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076B1 - 드레서 - Google Patents

드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076B1
KR102394076B1 KR1020207028704A KR20207028704A KR102394076B1 KR 102394076 B1 KR102394076 B1 KR 102394076B1 KR 1020207028704 A KR1020207028704 A KR 1020207028704A KR 20207028704 A KR20207028704 A KR 20207028704A KR 102394076 B1 KR102394076 B1 KR 102394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dresser
edge part
insertion dir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714A (ko
Inventor
다케시 사토
다다시 야마구치
신이치로 유루기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12Dressing tools; Holders therefor
    • B24B53/14Dressing tools equipped with rotary rollers or cut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1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clea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la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4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of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s on abrasive tools or wheels
    • B24B53/04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of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s on abrasive tools or wheels equipped with one or more diam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12Dressing tool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07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between different parts of an abrasiv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드레서는, 마운팅 부품과, 기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되고,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이 상기 마운팅 부품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부품에 고정됨과 더불어 선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노출되어 커팅 엣지를 이루는 커팅 엣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선단부 측에서 상기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가지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를 L1로 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대치를 M1로 한 경우에, 상기 길이 L1과 상기 최대치 M1의 비인 L1/M1은 2.1 이상이다.

Description

드레서
본 개시는 드레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4월 12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인 특원 2018-07682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일본 특허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은 참조에 의해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종래 드레서의 재질로서 다이아몬드가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8-229818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베이스의 드레싱면에 단결정의 기둥형 다이아몬드가 매설되어 있는 다이아몬드 드레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드레서에 있어서는, 커팅 엣지가 되는 단결정의 기둥형 다이아몬드의 선단부(베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그 사용에 의해 서서히 마모된다. 그 수명 형태는, 다이아몬드 부분이 소멸되거나 혹은 소멸 전에 다이아몬드 부분이 베이스로부터 탈락함에 의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8-229818호 공보
본 개시의 드레서는,
마운팅 부품과,
기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되고,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이 상기 마운팅 부품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부품에 고정됨과 더불어, 선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노출되어 커팅 엣지를 이루는 커팅 엣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선단부 측에서 상기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가지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를 L1로 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대치를 M1로 한 경우에, 상기 길이 L1과 상기 최대치 M1의 비인 L1/M1은 2.1 이상인 드레서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1-X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1-Y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커팅 엣지 부품의 단면의 등면적의 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2-X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2-Y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3-X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3-Y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4-X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4-Y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포인트형의 단석(單石)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블레이드형의 다석(多石)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로터리형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드레서에 이용하는 커팅 엣지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일본 특허공개 평8-229818호 공보(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기둥형 다이아몬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형상 및 면적은, 길이 방향에 관해서 제조 공차를 제외하면 일정하다. 이 때문에, 드레서의 선단부를 반복하여 사용한 결과로서 기둥형 다이아몬드, 보다 엄밀하게는 기둥형 다이아몬드의 매설 부분(기재에 매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아져 온 경우에, 기둥형 다이아몬드의 매설 부분과 기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외부로부터 기둥형 다이아몬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대항하는 힘이 작아지기 때문에, 기둥형 다이아몬드가 베이스로부터 탈락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기둥형 다이아몬드를 길이 방향에 관해서 사용이 끝나기 전에 기둥형 다이아몬드가 베이스로부터 탈락되어, 기대되는 공구 수명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목적은 공구 수명이 긴 드레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상기 양태의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맨 처음에 본 개시의 실시양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1) 본 개시의 드레서는,
마운팅 부품과,
기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되고,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이 상기 마운팅 부품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부품에 고정됨과 더불어, 선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노출되어 커팅 엣지를 이루는 커팅 엣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선단부 측에서 상기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가지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를 L1로 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대치를 M1로 한 경우에, 상기 길이 L1과 상기 최대치 M1의 비인 L1/M1(이하, (L1/M1)이라고도 기재한다.)는 2.1 이상인 드레서이다.
이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2)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L1로 한 경우에,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선단부 측에서 상기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서부터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의 상기 기단부까지의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상기 길이 L1의 2분의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3)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대치를 M1, 그리고 상기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소치를 M2로 한 경우, 상기 최대치 M1과 상기 최소치 M2의 차인 M1-M2(이하, (M1-M2)라고도 기재한다.)는 0.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4)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은 다이아몬드 또는 입방정 질화붕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몬드나 cBN은 경도가 높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품에 이들을 이용하면, 드레서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어,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5)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은 단결정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은, 피삭재와 접촉하는 면은 (100)면, (110)면 또는 (211)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몬드의 (100)면, (110)면 및 (211)면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들을 피삭재와 접촉하는 면에 이용하면, 드레서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어,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6)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의 최대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삽입된 부분의 상기 기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7) 상기 단면의 면적은, 상기 단면과,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상기 삽입된 부분의 상기 기단부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단조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렵게 됨과 더불어 커팅 엣지 부품이 꺾이기 어렵게 되어,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8)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은, 상기 단면과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상기 삽입된 부분의 상기 기단부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일단 감소하고, 이어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9) 상기 드레서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 블레이드형의 다석 드레서 또는 로터리형 드레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드레서는,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려워,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본 개시의 드레서의 구체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길이, 폭, 두께, 깊이 등의 치수 관계는 도면의 명료화와 간략화를 위해서 적절하게 변경되어 있고, 실제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레서에 관해서 도 1∼도 4 및 도 14∼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1-X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1-Y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커팅 엣지 부품(1)의 단면의 등면적의 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블레이드형의 다석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로터리형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드레서(3)는, 마운팅 부품(8)과, 이 마운팅 부품(8)에 대하여 하나의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부분(이하, 삽입 부분이라고도 기재한다.)(1a)을 포함하는 커팅 엣지 부품(1)을 구비한다.
마운팅 부품(8)은, 커팅 엣지 부품(1)과 접촉함으로써 유지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마운팅 부품(8)은, 마운팅 부품 기체(基體)(2) 및 마운팅 부품 기체(2)와 커팅 엣지 부품(1)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접합재(7)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재(7)는, 마운팅 부품 기체(2)의 오목부에 커팅 엣지 부품(1)을 배치한 후에, 마운팅 부품 기체(2)와 커팅 엣지 부품(1)과의 간극에, 소결 합금 분말 등의 접합재 원료 분말을 충전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접합재(7)는, 마운팅 부품 기체(2) 및 커팅 엣지 부품(1)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고 있으며, 양자를 접합하고 있다. 마운팅 부품(8)이 공작기계 등(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됨으로써 드레서(3)가 공작기계 등에 고정된다.
마운팅 부품 기체(2)의 소재로서는 탄소강, 합금강, 각종 강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합재(7)의 소재로서는 소결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드레서(3)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8)은 네모뿔대의 상면에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 오목부에 커팅 엣지 부품(1)이 삽입되어 유지되고 있다. 마운팅 부품(8)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 상의 커팅 엣지 부품 또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커팅 엣지 부품(1)을 포함하는 영역이 드레싱면으로서 기능한다.
마운팅 부품(8)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드레서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마운팅 부품의 형상의 다른 예를 도 14∼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마운팅 부품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에 도시되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43)는 마운팅 부품(48) 및 커팅 엣지 부품(41)을 구비한다. 마운팅 부품(48)은, 마운팅 부품 기체(42) 및 접합재(47)를 포함한다. 마운팅 부품(48)은, 축 방향으로 긴 원주 부분(42c)과, 이 원주 부분의 일단에 연속되는 원뿔대 부분(42d)을 포함하고, 이 원뿔대 부분(42d)의 상면에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인 경우는, 원주 부분(42c)의 형상은 각기둥이라도 좋고, 원뿔대 부분(42d)의 형상은 각뿔대라도 좋다.
도 15에 도시되는 블레이드형의 다석 드레서(53)는 마운팅 부품(58) 및 커팅 엣지 부품(51)을 구비한다. 마운팅 부품(58)은 마운팅 부품 기체(52) 및 접합재(57)를 포함한다. 마운팅 부품(58)은 각기둥의 상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의 수는 드레서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되는 로터리형 드레서는 마운팅 부품(68) 및 커팅 엣지 부품(61)을 구비한다. 마운팅 부품(68)은 마운팅 부품 기체(62) 및 접합재(67)를 포함한다. 마운팅 부품(68)은 롤의 외주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의 수는 드레서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커팅 엣지 부품(1)은, 마운팅 부품(8)에 대하여 하나의 삽입 방향(도 1에서 하향 화살표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부분(1a)과, 마운팅 부품(8)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노출 부분(1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커팅 엣지 부품(1)의 삽입 부분(1a) 측의 단부(P)를 커팅 엣지 부품의 기단부(이하, 기단부(P)라고도 기재한다.)로 하고, 커팅 엣지 부품(1)의 노출 부분(1b) 측의 단부(T)를 커팅 엣지 부품의 선단부(이하, 선단부(T)라고도 기재한다)로 한다.
여기서 삽입 방향이란, 마운팅 부품(8)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이하, 「드레싱면(4)」이라고도 기재한다.)의 법선을 따라 드레싱면(4)으로부터 마운팅 부품(8)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드레싱면(64)이 곡면인 경우는, 삽입 방향이란, 드레싱면(64)의 접평면의 법선을 따라 드레싱면(64)으로부터 마운팅 부품(68)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커팅 엣지 부품(1)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8)에 삽입된 부분(1a)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갖는다. 커팅 엣지 부품(1)의 형상의 구체예에 관해서 하기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3)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1)은 네모뿔대 형상을 갖고 있다. 커팅 엣지 부품(1)의 단면 형상은, X1-X1'선(드레싱면(4))에 있어서의 단면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사각형이고, Y1-Y1'선에 있어서의 단면에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2보다도 면적이 큰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3)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1)의 삽입 부분(1a)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되는 드레서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1)의 삽입 부분(1a)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단조 증가하고 있고, 커팅 엣지 부품(1)의 삽입 부분(1a) 전부가 「삽입 부분의,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 측에서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이하,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이라고도 기재한다)에 해당한다.
도 1에서는, 커팅 엣지 부분의 삽입 부분 전부가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커팅 엣지 부분의 삽입 부분의 일부가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이라도 좋다. 예컨대 커팅 엣지 부품의 삽입 부분이,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단조 증가하는 부분을 일부에 갖는 경우는, 그 단조 증가하는 부분에 상당하는 커팅 엣지 부품의 부분이 「삽입 부분의,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 측에서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이하,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이라고도 기재한다)에 해당한다.
커팅 엣지 부품(1)의 형상은 네모뿔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뿔, 원뿔대, 각뿔, 네모뽈대 이외의 각뿔대로 할 수 있다. 이들 형상을 갖는 커팅 엣지 부품은, 바닥면을 기단부(P)로 하고, 정점 측을 선단부(T)가 되도록 마운팅 부품(8)에 삽입한 경우, 커팅 엣지 부품의 삽입 부분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단조 증가하게 된다.
커팅 엣지 부품(1)의 삽입 부분(1a)이,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갖는 경우, 커팅 엣지 부품(1a)과 마운팅 부품(8) 사이에 감합하는 부위가 생겨, 커팅 엣지 부품(1)이 마운팅 부품(8)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지더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고,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을 소결 합금을 이용하여 강고하게 접합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접합 시에 커팅 엣지 부품이 고온고압 조건에 노출되게 되며 또한 커팅 엣지 부품과 소결 합금과의 열팽창의 차가 커짐으로써, 커팅 엣지 부품에 과대한 부하가 걸려, 그 내부에 절손(折損)이 생겼던 경우가 있었다. 커팅 엣지 부품의 내부에 절손이 존재하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된 경우, 상기 절손 부위가 노출되어 공구 수명이 짧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드레서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의 고정을, 종래보다도 커팅 엣지 부품에 대하여 부하가 작은 조건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결 압력의 저감, 소결 온도의 저감, 열팽창 계수가 작은 분말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 시에 커팅 엣지 부품의 내부에 절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삽입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L1(도 1 참조)로 하고,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 M(도 4 참조)의 최대치를 M1로 한 경우에,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는 2.1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드레서는,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1)의 마모가 생긴 경우에, 커팅 엣지 부품(1) 및 그 주변의 마운팅 부품(8)을 연마함으로써, 커팅 엣지 부품(1)을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가 2.1 이상이면, 드레서면의 재생 가능한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L1/M1)는 2.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L1/M1)의 상한치는 특별히 설정되지 않지만, 제조상의 관점에서 8 이하가 바람직하고, 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길이 L1은 예컨대 0.5 mm 이상 7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 mm 이상 6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mm 이상 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최대치 M1은 0.05 mm 이상 3.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mm 이상 3.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mm 이상 2.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커팅 엣지 부품(1)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8)에 삽입된 부분 중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 M의 최대치를 M1 및 상기 등면적인 원의 직경 M의 최소치를 M2로 한 경우, 상기 최대치 M1과 상기 최소치 M2의 차(M1-M2)는 0.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상기 M1과 M2의 차(M1-M2)는 0.015 mm 이상 0.5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25 mm 이상 0.4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커팅 엣지 부품(1)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8)에 삽입된 부분(1a)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L1로 한 경우에, 커팅 엣지 부품(1)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8)에 삽입된 부분의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서부터 커팅 엣지 부품(1)의 기단부(P)까지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길이 L1의 2분의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가 진행된 경우라도, 삽입 부분의 길이가 L1의 2분의 1(도 1에서 도시되는 Q의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는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커팅 엣지 부품(1)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8)에 삽입된 부분(1a)의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의 최대치가 되는 위치는, 삽입된 부분(1a)의 기단부(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가 기단부(P)에 도달할 때까지는,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단면의 면적은, 상기 단면과 삽입 방향을 따른 삽입 부분의 기단부(P)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단조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가 기단부(P)에 도달할 때까지는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커팅 엣지 부품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내결손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드레서는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커팅 엣지 부품은 노출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 삽입 부분(1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커팅 엣지 부품(1)은 전부가 마운팅 부품(8)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커팅 엣지 부품(1)은 다이아몬드 또는 입방정 질화붕소(이하, 「cBN」이라고도 기재한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몬드나 cBN은 경도가 높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품에 이들을 이용하면, 드레서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어, 보다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다이아몬드로서는,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있고, 널리 적용되고 있는 단결정 다이아몬드, 다결정 다이아몬드 및 소결 다이아몬드의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단결정 다이아몬드로서는 천연 다이아몬드 및 합성 단결정 다이아몬드를 들 수 있다. 합성 단결정 다이아몬드는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쉬워, 본 실시형태의 커팅 엣지 부품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합성 단결정 다이아몬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고압합성법이나 기상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 단결정 다이아몬드를 이용할 수 있다. 커팅 엣지 부품이 단결정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커팅 엣지 부품은, 피삭재와 접촉하는 면은 (100)면, (110)면 또는 (211)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래파이트형 층상 구조의 탄소 물질을, 소결 조제나 촉매를 첨가하지 않고서, 초고온고압 하에서 소결하여 얻어지는 다결정 다이아몬드를 이용할 수 있다.
소결 다이아몬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이아몬드 입자를 코발트 등의 금속 결합재를 이용하여 소결하여 얻어지는 소결 다이아몬드를 이용할 수 있다.
입방정 질화붕소로서는, cBN 입자를 Co(코발트)나 Al(알루미늄) 등의 금속 결합재를 이용하여 소결시켜 얻어지는 cBN 소결체, cBN 입자를 TiN(질화티탄)이나 TiC(탄화티탄) 등의 세라믹스 결합재를 이용하여 소결시켜 얻어지는 cBN 소결체, 육방정 질화붕소로부터 촉매를 이용하지 않고서 입방정 질화붕소로 직접 변환 및 소결시켜 얻어지는 바인더리스 cBN 소결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레서에 관해서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2-X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2-Y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드레서(13)는, 마운팅 부품(18)과 이 마운팅 부품(18)에 대하여 하나의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부분(11a)을 포함하는 커팅 엣지 부품(11)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2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11)의 형상 및 이에 대응하는 마운팅 부품(18)의 오목부의 형상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의 드레서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11)의 형상에 관해서 설명한다.
커팅 엣지 부품(11)은 삽입 부분(11a)과 노출 부분(11b)을 포함한다. 또한, 커팅 엣지 부품은 노출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서 삽입 부분(11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커팅 엣지 부품(11)에 있어서, 삽입 부분(11a)은,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 형상이, 드레싱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제1 삽입 부분(11a')과, 상기 제1 삽입 부분(11a')보다도 단면적이 크고, 기단부(P) 측에 위치하는 제2 삽입 부분(11a'')을 포함한다. 즉, 커팅 엣지 부품(11)에 있어서, 삽입 부분(11a)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선단부(T) 측에서 기단부(P)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갖는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면적이 연속적이 아니라 단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이란, 제1 단면적을 갖는 부분(제1 삽입 부분(11a'))과, 제1 단면적보다도 기단부 측에 존재하며 제1 단면적보다도 큰 제2 단면적을 갖는 부분(제2 삽입 부분(11a''))의 경계면(F) 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삽입 부분(11a)의 측면은, 삽입 방향의 기단부(P) 측에 볼록부를 갖기 때문에, 삽입 부분(11a)과 마운팅 부품(18)의 사이에 감합하는 부위가 생겨, 커팅 엣지 부품(11)이 마운팅 부품(18)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제1 삽입 부분(11a')의 단면 형상이 일정하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분이 마모했을 때에, 커팅 엣지 부품을 연마하여 재생한 경우라도, 재생 전과 같은 커팅 엣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 후의 드레서도 재생 전과 같은 절삭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따른 드레서에 관해서 도 8∼도 10 및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3-X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3-Y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3의 드레서에 이용하는 커팅 엣지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드레서(23)는, 마운팅 부품(28)과, 이 마운팅 부품(28)에 대하여 하나의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부분(21a)을 포함하는 커팅 엣지 부품(21)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3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21)의 형상 및 이것에 대응하는 마운팅 부품(28)의 오목부의 형상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의 드레서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21)의 형상에 관해서 설명한다.
커팅 엣지 부품(21)은 삽입 부분(21a)과 노출 부분(21b)을 포함한다. 또한, 커팅 엣지 부품은 노출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서 삽입 부분(21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커팅 엣지 부품(21)은, 예컨대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각기둥 형상의 커팅 엣지 부품 전구체(61)를 점선 Z의 위치에서 2등분하여 얻을 수 있다.
커팅 엣지 부품(21)의 삽입 부분(21a)에 있어서,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면적이, 상기 단면과 삽입 방향을 따른 삽입된 부분(21a)의 기단부(P)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단조 증가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드레서를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지더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고,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과의 고정을, 종래보다도 커팅 엣지 부품에 대하여 부하가 작은 조건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시에 커팅 엣지 부품의 내부에 절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커팅 엣지 부품(21)은 하나의 각기둥 형상의 커팅 엣지 부품 전구체를 2등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커팅 엣지 부품의 제조 손실이 생기기 어려워, 실시형태 3의 드레서는 제조 비용의 면에서 유리하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 따른 드레서에 관해서 도 11∼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드레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X4-X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되는 드레서의 Y4-Y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드레서(33)는, 마운팅 부품(38)과, 이 마운팅 부품(38)에 대하여 하나의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부분(31a)을 포함하는 커팅 엣지 부품(31)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4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31)의 형상 및 이것에 대응하는 마운팅 부품(38)의 오목부의 형상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의 드레서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31)의 형상에 관해서 설명한다.
커팅 엣지 부품(31)은 삽입 부분(31a)과 노출 부분(31b)을 포함한다. 또한, 커팅 엣지 부품은 노출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서 삽입 부분(31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커팅 엣지 부품(31)에 있어서, 마운팅 부품(38)에 삽입된 부분의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은, 상기 단면과 삽입 방향을 따른 삽입된 부분(31a)의 기단부(P)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일단 감소하고, 이어서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부분(31a)은 사각기둥의 일부에 햇치(31e)가 형성된 형상을 갖고 있다. 삽입 부분(31a)의 측면은 햇치(31e)에 유래하는 오목부를 갖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품(31a)과 마운팅 부품(38)의 사이에 감합하는 부위가 생겨, 커팅 엣지 부품(31)이 마운팅 부품(38)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삽입 부분(31a)은, 햇치(31e) 이외에는 단면 형상이 일정하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분이 마모했을 때에, 커팅 엣지 부품을 연마하여 재생한 경우라도, 재생 전과 같은 커팅 엣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 후의 드레서도 재생 전과 같은 절삭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4에 따른 드레서의 커팅 엣지 부품의 형상은,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 블레이드형의 다석 드레서, 로터리형 드레서의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다. 이들 드레서는, 사용함에 따라 커팅 엣지 부품이 마모되어 짧아지더라도,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고,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을 강고하게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합 시에 커팅 엣지 부품의 내부에 절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드레서는 긴 공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5에 따른 드레서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드레싱면에 오목부를 갖는 마운팅 부품을 준비한다. 마운팅 부품의 오목부에 커팅 엣지 부품을 삽입하고, 마운팅 부품과 커팅 엣지 부품과의 간극에 소결 합금 원료 분말 등의 접합재 원료 분말을 충전한다. 이 커팅 엣지 부품은 예컨대 실시형태 1∼실시형태 4에 기재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커팅 엣지 부품 및 접합재 원료 분말이 오목부에 배치된 마운팅 부품에 대하여, 500℃ 이상 700℃ 이하의 온도 및 0.5 t/㎠의 소결 압력으로 5분 이상 10분 이하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접합재 원료 분말을 소결시키고,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을 접합하여, 드레서를 얻는다.
종래에는,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소결 조건을 800℃ 이상 900℃ 이하의 온도 및 1.0∼1.5 t/㎠의 소결 압력으로 10분 이상 15분 이하로 하고 있었다. 이 소결 조건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에 대하여 고온고압의 부하가 걸리며 또한 소결 중인 커팅 엣지 부품과 접합재 원료 분말과의 열팽창차가 과잉으로 되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품의 내부에 절손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결 조건을 종래보다도 저온, 저압 및 단시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커팅 엣지 부품의 내부에 절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실시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도 14에 도시되는 형상을 갖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를 제작한다. 커팅 엣지 부품(41)은 합성 단결정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고, 피삭재와 접촉하는 면은 (211)면이다. 마운팅 부품(48)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다.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의 접합재에는 Fe-Cu-Sn을 이용한다.
커팅 엣지 부품(41)의 삽입 부분의 형상은 네모뿔대이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은, 선단부(T)에서는 0.6 mm 정사각이고, 기단부(P)에서는 1.12×0.6 mm 정사각이다. 커팅 엣지 부품(41)은, 삽입 방향을 따르는 삽입된 부분의 길이 L1은 3 mm이고,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삽입된 부분의 단면의 등면적 원의 직경의 최대치 M1은 0.927 mm이다.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는 3.24이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형상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를 제작한다.
커팅 엣지 부품의 삽입 부분은 사각기둥이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 형상은 삽입 방향을 따라 변화되지 않고, 0.6 mm 정사각이다. 커팅 엣지 부품은, 삽입된 부분의 길이 L1은 3 mm이고,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삽입 부분의 단면의 등면적 원의 직경의 최대치 M1은 0.677 mm이다.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는 4.43이다.
<드레서의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드레서를 이용하고, 상대재로서 WA 지석을 사용하여, 습식으로 지석 주속(peripheral speed) 30 m/sec, 절입량 0.05 mm의 조건으로 드레싱을 행하여, 공구 수명을 평가했다.
실시예 1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량이 2 mm인 시점에서도,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떨어지는 일 없이 정상적으로 드레싱을 행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량이 2 mm인 시점에서,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떨어져, 드레싱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실시예 1의 드레서는 비교예 1의 드레서보다도 공구 수명이 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도 14에 도시되는 형상을 갖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를 제작한다. 커팅 엣지 부품(41)은 합성 단결정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고, 피삭재와 접촉하는 면은 (211)면이다. 마운팅 부품(48)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다. 커팅 엣지 부품과 마운팅 부품의 접합재에는 Fe-Cu-Sn을 이용한다.
커팅 엣지 부품(41)의 삽입 부분의 형상은 사각뿔대이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은, 선단부(T)에서는 1.1 mm 정사각이고, 기단부(P)에서는 1.31×1.1 mm 정사각이다. 커팅 엣지 부품(41)은, 삽입 방향을 따르는 삽입된 부분의 길이 L1은 3 mm이고,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삽입된 부분의 단면의 등면적 원의 직경의 최대치 M1은 0.74 mm이다.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는 2.21이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형상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를 제작한다.
커팅 엣지 부품의 삽입 부분은 사각기둥이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 형상은 삽입 방향을 따라 변화되지 않고, 1.1 mm 정사각이다. 커팅 엣지 부품은, 삽입된 부분의 길이 L1은 3 mm이고,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삽입 부분의 단면의 등면적 원의 직경의 최대치 M1은 1.24 mm이다.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는 2.42이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형상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를 제작한다.
커팅 엣지 부품의 삽입 부분의 형상은 사각뿔대이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은, 선단부에서는 1.1 mm 정사각이고, 기단부에서는 1.625×1.1 mm 정사각이다. 커팅 엣지 부품은, 삽입된 부분의 길이 L1은 3 mm이고,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삽입된 부분의 단면의 등면적 원의 직경의 최대치 M1은 1.509 mm이다. 길이 L1과 최대치 M1의 비(L1/M1)는 1.99이다.
<드레서의 평가>
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드레서를 이용하고, 상대재로서 WA 지석을 사용하여, 습식으로 지석 주속 30 m/sec, 절입량 0.05 mm의 조건으로 드레싱을 행하여, 공구 수명을 평가했다.
실시예 2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량이 2.2 mm인 시점에서도,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떨어지는 일 없이 정상적으로 드레싱을 행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량이 2.2 mm인 시점에서, 커팅 엣지 부품이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떨어져, 드레싱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비교예 3의 드레서는, 커팅 엣지 부품의 마모량이 2.2 mm인 시점에서, 상대재의 WA 지석의 표면이 번인을 일으켜, 커팅 엣지 부분이 파손으로 탈락하여, 드레싱을 계속할 수 없었다.
실시예 2의 드레서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드레서보다도 공구 수명이 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상술한 각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도 당초부터 예정하고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11, 21, 31, 41, 51, 61: 커팅 엣지 부품
2, 12, 22, 32, 42, 52, 62: 마운팅 부품 기체
3, 13, 23, 33: 드레서
7, 17, 27, 37, 47, 57, 67: 접합재
8, 18, 28, 38, 48, 58, 68: 마운팅 부품
43: 포인트형의 단석 드레서
53: 블레이드형의 다석 드레서
63: 로터리형 드레서
P: 기단부
T: 선단부

Claims (11)

  1. 마운팅 부품과,
    기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되고,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이 상기 마운팅 부품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부품에 고정되며, 선단부 측이 상기 마운팅 부품으로부터 노출되어 커팅 엣지를 이루는 커팅 엣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은,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선단부 측에서 상기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을 한 곳 이상 가지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를 L1로 하고,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대치를 M1로 한 경우에, 상기 길이 L1과 상기 최대치 M1의 비인 L1/M1은 2.1 이상인 것인 드레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L1로 한 경우에,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선단부 측에서 상기 기단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서부터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의 상기 기단부까지의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상기 길이 L1의 2분의 1 미만인 것인 드레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 중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과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대치를 M1, 그리고 상기 등면적인 원의 직경의 최소치를 M2로 한 경우, 상기 최대치 M1과 상기 최소치 M2의 차인 M1-M2는 0.01 mm 이상인 것인 드레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은 다이아몬드 또는 입방정 질화붕소를 포함하는 것인 드레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은 단결정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고,
    피삭재와 접촉하는 상기 커팅 엣지 부품의 면은 (100)면, (110)면 또는 (211)면인 것인 드레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의 최대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삽입된 부분의 상기 기단부인 것인 드레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면적은, 상기 단면과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상기 삽입된 부분의 상기 기단부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단조 증가하는 것인 드레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엣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에 삽입된 부분의 상기 삽입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단면의 면적은, 상기 단면과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상기 삽입된 부분의 상기 기단부와의 거리의 감소와 함께 일단 감소하고, 이어서 증가하는 것인 드레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서는 포인트형의 단석(單石) 드레서, 블레이드형의 다석(多石) 드레서 또는 로터리형 드레서인 것인 드레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품은 마운팅 부품 기체(基體) 및 상기 마운팅 부품 기체와 상기 커팅 엣지 부품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접합재를 포함하는 것인 드레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는 소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드레서.
KR1020207028704A 2018-04-12 2019-03-27 드레서 KR102394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6822 2018-04-12
JPJP-P-2018-076822 2018-04-12
PCT/JP2019/013137 WO2019198503A1 (ja) 2018-04-12 2019-03-27 ドレッサ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14A KR20200125714A (ko) 2020-11-04
KR102394076B1 true KR102394076B1 (ko) 2022-05-06

Family

ID=6816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704A KR102394076B1 (ko) 2018-04-12 2019-03-27 드레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4305B2 (ko)
EP (1) EP3778119A4 (ko)
JP (1) JP6669341B1 (ko)
KR (1) KR102394076B1 (ko)
CN (1) CN111971147B (ko)
WO (1) WO2019198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9341B1 (ja) * 2018-04-12 2020-03-18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ドレッサー
JP7264507B2 (ja) * 2020-12-28 2023-04-2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ダイおよびダイプレート
KR20240061651A (ko) * 2021-09-29 2024-05-08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양면 패드 컨디셔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06B1 (ko) 2005-12-08 2006-05-30 (주)디디다이아 원판형 다이아몬드공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615684B1 (ko) 2005-05-10 2006-08-28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원뿔형 드레서
JP2009095949A (ja) 2007-10-18 2009-05-07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ドレッシング装置
TW201707864A (zh) 2015-08-21 2017-03-01 Kinik Co 化學機械研磨修整器及其製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079C (de) * 1917-03-21 1919-02-24 Otto Schmidts Patent Herkulessteine Gmbh Scharfrolle fur Holzschleifsteine
JPS4730192U (ko) * 1971-05-06 1972-12-05
JPS4973087U (ko) * 1972-10-06 1974-06-25
JPS4988371U (ko) * 1972-11-15 1974-07-31
US4091792A (en) * 1977-03-25 1978-05-30 Cincinnati Milacron Inc. Grinding wheel dresser unit with improved heat transferring capability
JPS58130181U (ja) * 1982-02-26 1983-09-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管支持用サドル
JPS6039454U (ja) 1983-08-23 1985-03-19 セイコ−精機株式会社 ロ−タリドレツサ
JPH08229818A (ja) 1995-02-22 1996-09-10 Asahi Daiyamondo Kogyo Kk ダイヤモンドドレッサーおよび柱状ダイヤモンドの製造方法
JP2896657B2 (ja) * 1996-06-28 1999-05-31 旭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ドレッ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820A (ja) 1996-07-09 1998-01-20 Osaka Diamond Ind Co Ltd ダイヤモンドフォーミングドレッサー
WO1998016347A1 (fr) * 1996-10-15 1998-04-23 Nippon Steel Corporation Appareil ebarbeur pour tampon de polissage de substrat semi-conducteur,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e polissage chimico-mecanique au moyen dudit appareil ebarbeur
JP2002264014A (ja) 2001-03-13 2002-09-18 Mitsubishi Materials Corp Cmpコンディショナ
CN1532026A (zh) * 2003-03-19 2004-09-29 铨科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研磨垫整理器及其制造方法
CN100491077C (zh) * 2003-05-13 2009-05-27 中国砂轮企业股份有限公司 在制造中能个别调整磨粒的修整盘及其制造方法
GB2427633B (en) * 2005-05-17 2007-08-15 Smith International Drill bit and method of designing a drill bit
JP4969467B2 (ja) * 2008-01-10 2012-07-04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ダイヤモンドドレッサ
US8899357B2 (en) * 2008-12-11 2014-12-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ultilevel force balanced downhole drilling tools and methods
US9115552B2 (en) * 2010-12-15 2015-08-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DC bits with mixed cutter blades
JP2016087735A (ja) * 2014-11-04 2016-05-23 新日鉄住金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研磨布用ドレッ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6830795B2 (ja) 2016-11-09 2021-02-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消音器
JP6669341B1 (ja) * 2018-04-12 2020-03-18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ドレッサ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684B1 (ko) 2005-05-10 2006-08-28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원뿔형 드레서
KR100584106B1 (ko) 2005-12-08 2006-05-30 (주)디디다이아 원판형 다이아몬드공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9095949A (ja) 2007-10-18 2009-05-07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ドレッシング装置
TW201707864A (zh) 2015-08-21 2017-03-01 Kinik Co 化學機械研磨修整器及其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71147B (zh) 2022-06-24
CN111971147A (zh) 2020-11-20
JPWO2019198503A1 (ja) 2020-04-30
EP3778119A4 (en) 2022-01-19
EP3778119A1 (en) 2021-02-17
US20200215664A1 (en) 2020-07-09
US10894305B2 (en) 2021-01-19
KR20200125714A (ko) 2020-11-04
JP6669341B1 (ja) 2020-03-18
WO2019198503A1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076B1 (ko) 드레서
US20210162566A1 (en) Method for laser cutting polycrystalline diamond structures
US7946363B2 (en) Thermally stable polycrystalline diamond cutting elements and bits incorporating the same
JP6174135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22174A (zh) 一种自锐性聚晶金刚石复合片及其制备方法
US11920408B2 (en) Cutter with geometric cutting edges
US4491188A (en) Diamond cutting element in a rotating bit
RU2638220C2 (ru) Режущие элементы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с закрепленными резцами, содержащие твердые режущие пластины, выполненные из синтетических алмазов, сформированных химическим осаждением из паровой фазы
GB2193740A (en) Cutting element for a mining machine
JP2010184325A (ja) 有気孔ビトリファイドボンド砥石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97006A1 (en) Cutter with edge durability
EP1347856B1 (en) Bandsaw blade for met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ndsaw blade with teeth
JP5247259B2 (ja) 単結晶ダイヤモンド切削工具
JP5095621B2 (ja) 切削用工具の替刃
JPS6224903A (ja) 切削用複合工具
JP7258719B2 (ja) ダイヤモンドドレッサ
JP2005297158A (ja) ブローチ工具
JP4087838B2 (ja) 替刃式帯鋸用替刃の研磨方法
JPH0811810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041330U (ja) 鋸用刃先チップ
JP5274360B2 (ja) ドレッサ
JP2006051578A (ja) 超砥粒焼結体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13176959A (ja)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方法
JP2006198702A (ja) 超砥粒工具
CN102139392A (zh) Cbn烧结钢材切割刀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