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914B1 -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914B1
KR102394914B1 KR1020200076516A KR20200076516A KR102394914B1 KR 102394914 B1 KR102394914 B1 KR 102394914B1 KR 1020200076516 A KR1020200076516 A KR 1020200076516A KR 20200076516 A KR20200076516 A KR 20200076516A KR 102394914 B1 KR102394914 B1 KR 10239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utput
npn
pn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128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to KR102020007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9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01J2001/4233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with selection of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73Phototrans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는 NPN 모드로 작동하는 제1 센서; PNP 모드로 작동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출력부하에 연결하는 출력선;및 상기 출력 부하와 상기 출력선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Photo sensor and control method of photo sensor}
개시된 실시예는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에 PNP센서 및 NPN 센서를 포함하는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토센서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 PNP형 센서와 NPN형 센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PNP형 센서와 NPN형 센서는 다른 제품에 마련되거나, 같은 제품에 마련된 경우라도 NPN형 센서와 PNP형 센서를 한 제품에 내장하고 스위치로 출력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종래 기술이다. 또한, NPN센서와 PNP센서를 한 제품에 내장하더라도 각각의 출력 선을 2가닥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종래기술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제품에 PNP형 센서와 NPN형 센서를 마련한 포토센서를 제공하고, 한 가닥의 출력선을 통해 출력을 제어하는 포토센서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는 NPN 모드로 작동하는 제1 센서; PNP 모드로 작동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출력부하에 연결하는 출력선;및 상기 출력 부하와 상기 출력선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가 VCC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가 접지(GND)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의 감지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회로를 보호하는 보상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센서의 제어방법은 제1 센서는 NPN 모드로 작동하고, 제2 센서는 PNP 모드로 작동하고. 출력 부하와 출력선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가 VCC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가 접지(GND)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의 감지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회로를 보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제품에 PNP형 센서와 NPN형 센서를 마련한 포토센서를 제공하고, 한 가닥의 출력선을 통해 출력을 제어하는 포토센서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포토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가 반사형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가 투과형 센서의 수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b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가 투과형 센서의 투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가 PNP모드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가 NPN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 출력부 제어회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가 NPN모드 또는 PN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 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는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제어회로(130), 출력선(140) 및 출력 부하(150)를 포함한다.
개시된 제1 센서(110)는 NPN센서로 구성된 빛 감지 센서일 수 있고, 제2 센서는 PNP센서로 구성된 빛 감지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또는 제2 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는 제어회로(130)를 통하여 한 가닥의 출력선(140)과 연결된다. 즉, 개시된 포토센서(100)는 PNP센서와 NPN센서를 하나의 장치에 포함한다.
개시된 제어회로(130)는 출력부하(150)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센서(110) 또는 제2 센서(120)중 어느 하나의 값을 출력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부하(150)가 접지단(GND)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회로(130)는 제 출력선(140)을 제2 센서(120)에 연결하고, 제어회로(130)의 감지결과로 제2 센서(120)가 출력되도록 하여 출력선(1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부하(150)가 전원단(VCC)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회로(130)는 제 출력선(140)을 제1 센서(110)에 연결하고, 제어회로(130)의 감지결과로 제1 센서(110)가 출력되도록 하여 출력선(14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서 제어회로(130)는 출력부하(150)가 전원단에 연결되면 NPN센서의 감지결과를 출력하고, 출력부하(150)가 접지단에 연결되면 PNP센서의 감지결과를 출력하도록 출력선(15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회로(130)는 포토 센서(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출력선(140)은 한 가닥으로 마련되어, 제어회로(130)의 제어신호를 입력 받고, 제1 센서(110) 또는 제2 센서(120)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즉, 출력선(140)은 출력부하(150)의 연결 상태에 따라 NPN센서 또는 PNP센서에 연결되고, PNP센서 또는 NPN센서의 감지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선(140)은 제1 센서(110) 또는 제2 센서(120)에 연결되면, 연결된 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한다.
출력부하(150)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제어하려는 대상에 따라 전원단 또는 접지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장비 또는 사용 용도가 NPN 센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출력부하(150)를 전원단에 연결하고,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는 개시된 출력선 한가닥에 연결된 제어회로(130)의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NPN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하고자 하는 장비 또는 사용 용도가 PNP 센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출력부하(150)를 접지단에 연결하고,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는 개시된 출력선 한가닥에 연결된 제어회로(130)의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PNP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2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가 반사형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a과 도 3b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가 투과형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포토 센서(100)가 반사형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포토 센서(100)의 제어회로(130)는 광입력 신호 판단장치(131), 센서 컨트롤러(132), PNP 출력회로(133), PNP 전류 감지부(134), NPN 출력회로(135), NPN 전류 감지부(136)을 포함하고, 출력부하 감지부(141) 및 광 출력회로(160)을 포함한다.
입력 신호 판단장치(131)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 광입력 신호 판단장치(131)는 광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광신호를 센서 컨트롤러(132)로 전달한다.
센서 컨트롤러(132)는 광 신호를 입력 받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출력부하(150)에 연결상태에 따라 하나의 출력선(140)을 통해 입력된 전류.전압을 출력부하 감지부(141)가 감지하여 센서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PNP 출력회로(133) 또는 NPN 출력회로(135) 중 어느 하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도 8에서 후술한 바와 같이 출력 부하(150)의 연결 상태일 수 있다.
PNP 출력회로(133)는 센서 컨트롤러(132)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출력선(140)을 PNP 부하에 연결한다. 출력선(140)이 PNP 부하에 연결되면, PNP 출력회로(133)가 동작하고 PNP 전류 감지부(134)에 PNP 부하에 소비되는 전류가 발생 되고, PNP 전류 감지부(134)는 센서 컨트롤러(132)로 감지된 전류를 피드백 한다. 그 결과, 제어 회로(130)는 PNP모드에서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NPN 출력부(135)는 센서 컨트롤러(132)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출력선(140)을 NPN 부하에 연결한다. 출력선(140)이 NPN 부하에 연결되면, NPN 출력회로(135)가 동작하고 NPN 전류 감지부(136)에 NPN부하에 소비되는 전류가 발생되고, NPN 전류 감지부(136)는 센서 컨트롤러(132)로 감지된 전류를 피드백 한다. 그 결과, 제어 회로(130)는 NPN모드에서도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하 감지부(141)는 출력선(140)과 센서 컨트롤러(132)사이에 연결되어 출력선(140)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고, 센서 컨트롤러(132)가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의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하(150)가 접지단(153)에 연결되는 경우, 출력부하 감지부(141)는 출력선(1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접지 전압으로 판단하고, 개시된 센서 컨트롤러(132)는 출력선(140)이 제2 센서(1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에 연결되는 경우, 출력부하 감지부(141)는 출력선(1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판단하고, 개시된 센서 컨트롤러(132)는 출력선(140)이 제1 센서(11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광출력 회로(160)은 광신호를 출력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투과형 센서의 수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포토 센서(100) 출력부의 제어회로(130)는 광입력 신호 판단장치(131), 센서 컨트롤러(132), PNP 출력회로(133), PNP 전류 감지부(134), NPN 출력회로(135), NPN 전류 감지부(136)을 포함하고, 출력 전압 감지부(141)를 포함한다.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투과형 센서의 수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각 구성의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b를 참조하면, 개시된 포토 센서(100)가 투과형 센서의 투광 센서로 구현되어, 도 3a에 투과형 센서의 수광 센서에 광입력 신호 판단장치(131)에 도 3a에 광출력 회로(160)를 통해 광출력을 투과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투과형 센서의 수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포토 센서(100)는 반사형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광출력 회로(160)를 포함하지 않고 센서 출력 회로(160)만 있는 출력부만 따로 별도로 구성된다. 광출력 회로(160)는 도 3a에 투과형 센서의 투광 센서에 별도의 센서로 구성한다. 즉,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투과형 센서의 수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포토 센서(100)는 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별도의 광신호 출력부가 따로 존재한다.
도 4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PNP모드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개시된 포토센서(100) 출력부는 전원단(151), 출력단(152) 및 접지단(153)을 포함하고 각각 전원단(151)은 갈색(BROWN), 출력단(152)은 검은색(BLACK) 및 접지단(153)은 청색(BLUE)로 표현될 수 있다. 출력부하(150)가 접지단(153)에 연결되는 경우, 개시된 제어회로(30)의 출력선(140)은 제2 센서(12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 센서가 PNP센서인 경우, 출력부하(150)가 접지단(153)에 연결되면 개시된 제어회로(130)의 출력선(140)은 제2 센서(1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개시된 포토센서(100)는 PNP 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하게 된다.
도 5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NPN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에 연결되는 경우, 개시된 제어회로(30)는 출력선(140)은 제1 센서(11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센서가 NPN센서인 경우,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에 연결되면 개시된 제어회로(130)는 출력선(140)은 제1 센서(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개시된 포토센서(100) 출력부는 NPN 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하게 된다.
도 6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회로(13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회로(130)는 PNP센서 및 NPN센서에 과전류(OVERCURRENT)가 흐르는지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회로(130)는 출력부하(15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제어회로(130)를 보호하는 보상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제어회로(130)는 PNP센서의 출력 값과 NPN센서의 광입력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부하(150)가 접지단(153)에 연결되는 경우, 개시된 포토 센서는 PNP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하고,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에 연결되는 경우 NPN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출력선(140)은 2개의 PNP형 트랜지스터(140(a), 140(b))와 2개의 NPN형 트랜지스터(140(c), 140(d))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선(140)은 출력 부하(150)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개시된 트랜지스터들의 on/off를 통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토센서(100)는 전원단(151), 출력단(152) 및 접지단(153)을 포함하고 각각 전원단(151)은 갈색(BROWN), 출력단(152)은 검은색(BLACK) 및 접지단(153)은 청색(BLUE)로 표현될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개시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광입력 신호 판단장치(131)은 계속하여 반사형 광출력이 되어 검출체를 통해 반사되어 들어오거나 투과형 센서의 투광 센서로부터 입광되는 빛을 감지한다.(1001)
개시된 포토 센서(100) 출력부는 출력부하(15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1002),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하(150)의 연결 상태는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 출력단(152) 또는 접지단(153)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상태일 수 있다.
개시된 제어회로(140)는 출력부하(150)가 전원단(VCC)(151)에 연결된 것인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3) 출력부하(150)가 전원단(VCC)(151)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개시된 제어회로(140)는 NPN 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한다.(1006)
그러나,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개시된 제어회로(140)는 출력 부하가 접지단(GND)(153)에 연결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1004)
출력 부하가 접지단(GND)(153)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개시된 제어 회로(150)는 PNP센서의 출력값을 출력한다.(1005)
그러나, 출력부하(150)가 전원단(151) 또는 접지단(153) 중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회로(130)는 계속하여 출력부하(15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도 8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포토 센서(100) 출력부가 NPN모드 또는 PN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100)는 포토 센서(100) 출력부의 출력선(150)의 연결 상태를 감지한다(1101). 여기서 연결상태의 감지는 출력 부하(150)가 전원단(151) 또는 접지단(153)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출력선(140)의 연결 상태 감지 결과, CHK1이 전원단(+전원)(151)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1102), 제어 회로(130)는 광입력 신호(1103)가 있으면, NPN모드로 센서 작동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CHK1은 출력 부하(150)에 마련된 전원단(151)에 연결되는 저항 또는 임피던스일 수 있다. 그러나, CHK1이 전원단(+전원)(151)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개시된 제어 회로(130)는 CHK1 출력 포트를 전환하고(1107), CHK1 출력을 'H'를 출력하고(1108), CHK2가 CHK1에서 분배된 전압 값보다 작고(1109), 제어 회로(130)는 광입력 신호(1110)가 있으면, 포토 센서(100)출력부의 동작 모드를 PNP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개시된 제어 회로(130)는 포토 센서(100)가 NPN모드로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NPN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05).
즉, 발생된 NPN 전류가 과전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30)는 NPN 출력을 OFF하고(1106), 포토 센서(100)출력부를 보호한다. 그러나, 발생된 NPN 전류가 과전류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제어 회로(130)는 계속하여 광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로테이션 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HK1이 전원단(+전원)(151)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개시된 제어 회로(130)는 CHK1 출력 포트를 전환하고(1107), CHK1 출력을 'H'로 하여(1108), CHK2의 분배전압을 비교하여(1109) 분배전압보다 작으면, 포토 센서(100)의 동작 모드를 PNP 모드로 결정한다.
CHK2에 인가되는 전압이 CHK1에 분배되는 전압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30)는 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10). 그러나, CHK2에 인가되는 전압이 CHK1에 분배되는 전압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30)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선 감지(1101)과정으로 로테이션 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PNP 모드에서 광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30)는 PNP 출력을 ON으로 설정하고, 센싱 결과를 출력한다(1111). 그러나, 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30)는 PNP 출력을 OFF(1113)하고, 포토 센서(100) 다시 광신호 입력으로 로테이션 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개시된 제어 회로(130)는 포토 센서(100)출력부가 PNP모드로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PNP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12).
즉, 발생된 PNP 전류가 과전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30)는 PNP 출력을 OFF하고(1113), 포토 센서(100) 출력부를 보호한다. 그러나, 발생된 PNP 전류가 과전류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제어 회로(130)는 계속하여 광신호가 입력(1110)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로테이션 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0)

  1. NPN 모드로 작동하는 제1 센서;
    PNP 모드로 작동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출력 부하에 연결하는 한 가닥의 출력선;및,
    상기 출력선이 NPN 모드 또는 PNP 모드 어디에 연결 되더라도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 감지 결과를 NPN 출력 모드는 NPN 출력이 되도록 하고, PNP 출력 모드는 PNP 출력이 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가 VCC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가 접지(GND)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회로를 보호하는 보상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6. 제1 센서는 NPN 모드로 작동하고, 제2 센서는 PNP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출력 부하에 연결하는 한 가닥의 출력선이 NPN 모드 또는 PNP 모드 어디에 연결 되더라도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 감지 결과를 NPN 출력 모드는 NPN 출력이 되도록 하고, PNP 출력 모드는 PNP 출력이 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가 VCC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가 접지(GND)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출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NPN 및 PNP 각각의 출력 모드를 감지하여 이에 맞도록 제어하는 회로를 구성함에 따라 출력 제어 회로를 보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KR1020200076516A 2020-06-23 2020-06-23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KR10239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516A KR102394914B1 (ko) 2020-06-23 2020-06-23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516A KR102394914B1 (ko) 2020-06-23 2020-06-23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28A KR20210158128A (ko) 2021-12-30
KR102394914B1 true KR102394914B1 (ko) 2022-05-09

Family

ID=7917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516A KR102394914B1 (ko) 2020-06-23 2020-06-23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9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143A (ja) 1999-02-15 2000-08-29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
KR100604865B1 (ko) 2004-06-08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대 잡음비가 향상된 aps 셀
US20120206735A1 (en) 2009-12-08 2012-08-16 Paul Edmond Rutten Wideband optical position sensor with norma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2230B2 (ja) * 1996-07-30 2002-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荷積分型光検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143A (ja) 1999-02-15 2000-08-29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
KR100604865B1 (ko) 2004-06-08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대 잡음비가 향상된 aps 셀
US20120206735A1 (en) 2009-12-08 2012-08-16 Paul Edmond Rutten Wideband optical position sensor with norm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28A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266B2 (en) Electronic device
KR102044898B1 (ko)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9141141B2 (en) Portable device and peripheral extension dock
US7898782B2 (en) Inverter
US20120049740A1 (en) Luminescence dr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19042B2 (en) Sensor with concurrent autosensing of output mode and manual selection
US20100259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integrated circuit pin as both a current limiting input and an open-drain output
KR102394914B1 (ko) 포토 센서 및 포토 센서의 제어방법
US111659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1069339A (ja) 外部機器接続用インタフェース機構
US9326342B2 (en) Automatic input impedence control
KR100974232B1 (ko) 전력 제어 장치
US5087838A (en) Sourcing or sinking output circuit
JP4976726B2 (ja) センサシステム及びセンサユニット
US10615550B2 (en) Earphone recognition and connection methods and circuits and storage medium
JP2006172723A (ja) 通信機能付きテーブルタップ
KR101933136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932241A (zh) 具有多路输出通道的芯片的过载保护方法、装置和电路
JP2008118226A (ja) 検出センサ、コントローラ、及びセンサシステム
US20240069077A1 (en) Re-configurable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sensor device using a pulse modulated signal
US10409543B2 (en) Amplif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amplification device, and control program
JP4199396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JP2003114705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101624112B1 (ko)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JP2008193139A (ja) 出力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検出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