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98B1 -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898B1
KR102044898B1 KR1020120139261A KR20120139261A KR102044898B1 KR 102044898 B1 KR102044898 B1 KR 102044898B1 KR 1020120139261 A KR1020120139261 A KR 1020120139261A KR 20120139261 A KR20120139261 A KR 20120139261A KR 102044898 B1 KR102044898 B1 KR 10204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sb
forming apparatus
main controller
sa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189A (ko
Inventor
민병선
최시내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2013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898B1/ko
Priority to US13/938,390 priority patent/US8928907B2/en
Priority to EP13176269.2A priority patent/EP2738642A1/en
Priority to CN201310632151.4A priority patent/CN103853682B/zh
Publication of KR2014007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189A/ko
Priority to US14/559,349 priority patent/US96967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G06K15/406Wake-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메인 컨트롤러;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에 VBUS(voltage bus) 라인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VBUS 전원 공급부; 상기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변화 검출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되는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전압변화 검출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킨다.

Description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Method for sensing connection of USB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인쇄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일부 구성들을 오프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장치에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외부의 다른 장치들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는 화상형성장치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 및 화상형성장치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USB 호스트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화상형성장치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어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에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가 오프 상태로 있더라도 화상형성장치에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가 연결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를 웨이크-업(wake-up)할 수 있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어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로 VBUS(voltage bus) 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원 감지를 통한 웨이크-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더라도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키지 않고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일단은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켰다가 일정 주기로 온시켜서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기전력의 감소에 한계가 있었다.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USB 디바이스의 접속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 컨트롤러;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에 VBUS(voltage bus) 라인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VBUS 전원 공급부; 상기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변화 검출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되는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전압변화 검출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압변화 검출부는, 상기 VBUS 라인상에 구비되는 저항; 및 상기 저항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하면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저항의 일단의 전압값이 입력되고, 상기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저항의 타단의 전압값이 분배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은 폴리 스위치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신호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전원 공급을 관리하는 절전모드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모드 관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키고, 상기 GPIO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전모드 관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상태일 때 구동되는 마이크로 커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허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USB 허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USB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USB 포트에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상기 USB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VBUS 라인상에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컨트롤러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VBUS 라인상에 구비되는 저항의 양단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저항은 폴리 스위치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마이크로 커널을 구동시키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GPIO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커널이 GPIO로부터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키고, 화상형성장치에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USB 인터페이스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VBUS 라인상에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있는 동안 USB 호스트 컨트롤러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USB 디바이스의 연결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감지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 시킬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VBUS 라인상에 저항을 구비하고, 저항 양단의 전압차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기 등의 간단한 구성을 통해 USB 디바이스의 접속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폴리 스위치들의 스펙을 나열한 표이다.
도 8은 다양한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스펙을 나열한 표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VBUS(voltage bus) 전원 공급부(110), 전압변화 검출부(120), USB 인터페이스부(130), 메인 컨트롤러(140),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 및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VBUS 전원 공급부(110)는 VBUS 라인을 통해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VBUS 전원을 공급한다.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공급되는 VBUS 전원은 화상형성장치(1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는 VBUS 라인의 일단이 오픈된 상태이므로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가 있다면 VBUS 전원이 VBUS 라인을 통해 USB 디바이스에 공급되므로 VBUS 라인상에 저항 등이 존재한다면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다.
전압변화 검출부(120)는 VBUS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VBUS 전원이 공급되는 VBUS 라인상에 구비된다.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VBUS 라인상에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전압변화 검출부(120)는 메인 컨트롤러(140)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한다. VBUS 라인상의 전압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변화 검출부(120)의 상세 구성은 아래의 도 2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USB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외부의 USB 디바이스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USB 인터페이스부(130)는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기 위한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USB 인터페이스부(130)는 VBUS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VBUS 전원을 공급받아 USB 포트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구비되는 USB 포트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일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power save mode)에 진입하면 대기전력의 감소를 위해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구성들을 오프시킨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50)에 포함된 프린트 엔진 및 스캐너 등의 구성들을 오프시키고,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컨트롤러(140)의 내부에 포함되어 각종 제어를 수행하는 하위 구성들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가능한 한 많은 구성들을 오프시킬 수록 대기전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등의 조건이 충족되면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1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USB 데이터 라인(101)을 통해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메인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오프된다. 그리고 절전모드 상태에서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검출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메인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온된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4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메인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메인 컨트롤러(140)의 내부에 위치하되, 메인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구비되는 USB 허브를 경유하여 USB 인터페이스부(1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50)는 인쇄 또는 스캔 등의 구체적인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프린트 엔진 또는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50)는 메인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며,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메인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오프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진입하고, 절전모드 상태에서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가 웨이크-업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절전모드 진입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부 구성들을 오프시킨다. 이때,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50)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가 오프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인 상태에서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면 VBUS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출력되는 VBUS 전원이 접속된 USB 디바이스에 공급되고, 따라서 VBUS 라인상에 전압 강화와 같은 전압변화가 발생된다.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발생되면 전압변화 검출부(120)는 메인 컨트롤러(140)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한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전압변화 검출부(12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를 온시킴으로써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를 오프시키고, 화상형성장치(100)에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VBUS 라인상에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를 온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전압변화 검출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전압변화 검출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압변화 검출부(120)는 비교기(121)와 4개의 저항(R1, R2 , R3, R4)을 포함한다.
R1은 VBUS 라인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하여 VBUS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USB 디바이스로 VBUS 전원이 공급되면 R1의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R1의 일단은 비교기(121)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R1의 타단은 다른 저항 R2의 일단에 연결되며, R2의 타단은 비교기(121)의 반전 입력단 및 R3의 일단에 연결되고, R3의 타단은 접지된다.
따라서, R1의 일단의 전압값은 R2 및 R3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비교기(121)의 반전 입력단에 입력된다. 또한, R1의 타단의 전압값은 비교기(121)의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된다. 비교기(121)는 반전 입력단 및 비반전 입력단의 입력의 차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R2 및 R3의 값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R1의 양단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비교기(121)에서 특정 값을 가지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R1의 양단에 전압 강하가 발생할 경우 비교기(121)에서 출력되는 특정 값의 신호는 웨이크-업(wake-up) 신호이며, 메인 컨트롤러(140)는 비교기(121)에서 출력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반응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를 온시킨다.
한편, VBUS 라인상에 구비되는 저항 R1으로는 폴리 스위치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폴리 스위치들의 스펙을 나열한 표이고, 도 8은 다양한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스펙을 나열한 표이다. 도 7의 굵게 표시된 영역(701) 및 도 8의 굵게 표시된 영역(801)에는 각각 폴리 스위치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R1으로서 사용될 경우의 최소 저항값, 대표 저항값 및 최대 저항값이 표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도 1과 비교하면,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가 메인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구비되는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별도의 IC(Integrated Chip)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에는 메인 컨트롤러(140)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다른 별도의 전원을 공급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140)는 전압변화 검출부(12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에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가 메인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구비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와 메인 컨트롤러(140)는 로컬 버스(local bus)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와 USB 데이터 라인(101)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도 1과 비교하면,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는 USB 허브(160)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의 내부에 구비된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는 메인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구비된 USB 허브(160)와 USB 데이터 라인(102)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USB 허브(160)는 USB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와 USB 데이터 라인(103)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USB 허브(160)에는 메인 컨트롤러(140)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다른 별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USB 허브(1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140)는 전압변화 검출부(12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USB 허브(160)에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도 1과 비교하면, 도 5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메인 컨트롤러(140)가 GPIO (General Purpose Input Output)(144) 및 절전모드 관리부(146)를 더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GPIO(144)는 신호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메인 컨트롤러(140)는 GPIO(144)를 통해 전압변화 검출부(12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IO(144)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절전모드 관리부(146)로 전달한다.
절전모드 관리부(146)는 절전모드시에 화상형성장치의 각 구성의 온오프를 관리한다. 절전모드 관리부(146)는,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는 마이크로 커널(micro kernel)일 수 있다. 이러한 절전모드 관리부(146)는 전력 소모가 크지 않아 절전모드시에도 항상 온상태를 유지하며,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과 같은 이벤트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구성을 온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USB 호스트 컨트롤러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S6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의 USB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6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압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화상형성장치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지 않은 것이므로 USB 호스트 컨트롤러의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S6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압변화가 발생하였다면 S605 단계에서 메인 컨트롤러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S607 단계에서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킴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키고, 화상형성장치의 USB 포트에 USB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USB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VBUS 라인상에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상형성장치 101: 데이터 라인
110: VBUS 전원 공급부 120: 전압변화 검출부
121: 비교기 130: USB 인터페이스부
140: 메인 컨트롤러 142: USB 호스트 컨트롤러
144: GPIO 146: 절전모드 관리부
150: 화상형성작업 수행부 160: USB 허브

Claims (14)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메인 컨트롤러;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에 VBUS(voltage bus) 라인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VBUS 전원 공급부;
    상기 VBUS 라인상에서 전압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변화 검출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되는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전압변화 검출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키며,
    상기 전압변화 검출부는,
    상기 VBUS 라인상에 구비되는 저항; 및
    상기 저항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하면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저항의 일단의 전압값이 입력되고, 상기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저항의 타단의 전압값이 분배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폴리 스위치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신호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시의 전원 공급을 관리하는 절전모드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모드 관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오프시키고, 상기 GPIO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관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 상태일 때 구동되는 마이크로 커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 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USB 허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USB 허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39261A 2012-12-03 2012-12-03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4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261A KR102044898B1 (ko) 2012-12-03 2012-12-03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13/938,390 US8928907B2 (en) 2012-12-03 2013-07-10 Method of sensing connection of USB device in power save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EP13176269.2A EP2738642A1 (en) 2012-12-03 2013-07-12 Method of sensing connection of usb device in power save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201310632151.4A CN103853682B (zh) 2012-12-03 2013-12-02 省电模式下感测usb装置的连接的方法及其成像设备
US14/559,349 US9696783B2 (en) 2012-12-03 2014-12-03 Method of sensing connection of USB device in power save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261A KR102044898B1 (ko) 2012-12-03 2012-12-03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89A KR20140071189A (ko) 2014-06-11
KR102044898B1 true KR102044898B1 (ko) 2019-11-14

Family

ID=4878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261A KR102044898B1 (ko) 2012-12-03 2012-12-03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928907B2 (ko)
EP (1) EP2738642A1 (ko)
KR (1) KR102044898B1 (ko)
CN (1) CN1038536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7043B2 (en) * 2011-07-26 2020-10-27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and exiting sleep mode in a graphics subsystem
EP2829929B1 (de) * 2013-07-24 2019-10-23 VEGA Grieshaber KG Feldgerät mit einem trennbaren Anzeige- und/oder Bedienmodul
CN104914969A (zh) * 2014-03-13 2015-09-16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接口供电电路
US9971395B2 (en) * 2014-08-20 2018-05-1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ow power connection detect method and system for USB charging
JP6672001B2 (ja) * 2016-02-08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KR102581826B1 (ko) 2016-04-21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450991A (zh) * 2016-09-13 2017-02-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Otg转接线
EP3331195A1 (en) 2016-12-01 2018-06-06 Iristick nv Device and method for wake-up signalling
JP2018103383A (ja) * 2016-12-22 2018-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またはプログラム
CN108572936B (zh) * 2017-03-07 2023-06-06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Usb接口控制电路
US10331200B2 (en) 2017-03-23 2019-06-2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ports in different system states
TWI641944B (zh) * 2017-05-12 2018-11-21 飛捷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喚醒輔助裝置之電子系統與應用於其中之喚醒輔助方法
CN107168156A (zh) * 2017-05-16 2017-09-15 深圳市美好创亿医疗科技有限公司 降低电子产品功耗的控制电路及控制方法
GB2563295A (en) 2017-05-31 2018-12-12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data connections to a peripheral device
JP6891705B2 (ja) * 2017-07-27 2021-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7091706B2 (ja) * 2018-02-26 2022-06-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CN112075943A (zh) * 2020-09-02 2020-12-15 北京华益精点生物技术有限公司 血糖仪开机通讯装置及血糖仪开机通讯方法
CN114385530A (zh) * 2020-10-21 2022-04-22 深南电路股份有限公司 基于usb的输入输出的数据处理装置及方法
US20220374064A1 (en) * 2021-05-19 2022-11-24 Hand Held Product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management of read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783A (ja) * 2005-05-26 2007-01-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305062A (ja) 2006-05-15 2007-11-22 Seiko Epson Corp 電子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158840A (ja) 2006-12-25 2008-07-10 Nikon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053A (ja) 1982-12-22 1984-07-04 Seiko Epson Corp 電池電圧低下検出回路
JPH04298721A (ja) 1991-03-28 1992-10-2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4295222A (ja) 1991-03-22 1992-10-20 Nec Corp 安定化電源回路
JPH0786843A (ja) * 1993-09-09 1995-03-31 Sony Tektronix Corp 増幅回路
US6622178B1 (en) 2000-07-07 2003-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computer system in response to a stimulus from a universal serial bus peripheral
JP4298224B2 (ja) * 2001-06-07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US7565561B2 (en) 2005-05-26 2009-07-21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voltage supplied to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energy-saving mode and normal mode through the used of a resistor upon whether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JP4488987B2 (ja) * 2005-09-08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82257B1 (ko) * 2008-04-24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6773B1 (ko) * 2009-10-20 2017-02-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783A (ja) * 2005-05-26 2007-01-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305062A (ja) 2006-05-15 2007-11-22 Seiko Epson Corp 電子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158840A (ja) 2006-12-25 2008-07-10 Nikon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6783B2 (en) 2017-07-04
US20140153025A1 (en) 2014-06-05
CN103853682A (zh) 2014-06-11
KR20140071189A (ko) 2014-06-11
EP2738642A1 (en) 2014-06-04
US20150085311A1 (en) 2015-03-26
CN103853682B (zh) 2018-04-20
US8928907B2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898B1 (ko) 절전모드시의 usb 디바이스의 접속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84954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50393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chipset and computer system
US20090283600A1 (en) Automatic detection of an enabled interface of a card reader
US20140223212A1 (en) Power management circuit, power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system
US20060015670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of a peripheral unit to a host system
US20140195792A1 (en) Hiding boot latency from system users
KR20070008861A (ko) Usb허브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640584B1 (ko) Pic를 활용한 대기전력 제어 방법
US20100325455A1 (en) Memory car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32909A1 (en) Using usb signaling to trigger a device to enter a mode of operation
US7791854B2 (en) Current limi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rent limit protection
JP2013030087A (ja) 電子機器、画像形成装置
US20090300395A1 (en) Power saving system and method
JP6003171B2 (ja) 電子機器
EP1876512B1 (en) Networ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network chip
US9145100B2 (en) In-vehicle ECU
KR101657593B1 (ko)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절전 방법
US9824046B2 (en) Using USB signaling to trigger a device to enter a mode of operation
JP2007047909A (ja) Usbデバイス及びそのスタンバイ状態回避方法
US7594130B1 (en) Circuit for regulating timing sequence
US20140115349A1 (en) Computer apparatus and wake-up method thereof
KR102244643B1 (ko) 전원공급장치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장치 및 방법
US20140126020A1 (en) Method of controlling speed of ethernet connection in power save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US20100250822A1 (en) Motherboard with Backup Chip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