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387B1 -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387B1
KR102385387B1 KR1020200053582A KR20200053582A KR102385387B1 KR 102385387 B1 KR102385387 B1 KR 102385387B1 KR 1020200053582 A KR1020200053582 A KR 1020200053582A KR 20200053582 A KR20200053582 A KR 20200053582A KR 102385387 B1 KR102385387 B1 KR 10238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nflammatory
extract
leaf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674A (ko
Inventor
박광훈
강연경
어현지
김다솜
김현준
박영기
장준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5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38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extract of Berchemia floribunda leaf}
본 발명은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곰팡이와 같은 다양한 병원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타고난 면역 반응으로 간주되어 왔다. 염증은 다양한 병원균에 대한 숙주 방어 기전으로 생각되지만, 염증 반응은 염증성/자가 면역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및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발병에서 주요 원인인 만성 염증을 유도한다. 따라서, 염증의 억제는 암, 당뇨병, 신경 질환자가 면역 질환 및 관절염과 같은 염증 매개 인간 질환의 예방을 위한 중요한 표적으로 간주되어왔다.
산림자원은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산림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은 경쟁력이 있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항균 및 항료 등의 제품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 중 먹넌출(Berchemia floribunda)은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로서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고 국내에서는 안면도에서만 유일하게 자생하고 있으며 희귀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KNA, 2008; Lee, 2003, Song et al., 2014).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3cm, 나비 4.5-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윤채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여름철(5-8월)에 많은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핵과는 타원형이고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을(6-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만경식물로 옆으로 비스듬히 엉키고 가지는 먹칠을 한 듯이 검은 자록색이 돌며 털이 없다. 현재까지 먹넌출에 대한 연구는 안면도 먹넌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적 유전구조, 형태적 특성과 유전변이가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며 항산화 또는 미백의 기능이 입증되어 유용한 식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분자적 기전 구명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먹넌출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682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염증의 예방, 개선에 효과적인 먹넌출 추출물 유래의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먹넌출 유래의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개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염증의 예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염증의 예방,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유래의 염증의 예방, 개선용 조성물은 먹넌출 추출물 유래이다. 구체적으로는 먹넌출의 잎, 가지,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먹넌출의 잎 추출물이다.
상기 먹넌출 잎 추출물은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DMFO(dimethyl-formamide) 및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비극성 용매로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상기 용매에 먹넌출 잎을 넣어 24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동안 교반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시간보다 적게 추출하면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고, 상기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 성분 이외에 불순물이 함께 추출될 우려가 있다.
추출온도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온인 20℃ 내지 2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먹넌출 잎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에 포함될 경우, 0 초과 내지 300μg/ml, 바람직하게는 0 초과 내지 1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유발인자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 IL-1, IL-1β, IL-6, iNOS, COX-2,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류코트리엔(luecotriene) 또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질환에서 발생하는 염증을 감소 또는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로써, 여드름과 같은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홍채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췌장염, 위염,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루프스, 섬유근통,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및 다발성 경화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 이외에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 시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 부원료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먹넌출 잎 추출물 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먹넌출 잎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도 제제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등의 투여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먹넌출 잎, 가지, 씨앗 및 열매 추출물의 NO 생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먹넌출 잎 추출물의 NO 생성 및 iNOS, COX-2, IL-1β, IL-6 및 TNF-α 발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먹넌출 잎 추출물의 NF-κB 신호 전달 활성화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먹넌출 잎 추출물의 MAPK 신호 활성화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먹넌출 잎은 2018년 7월에 안면도 자생지에서 수집한 것을 사용하였다. 먹넌출 잎 20g에 70% 에탄올 400 ㎖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후 필터 종이(No. 2, Whatman Co., Maidstone, England)로 여과하였으며 40℃ 이하의 중탕에서 감압 환류 냉각장치(n-1000, EYELA, Tokyo, Japan)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켰다. 제조된 실시예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먹넌출의 가지, 씨, 열매를 각각 추출하였고, 먹넌출 잎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추출 방법은 동일하게 추출하였다.
<실험방법>
1. 실험재료
대식세포주 RAW264.7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 DMEM/F-12는 Lonza(Walkerscille, MD, USA)에서 구매하였고,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MTT)는 Sigma-Aldrich(St. Louis, MO, USA)사에서 구매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한 항체인 포스포-IκB-α, IκB-α, 포스포-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1/2(p-ERK1/2), ERK1/2, 포스포-p38(p-p38), p38 및 β-액틴은 Cell Signaling technology (Bervely, MA, US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2. RAW264.7 세포배양
본 실험에서 사용된 RAW264.7 세포는 ATC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10% 소태아혈청(FBS)를 첨가한 100 U/㎖ 페니실린 및 100㎍/㎖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F-12 배지로 37℃, 5% CO2 하에서 배양되었다.
3. SDS-PAGE 및 웨스턴 블롯 분석
실험이 끝난 RAW264.7 세포의 단백질을 추출하고 정량하기 위하여 1 × 인산완충염 식염수 (PBS)로 2회 세척한 후, 프로테아제 억제제(Sigma-Aldrich Co.)과 탈인산효소 억제제(Sigma-Aldrich Co.)이 포함된 용해 버퍼(GenDEPOT, Katy, TX, USA)를 4℃에서 30분 처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단백질은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Pierce Biotechnology Inc., Waltham, MA, USA)로 정량분석 후, 동일량의 단백질을 12% SDS-acrylamide gel로 전기영동하고 Nitro Cellulose 막(GE healthcaer life sciences, Hercules, CA, USA)에 이동시킨 후 5% 탈지 분유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하였다. 1시간 후, 1차 항체를 5% 탈지 분유에 용해시켜 4℃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막을 0.05% 트윈-20이 포함된 트리스-완충 식염수 (TBS-T)로 5분간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2차 항체는 5% 탈지분유에 용해시켜 막에 상온에서 1시간 처리하였고, TBS-T로 5분간 3회 세척 후 막은 ECL 웨스턴 블롯팅 기질(Amersham Biosciences Co., Little Chalfont, England)를 이용하여 Chemi Doc으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4.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실험이 끝난 RAW264.7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기 위해 1 × PBS로 2회 세척한 후, RNeasy Mini kit (QIAGEN GmbH., Hilden, Germany)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1 ㎍의 총 RNA를 Verso cDNA 합성 키트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PCR은 PCR master mix kit (Promega Co.,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수행되었고, 사용된 프라이머는 표 1과 같다.
RT-PCR에 사용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의 서열
유전자 이름 서열
iNOS 정방향: 5′-GTGCTGCCTCTGGTCTTGCAAGC-3′
역방향: 5′-AGGGGCAGGCTGGGAATTCG-3′
COX-2 정방향: 5′-GGAGAGACTATCAAGATAGTGATC-3′
역방향: 5′-ATGGTCAGTAGACTTTTACAGCTC-3′
IL-1β 정방향: 5′-GAAGCTGTGGCAGCTACCTATGTCT-3′
역방향: 5′-CTCTGCTTGTGAGGTGCTGATGTAC-3′
IL-6 정방향: 5′-GAGGATACCACTCCCAACAG-3′
역방향: 5′-TTCACAGAGGATACCACTCC-3′
TNF-α 정방향: 5’-TACTGAACTTCGGGGTGATTGGTCC-3’
역방향: 5’-CAGCCTTGTCCCTTGAAGAGAACC-3’
GAPDH 정방향: 5′-CAGGAGCGAGACCCCACTAACAT-3′
역방향: 5′-GTCAGATCCACGACGGACACATT-3′
모든 결과는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처리간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검증하여 p-value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Microsoft Exel 2010, Microsoft, Redmond, WA, USA).
<실험예 1>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및 염증매개인자 억제 활성 평가
본 발명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Virginia,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10% FBS, 100 U/mL penicillin과 100 ㎍/mL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F-12 배지로 37℃, 5% CO2 하에서 배양되었다. RAW264.7세포를 12-well plate에 well 당 1 × 105 cells로 24 시간 배양한 후, 먹넌출 잎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고 6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6시간 후 각각의 well에 LPS (1 ㎍/㎖)을 10 ㎕씩 첨가하고 18시간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50㎕ 취하여 Griess 시약 50㎕와 상온에서 10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1. 부위별 먹넌출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먹넌출의 부위별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고, 실험 결과는 도 1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NO 생성 억제력을 평가한 결과, 먹넌출 잎, 가지, 열매, 종자 부위별 추출물 중 잎 추출물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NO 생성을 억제시켰다.
1-2. 먹넌출 잎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및 염증매개인자 억제 활성 평가
(1) RAW264.7 세포를 6시간 동안 상기 실시예를 각각 0, 12.5, 25, 50, 100㎍/mL 농도로 전처리한 후, 추가 18시간 동안 LPS(1㎍/mL)로 공동 처리하였다. 처리 후, 배지 및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NO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2) RAW264.7 세포를 24시간 동안 실시예를 각각 0, 50, 100, 200㎍/mL 농도로 처리하였다. MTT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고 세포 생존율 (%)로 표시하였다.
(C) RT-PCR의 경우, RAW264.7 세포를 6시간 동안 실시예를 각각 0, 12.5, 25, 50, 100㎍/mL 농도로 전처리한 후, 추가 18시간 동안 LPS (1㎍/mL)로 공동 처리하였다. 총 RNA를 단리하고 iNOS, COX-2, IL-1β, IL-6 및 TNF-α에 대해 RT-PCR을 수행 하였다. 제공된 값은 평균 ± SD (n = 3)이다.
먹넌출 잎 추추물의 농도별 NO 생성 억제의 결과(도 2의 A)에 따른 RAW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처리를 한 결과 도 2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먹넌출 잎 추출물은 RAW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염증성 질환의 발병 기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iNOS, COX-2, IL-β, IL-6 및 TNF-α등의 유전자 발현의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먹넌출 잎 추출물에 의해 iNOS, COX-2, IL-β, IL-6 및 TNF-α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먹넌출 잎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NF-κB 신호 전달 활성 억제 효과 평가
NF-κB 신호 전달 경로에 의해 NO, iNOS, COX-2,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 유도체가 과도하게 생성된다. NF-κB는 면역 세포에서 염증 기전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 중 하나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NF-κB의 활성은 아토피, 알레르기, 관절염 등 여러 가지 자가면역 질환의 기전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NF-κB 신호 전달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RAW264.7 세포에서 LPS를 유도하여 IκB-α 분해와 인산화, p65의 핵 내 전이 억제를 조사하였고,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6시간 동안 실시예를 0, 12.5, 25, 50, 100㎍/mL 농도로 전처리 후 40분 동안 LPS (1㎍/㎖)로 공동 처리하였다. 처리 후, 시토졸 및 핵을 제조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해, 세포 용해물에 SDS-PAGE를 적용하고 웨스턴 블롯을 IκB-α 및 p65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액틴은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실험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IκB의 분해는 억제되었으며(도 3의 A), p65의 핵내 전이도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의 B).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먹넌출 잎 추출물은 NF-κB의 활성을 억제시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MAPK 활성 억제 효과 평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는 크게 3 종류로 분류되며, Extracellula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APK가 있다. 이들은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세포사멸 등의 생물학적반응을 조절하는 serine/threonine kinase로서 NF-κB 신호전달과 더불어 염증반응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먹넌출 잎 추출물의 MAPK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MAPK 구성인자인 ERK1/2와 p38의 인산화를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를 6시간 동안 실시예를 0, 12.5, 25, 50, 100㎍/mL 농도로 전처리한 후 40분 동안 LPS(1㎍/mL)로 공동 처리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해, 세포 용해물에 SDS-PAGE를 적용하고 p-ERK1/2, p-p38 및 총 p-38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고, 총 ERK1/2를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LPS에 의해서 유도되는 ERK1/2 및 p38의 인산화는 먹넌출 잎 추출물에 의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본 결과는 먹넌출 잎 추출물은 MAPK에서 ERK1/2와 p38의 활성화 억제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1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20>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extract of Berchemia floribunda leaf <130> 19-11536 <160> 1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NOS <400> 1 gtgctgcctc tggtcttgca agc 23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NOS <400> 2 aggggcaggc tgggaattcg 20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COX-2 <400> 3 ggagagacta tcaagatagt gatc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COX-2 <400> 4 atggtcagta gacttttaca gctc 24 <210> 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L-1beta <400> 5 gaagctgtgg cagctaccta tgtct 25 <210> 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L-1beta <400> 6 ctctgcttgt gaggtgctga tgtac 25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L-6 <400> 7 gaggatacca ctcccaaca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L-6 <400> 8 ttcacagagg ataccactcc 20 <210> 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NF-alpha <400> 9 tactgaactt cggggtgatt ggtcc 25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NF-alpha <400> 10 cagccttgtc ccttgaagag aacc 24 <210> 1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11 caggagcgag accccactaa cat 23 <210> 1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PDH <400> 12 gtcagatcca cgacggacac att 23

Claims (7)

  1.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은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홍채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췌장염, 위염,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루프스, 섬유근통,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및 다발성 경화증에서 선택될 수 있는 염증 질환의 염증을 감소 또는 억제하는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넌출 잎 추출물은 70%(v/v) 에탄올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넌출 잎 추출물은 48시간 동안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넌출 잎 추출물은 0 초과 내지 300μg/ml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6. 제1항의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7. 삭제
KR1020200053582A 2020-05-06 2020-05-06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85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82A KR102385387B1 (ko) 2020-05-06 2020-05-06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82A KR102385387B1 (ko) 2020-05-06 2020-05-06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74A KR20210135674A (ko) 2021-11-16
KR102385387B1 true KR102385387B1 (ko) 2022-04-12

Family

ID=7871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582A KR102385387B1 (ko) 2020-05-06 2020-05-06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3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22B1 (ko) 2011-08-22 2012-04-19 충청남도 먹넌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nts (Basel). 2021 Mar; 10(3): 58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74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Inhibitory effects of adlay bran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on chemical mediator release and cytokine produc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cells
KR101457570B1 (ko) 올레아놀린산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85387B1 (ko) 먹넌출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54147B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면역조절 또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0844376B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을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49845A1 (en) Novel isoflavone compound
KR20200046772A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8812B1 (ko) 망개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20274B1 (ko) 식물내생균 네오사르토리야 피쳐리 js-0553, 상기 균주의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쳐린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402445B1 (ko) 브로콜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793654B1 (ko) 말락시닉산을 이용한 지방대사성 질환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KR102429980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5675A (ko) 짝자래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54148B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면역조절 또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0833654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을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86705A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1004A (ko) 나르도시논 계열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37311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628538B1 (ko) 조록나무 잎 추출물의 생물전환
US20230381261A1 (en)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Agrimonia Coreana Nakai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Preparation Thereof,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topic Dermatitis and the Use Thereof
KR20120129168A (ko) 카스아리닌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65304B1 (ko)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892291B1 (ko) 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면역 매개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48357A (ko) 패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