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695B1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3695B1 KR102593695B1 KR1020210145283A KR20210145283A KR102593695B1 KR 102593695 B1 KR102593695 B1 KR 102593695B1 KR 1020210145283 A KR1020210145283 A KR 1020210145283A KR 20210145283 A KR20210145283 A KR 20210145283A KR 102593695 B1 KR102593695 B1 KR 102593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 mounting part
- interior trim
- locking
- load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에 설치되며, 복수의 페그홀이 형성된 페그보드; 상기 복수의 페그홀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에 원터치 푸쉬 타입으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페그홀과 대응되는 형상의 장착홀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상기 페그보드에 고정되는 피고정물;을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트림에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필요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내부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수납하거나 적재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에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내장트림(도어트림 이라고도 함)에 포켓 타입의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트렁크룸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도어에 마련되는 포켓 타입의 수납공간은 미리 정해진 규격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제작 변경이 어려움은 물론, 포켓 타입의 수납공간은 작은 적재공간을 갖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물품을 수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렁크룸의 측면에 마련되는 내장트림(러기지 사이드 트림 이라고도 함)에는 별도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 실내의 측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트림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물품을 원하는 위치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에 설치되며, 복수의 페그홀이 형성된 페그보드; 상기 복수의 페그홀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에 원터치 푸쉬 타입으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페그홀과 대응되는 형상의 장착홀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상기 페그보드에 고정되는 피고정물;을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고정물은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홀이 마련된 부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홀과 상기 페그홀에 삽입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상기 제1 장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장착부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1 장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페그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측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장착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마련되되, 상기 이탈방지홈은 상기 제2 장착부가 상기 제1 장착부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중공부가 마련된 제1 바디; 상기 걸림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단과 하단에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페그홀에 삽입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공부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상기 격벽에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걸림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착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1 장착부가 삽입되는 제2 중공부가 마련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이 지나가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끝단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장착부를 상기 제1 장착부로 가압 시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가 테이퍼면을 타고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으로 올라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일단에 상기 제2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 및 타단에 상기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동되며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걸림축이 마련된 체결핀; 및 상기 제2 장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축이 안내되며 상기 걸림축이 안착되는 체결홈을 갖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주면에 음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착부를 제1 장착부로 가압하여 상기 페그보드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2 장착부가 상기 제1 장착부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 사이에 간극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은 상기 걸림축이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거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는 내장트림에 페그보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필요로하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킴은 물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량의 실내 측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양해지는 차량의 용도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고, 성능과 품질 및 상품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터치 푸시 타입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피고정물을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내장패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의 장착부재에 구비된 제1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착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통해 피고정물이 페그보드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내장패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의 장착부재에 구비된 제1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착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통해 피고정물이 페그보드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가 내장패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의 장착부재에 구비된 제1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착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를 통해 피고정물이 페그보드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0 내지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에 구비된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1)는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10)에 설치되는 페그보드(100)와, 페그보드(100)에 형성된 페그홀(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300) 및 장착부재(300)에 의해 페그보드(100)에 고정되는 피고정물(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장트림(10)이 차량의 도어에 마련된 도어트림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구조체(1)가 트렁크 룸에 마련되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인 내장트림에 적용될 수도 있다.
페그보드(100)는 소정 면적을 가지며 내장트림(10)에 설치된다. 이때, 페그보드(100)는 내장트림(10)의 어느 위치에든 설치될 수 있다. 즉, 고객의 니즈에 맞추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페그보드(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페그홀(110)이 형성된다. 페그홀(110)은 후술할 장착부재(3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하나의 페그홀(110)에 하나의 장착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다.
피고정물(200)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P)을 적재 또는 수납하기 위한 구성품으로서, 장착부재(300)에 의해 페그보드(100)에 고정될 수 있다. 피고정물(200)은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1)이 형성된 수납부(210)와, 수납부(21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며 페그홀(110)과 대응되는 형상의 장착홀(2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부착부(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부착부(220)가 수납부(210)의 하부에 마련된 것은 후술할 장착부재(300)가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됨에 따라 수납공간(211)에 물품(P)을 수납 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피고정물(200)은 장착홀(221)이 복수의 페그홀(110)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110)과 일치하도록 위치가 조정된 후, 장착부재(300)에 의해 페그보드(100)에 고정된다. 즉, 피고정물(20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물품(P)을 수납하여 사용되도록 한다.
한편, 부착부(220)에는 장착부재(300)에 의해 페그보드(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장착홀(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피고정물(200)의 외형이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장착부재(300)는 원터치 푸쉬 타입으로 복수의 페그홀(110)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11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재(300)는 장착하고자 하는 피고정물(200)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어 사용 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재(300)는 페그홀(110)에 삽입되는 제1 장착부(310)와, 제1 장착부(3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장착부(320)와, 제1 장착부(310)와 제2 장착부(320)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30)과, 제1 장착부(310)에 마련되는 걸림부재(340) 및 장착부재(300)가 페그보드(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부(3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제1 바디(311)와, 제1 바디(311)에 마련된 머리부(314) 및 머리부(314)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315)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디(311)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리턴 스프링(330)이 삽입되도록 제1 중공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디(311)는 후술할 제2 장착부(3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단면이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311)에는 외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313)는 제2 장착부(320)의 제2 바디(321)에 형성된 이탈방지홈(32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311)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지지부재(400)에 구비된 음각 형상의 안내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내홈(420)은 이탈방지돌기(313)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바디(3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홈(420)은 제2 장착부(320)가 제1 장착부(310)로부터 일정 거리 움직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안내홈(420)에 의해 제2 장착부(320)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중공부(312)는 리턴 스프링(330)이 삽입되도록 제1 바디(311)의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중공부(312)에는 리턴 스프링(330)의 일단을 지지하는 격벽(316)이 마련되고, 격벽(316)에는 관통홀(31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리턴 스프링(330)은 일단이 격벽(316)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단은 제1 중공부(312)로부터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 상태는 제2 장착부(32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리턴 스프링(330)의 타단은 제2 장착부(320)에 지지되어 제2 장착부(320)의 작동에 따라 압축되며 제1 장착부(310)와 제2 장착부(320)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관통홀(317)은 후술할 제2 장착부(320)의 가압부(324)가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가압부(324)와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머리부(314)는 장착홀(221)과 페그홀(110)에 삽입되도록 제1 바디(311)의 일단에 마련된다. 이 머리부(314)의 내측에는 걸림부재(34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머리부(314)에는 걸림부재(340)의 가압에 따라 머리부(314)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314a)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홀(314a)은 머리부(314)의 상단과 하단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머리부(314)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턱(315)은 피고정물(200)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머리부(314)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 걸림턱(315)은 머리부(314)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머리부(314)가 장착홀(221) 및 페그홀(110)에 삽입 시 함께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315)은 가이드홀(314a)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머리부(314)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재(340)의 걸림부(343)와 걸림턱(315) 사이의 간격은 부착부(220)와 페그보드(100)의 두께를 합한 거리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피고정물(200)은 장착부재(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페그보드(100)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재(34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머리부(31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재(34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지지부(341)와, 지지부(34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가이드홀(314a)에 삽입되는 걸림부(343)와, 지지부(341)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걸림부재(3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34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걸림부재(340)는 장착부재(300)의 미사용 시 걸림부(343)가 머리부(314)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홀(314a)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345)은 한 쌍의 걸림부재(340)가 제2 장착부(320)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고, 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걸림부재(3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지지부(341)는 후술할 가압부(324)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341)의 전방면은 가압부(324)의 테이퍼면(324a)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되, 테이퍼면(324a)과 접촉시 테퍼이면(324a)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단부가 테이퍼면(324a)의 하측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324)에 의해 지지부(341)가 이동되는 작동 상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부(343)는 머리부(314) 내에서 가이드홀(314a)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걸림부(343)는 한 쌍의 걸림부재(340)가 슬라이딩 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홀(314a)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43)는 가이드홀(314a)로부터 돌출되어 페그보드(100)의 내측에 접촉됨으로써 장착부재(300)가 페그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장착부(3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제2 바디(321) 및 제2 바디(32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압부(3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디(321)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제1 장착부(310), 즉 제1 바디(311)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제2 중공부(322)가 마련된다. 이때, 제2 바디(321)의 타단 내벽에 리턴 스프링(330)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3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홈(323)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홈(323)은 이탈방지돌기(313)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장착부(320)가 제1 장착부(310)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324)는 제2 바디(321)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걸림부재(340)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압부(324)는 리턴 스프링(330)의 내부 및 격벽(316)의 관통홀(317)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324)의 끝단은 제2 장착부(32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부(341)와 이격되거나 접촉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24)가 걸림부재(340)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가압부(324)의 끝단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장착부(320)를 제1 장착부(310)로 가압 시 한 쌍의 걸림부재(340)가 테이퍼면(324a)을 타고 가압부(324)의 외주면으로 올라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가압부(324)가 지지부(341) 사이로 지나감에 따라 지지부(341) 사이에 마련된 인장 스프링(345)과의 간섭이 회피되어야 한다. 이에, 가압부(324)에는 인장 스프링(345)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를 갖는 슬릿(325)이 마련된다. 따라서, 가압부(324)가 한 쌍의 걸림부재(340) 사이에 위치되더라고 인장 스프링(345)은 슬릿(325)에 의해 간섭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장착부(320)가 제1 장착부(310)를 향하여 이동 시 제1 중공부(312)와 제2 중공부(322) 내에 위치된 리턴 스프링(330)은 압축되며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에, 제2 장착부(320)가 리턴 스프링(330)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0)이 마련된다.
지지수단(400)은 제1 장착부(310)와 제2 장착부(320) 사이에 마련되어 장착부재(300)가 페그보드(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수단(400)은 제2 장착부(320)에 마련되는 체결핀(410) 및 제1 장착부(310)에 마련되어 체결핀(410)이 고정되는 안내홈(420)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핀(410)은 일단에 제2 장착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11)과, 힌지축(4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412) 및 타단에 힌지축(411)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동 회동되는 걸림축(413)을 구비한다. 이러한 힌지축(411)과, 연결축(412) 및 걸림축(413)은 하나의 몸체를 갖도록 일체로 이루어지며, 제2 장착부(3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힌지축(411)은 제2 바디(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축(413)은 제1 장착부(31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2 바디(321)에는 내측을 향하여 관통된 장공(430)이 형성된다. 즉, 걸림축(413)을 장공(430)을 통해 제1 장차부(31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며, 장공(430)이 형성된 거리만큼 힌지축(411)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록 회전될 수 있다.
안내홈(420)은 제1 장착부(310)의 외주면에 음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안내홈(420)은 체결핀(4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제1 바디(3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홈(420)이 제1 바디(311)의 외측면에 음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안내홈(4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걸림축(413)이 안착되는 체결홈(423)을 갖는 체결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422)는 제2 장착부(320)를 향하는 길이방향측 일단에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체결핀(413)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제1 장착부(310)의 머리부(314)를 향하는 타단에 중심을 기준으로 체결홈(423)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장착부(320)가 리턴 스프링(330)을 압축하며 이동 시 체결핀(410)의 걸림축(413)은 체결돌기(422)의 경사면에 의해 소정 각도 회동되며 안내홈(420)을 따라 이동하고, 일정 구간 이동되면 걸림축(413)이 체결홈(423)으로 안내되어 체결홈(423)에 안착된다. 이에, 제2 장착부(320)는 리턴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더라도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체결핀(413)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2 장착부(320)가 제1 장착부(310)에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다시 제2 장착부(320)가 제1 장착부(310)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장착부(310)와 제2 장착부(320) 사이에는 간극(G)이 마련될 수 있다. 간극(G)은 걸림축(413)이 체결홈(42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거리를 갖도록 마련된다. 즉, 걸림축(413)이 체결홈(423)에 걸린 상태에서 제2 장착부(320)를 머리부(314) 방향으로 간극(G) 만큼 가압 시 걸림축(413)은 체결홈(42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제2 장착부(320)에 가해지 하중을 제거하면 제2 장착부(320)는 리턴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제1 장착부(31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13)가 제2 장착부(320)에 형성된 이탈방지홈(323)을 따라 이동하며, 제2 장착부(320)가 원위치로 복귀 시 이탈방지돌기(313)가 이탈방지홈(323)에 걸려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100 : 페그보드
200 : 피고정물
300 : 장착부재
310 : 제1 장착부
320 : 제2 장착부
330 : 리턴 스프링
340 : 걸림부재
400 : 지지수단
100 : 페그보드
200 : 피고정물
300 : 장착부재
310 : 제1 장착부
320 : 제2 장착부
330 : 리턴 스프링
340 : 걸림부재
400 : 지지수단
Claims (13)
- 차량 내에 마련된 내장트림에 설치되며, 복수의 페그홀이 형성된 페그보드;
상기 복수의 페그홀 중 어느 하나의 페그홀에 원터치 푸쉬 타입으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페그홀과 대응되는 형상의 장착홀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상기 페그보드에 고정되는 피고정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홀과 상기 페그홀에 삽입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제1 장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장착부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1 장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물은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홀이 마련된 부착부를 구비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페그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측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장착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마련되되,
상기 이탈방지홈은 상기 제2 장착부가 상기 제1 장착부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중공부가 마련된 제1 바디;
상기 걸림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단과 하단에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페그홀에 삽입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부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상기 격벽에는 관통홀이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걸림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을 구비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1 장착부가 삽입되는 제2 중공부가 마련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이 지나가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슬릿이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끝단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장착부를 상기 제1 장착부로 가압 시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가 테이퍼면을 타고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으로 올라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일단에 상기 제2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 및 타단에 상기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동되며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걸림축이 마련된 체결핀; 및
상기 제2 장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축이 안내되며 상기 걸림축이 안착되는 체결홈을 갖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주면에 음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부를 제1 장착부로 가압하여 상기 페그보드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2 장착부가 상기 제1 장착부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걸림축이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거리를 갖도록 마련되는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283A KR102593695B1 (ko) | 2021-10-28 | 2021-10-28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283A KR102593695B1 (ko) | 2021-10-28 | 2021-10-28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754A KR20230060754A (ko) | 2023-05-08 |
KR102593695B1 true KR102593695B1 (ko) | 2023-10-25 |
Family
ID=8638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5283A KR102593695B1 (ko) | 2021-10-28 | 2021-10-28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369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6056A (ja) * | 2002-04-11 | 2003-10-28 |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アッセンブリ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4282B1 (ko) * | 2004-05-06 | 2005-12-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오버 헤드 콘솔에 설치되는 미러의 록킹구조 |
JP3156750U (ja) * | 2009-10-30 | 2010-01-14 | ニチレイマグネット株式会社 | 壁面装着具の取り付け構造 |
-
2021
- 2021-10-28 KR KR1020210145283A patent/KR102593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6056A (ja) * | 2002-04-11 | 2003-10-28 |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アッセンブリ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156750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754A (ko) | 202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53019B2 (en) | Console for vehicle interior | |
US8690253B2 (en) |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 restraint assembly | |
JP4480036B2 (ja) | アームレストの取付け構造 | |
US20180277805A1 (en) | Case and battery assembly of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 |
US9187021B2 (en) | Assist grip | |
US8096741B2 (en) | Interior vehicle body structure | |
US6692067B2 (en) | Assist grip | |
KR20030016658A (ko) |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구조 | |
KR20200119944A (ko) |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 |
KR102593695B1 (ko)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
US7431369B2 (en) | Vehicle glove box having a rotary-type partition | |
WO2006013831A1 (ja) | ドアハンドル装置 | |
KR102392284B1 (ko) | 내장트림용 적재 구조체 | |
KR20070025951A (ko) | 에어 댐퍼 | |
WO2017195468A1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KR100645137B1 (ko) |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이탈방지구조 | |
CN113493999A (zh) | 拉手组件、洗涤剂盒及洗衣设备 | |
WO2016011285A1 (en) | Low-profile storage assembly for a vehicle | |
KR20060041406A (ko) | 가변형 커버링 쉘프 구조 | |
CN221829233U (zh) | 手柄组件 | |
KR100405610B1 (ko) | 자동차용 트렁크보드의 힌지부 구조 | |
JP6371104B2 (ja) | 組み付け構造及び車両用内装品 | |
WO2023188933A1 (ja) | 車両用フック装置 | |
KR101355720B1 (ko) |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 |
JP3916718B2 (ja) |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