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12B1 -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12B1
KR101624112B1 KR1020100043179A KR20100043179A KR101624112B1 KR 101624112 B1 KR101624112 B1 KR 101624112B1 KR 1020100043179 A KR1020100043179 A KR 1020100043179A KR 20100043179 A KR20100043179 A KR 20100043179A KR 101624112 B1 KR101624112 B1 KR 10162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battery power
voltage
level
outpu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611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검출부와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출력 노드를 제2 레벨로 풀다운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APPARATUS FOR DETECTING VOLTAGE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는 Dual Type Voltage Detect IC를 이용하게 되어, 오디오 마이컴의 Port 2개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Dual Type Voltage Detect IC는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에 비해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므로,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의 가격 또한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검출부와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출력 노드를 제2 레벨로 풀다운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구동장치는, 배터리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배터리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입력받는 제2 입력단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입력단의 입력에 따라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정상동작하는 마이컴 및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제1 입력단에만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배터리 전원 검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10)는 제1 검출부(1100), 제2 검출부(1200) 및 출력 노드(2000)를 포함한다.
제1 검출부(1100)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 노드(2000)로 출력한다.
제2 검출부(1200)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출력 노드(2000)를 제2 레벨로 풀다운(Pulldown)한다.
한편, 제1 레벨은 논리 레벨로서 하이레벨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레벨은 논리레벨로서 로우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회로 구성에 따라 제1 레벨이 로우레벨이고 제2 레벨이 하이레벨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레벨이 하이레벨인 경우, 제2 검출부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출력 노드(2000)를 제2 레벨로 풀업(Pullup)할 수 있다.
한편, 제1 검출부(1100)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미만이면 출력 노드(2000)로 제2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1 레벨의 검출신호는 배터리 전원의 전압에 따라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벨의 검출신호는 제1 기준전압에 따라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2 레벨의 검출신호는 GND(0V)의 전압에 따라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환경에 있어서, 차량 BATTERY 전원이 7V~18V 사이인 경우, CAN 통신이 정상 동작을 한다고 하자. 이 때,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10)의 제1 기준전압은 7V, 제2 기준전압은 18V이 될 수 있다. 제1 검출부(1100)는 배터리 전원이 7V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 노드(2000)로 출력한다. 또한, 제2 검출부(1200)는 배터리 전원이 18V 초과이면 출력 노드(2000)를 제2 레벨로 풀다운(Pulldown)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10)는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검출부(1100)는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 노드(2000)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벨의 검출신호는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에서의 HIGH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10)는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해당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20)는 제1 검출부(1100), 제2 검출부(1200) 및 출력 노드(2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검출부(1200)는 제너 다이오드(220) 및 스위치 소자(21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220)는 배터리 전원이 제2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온이 된다.
또한, 스위치 소자(210)는 제너 다이오드(220)가 온(On)되면, 출력 노드(2000)를 제2 레벨로 풀다운(Pulldown)한다.
또한, 스위치 소자(210)는 출력 노드(2000)와 연결된 이미터와, 그라운드에 연결된 컬렉터와, 제너 다이오드(220)의 일단에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220)의 타단은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스위치 소자(210)는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한 스위치 회로일 수 있으며, 스위치 소자를 작동시키기 위한 저항 및 리액턴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20)는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 및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30)는 배터리 전원 검출부(1000) 및 마이컴(3000)을 포함한다.
마이컴(3000)은 배터리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입력받는 제1 입력단(3100)과, 배터리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입력받는 제2 입력단(3200)을 포함한다.
이 때, 마이컴(3000)은 제1 입력단(3100) 및 제2 입력단(3200)의 입력에 따라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정상동작한다.
배터리 전원 검출부(1000)는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제1 입력단(3100)에만 검출결과를 제공한다.
한편, 마이컴(3000)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이 가능한 오디오 MICOM 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전원 검출부(1000)는 제1 검출부(1100), 제2 검출부(1200) 및 출력 노드(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출부(1100)는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 노드(2000)로 출력한다.
제2 검출부(1200)는 배터리 전원이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출력 노드(2000)를 제2 레벨로 풀다운한다.
한편, 제2 검출부(1200)는 제너 다이오드(220) 및 스위치 소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220)는 배터리 전원이 제2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온(On)된다. 제너 다이오드(220)가 온되면, 스위치 소자(210)는 출력 노드(2000)를 제2 레벨로 풀다운한다.
한편, 스위치 소자(210)는 출력 노드(2000)와 연결된 이미터와, 그라운드에 연결된 컬렉터와, 제너 다이오드(220)의 일단에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너 다이오드(220)의 타단은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30)는 배터리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에서 마이컴을 정상동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Single Type Voltage Detect IC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마이컴을 정상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출력 노드;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검출부; 및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상기 출력 노드를 제2 레벨로 풀다운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제2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온되는 제너 다이오드;
    상기 제너 다이오드가 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 풀다운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제1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출력 노드로 상기 제2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
    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이미터와, 그라운드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타단은 상기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것
    인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5. 배터리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큰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입력받는 제2 입력단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상 상기 제2 기준전압 이하이면 정상동작하는 마이컴;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입력단에만 상기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배터리 전원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전원 검출부는
    출력 노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제1 레벨의 검출신호를 상기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검출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초과이면 상기 출력 노드를 제2 레벨로 풀다운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상 상기 제2 기준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입력단에만 상기 검출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온되는 제너 다이오드;
    상기 제너 다이오드가 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 풀다운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이미터와, 그라운드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타단은 상기 배터리 전원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00043179A 2010-05-07 2010-05-07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KR10162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79A KR101624112B1 (ko) 2010-05-07 2010-05-07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79A KR101624112B1 (ko) 2010-05-07 2010-05-07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11A KR20110123611A (ko) 2011-11-15
KR101624112B1 true KR101624112B1 (ko) 2016-05-25

Family

ID=4539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179A KR101624112B1 (ko) 2010-05-07 2010-05-07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345A (ja) 2007-04-27 2008-11-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定電圧回路
JP2008304393A (ja) * 2007-06-08 2008-12-18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345A (ja) 2007-04-27 2008-11-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定電圧回路
JP2008304393A (ja) * 2007-06-08 2008-12-18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11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467B2 (en) Dual-mode charger circuit
US20100045117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power source and power unit using same
US20100301828A1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085756A1 (en)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212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horts i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WO2013047005A1 (ja) 負荷駆動回路
US9581648B2 (en) Relay welding detector, relay equipment incorporating the same, and relay welding detecting method
US9960588B2 (en) Power switch device
US8879229B2 (en) Display panel driver circuit and overheat protection device thereof
TW201321768A (zh) 天線偵測模組及其電子裝置
KR101624112B1 (ko) 배터리 전원 검출 장치
US20110114858A1 (en) Digital input circuit
CN113422350B (zh) 过流保护电路及空调设备
CN205986096U (zh) 一种电压保护电路
CN103097903B (zh) 感测二进制信号的方法和设备
US20120250235A1 (en) Interface module with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056611A1 (en) Connection detection circuit
CN103033669B (zh) 开关电源的极限峰值电流检测电路
CN106774795A (zh) 移动终端及其电源管理系统
US8988234B2 (en) Alarm system
US20140289431A1 (en) Interface apparatus connected with electronic device
US10615550B2 (en) Earphone recognition and connection methods and circuits and storage medium
US20110299205A1 (en) Voltage protecting circuit for electronic device
CN219643892U (zh) 晶体管工作状态获取电路及电子器件
US9705322B2 (en) DC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