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284B1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284B1
KR102392284B1 KR1020210145001A KR20210145001A KR102392284B1 KR 102392284 B1 KR102392284 B1 KR 102392284B1 KR 1020210145001 A KR1020210145001 A KR 1020210145001A KR 20210145001 A KR20210145001 A KR 20210145001A KR 102392284 B1 KR102392284 B1 KR 10239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peg
mounting
coupling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에 설치되며, 복수의 페그홀이 형성된 페그보드; 상기 복수의 페그홀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조립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페그보드에 고정되는 피고정물;을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Carrier structure for built-in trim}
본 발명은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트림에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필요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내부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수납하거나 적재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에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내장트림(도어트림 이라고도 함)에 포켓 타입의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트렁크룸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도어에 마련되는 포켓 타입의 수납공간은 미리 정해진 규격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제작 변경이 어려움은 물론, 포켓 타입의 수납공간은 작은 적재공간을 갖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물품을 수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렁크룸의 측면에 마련되는 내장트림(러기지 사이드 트림 이라고도 함)에는 별도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 실내의 측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트림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물품을 원하는 위치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에 설치되며, 복수의 페그홀이 형성된 페그보드; 상기 복수의 페그홀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조립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페그보드에 고정되는 피고정물;을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페그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페그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페그보드의 외측에 위치되는 바디를 갖는 고정부; 상기 바디가 개재되도록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을 갖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를 상기 페그보드에 조립 시 또는 조립 해제 시 상기 바디와 상기 페그보드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가 상기 힌지축을 통해 회전되고,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페그보드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페그보드에 밀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와 상기 결합부에는 각각 상기 힌지축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핀이 삽입되는 조립홀이 마련되되, 상기 조립홀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페그보드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고정물은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박스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피고정물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의 양 측면 외측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마련되되, 상기 고정홀은 상기 조립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부재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장착부재의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부재의 상측 및 양측면의 3면을 지지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는 내장트림에 페그보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필요로하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킴은 물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량의 실내 측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양해지는 차량의 용도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고, 성능과 품질 및 상품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내장패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가 페그보드에 장착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에 피고정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와 피고정물을 추가로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피고정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피고정물과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내장패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가 페그보드에 장착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에 피고정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와 피고정물을 추가로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1)는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10)에 설치되는 페그보드(100)와, 페그보드(100)에 형성된 페그홀(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200) 및 장착부재(200)에 조립되어 페그보드(100)에 고정되는 피고정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장트림(10)이 차량의 도어에 마련된 도어트림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구조체(1)가 트렁크 룸에 마련되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인 내장트림에 적용될 수도 있다.
페그보드(100)는 소정 면적을 가지며 내장트림(10)에 설치된다. 이때, 페그보드(100)는 내장트림(10)의 어느 위치에든 설치될 수 있다. 즉, 고객의 니즈에 맞추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페그보드(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페그홀(110)이 형성된다. 페그홀(110)은 후술할 장착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하나의 페그홀(110)에 하나의 장착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복수의 페그홀(110)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11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재(200)는 장착하고자 하는 피고정물(300)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어 사용되어 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재(200)는 페그홀(11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결합부(220) 및 결합부(220)가 고정부(2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힌지축(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는 페그홀(110)에 삽입되는 후크(211)와, 후크(211)와 일체로 형성되는 바디(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후크(211)와 바디(212) 사이에는 틈이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211)는 갈고리 형상을 갖춘 것으로서, 페그홀(110)에 결합 시 단부가 페그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후크(211)는 페그보드(10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페그홀(1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바디(212)는 후크(211)가 페그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페그보드(1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바디(212)는 페그보드(1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디(212)와 페그보드(100)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된다. 이는 페그홀(110)에 후크(211)를 탈착 시 바디(212)에 의해 간섭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합부(220)는 고정부(210)와 결합되어 후술되는 피고정물(300)과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20)는 힌지축(230)에 의해 고정부(210)의 바디(212)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20)는 본체(221)와, 본체(2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면(222a)과 제2 결합면(222b)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결합부(220)는 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결합면(222a)과 제2 결합면(222b)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제1 결합면(222a)과 제2 결합면(222b) 사이에는 바디(212)가 개재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220)는 고정부(210)가 페그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페그보드(100)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축(230)은 제1 결합면(222a)과 제2 결합면(222b)에 형성되는 힌지홀(223) 및 바디(212)에 형성된 힌지홀(213)을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220)는 힌지축(230)을 중심축으로 하여 바디(212)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20)가 회전 시 페그보드(100)와 간섭받지 않도록 힌지축(230)은 본체의 반대측 단부 부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서, 고정부(210)를 페그보드(100)에 조립 시 또는 조립 해제 시 결합부(220)가 힌지축(230)을 통해 회전되며 바디(212)와 페그보드(100)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장착부재(200)가 페그보드(10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결합부(220)가 페그보드(100)에 밀착된 상태로 마련되어 장착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디(212)와 결합부(220)에는 각각 힌지축(23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핀(400)이 삽입되는 조립홀(214, 224)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립홀(214, 224)은 바디(212) 및 제1 결합면(222a)과 제2 결합면(222b)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조립홀(214, 224)은 결합부(220)가 페그보드(1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홀(214, 224)은 후술할 피고정물(300)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고정핀(400)을 통하여 피고정물(300)과 조립홀(214, 224)이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피고정물(300)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적재 또는 수납하기 위한 구성품으로서,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10)이 마련된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피고정물(300)은 장착부재(200)와 조립되는 장착부(320)를 갖추어 페그보드(100)에 장착된 장착부재(200)와 조립될 수 있다.
장착부(320)는 페그보드(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결합부(220)와 결합되도록 결합부(2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홈(322)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착부(320)는 장착부재(200)와 조립되어 피고정물(300)이 안정적으로 페그보드(100)에 지지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장착부(320)는 피고정물(300)의 후방에서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재(200)는 장착부(320)와 결합되도록 장착부(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페그보드(100)에 조립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홈(322)은 장착부재(200)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개구부를 통해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2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부(320)와 장착부재(200)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페그보드(100)를 향하여 피고정물(300)을 가압함으로써 조립되게 된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착부재(200)와 결합되는 피고정물(300)의 후방벽 전체면에는 장착부(320)가 일정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장착부재(200)와 조립시킬 수 있다. 예컨대, 레고블록의 조립구조와 대응되는 조립구조를 갖도록 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 장착부와 장착부재가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없이 더욱 간편하게 조립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고정물(300)이 장착부재(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도록 고정핀(400)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장착부(320)의 양 측면 외측에는 고정핀(400)이 삽입되는 고정홀(324)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고정홀(324)은 전술된 조립홀(214, 2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핀(400)이 순차적으로 고정홀(324)과, 제1 결합면(222a)의 조립홀(224), 바디(212)의 조립홀(214) 및 제2 결합면(222b)의 조립홀(22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장착부(320)가 피고정물(3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것은 고정핀(400)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나, 장착부(320)가 피고정물(300)의 양 측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고정물(300)의 장착부(320)가 장착부재(200)와 마주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고정물(300)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장착부재(200)와 조립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피고정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피고정물과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1)는 앞선 실시 예와 비교 시, 피고정물(300)의 장착부(320')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피고정물(300)에 마련된 장착부(320')는 장착부재(20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즉, 장착부(320')에 형성된 장착홈(322')은 장착부재(220)의 상측 및 양측면의 3면을 지지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개구부를 장착부재(200)와 마주하도록 마련된 상태에서 피고정물(300)을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20)를 장착홈(322')에 조립하도록 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장착부(320')에도 고정핀(도 7의 '400' 참조)을 통해 안정적으로 장착부재(200)와 고정되도록 고정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100 : 페그보드
200 : 장착부재
300 : 피고정물
400 : 고정핀

Claims (8)

  1.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에 설치되며, 복수의 페그홀이 형성된 페그보드;
    상기 복수의 페그홀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조립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페그보드에 고정되는 피고정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페그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페그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페그보드의 외측에 위치되는 바디를 갖는 고정부;
    상기 바디가 개재되도록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을 갖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페그보드에 조립 시 또는 조립 해제 시 상기 바디와 상기 페그보드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가 상기 힌지축을 통해 회전되고,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페그보드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페그보드에 밀착된 상태로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결합부에는 각각 상기 힌지축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핀이 삽입되는 조립홀이 마련되되,
    상기 조립홀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페그보드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물은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박스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홈이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피고정물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의 양 측면 외측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마련되되, 상기 고정홀은 상기 조립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부재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장착부재의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부재의 상측 및 양측면의 3면을 지지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KR1020210145001A 2021-10-27 2021-10-27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KR10239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01A KR102392284B1 (ko) 2021-10-27 2021-10-27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01A KR102392284B1 (ko) 2021-10-27 2021-10-27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284B1 true KR102392284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01A KR102392284B1 (ko) 2021-10-27 2021-10-27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2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025B2 (ja) * 1995-11-09 2002-09-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陳列用棚装置
KR20180047093A (ko) * 2016-10-31 2018-05-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신발 및 우산 거치대
US20190217784A1 (en) * 2018-01-12 2019-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for seat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025B2 (ja) * 1995-11-09 2002-09-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陳列用棚装置
KR20180047093A (ko) * 2016-10-31 2018-05-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신발 및 우산 거치대
US20190217784A1 (en) * 2018-01-12 2019-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for seat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1305A1 (en) Case and battery assembly of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100231110A1 (en) Door support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JP4521052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6915997B2 (en) Cup holding device
KR101666514B1 (ko)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구조
US5056858A (en) Partition plate for automotive vehicle
WO2003023925A1 (en) Electrical box with deflectable side walls
KR102392284B1 (ko)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JP4992390B2 (ja) 車両用の収納構造
KR100645185B1 (ko) 회전형 칸막이가 구비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2020530539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組立方法
US20020196600A1 (en) Computer system and a combining structure for a power supplying unit for a computer system
US11162201B2 (en) Lid assembly for a laundry appliance
JP2007145170A (ja) スライド型扉
KR102593695B1 (ko)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JP5642449B2 (ja) ピボットヒンジ
KR200424038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패널 조립체
KR102383902B1 (ko)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KR20180046186A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100645137B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이탈방지구조
KR20180051058A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101459926B1 (ko) 차량용 분할 러기지 박스
KR20220095274A (ko) 차량용 루프박스
US20240092271A1 (en) Mounting hinge mounted onto covering shelf or cargo screen for vehicles
KR101705183B1 (ko) 러기지네트용 후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