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380B1 -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380B1
KR102393380B1 KR1020210129394A KR20210129394A KR102393380B1 KR 102393380 B1 KR102393380 B1 KR 102393380B1 KR 1020210129394 A KR1020210129394 A KR 1020210129394A KR 20210129394 A KR20210129394 A KR 20210129394A KR 102393380 B1 KR102393380 B1 KR 10239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straightening
roll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웅
Original Assignee
이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웅 filed Critical 이근웅
Priority to KR102021012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5/00Upsetting wire or pressing operations affecting the wire cross-section
    • B21F5/005Upsetting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신뢰성이 우수한 혈관결찰용 클립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는, 혈관을 결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있어서,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유닛과, 와이어공급유닛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압연하여 일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압연유닛과, 압연유닛을 통과한 와이어를 공급받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요철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하는 절곡유닛과, 와이어공급유닛과 압연유닛 사이와, 압연유닛과 절곡유닛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직선화 가공하는 직선화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Vascular clip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우수한 혈관결찰용 클립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결찰용 클립은 외과수술 시 혈관의 과도한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 절단 전에 절단하고자 하는 혈관의 양측을 지혈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지혈클립이다. 혈관결찰용 클립은 영구적으로 혈관을 결찰하거나 일시적으로만 결찰 후 다시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혈관결찰용 클립은 집게 형상으로 마주하는 집게 다리 사이에 혈관을 위치시키고 집게 다리의 내측면으로 혈관의 일 구간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혈관결찰용 클립은 집게 다리가 변형되면서 혈관을 가압하여 결찰된다. 이런 방식으로 혈관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혈액의 흐름은 완벽히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혈관결찰용 클립의 마주하는 집게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위치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고 혈액을 완벽히 차단한다.
통상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기 위한 클립제조용 와이어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금속으로,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고 쉽게 변형되지 않아야 하며, 클립을 변형시켜 혈관을 결찰해야하기 때문에 적당한 연성을 갖는 특성도 필요하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특수금속으로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기 때문에 종래의 가공 방법으로는 제조가 쉽지 않아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특수금속의 혈관결찰용 클립 대신 상대적으로 제조가 쉬운 플라스틱 재질의 혈관결찰용 클립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4543호(2017. 06. 0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뢰성이 우수한 혈관결찰용 클립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을 제조할 수 있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는, 혈관을 결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있어서,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유닛, 상기 와이어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공급받아 압연하여 일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압연유닛, 상기 압연유닛을 통과한 상기 와이어를 공급받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요철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하는 절곡유닛, 및 상기 와이어공급유닛과 상기 압연유닛 사이와, 상기 압연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직선화 가공하는 직선화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공급유닛, 상기 압연유닛, 상기 절곡유닛 및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레벨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 롤러는, 서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의 직선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공급유닛과 상기 압연유닛 사이에 설치된 제1 직선화유닛과, 상기 압연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에 설치된 제2 직선화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제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직선화유닛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 방향 직선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제2 직선화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에 제3 직선화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직선화유닛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며, 상기 제2 직선화유닛 또는 상기 절곡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3 방향은 변환이 가능할 수 있다.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제2 직선화유닛과 상기 제3 직선화유닛 사이, 또는 상기 제3 직선화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 직선화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연유닛은, 외주면에 상기 요철면을 형성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1 롤러와,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롤러와 마주보며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제2 롤러로 이루어진 주 압연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연유닛은, 상기 주 압연롤러 전단에 상기 주 압연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를 예비 압연하는 한 쌍의 전단 압연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절곡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절곡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면이 서로 맞물려 상기 와이어를 벤딩하는 한 쌍의 금형과, 상기 한 쌍의 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이 어려운 특수한 성질의 금속으로 우수한 품질의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혈관결찰용 클립을 대량생산할 수 있어 생산 단가를 낮춰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권취된 상태의 와이어를 단계적인 직선화 과정을 거쳐 결찰력이 우수한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총 세 방향에 대한 직선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적으로 완벽한 직선 형태의 와이어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총 3 단계의 직선화 과정 중에서 마지막 직선화 단계에서는 직선화 하고자 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와이어의 굴곡진 상태에 따라 직선화 각도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와이어를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직선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압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직선화유닛과 제3 직선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절곡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와이어의 직선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혈관결찰용 클립의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는 혈관을 결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에 있어서,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유닛(100)과, 와이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압연하여 일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압연유닛(200)과, 압연유닛(200)을 통과한 와이어를 공급받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요철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하는 절곡유닛(300)과, 와이어 공급유닛(100)과 압연유닛(200) 사이와, 압연유닛(200)과 절곡유닛(30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직선화 가공하는 직선화 유닛(400, 410, 420)을 포함한다.
먼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혈관결찰용 클립(A)은 혈관(C)을 결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체용 클립이다. 혈관결찰용 클립(A)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집게 다리 사이에 혈관(C)을 위치시키고 외력을 가해 집게 다리를 오므려 혈관(C)을 결찰한다. 즉, 'V' 또는 'U'자 형상과 같이 집게 다리 양단이 벌어져 있고 다리의 중간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혈관결찰용 클립(A)은 집게 다리 양단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집게 다리가 서로 접히면서 변형되어 혈관을 가압하여 접힌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혈관결찰용 클립(A)은 한 쌍의 집게다리의 마주하는 면에 요철면(B)이 형성되어 결찰력을 높일 수 있으며, 집도의가 작은 힘으로 정확하게 혈관을 결찰하기 위하여 별도의 클립 어플라이어(applier)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혈관결찰용 클립(A)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일정 강성을 갖되 변형이 가능한 연성 또한 갖는 성질의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하며, 한번 혈관(C)에 결찰하면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정도로 쉽게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혈관결찰용 클립(A)은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특수금속으로 제작되며, 재질의 특성상 일반적인 와이어 가공방식이나 금형 제조 방식으로는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는 이러한 특수금속으로 형성된 와이어(W)를 가공하여 혈관결찰용 클립(A)을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 또한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는 원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일직선으로 직선화하고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복수 개의 혈관결찰용 클립으로 가공할 수 있다.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는 크게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유닛(100)과, 와이어를 직선화하는 직선화유닛(400, 410, 420)과, 와이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압연유닛(200)과, 와이어를 절단하고 절곡하는 절곡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와이어 공급유닛(100)은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권취하며 제1 직선화유닛(400)에 와이어를 공급한다. 제1 직선화유닛(400)은 와이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으며 제1 방향으로 와이어를 직선화할 수 있다. 압연유닛(200)은 제1 방향으로 직선화가 된 와이어를 제1 직선화유닛(400)으로부터 공급받아 와이어를 압연하여 형상을 가공하고 일측면에 요철면(도 3의 B 참조)을 형성한다. 제2 직선화유닛(410)은 압연유닛(200)의 후단에 위치하여, 압연유닛(200)으로부터 형상이 가공된 와이어를 공급받는다. 제2 직선화유닛(410)은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와이어를 직선화할 수 있다. 또한,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2 직선화유닛(410)의 후단에 위치하여, 제2 방향과는 다른 제3 방향으로 와이어를 직선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는 제1 직선화유닛(400), 제2 직선화유닛(410), 제3 직선화유닛(420)을 거쳐 총 3 방향에 대한 직선화를 통해 일직선 상으로 가공되고, 압연유닛(200)을 통해 형상이 가공될 수 있다. 절곡유닛(300)은 제3 직선화유닛(420)의 후단에 위치하여, 형상 및 직선화 가공이 완료된 와이어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고 절곡하여 최종적으로 혈관결찰용 클립(A)을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 공급유닛(100)과, 직선화유닛(400, 410, 420)과, 압연유닛(200)과, 절곡유닛(300)은 모두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배열되어, 혈관결찰용 클립의 제조 과정에서 클립제조용 와이어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변형을 방지하여 혈관결찰용 클립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는 와이어공급유닛(100)에서부터 절곡유닛(300)까지 중앙을 통과하며 가공된다.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의 의미는 와이어가 직선화되는 기준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와이어공급유닛(100)에서부터 절곡유닛(300)까지 진행하며 가공되는 과정에서 일직선 상으로 이동하는 의미이며, 이때 일직선의 기준이 되는 중심을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는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가공 진행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가공하여 신뢰성있는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할 수 있다.
와이어 공급유닛(100)은 권취된 와이어를 간헐적으로 권출하여 제1 직선화유닛(400)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권취축(110)은 클립을 제조하기 위한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권취할 수 있다. 와이어 공급유닛(100)은 와이어를 롤 형태로 권취할 수 있는 권취축(110)을 포함하며, 권취축(110)을 회전시켜 와이어를 제1 직선화유닛(400)으로 공급한다. 또한, 권취축(110)은 제1 직선화유닛(400)에 와이어를 공급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권취축(110)은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한번의 회전으로 일정한 길이만큼의 와이어를 권출할 수 있다. 또한, 권취축(110)은 축 방향이 수평 혹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와이어를 권출할 수 있다. 와이어 공급유닛(1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빈과 같은 권출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빈 자체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모두 소진되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 공급유닛(100)에서 권출된 와이어는 제1 직선화유닛(400)을 거쳐 굴곡진 형태에서 점차 직선 형태로 가공된다.
도 2는 제1 직선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직선화유닛(400, 410, 420)은 와이어를 서로 다른 세가지 방향에 대해 직선화 할 수 있다. 직선화유닛(400, 410, 420)은 세분화 되어 각각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으로 직선화하는 제1 직선화유닛(400), 제2 직선화유닛(410), 제3 직선화유닛(42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은 와이어의 진행방향(z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xy 평면) 상에서의 서로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잠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은 수평방향(D1)을, 제2 방향은 수직방향(D2)을, 제3 방향은 대각선방향(D3)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은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수평방향(D1), 수직방향(D2), 대각선방향(D3)에 대해 직선화하여 가공할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은 어느 하나의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세 방향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제3 방향에 대한 직선화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대한 직선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미세하게 각도를 조정하고 오차율을 줄여주는 마무리 직선화 단계로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1 직선화유닛(400)은 와이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와이어를 제1 방향으로 직선화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은 와이어의 진행방향(z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임의의 방향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제1 직선화유닛(400)은 와이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되, 와이어는 권취축(110)에 권취되어있던 상태이므로 형태가 변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직선화유닛(400)은 이러한 와이어의 진행 경로를 제1 방향에 대해 직선으로 가이드하고 직선화할 수 있다. 제1 직선화유닛(400)은 가이드부재(440)와, 와이어의 제1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는 레벨링 롤러(401)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440)는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레벨링 롤러(40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여, 와이어를 진행방향의 중심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부재(440)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부에 관통된 가이드홀(441)이 형성된다. 가이드홀(441)은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와이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를 레벨링 롤러(401)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0)는 연결부재(40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부재(405)의 일측을 결합하는 고정나사(40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연결부재(405)는 가이드부재(440)를 하부플레이트(408)에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플레이트(408)는 제1 직선화유닛(400)의 고정된 프레임이다. 연결부재(405)는 중심부가 돌출된'ㅗ'형상으로, 돌출된 상단부가 일부 절개된 형상이다. 연결부재(405)의 돌출된 상단부에는에는 원형으로 관통된 축삽입홀(442)이 형성된다. 축삽입홀(442)은 가이드부재(440)와,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가이드부재(도 4의 450 참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축삽입홀(442)은 가이드부재(440)와 연결가이드부재(440) 모두 연동 가능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연결부재(405)의 절개된 상단부는 고정나사(406)에 의해 결합되며, 축삽입홀(442)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440) 또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0)는 고정나사(406)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조여진 경우에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5)의 하단에는 하부플레이트(408)가 제1 직선화유닛(40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위치하고, 연결부재(405) 양측 상단에는 상부플레이트(407)가 결합된다. 상부플레이트(407), 하부플레이트(408), 연결부재(405)는 모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07)와 하부플레이트(408)와, 연결부재(405)에 의해 둘러쌓인 공간에는 독립플레이트(403)가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독립플레이트(403)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향해도록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배열된다. 독립플레이트(40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며, 복수 개의 독립플레이트(403)에는 각각 회전축(402)이 결합되어 레벨링 롤러(401)와 독립플레이트(403) 사이를 매개한다. 즉, 제1 직선화유닛(400)은 독립플레이트(403)를 통해 레벨링 롤러(401) 사이의 제1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 방향 직선화를 수행한다.
레벨링 롤러(401)는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와이어를 가압하여 직선화하는 기능을 한다. 복수 개의 레벨링 롤러(401)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와이어를 가압하여 직선화할 수 있다. 레벨링 롤러(401)는 전술한 회전축(402)에 결합되어, 회전축(402)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독립플레이트(403)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어긋나게 배치된 레벨링 롤러(40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와이어의 직선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레벨링 롤러(401) 사이의 간격이 작아질수록 보다 일직선 상으로 와이어가 직선화 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레벨링 롤러(401)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배열하여, 굴곡진 와이어를 점차적으로 직선화할 수도 있다. 각각의 레벨링 롤러(401)는 와이어의 진행방향(z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독립플레이트(403)에 결합되어, 위치조절나사(404)를 회전시킴에 따라 독립플레이트(403)를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독립플레이트(403)의 위치 조절을 통해 레벨링 롤러(401) 사이의 간격들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레벨링 롤러(401)의 위치 조절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벨링 롤러(40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레벨링 롤러(401)는 제1 직선화유닛(400)뿐만 아니라,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에도 형성된다. 다만, 제1 직선화유닛(400)에 형성된 레벨링 롤러(401)의 각도는, 각각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에 형성된 레벨링 롤러(401)의 각도와는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1 직선화유닛(400)의 구조는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배치되는 각도만 다르게 형성된다.
도 3은 압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연유닛(200)은 제1 직선화유닛(400)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와이어의 단면형상을 가공하고 요철면(B)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압연유닛(200)은 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를 공급받아 삼각 단면을 갖고 일측면에 요철면(B)이 형성된 와이어로 가공한다. 압연유닛(200)은 제1 직선화유닛(400)으로부터 제1 방향의 직선화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를 공급받아 마주하는 압연롤러(201, 202)를 이용해 와이어를 가압하여 가공한다. 이때, 압연유닛(200)은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부재(440-1, 440-2)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440-1, 440-2)를 통해 와이어를 진행 방향의 중심을 따라 직선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0-1, 440-2)는 각각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 및 제3 롤러(230)와 제4 롤러(240) 사이로 최대한 근접하게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 및 제3 롤러(230)와 제4 롤러(240) 사이에 근접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연유닛(200)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롤러(440-1)는 압연롤러(201, 202) 측을 향해 일측이 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압연유닛(200)의 중심에 위치하는 가이드롤러(440-2)는 양측의 압연롤러(201, 202)를 향해 양측 단면적이 작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연유닛(200)은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전단 압연롤러(202)와 주 압연롤러(201)를 포함한다.
전단 압연롤러(202)는 압연유닛(200)으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1차적으로 예비 압연하는 기능을 한다. 와이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한번의 압연 과정으로는 완벽한 형상을 가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 압연롤러(201) 전단에 전단 압연롤러(202)를 배치하여 와이어를 예비 압연하여 1차적으로 둥근 삼각 형상으로 가공한 후에 최종적으로 주 압연롤러(201)를 통해 각진 삼각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전단 압연롤러(202)는 평평한 형상의 제3 롤러(230)와, 전단 압연홈(241)이 형성된 제4 롤러(240)를 포함한다. 제3 롤러(230)와 제4 롤러(240)는 와이어의 진행 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는 제3 롤러(230)와 제4 롤러(240) 사이의 맞닿는 면을 통해 가압되며 주 압연롤러(201) 방향(z축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와이어는 단면이 제4 롤러(240)의 외주면을 따라 만입된 전단 압연홈(241)과 중첩되고 가압되어 전단 압연홈(241)의 형상으로 예비 압연된다. 전단 압연홈(241)은 둥근 삼각형상으로 와이어도 이러한 둥근 삼각 형상으로 예비 압연될 수 있다.
주 압연롤러(201)는 전단 압연롤러(202)의 후단에 위치하여, 와이어의 단면을 각진 삼각형상으로 형성할뿐만 아니라 일측면에 요철면(B)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주 압연롤러(201)는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를 포함한다. 주 압연롤러(201)는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가 와이어의 진행 경로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는 사이로 관통하는 와이어를 가압하고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특히, 제2 롤러(220)는 와이어의 단면은 삼각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롤러로, 와이어와 가장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롤러(220)는 별도의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의 의해 발생하는 와이어와의 마찰력을 이용해 와이어를 가공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즉, 제2 롤러(220)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에서 와이어를 진행시키기 위한 구동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210)는 외주면을 따라 요철무늬가 새겨진 요철부(211)가 형성된다. 제1 롤러(210)는 와이어의 일측면과 요철부(211)를 맞닿은 상태로 가압하여 와이어의 일측면을 요철면(B)으로 가공할 수 있다. 요철부(211)는 제1 롤러(210)의 외주면에 만입되어 음각으로 형성되거나, 돌출되어 양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220)는 제1 롤러(210)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이 삼각 형상으로 만입된 주 압연홈(221)으로 와이어를 가공한다. 제2 롤러(220)는 전단 압연홈(241)보다 각진 삼각 형상으로, 전단 압연홈(241)을 관통한 와이어를 다시 한번 삼각 형상으로 재압연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주 압연홈(221)의 형상은 최종 제조하고자 하는 혈관결찰용 클립의 단면에 대응된다.
압연유닛(200)은 와이어를 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가공한다. 즉, 와이어는 압연유닛(200)을 통과하면 y축 방향으로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압연유닛(200)의 전단에서 제1 직선화유닛(400)을 통해 x축 방향으로 직선화 한 후, 압연유닛(200)의 후단에서 제2 직선화유닛(410)을 통해 y축 방향 직선화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압연유닛(200)을 통과하기 이전에 와이어를 y축 방향 직선화하게 되면, 압연유닛(200)에서 다시 y축 방향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y축 방향 직선화는 압연유닛(200)의 후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압연유닛(200)의 압연 방향이나 형상에 따라 제1 직선화유닛(400)과 제2 직선화유닛(410)의 배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압연유닛(200)은 와이어를 y축으로 압연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공하고자 하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와이어를 압연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2 직선화유닛과 제3 직선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직선화유닛(410)은 압연유닛(200)으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와이어를 제2 방향으로 직선화하는 기능을 한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는 다른 임의의 방향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방향을 제1 방향과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예시하였다. 제2 직선화유닛(410)은 제1 직선화유닛(40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각도가 다르게 배치된다. 제2 직선화유닛(410)은 제1 직선화유닛(400)과 다른 각도로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직선화유닛(410)은 압연유닛(200)을 통해 y축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공된 와이어를 y축 방향으로 직선화할 수 있다.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2 직선화유닛(4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제3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1 직선화유닛(400)과 제2 직선화유닛(410)을 거친 와이어의 직선화가 부족한 각도를 제3 방향으로 지정하여, 제3 방향으로 직선화 할 수 있다.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는 임의의 각도로도 지정이 가능하다. 와이어는 앞서서 차례로 제1 방향 직선화와 제2 방향 직선화를 거쳐왔지만, 그 과정에서 와이어가 탄성변형하거나 압연과정중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등 완벽한 일직선 형태로 가공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를 완벽하게 일직선상으로 가공하기 위해 제3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와이어의 직선화에 대한 오차율을 줄여줄 수 있다.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2 직선화유닛(410)의 후단에 연결가이드부재(45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가이드부재(450)는 양단부가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 직선화유닛(420)이 제2 직선화유닛(410)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매개한다.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전술하여 설명한 제1 직선화유닛(40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 사이에서, 가이드부재(440) 대신 연결가이드부재(450)가 삽입되어 와이어를 가이드고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을 결합하는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즉, 제3 직선화유닛(420)은 프레임(10)에 고정되지 않고, 제2 직선화유닛(410)의 후단에 고정되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1 직선화유닛(400)과 동일하게 고정나사(406)를 풀어 연결부재(405)와 연결가이드부재(450) 사이의 결합을 푼 상태로 제3 직선화유닛(420)의 각도를 조절하고, 다시 고정나사(406)로 연결부재(405)를 단단히 조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선화유닛(400, 410, 420)은 모두 동일한 치수의 연결부재(405)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재(440)를 삽입하거나 연결가이드부재(450)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1 직선화유닛(400) 및 제2 직선화유닛(410)의 전단 혹은 후단에 모두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절곡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절곡유닛(300)은 제3 직선화유닛(420)의 후단에 위치하여, 직선화 및 압연 가공이 완료된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고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절곡유닛(300)은 와이어를 한 쌍의 금형(310, 320)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로, 제1 금형(310)을 왕복운동시켜 와이어를 절단하고 연속적으로 제2 금형(320)의 상단으로 가압하여 절곡할 수 있다. 절곡유닛(300)은 제3 직선화유닛(420)의 가이드부재(440)로부터 배출되는 와이어를 절곡유닛(300)의 가이드부재(440)로 전달받아 제1 금형(310)과 제2 금형(320) 사이로 와이어를 이송한다.
제1 금형(310)은 별도의 구동부에 결합되어, 구동부의 수직 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와이어를 절단하고 가압한다. 제1 금형(310)은 와이어가 공급되는 측면에 절단날(330)이 형성되어, 제1 금형(310)의 수직하강에 따라 와이어가 절단된다. 가이드부재(440)는 수평하게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1 금형(310)과 인접하는 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제1 금형(310)의 절단날이 가이드부재(440)의 수직한 측면을 따라 와이어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형(320)은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심과 인접한 높으로 형성되어, 제1 금형(310)이 와이어를 절단함과 동시에 제2 금형(320)으로 와이어의 중심부를 꼭지점으로 지탱하여 와이어가 절단에 의해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금형(310)과 제2 금형(320)은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사이즈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와이어 공급유닛(100)의 회전반경 및 속도를 제어하여 한번의 회전에 따라 공급되는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와이어의 직선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및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직선화는 총 3 방향에 대한 직선화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와이어의 직선도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로, x축과 y축의 교차지점이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심부를 의미한다. 즉, 와이어의 단면이 x축과 y축의 교차지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완벽한 직선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P1, P2, P3, P4는 와이어 공급유닛(100)과 절곡유닛(300) 사이의 일 구간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중심으로부터의 와이어 변위를 의미한다. 즉, P4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직선화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P1은 와이어 공급유닛(100)과 제1 직선화유닛(400) 사이의 와이어의 변위이고, P2는 제1 직선화유닛(400)과 압연유닛(200) 사이의 와이어의 변위이고, P3는 제2 직선화유닛(410)과 제3 직선화유닛(420) 사이의 와이어의 변위이고, P4는 제3 직선화유닛(420)과 절곡유닛(300) 사이의 와이어의 변위이다. 직선화유닛(400, 410, 420)은 P1 위치의 와이어를 P4 위치의 와이어로 가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P1은 와이어 공급유닛(100)의 권취축(110)에 권취되어 x축과 y축 방향으로 모두 굴곡져있는 와이어의 굴곡진 위치이다. 와이어는 이러한 굴곡진 상태로 와이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제1 직선화유닛(400)에 공급된다. 우선 와이어는 P1의 위치에서 제1 직선화유닛(400)을 거쳐 P2 상태로 가공된다.
P2는 제1 직선화유닛(400)을 거친 후의 와이어 위치로, x축 방향(D1)으로 직선화 된 위치이다. 이때, 와이어는 권취축(110)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 x축 (D1)보다 y축 방향(D2)으로의 굴곡이 더욱 심하게 형성되어, x축 방향(D1)에대한 직선화를 우선적으로 실행하고, y축 방향(D2)에 대한 직선화는 단계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P3는 제2 직선화유닛(410)을 거친 후의 와이어 위치로, y축 방향(D2)으로 직선화된 위치이다. 즉, P3는 x축 방향(D1) 직선화와 y축 방향(D2) 직선화를 모두 한번씩 거친 상태의 와이어 위치이다. 와이어는 주로 특수금속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료 특성상 한번의 직선화로는 완벽하게 직선을 구현해내기가 어렵다. 금속 와이어는 직선화되는 각도로 가공되더라도, 탄성복원력을 갖고 있어 일부는 굴곡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따라서, x축 방향(D1)과 y축 방향(D2)에 대해 직선화를 거친다 해도 와이어는 다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P4는 제3 직선화유닛(420)을 거친 후의 와이어 위치로, 대각선 방향(D3)으로 직선화된 위치이다. 특히, 대각선 방향은 x축 방향(D1)과 y축 방향(D2)에 대한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x축 직선화와 y축 직선화를 각각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한번에 와이어를 직선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P3에서 P4로 직선화 하기 위해서는, 제1 직선화유닛(400)과 제2 직선화유닛(410)을 각각 한번씩 거칠 필요 없이 한번에 대각선 방향(D3)을 직선화하는 제3 직선화유닛(420)만을 이용하면 된다.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직선화가 완료된 와이어를 최종적으로 마무리 직선화하여 직선화에 대한 오차율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제3 직선화유닛(420)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직선화를 거친 후에도 와이어가 굴곡진 상태인 경우, 와이어를 다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직선화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 즉, 임의의 제3 방향(D3)에 대한 직선화를 통해 장비의 단순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작업 속도도 매우 향상되어 효율적인 혈관결찰용 클립 생산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의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혈관결찰용 클립의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5를 참조하면,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1)에 의해 제조된 혈관결찰용 클립(A)은 내측으로 요철면(B)이 마주하는 집게 형상으로 제조된다. 혈관결찰용 클립(A)은 마주하는 요철면(B) 사이에 혈관(C)을 위치시키고, 요철면(B)이 맞닿도록 양측 집게를 가압시켜 혈관(C)을 결찰할 수 있다. 이때, 혈관결찰용 클립(A)의 마주하는 요철면(B)은 세 단계의 직선화 과정을 통해 완벽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착력이 우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10: 프레임 100: 와이어 공급유닛
110: 권취축 200: 압연유닛
201: 주 압연롤러 202: 전단 압연롤러
210: 제1 롤러 211: 요철부
220: 제2 롤러 221: 주 압연홀
230: 제3 롤러 240: 제4 롤러
241: 전단 압연홀 300: 절곡유닛
310: 제1 금형 320: 제2 금형
330: 절단날 400: 제1 직선화유닛
401: 레벨링 롤러 402: 회전축
403: 독립플레이트 404: 위치조절나사
405: 연결부재 406: 고정나사
407: 상부플레이트 408: 하부플레이트
410: 제2 직선화유닛 420: 제3 직선화유닛
440, 440-1, 440-2, 440-3, 440-4: 가이드부재
441: 가이드홀 442: 축삽입홀
450: 연결가이드부재 451: 돌출부
A: 혈관결찰용 클립 B: 요철면
C: 혈관 W: 와이어

Claims (11)

  1. 혈관을 결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을 제조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에 있어서,
    클립제조용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유닛;
    상기 와이어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공급받아 압연하여 일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압연유닛;
    상기 압연유닛을 통과한 상기 와이어를 공급받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요철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하는 절곡유닛; 및
    상기 와이어공급유닛과 상기 압연유닛 사이와, 상기 압연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직선화 가공하는 직선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공급유닛과 상기 압연유닛 사이에 설치된 제1 직선화유닛과, 상기 압연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에 설치된 제2 직선화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제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직선화유닛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고,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제2 직선화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에 제3 직선화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직선화유닛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 방향 직선화를 수행하며, 상기 제2 직선화유닛 또는 상기 절곡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3 방향은 변환이 가능한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공급유닛, 상기 압연유닛, 상기 절곡유닛 및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화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레벨링 롤러를 포함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롤러는,
    서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의 직선화를 수행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제2 직선화유닛과 상기 제3 직선화유닛 사이, 또는 상기 제3 직선화유닛과 상기 절곡유닛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 직선화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유닛은,
    외주면에 상기 요철면을 형성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1 롤러와,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롤러와 마주보며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제2 롤러로 이루어진 주 압연롤러를 포함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유닛은,
    상기 주 압연롤러 전단에 상기 주 압연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를 예비 압연하는 한 쌍의 전단 압연롤러를 더 포함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절곡유닛으로 공급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면이 서로 맞물려 상기 와이어를 벤딩하는 한 쌍의 금형과, 상기 한 쌍의 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는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KR1020210129394A 2021-09-30 2021-09-30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KR10239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394A KR102393380B1 (ko) 2021-09-30 2021-09-30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394A KR102393380B1 (ko) 2021-09-30 2021-09-30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380B1 true KR102393380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394A KR102393380B1 (ko) 2021-09-30 2021-09-30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3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645A (ja) * 1988-10-31 1990-05-09 Matsutani Seisakusho Co Ltd 医療用ステープ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321540Y1 (ko) * 2003-04-30 2003-07-28 유병섭 철사 소재의 요철 가공장치
KR20030072308A (ko) * 2003-08-26 2003-09-13 서범랑 지퍼요소용 이형선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744543B1 (ko) 2016-08-31 2017-06-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링기어용 링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645A (ja) * 1988-10-31 1990-05-09 Matsutani Seisakusho Co Ltd 医療用ステープ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321540Y1 (ko) * 2003-04-30 2003-07-28 유병섭 철사 소재의 요철 가공장치
KR20030072308A (ko) * 2003-08-26 2003-09-13 서범랑 지퍼요소용 이형선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744543B1 (ko) 2016-08-31 2017-06-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링기어용 링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30090A (ja) 形鋼の曲がり矯正方法および形鋼用矯正装置
CN105246614B (zh) 用于通过使线材段弯曲来生产夹钳的装置和方法
KR102393380B1 (ko) 혈관결찰용 클립 제조장치
KR102189749B1 (ko) 금속 와이어를 드로잉 및 교정하는 장치, 및 해당 드로잉 및 교정 방법
KR101137252B1 (ko) 롤 포밍 장치 및 롤 포밍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빔
TWI763901B (zh) 用於彎折較佳為金屬製的例如條材、桿材、型材等長圓形構件的機器及方法
KR101518524B1 (ko) 의료용 봉합침의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JP4766413B2 (ja) 円筒形非線形荷重ウエーブコイルスプリング
KR101692467B1 (ko) 엠보 형상을 갖는 시술용 실, 이의 제조방법
KR101259357B1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US10368875B2 (en) Surgical clip
JP2742889B2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鋼繊維の製造方法
JPH0647139B2 (ja) リングフランジ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KR101553574B1 (ko) 시트 롤 포밍 장치용 런닝커터
JP3341610B2 (ja) 異形断面条の矯正方法
US7757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blade member
SU1574316A1 (ru) Способ формообразовани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дво кой кривизны
CN102223962A (zh) 钢板的辊弯装置及使用该辊弯装置的钢板的辊弯成形方法
JP2777960B2 (ja) 長尺異形断面板の高速金型圧延装置
JP4799030B2 (ja) 狭幅金属帯のエッジラウンド加工方法
KR101516400B1 (ko) 시트 롤 포밍 장치용 런닝커터
JP2000061534A (ja) ロール成形装置
JP3604921B2 (ja) 長尺異形断面材の矯正装置
JPS59166325A (ja) 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JP4392311B2 (ja) 管状体の曲がり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