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957B1 -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957B1
KR102395957B1 KR1020210147940A KR20210147940A KR102395957B1 KR 102395957 B1 KR102395957 B1 KR 102395957B1 KR 1020210147940 A KR1020210147940 A KR 1020210147940A KR 20210147940 A KR20210147940 A KR 20210147940A KR 102395957 B1 KR102395957 B1 KR 10239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kin
vacuum pressure
interior materia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곽성복
김승호
이재용
정훈섭
최현우
김광섭
이건규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29C51/262Clamping means for the sheets, e.g. clamp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테이블; 상부에 코어가 안착되는 성형영역이 형성되고 성형영역의 둘레에 테두리영역이 형성되며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는 교체형 지그; 및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고, 테두리영역은 코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킨의 접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고,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규제돌기를 당겨서 스킨을 고정할 수 있고, 제1진공부가 진공압력보다 큰 진공압력으로 규제돌기를 당기면 접합부를 함께 당길 수 있고, 제1진공부가 스킨을 당겨서 접합부와 코어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코어와 스킨을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시킬 수 있고, 내장재의 형태에 따라서 지그를 교체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Interior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using vacuum pressure}
본 발명은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재를 제조할 때 진공압력으로 스킨을 당겨서 코어와 결합시키는 내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차량 내장재의 고급화가 이뤄지면서 내장재 성형방법으로 인 몰드 그레이닝(In Mold Graining, IMG)이 도입되고 있다. IMG 성형은 전기 주조(elctro forming)를 통해 정교한 패턴이나 질감이 구현된 금형(전주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급스러운 내장재의 표면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리얼스티치는 자동차 내장재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리얼스티치가 아닌 스티치 모양이 표현된 내장재도 등장하고 있다.
종래 리얼스티치가 구현된 내장재를 위한 제조공정은 ① IMG 금형으로 스킨을 프리포밍, ② 프리포밍된 스킨에 리얼스티치 봉제작업, ③ 리얼스티치 봉제작업된 스킨과 코어의 가접착, ④ 압착 금형으로 가접착된 스킨과 코어를 압착 순서로 이루어진다.
종래 내장재의 제조공정은 스킨과 코어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지 않거나 스킨과 코어가 결합될 때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74392호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은 스킨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금형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74392호 (등록일: 2021년07월0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코어에 결합되는 스킨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성형하려는 내장재의 형태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는 지그를 포함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킨과 코어가 결합될 때 스킨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테이블; 상부에 코어가 안착되는 성형영역이 형성되고 성형영역의 둘레에 테두리영역이 형성되며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는 교체형 지그; 및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고, 테두리영역은 코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킨의 접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고,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규제돌기를 당겨서 스킨을 고정할 수 있고, 제1진공부가 상기 진공압력보다 큰 진공압력으로 규제돌기를 당기면 접합부를 함께 당길 수 있고, 제1진공부가 스킨을 당겨서 접합부와 코어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홈; 및 진공펌프와 제1진공홈에 연결되는 제1진공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규제돌기는 테두리부를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제1진공홈은 테두리영역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스킨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성형영역과 제1진공부 사이에 위치하는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2진공부를 더 포함하고, 제2진공부가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를 당기면 접합부를 함께 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제2진공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2진공홈; 및 진공펌프와 제2진공홈에 연결되는 제2진공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제2진공홈은 테두리영역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제2진공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스킨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접합부를 가열할 수 있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고, 히팅부는 압착부의 위쪽에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히팅부는, 압착부를 덮는 하우징; 지그의 위쪽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히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그를 둘러싸는 제1단열벽; 테이블에 결합되어 하우징을 승강시킬 수 있는 제2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히팅부는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합부를 둘러싸는 제2단열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서, 히터는 소정의 단위 면적마다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열선을 포함하고, 히터는 열선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교체된 지그의 성형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상부에 코어가 안착되는 성형영역이 형성되고 성형영역의 둘레에 테두리영역이 형성되며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는 교체형 지그; 및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고, 테두리영역은 코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킨의 접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고,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규제돌기를 당겨서 스킨을 고정할 수 있고, 제1진공부가 진공압력보다 큰 진공압력으로 규제돌기를 당기면 접합부를 함께 당길 수 있고, 제1진공부가 스킨을 당겨서 접합부와 코어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코어와 스킨을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시킬 수 있고, 내장재의 형태에 따라서 지그를 교체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홈; 및 진공펌프와 제1진공홈에 연결되는 제1진공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킨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여 유지보수가 쉽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규제돌기는 테두리부를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제1진공홈은 테두리영역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스킨을 외부 방향으로 균일하게 당기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스킨을 진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킨을 진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여 유지보수가 쉽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내장재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성형영역과 제1진공부 사이에 위치하는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2진공부를 더 포함하고, 제2진공부가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를 당기면 접합부를 함께 당길 수 있으므로, 스킨을 고정한 상태에서 스킨을 코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2진공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2진공홈; 및 진공펌프와 제2진공홈에 연결되는 제2진공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을 이용하여 스킨을 코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2진공홈은 테두리영역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스킨을 외부 방향으로 균일하게 당기면서 코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2진공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스킨을 진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킨을 진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여 유지보수가 쉽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내장재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접합부를 가열할 수 있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고, 히팅부는 압착부의 위쪽에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으므로, 압착부가 스킨을 누른 상태에서 접합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히팅부는, 압착부를 덮는 하우징; 지그의 위쪽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히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그를 둘러싸는 제1단열벽; 테이블에 결합되어 하우징을 승강시킬 수 있는 제2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히팅부는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합부를 둘러싸는 제2단열벽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코어와 결합되는 접합부만을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에 의하면, 히터는 소정의 단위 면적마다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열선을 포함하고, 히터는 열선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교체된 지그의 성형영역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내장재의 형태에 따라서 지그를 교체하더라도 교체된 지그의 성형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지그에 코어와 스킨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에 진공압력이 공급될 때 스킨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히팅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히팅부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로 생산되는 내장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 1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테이블(100); 상부에 코어(20)가 안착되는 성형영역(210)이 형성되고 성형영역(210)의 둘레에 테두리영역(220)이 형성되며 테이블(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그(200); 및 테두리영역(220)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영역(220)은 코어(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킨(30)의 접합부(31)의 둘레에 형성되는 테두리부(32)가 안착될 수 있다.
제1진공부(300)는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에 형성되는 규제돌기(33)를 당겨서 스킨(30)을 고정할 수 있다.
제1진공부(300)가 스킨(30)을 고정할 때의 진공압력보다 큰 진공압력으로 규제돌기(33)를 당기면, 제1진공부(300)는 테두리부(32)와 연결되는 접합부(31)를 함께 당길 수 있다.
제1진공부(300)는 스킨(30)을 당겨서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로 생산할 수 있는 내장재(10)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장재(10)는 형태를 이루는 골격에 해당하는 코어(20)와 코어(20)의 표면을 덮는 스킨(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킨(30)과 코어(20)는 접착제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스킨(30) 또는 코어(20)에 미리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열을 가하면 활성화되어 스킨(30)과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스킨(30)은 IMG 금형장치를 이용해서 미리 성형될 수 있다.
스킨(30)은 코어(20)와 결합되는 접합부(31)와 코어(20)와 결합되지 않는 테두리부(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합부(31)는 스킨(3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테두리부(32)는 스킨(30)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31)는 코어(20)의 표면을 덮는 부분으로서 리얼스티치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32)는 스킨(30)이 코어(20)와 결합될 때 스킨(30)을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테두리부(32)는 스킨(30)이 코어(20)와 결합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테두리부(32)는 코어(20)의 하부 말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부분을 남긴 후에 제거될 수 있다.
테두리부(32)는 아랫면에 돌출되는 규제돌기(33)가 형성될 수 있다.
규제돌기(33)는 스킨(30)이 지그(200)에 안착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규제돌기(33)는 복수의 점이나 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테두리부(32)를 따라서 하나의 선이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테이블(100)은 상부에 지그(200)가 설치되는 작업대이다.
테이블(100)은 상부에 압착부(500) 또는 히팅부(6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지그(200)는 내장재(10)를 성형하기 위해서 코어(20)와 스킨(30)을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지그(200)는 아랫면이 테이블(100)의 윗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그(200)는 윗면의 안쪽에 성형영역(210)이 형성되고 윗면의 바깥쪽에 테두리영역(220)이 형성될 수 있다.
성형영역(210)은 코어(20)가 안착되는 부분이고 테두리영역(220)은 스킨(30)의 테두리부(32)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지그(200)는 성형하려는 코어(20)의 형상에 따라서 복수로 구비되고 교체할 수 있다.
지그(200)는 코어(20)나 스킨(30)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코어(20)나 스킨(30)을 예열할 수 있다.
히팅장치는 열선 또는 가열된 유체가 흐르는 라인일 수 있다.
지그(200)는 진공펌프(700)와 진공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코어(20) 아래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복수의 미세진공홀(미도시)이 성형영역(210)에 형성될 수 있다.
지그(200)는 진공펌프(700)와 진공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스킨(30) 아래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복수의 미세진공홀(미도시)이 테두리영역(2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진공부(300)는 지그(200)에 안착되는 스킨(30)을 고정하고, 스킨(30)을 코어(2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진공부(300)는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에 형성되는 규제돌기(33)를 당겨서 스킨(30)을 고정할 수 있다.
제1진공부(300)는 스킨(30)을 고정하는 진공압력보다 더 큰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에 형성되는 규제돌기(33)를 당겨서 스킨(30)을 코어(2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진공부(300)가 진공압력으로 규제돌기(33)를 당겨서 스킨(30)을 고정한 후에 더 큰 진공압력으로 규제돌기(33)를 당기면, 접합부(31)는 코어(20) 방향으로 밀착되므로, 접합부(31)는 코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진공부(300)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700); 테두리영역(220)에 형성되는 제1진공홈(310); 및 진공펌프(700)와 제1진공홈(310)에 연결되는 제1진공통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은 지그(200)의 테두리영역(22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이다.
제1진공홈(310)은 진공펌프(700)와 제1진공통로(32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은 제1진공통로(320)를 통해서 진공펌프(700)에서 발생되는 진공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은 스킨(30)의 테두리부(32)에 형성되는 규제돌기(33)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은 규제돌기(33)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규제돌기(33)가 삽입되면, 스킨(30)은 지그(20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규제돌기(33)가 삽입되면, 규제돌기(33)는 제1진공홈(310)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가 된다.
제1진공홈(310)에 진공압력(제1진공압력)이 공급되면, 규제돌기(33)를 아래로 당길 수 있으므로, 스킨(30)을 지그(200)에 고정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제1진공압력보다 더 큰 진공압력(제2진공압력)이 공급되면, 규제돌기(33)를 더 깊이 아래로 당길 수 있으므로, 규제돌기(33)가 형성되는 스킨(30)의 테두리부(32)와 이어지는 접합부(31)도 함께 당길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제2진공압력이 공급되면, 스킨(30)과 코어(20)가 결합될 때 스킨(30)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킨(30)을 팽팽하게 유지하면, 스킨(30)과 코어(20)가 결합될 때 스킨(3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내장재(10)를 생산할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제2진공압력이 공급되면, 스킨(30)을 아래로 당길 수 있으므로,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진공홈(310)은 규제돌기(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규제돌기(33)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규제돌기(33)의 형상에 따라서, 제1진공홈(310)은 복수의 점이나 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테두리영역(220)을 따라서 하나의 선이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규제돌기(33)가 테두리부(32)를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제1진공홈(310)은 규제돌기(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테두리영역(220)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규제돌기(33)와 제1진공홈(310)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스킨(30)을 외부 방향으로 균일하게 당길 수 있다.
규제돌기(33)와 제1진공홈(310)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제1진공홈(310)을 기준으로 안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은 바깥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과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안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에 작용하는 진공압력이 바깥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진공부(300)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스킨(3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1진공부(300)가 제1진공홈(310)에 공급되는 진공압력의 세기를 조절하면, 규제돌기(33)를 당기는 힘이 변하므로, 스킨(3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1진공부(300)가 스킨(30)을 진동시키면, 스킨(30)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스킨(30)을 코어(2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제1진공부(300)는 지그(2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1진공부(300)가 진공펌프(700)를 작동시키면, 진공펌프(700)에서 공급되는 진공압력으로 제1진공통로(320)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므로, 진공펌프(700)의 진동이 제1진공통로(320)를 따라 지그(200)에 전달되어 지그(2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1진공부(300)가 지그(200)를 진동시켜서 스킨(30)을 함께 진동시키면, 스킨(30)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스킨(30)을 코어(2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성형영역(210)과 제1진공부(300) 사이에 위치하고 테두리영역(220)에 형성되는 제2진공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진공부(400)는 지그(200)에 안착되는 스킨(30)을 아래로 당기기 위한 구성이다.
제2진공부(400)는 진공압력으로 스킨(30)의 테두리부(32)를 당겨서 스킨(30)을 아래로 당길 수 있다.
제2진공부(400)가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를 당기면, 제2진공부(400)는 테두리부(32)와 연결되는 접합부(31)를 함께 당길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규제돌기(33)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진공부(400)가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를 아래로 당기면, 규제돌기(33) 방향의 테두리부(32)는 당길 수 없고, 접합부(31) 방향의 테두리부(32)만 당길 수 있다.
제1진공홈(310)에 고정된 규제돌기(33)를 아래로 당긴 상태에서, 제2진공부(400)가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를 아래로 당기면, 제2진공부(400)는 접합부(31)를 최대로 당길 수 있다.
제2진공부(400)는 스킨(30)을 아래로 당겨서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진공부(400)가 진공압력으로 테두리부(32)를 아래로 당기면, 접합부(31)는 코어(20) 방향으로 밀착되므로, 접합부(31)는 코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진공부(400)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700); 테두리영역(220)에 형성되는 제2진공홈(410); 및 진공펌프(700)와 제2진공홈(410)에 연결되는 제2진공통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은 지그(200)의 테두리영역(22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이다.
제2진공홈(410)은 진공펌프(700)와 제2진공통로(42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은 제2진공통로(420)를 통해서 진공펌프(700)에서 발생되는 진공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은 테두리부(32)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으로 테두리부(32)가 아래로 당겨지면, 접합부(31)는 코어(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에 진공압력이 공급되기 전의 테두리부(32)는 제2진공홈(410)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가 된다.
제2진공홈(410)에 진공압력이 공급되면, 테두리부(32)를 아래로 당길 수 있으므로, 접합부(31)는 코어(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에 진공압력이 공급되면, 스킨(30)의 테두리부(32)와 이어지는 접합부(31)도 함께 당길 수 있다.
제2진공홈(410)에 진공압력이 공급되면, 스킨(30)과 코어(20)가 결합될 때 스킨(30)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에 진공압력이 공급되면, 스킨(30)을 아래로 당길 수 있으므로,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진공홈(410)은 복수의 점이나 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테두리영역(220)을 따라서 하나의 선이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진공홈(410)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스킨을 외부 방향으로 균일하게 당길 수 있다.
제2진공홈(410)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제2진공홈(410)을 기준으로 안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은 바깥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과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안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에 작용하는 진공압력이 바깥쪽의 테두리영역(220)에 위치하는 스킨(30)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진공부(400)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스킨(3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2진공부(400)가 제2진공홈(410)에 공급되는 진공압력의 세기를 조절하면, 테두리부(32)를 당기는 힘이 변하므로, 스킨(3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2진공부(400)가 스킨(30)을 진동시키면, 스킨(30)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스킨(30)을 코어(2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제2진공부(400)는 지그(2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2진공부(400)가 진공펌프(700)를 작동시키면, 진공펌프(700)에서 공급되는 진공압력으로 제2진공통로(420)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므로, 진공펌프(700)의 진동이 제2진공통로(420)를 따라 지그(200)에 전달되어 지그(2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2진공부(400)가 지그(200)를 진동시켜서 스킨(30)을 함께 진동시키면, 스킨(30)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스킨(30)을 코어(2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스킨(30)의 접합부(31)를 가열할 수 있는 히팅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600)는 접합부(31)와 코어(2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히팅부(600)는 압착부(500)의 위쪽에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다.
히팅부(600)는, 압착부(500)를 덮는 하우징(610); 지그(200)의 위쪽에 위치하고 하우징(6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히터(620); 하우징(6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그(200)를 둘러싸는 제1단열벽(630); 테이블(100)에 결합되어 하우징(61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제2승강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600)는 하우징(6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합부(31)를 둘러싸는 제2단열벽(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0)은 압착부(500)의 위쪽을 덮는 커버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하우징(610)은 아래에 히터(6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10)은 하부 둘레에 제1단열벽(63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10)은 제1단열벽(630)이 형성하는 공간의 안쪽 하부에 제2단열벽(64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10)은 제2승강부(650)에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다.
히터(620)는 접합부(31)를 가열하여 접합부(31)와 코어(2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히터(620)는 소정의 단위 면적마다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620)는 열선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교체된 지그(200)의 성형영역(210)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내장재(10)의 형태에 따라서 지그(200)를 교체하더라도 교체된 지그의 성형영역(210)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히터(620)가 소정의 단위 면적마다 독립적으로 작동하면, 교체형 지그(200)에 안착되는 접합부(31)의 형태에 따라서 가열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제1단열벽(630)은 지그(20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단열벽(640)은 접합부(31)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단열벽(640)은 하부가 제2진공홈(4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단열벽(640)의 하부가 제2진공홈(410)에 삽입되면, 제2단열벽(640)이 형성하는 공간이 완전하게 밀폐되어 단열성능이 더 좋아질 수 있다.
제2단열벽(640)의 하부가 제2진공홈(410)에 삽입되면, 스킨(30)의 테두리부(32)를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제2단열벽(640)의 하부가 제2진공홈(410)에 삽입되면, 스킨(30)의 테두리부(32)를 눌러서 접합부(31)를 더 당길 수 있다.
제2단열벽(640)는 하부에 커터가 형성되어 제2진공홈(4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단열벽(640)는 하부에 커터가 형성되면, 커터가 제2진공홈(410)에 삽입된 스킨(30)의 테두리부(32)를 눌러서 자를 수 있다.
제1단열벽(630)과 제2단열벽(640)을 모두 구비하면, 제2단열벽(640)이 형성하는 공간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진공펌프(700)는 미세진공홀, 제1진공홈(310), 제2진공홈(410) 및 제3진공홈(110)에 진공압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진공펌프(700)는 미세진공홀, 제1진공홈(310), 제2진공홈(410) 및 제3진공홈(110)에 공급하는 각각의 진공압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진공펌프(700)는 미세진공홀, 제1진공홈(310), 제2진공홈(410) 및 제3진공홈(110)마다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진공펌프(700)는 테이블(10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내장재를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단계: 지그(200)에 코어(20)를 안착시키고, 지그(200)에 스킨(30)의 규제돌기(33)를 제1진공홈(310)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과정이다(도 2 참조).
제2단계: 제1진공부(300)가 진공압력으로 스킨(30)의 규제돌기(33)를 당겨서 스킨(30)을 고정하는 과정이다(도 2 참조).
제3단계: 제1진공부(300) 또는 제2진공부(400) 중에 어느 하나를 이용해 스킨(30)을 아래로 당기거나, 제1진공부(300)와 제2진공부(400) 모두를 이용해 스킨(30)을 아래로 당겨서, 스킨(30)을 코어(20)에 결합하는 과정이다(도 3 참조).
제4단계: 하강시킨 히팅부(600)로 접합부를 가열하여 스킨(30)과 코어(20)를 접착하는 과정이다(도 4 참조).
제5단계: 히팅부(600)를 상승시키고 지그(200)에서 스킨(30)에 코어(20)가 결합된 내장재(10)를 꺼내는 과정이다(도 6 참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는, 스킨(30)과 코어(20)를 결합시키는 압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500)는 스킨(30)을 덮고 눌러서 스킨(30)의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압착부(500)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700); 스킨(30)을 덮는 압착시트(510); 압착시트(510)의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520); 및 테이블(100)에 결합되어 프레임(5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제1승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500)는 진공압력으로 압착시트(510)를 아래로 당겨서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압착시트(510)는 실리콘 등과 같이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시트(510)의 아랫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3진공홈(110)이 테이블(100) 또는 지그(2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진공홈(110)은 압착시트(510)의 아랫면에 진공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3진공홈(110)은 진공펌프(700)와 제3진공통로(12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3진공홈(110)은 제3진공통로(120)를 통해서 진공펌프(700)에서 발생되는 진공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3진공홈(110)은 복수의 미세진공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시트(510)는 제1승강부(530)에 결합되는 프레임(5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520)은 압착시트(510)를 고정하는 액자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520)은 누적된 사용으로 늘어난 압착시트(510)를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텐션유지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520)은 누적된 사용으로 늘어난 압착시트(510)를 분리하고 새로운 압착시트(510)로 교체할 수 있다.
제1승강부(530)는 프레임(520)에 결합되는 압착시트(51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압착부(500)는 지그(200)에 코어(20)와 스킨(30)이 안착된 후에 압착시트(510)를 하강시켜 스킨(30)을 덮어 누를 수 있다.
압착부(500)는 압착시트(510)의 아랫면에 진공을 형성하여 접합부(31)와 코어(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압착시트(510)는 접합부(31)를 가열할 수 있는 열선(51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시트(510)는 열선(512)을 대신하여 가열된 유체가 흐르는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압착시트(510)에 열선(512)을 포함하면, 압착시트(510) 아래에 위치하는 접합부(31)를 가열할 수 있다.
열선(512)을 이용해서 접합부(31)를 가열하면, 스킨(30)과 코어(20)를 예열할 수 있다.
열선(512)을 이용해서 접합부(31)를 가열하면, 스킨(30)과 코어(20)를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내장재 20: 코어
30: 스킨 31: 접합부
32: 테두리부 33: 규제돌기
100: 테이블 110: 제3진공홈
120: 제3진공통로 200: 지그
210: 성형영역 220: 테두리영역
300: 제1진공부 310: 제1진공홈
320: 제1진공통로 400: 제2진공부
410: 제2진공홈 420: 제2진공통로
500: 압착부 510: 압착시트
512: 열선 520: 프레임
530: 제1승강부 600: 히팅부
610: 하우징 620: 히터
630: 제1단열벽 640: 제2단열벽
650: 제2승강부 700: 진공펌프

Claims (12)

  1. 테이블;
    상부에 코어가 안착되는 성형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영역의 둘레에 테두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는 교체형 지그; 및
    상기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영역은 상기 코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킨의 접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으로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규제돌기를 당겨서 상기 스킨을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진공부가 상기 진공압력보다 큰 진공압력으로 상기 규제돌기를 당기면 상기 접합부를 함께 당겨서 상기 스킨과 코어가 결합될 때 상기 스킨을 팽행하게 유지하고 상기 스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진공부가 상기 스킨을 당겨서 상기 접합부와 코어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규제돌기의 높이보다 깊게 상기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1진공홈; 및
    상기 진공펌프와 제1진공홈에 연결되는 제1진공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진공홈은 테두리영역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스킨을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영역과 제1진공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2진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진공부가 진공압력으로 상기 테두리부를 당기면 상기 접합부를 함께 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공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테두리영역에 형성되는 제2진공홈; 및
    상기 진공펌프와 제2진공홈에 연결되는 제2진공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공홈은 상기 테두리영역을 따라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공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스킨을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가열할 수 있는 히팅부; 및
    상기 스킨을 덮고 눌러서 상기 접합부와 코어를 결합시킬 수 있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는 상기 압착부의 위쪽에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압착부를 덮는 하우징;
    상기 지그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히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그를 둘러싸는 제1단열벽;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킬 수 있는 제2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스킨을 덮는 압착시트;
    상기 압착시트의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는 제1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접합부를 둘러싸는 제2단열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히터는 소정의 단위 면적마다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열선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교체된 지그의 성형영역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KR1020210147940A 2021-11-01 2021-11-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KR10239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40A KR102395957B1 (ko) 2021-11-01 2021-11-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40A KR102395957B1 (ko) 2021-11-01 2021-11-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957B1 true KR102395957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940A KR102395957B1 (ko) 2021-11-01 2021-11-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9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555A (ja) * 2000-05-29 2001-12-04 Ube Ind Ltd 貼合わせ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貼合わせ成形方法
KR101195552B1 (ko) * 2011-08-04 2012-10-30 진테크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20190052355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방법
JP2019151009A (ja) * 2018-03-02 2019-09-12 株式会社エイ・ティ・エル 樹脂ブロック製造装置、樹脂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樹脂ブロック
KR102036132B1 (ko) * 2019-06-03 2019-10-25 덕양산업 주식회사 감싸기 금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내장재 제조방법
KR102274392B1 (ko) 2019-11-27 2021-07-0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555A (ja) * 2000-05-29 2001-12-04 Ube Ind Ltd 貼合わせ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貼合わせ成形方法
KR101195552B1 (ko) * 2011-08-04 2012-10-30 진테크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20190052355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방법
JP2019151009A (ja) * 2018-03-02 2019-09-12 株式会社エイ・ティ・エル 樹脂ブロック製造装置、樹脂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樹脂ブロック
KR102036132B1 (ko) * 2019-06-03 2019-10-25 덕양산업 주식회사 감싸기 금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내장재 제조방법
KR102274392B1 (ko) 2019-11-27 2021-07-0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954B1 (ko)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US6318125B1 (en)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glass sheets
US4873036A (en) Method of making integrally foam-molded seats
KR101075825B1 (ko) 열판 가열에 의한 열 성형 장치 및 열 성형 방법
US473722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utomotive seat
JP3993772B2 (ja) 車両ルーフ用の透明なパネルを発泡包埋するための装置
EP0097040B1 (en) Process for preparing integrally molded seats
KR102395957B1 (ko)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KR101881492B1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3896018B2 (ja) 二三輪車用シート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KR102395959B1 (ko)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
CN111730795A (zh) 一种带有无纺布衬件的坐垫发泡工艺
JP2007283845A (ja) 車両用成形カーペットモジュール体、車両用成形カーペットモジュール体の製造方法
JP2897806B2 (ja) 表皮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方法及び一体成形型
KR20040000990A (ko) 프레스용 비드 성형 장치
JP2018130332A (ja) 表皮材及び乗物用シート
JP2008126428A (ja) 表皮の貼着方法並びに貼着装置
JP2783135B2 (ja) 表皮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方法及び一体成形型
KR20230161585A (ko) 자동차 내장재 리얼스티치 스킨 접합장치
KR100838596B1 (ko) 장식용 핫 픽스의 부착방법 및 그 장치
CN205697227U (zh) 一种豆浆机
KR20010016281A (ko) 히터가 내장된 시트 커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기구
JP3972303B2 (ja) 振動板の成型用金型及び振動板の製造法
JP2544861Y2 (ja) 接着シート深絞り成形型
JP2962778B2 (ja) 表皮付き深絞り樹脂成形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