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720B1 -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720B1
KR101355720B1 KR1020120002643A KR20120002643A KR101355720B1 KR 101355720 B1 KR101355720 B1 KR 101355720B1 KR 1020120002643 A KR1020120002643 A KR 1020120002643A KR 20120002643 A KR20120002643 A KR 20120002643A KR 101355720 B1 KR101355720 B1 KR 101355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ocking
cover
rotating membe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583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2000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7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측에 로킹탭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구조적 단순화를 통한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including locking tab}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측에 로킹탭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구조적 단순화를 통한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방식의 잠금장치에서는 두 개의 로킹 로드가 제공된다. 회전자는 두 개의 아암(arm)을 가지며 두 개의 로킹 로드는 관련 홈을 가지며, 조립시에 상기 홈 내에 아암이 결합되어야만 한다. 공지된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로킹 로드를 잠금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원 스프링을 제외하고, 3개의 부품을 제조 및 상기 부품들의 상호 조립이 요구된다. 이는 많은 시간 및 비용을 요구한다. 회전자에 제공된 아암을 로드의 홈 내에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는 틈(clearance)이 이용되는데, 상기 틈은 덜커덕거리는 소리(clatter)를 유발한다.
상기 방식의 잠금장치의 경우에는 회전자의 수동식 회전이 로킹 로드의 직선(straight-line) 운동으로 변환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어 구동 장치가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회전자가 기어 휠(gearwheel)로 이루어지고 로킹 로드의 내부 단부는 래크(rack)를 갖는다. 이러한 수 많은 부품들의 제조 및 조립은 많은 시간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복잡하다.
또 다른 방식의 3-데드로크(deadlock)의 경우에는 두 개의 반대방향의 로킹 로드가 베어링 단부에 두 개의 로드(rod)를 연결시키는데, 상기 로드는 탄성 스트립(strip)의 키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회전자와 연결된다.
회전자, 두 개의 탄성 스트립 및 로드는 플라스틱의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회전자의 회전 작동시에 로드는 잠금장치 커버 내에서 제한된 선회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의 베어링 단부는 잠금장치 내부 정면의 단부로 이어진다.
이러한 전이부는 회전자가 쇠약해지고 회전시 하중을 받음으로 해서 파손될 위험이 있다.
또한, 로드는 그의 정면 단부와 연결되어서 중공 프로필을 가지며, 로드의 최대 선회 위치에서 회전자가 상기 중공 프로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로드의 최소 선회 위치에서 로드의 정면 단부는 탄성 스트립이 직각으로 구부러지면서 회전자의 평평한 주변 지점에 지지된다.
한편, 회전자는 두 개의 탄성 스트립 및 로드 그리고 로드의 베어링 단부의 커버측 종방향 가이드에 의해서 단지 하나의 다부재 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다부재 기어는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베어링 단부의 종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 경우에는 대략 60도로 제한된 회전자의 회전 운동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듀얼 로킹 타입에서 잠금을 위해 별도로 적용되는 피스를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로킹탭을 통하여 구조적 단순화를 도모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면에 위치하는 커버홈, 및 상기 커버홈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커버의 일측과 연결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의 일측과 탈착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부; 및
상기 커버홈 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 가이드부재를 따라 운동하는 제 1 링크,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 2 가이드부재를 따라 운동하는 제 2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로킹탭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회전부재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다수의 로킹탭은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의 움직임을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수납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로킹탭은, 고리 형상이며,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다수의 로킹탭은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수납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버튼의 동작 여부에 따라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듀얼 로킹 타입에서 잠금을 위해 별도로 적용되는 피스를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로킹탭을 통하여 구조적 단순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생산비용의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의 커버, 가이드부재, 제 1 링크 및 로킹탭을 확대한 부분상세도,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의 커버, 가이드부재, 제 2 링크 및 로킹탭을 확대한 부분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구성요소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100)는 수납부(110), 수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체결부(120) 및 체결부(120)와 연결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수납부(110)는 커버(111), 커버(111)의 일면에 위치하는 커버홈(112), 커버홈(112)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커버홀(113), 커버홈(112)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114), 커버(111)의 일측과 연결되는 중공의 하우징(115), 하우징(115)의 일면에 장착되는 버튼(116) 및 하우징(115) 내에 위치하여 다수의 가이드부재(114)의 일측과 탈착 가능한 고정부재(117)를 포함한다.
커버(111)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넓은 판재이며,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홈(112)은 커버(111)의 일면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커버홈(112)은 커버(111)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지님에 따라 체결부(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홀(113)은 커버홈(11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홀(113) 내로 손잡이(130)가 삽입되며, 손잡이(130)는 커버홀(113)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가이드부재(114)는 커버홈(112) 내에 다수로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114)는 커버홈(112)의 일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다른 한 쌍의 가이드부재(114)는 커버홈의 타측에 형성된다.
전술한 가이드부재(114)는 후술되는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115)은 커버(111)의 일측과 연결되는 중공의 형상이며, 이러한 하우징(115)은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버튼(1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5)의 일면에 장착되며, 운전자는 버튼(116)을 눌러 커버(111)를 개방할 수 있다.
고정부재(117)는 하우징(115) 내에 위치하여 다수의 가이드부재(114)의 일측과 탈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17)의 일측은 다수의 가이드부재(114)의 일측에 걸려 고정시키고 버튼(116)이 눌리게 되면 움직이게 된다.
체결부(120)는 커버홈(112)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124)의 일측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링크(121), 커버홈(112)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124)의 타측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링크(122), 고리 형상의 로킹탭(123),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의 일측과 연결되는 회전부재(124), 회전부재(124)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부재홀(125) 및 회전부재(124)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되는 체결부재(126)를 포함한다.
제 1 링크(121)는 커버홈(112)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124)의 일측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사이에 위치하며, 이러한 제 1 링크(121)는 손잡이(1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124)에 의해 좌우로 이동한다.
즉,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중 커버홈(112)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14) 사이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본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제 2 링크(122)는 커버홈(112)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124)의 타측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사이에 위치하며, 이러한 제 2 링크(122)는 손잡이(1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124)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링크(122) 역시 제 1 링크(121)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중 커버홈(112)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다른 한 쌍의 가이드부재(114) 사이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본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로킹탭(123)은 고리 형상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의 일측 및 타측에 쌍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로킹탭(123)은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가 다수의 가이드부재(114)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다수의 가이드부재(114)와 접촉 또는 이격되므로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124)는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의 일측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24)의 일측은 제 1 링크(121)의 일측과 연결되고, 회전부재의 타측은 제 2 링크(122)의 타측과 연결된다.
체결방식은 체결부재(126)가 제 1 링크(121)의 일측과 회전부재(124)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 2 링크(122)의 일측과 회전부재(124)의 일측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방향을 제외한 모든 자유도를 구속한다.
회전부재홀(125)은 회전부재(12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회전부재홀(125)의 내부로 손잡이(130)의 일측이 삽입되고 그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다.
체결부재(126)는 회전부재(124)의 일측과 타측,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되며, 이러한 체결부재(126)는 회전하는 회전부재(124)에 따라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가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130)는 솔리드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손잡이(130)는 커버홀(113)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된다.
2. 동작방법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100)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본 발명의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시작한다.
다음, 운전자에 의해 버튼(116)이 눌리는 경우 고정부재(1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부재(114)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되어 제 1 링크(121)를 회전부재(124)가 위치한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에 따라 커버(111)의 양측에 삽입되어 있던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는 회전부재(124)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운전자가 버튼(116) 누름을 해제하면 커버(111)는 하우징(115)와 이격되면서 일방향으로 개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잡이(1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4)는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는 가이드부재(11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재(12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부재(124)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1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3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4)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는 가이드부재(11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커버(111)가 하우징(115)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하는 경우,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111)의 양단으로 삽입됨에 따라 커버(111)와 하우징(115)를 결속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로킹탭(123)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 1 링크(121) 및 제 2 링크(122)의 이동에도 탄력적으로 다수의 가이드부재(114)와 접촉함으로써 이동중인 차량의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110 : 수납부
111 : 커버
112 : 커버홈
113 : 커버홀
114 : 가이드부재
115 : 하우징
116 : 버튼
117 : 고정부재
120 : 체결부
121 : 제 1 링크
122 : 제 2 링크
123 : 로킹탭
124 : 회전부재
125 : 회전부재홀
126 : 체결부재
130 : 손잡이

Claims (4)

  1. 커버, 상기 커버의 일면에 위치하는 커버홈, 및 상기 커버홈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커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와 인접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삽입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부; 및
    상기 커버홈 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 가이드부재를 따라 운동하는 제 1 링크,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 2 가이드부재를 따라 운동하는 제 2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로킹탭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다수의 로킹탭은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의 움직임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로킹탭은, 고리 형상이며,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눌리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 1 링크를 상기 회전부재를 향하여 밀어냄으로써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20120002643A 2012-01-09 2012-01-09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35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43A KR101355720B1 (ko) 2012-01-09 2012-01-09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43A KR101355720B1 (ko) 2012-01-09 2012-01-09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83A KR20130081583A (ko) 2013-07-17
KR101355720B1 true KR101355720B1 (ko) 2014-03-10

Family

ID=4899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43A KR101355720B1 (ko) 2012-01-09 2012-01-09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860B1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913A (ko) * 2003-04-17 2004-10-27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 부재용 사이드록 장치
JP2009255812A (ja) 2008-04-18 2009-11-05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サイドロック部構造
JP2010000931A (ja) 2008-06-20 2010-01-07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収納装置ロック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913A (ko) * 2003-04-17 2004-10-27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 부재용 사이드록 장치
JP2009255812A (ja) 2008-04-18 2009-11-05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サイドロック部構造
JP2010000931A (ja) 2008-06-20 2010-01-07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収納装置ロック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83A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389B2 (en) Lock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member
US8398127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ds
US10132108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US10738511B2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US20170009497A1 (en) Locking device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KR102327367B1 (ko) 잠금 해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금 장치
KR101191925B1 (ko)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US20130033817A1 (en) Lock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CN101688411B (zh) 门锁装置
US20180087306A1 (en) Rotation mechanism
KR101355720B1 (ko)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252818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204605573U (zh) 解锁杆装置
JP6074294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6754256B2 (ja) ヒンジ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US20080250605A1 (en)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WO2012164623A1 (ja) ボタン保持構造
KR101212440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1550944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0391688Y1 (ko) 착탈가능한 동작레버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장치
KR101575043B1 (ko) 글로브박스용 개폐장치
CN210049695U (zh) 执手装置及门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