 장식용 모자이크 타일의 제조방법
CN115091886A (zh) 一种建水紫陶彩泥堆雕工艺
Millet Some American 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