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070B1 -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070B1
KR102385070B1 KR1020200079228A KR20200079228A KR102385070B1 KR 102385070 B1 KR102385070 B1 KR 102385070B1 KR 1020200079228 A KR1020200079228 A KR 1020200079228A KR 20200079228 A KR20200079228 A KR 20200079228A KR 102385070 B1 KR102385070 B1 KR 10238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preventing
composition
inflamma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41A (ko
Inventor
이인아
서정길
이기영
양경월
황준호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0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제 및 약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유래 펩타이드는 크기가 작으므로 피부 침투율이 우수하고,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 중에서 선택되는 염증 활성 인자의 발현 억제 활성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 기존의 항염증제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항염증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뿐만 아니라,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의 제품에도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ion comprising peptides derived From Haliotis Discus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제 및 약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이란 여러 가지 형태의 감염 또는 자극을 통해 신체 내로 침투한 외부의 항원 및 생체 내 대사산물 중 자극성 물질에 대한 내부의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모든 조직에 다양한 형태로 분포하고 있는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제거작용과 함께 회복 및 수복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반응이다.
염증에 의해 일어나는 염증성 피부질환 중에는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데 접촉성 피부염은 LPS(lipopolysaccharide) 또는 allergen과 같은 항원, 온도 변화, 신경 자극, 자외선 등과 같은 자극성 물질이나 환경이 피부에 접촉하고 피부를 통해 침투하여, 면역세포가 생체의 이물질 등을 인식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많은 염증 매개인자들을 분비함으로써 유발된다.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들 중 NF-κB는 염증 반응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핵심인자로써, IL-1α, IL-1β, IL-6 등의 인터루킨들(interleukins, ILs), MMP-1, MMP-2 등의 MMPs 및 NO 등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 이다.
NF-κB에 의해 유도된 다양한 사이토카인들은 면역 세포를 자가 활성화시키거나 다른 면역 세포들을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세포에서 cytokine (IL-1α, IL-1β, IL-6) 및 chemokine (COX-2) 등의 물질들을 분비하여 pro-inflammatory state가 반복해서 나타나 염증 반응을 지속한다.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만성 염증으로 변하여 P38 및 JNK(c-Jun N-terminal kinases)를 거쳐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기능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량을 증가시켜 세포 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과정을 통해 염증을 유발하거나, 세포와 조직에 직접적인 손상을 초래하여 퇴행성 질환, 심혈관계 질환, 및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등의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피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항염증 효능이 있으면서도 피부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천연물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특허 등록된 전복 유래의 항균용 펩타이드(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99552호 참조)가 NO, iNOS, COX-2, TNF-α, IL-1β, 및 IL-6 등의 전염증 매개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강력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899552 B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복(Haliotis discus)으로부터 유래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펩타이드는 α-헬릭스(α-helix) 구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펩타이드는 C-말단이 아미드화(amidation) 또는 메틸화(methylation)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펩타이드는 N-말단이 아세틸화(acetylation) 또는 팔미토일화(palmitoylation)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펩타이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00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피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1)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억제;
3)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의 발현 억제;
4) TLR4(Toll-Like Receptor 4)의 발현 억제;
5) HO-1(heme oxygenase 1) 발현 증가; 및
6) MMP-9, MMP-12 및 TIMP-1의 발현 억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하기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a) 펩타이드 용해부 : 30 내지 99 중량%;
(b) 점증부 : 0.1 내지 20 중량%;
(c) 가용화부 : 0.1 내지 35 중량%;
(d) 생리 활성부 : 0.01 내지 35 중량%; 및
(e) 보습 성분부 : 0.1 내지 4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점증부는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Silicate),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AlkylAcrylateCrosspolymer),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Sodium MagnesiumSilicate), 잔탄검(Xanthan Gum),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Hydroxypropyl Starch Phosphate), 폴리우레탄-2(Polyurethane-2),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및 PVP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용화부는 에탄올, 시트릭애씨드, 페녹시 에탄올, 에칠 헥실 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솔베이트60, 방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생리 활성부는 황금추출물, 황련추출물, 황백추출물, 황기추출물, 둥굴레추출물, 행인추출물, 차전초추출물, 시호추출물, 의이인추출물, 모로헤이야잎추출물,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아데노신, 카퍼트리펩타이드-1, r-알-거미폴리펩타이드-1,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나이아신아마이드, 진주추출물, 금,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엘라스틴, 글리세린,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유창목 오일, 알부틴, 비타민B3, 비타민B5, 비타민B9, 비타민C, 비타민H, 토코페닐아세테이크, 아세틸글루타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마데카소사이드 및 카르노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습 성분부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2-헥산디올, 판테놀, 베타인, 스쿠알란, 바셀린, 유동파라핀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밀 글루텐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염증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관절염, 통풍, 간염, 천식,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결핵,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동맥경화증, 패혈증, 치주염 및 치은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유래 펩타이드는 크기가 작으므로 피부 침투율이 우수하고,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 중에서 선택되는 염증 활성 인자의 발현 억제 활성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 기존의 항염증제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항염증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뿐만 아니라,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의 제품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펩타이드 Ab4-7의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Normal : LPS 미처리 군, LPS : LPS 처리군).
도 3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HO-1 mRNA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iNOS 및 COX-2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IL-1β, IL-6 및 TNF-α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TLR4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MMP-9, MMP-12 및 TIMP-1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염증"은 염증의 예방, 염증의 개선 및 염증의 치료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LPS(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 등 인체에 유해한 염증반응의 억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펩타이드는 전복(haliotis discus)의 아가미로부터 추출 및 정제한 펩타이드(hdMolluscidin)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이 hdMolluscidin는 항균력이 매우 우수한 펩타이드이다. 하지만, 상기 hdMolluscidin는 총 4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용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전복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인 hdMolluscidi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항균 활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면서 상용화가 가능한 항균 펩타이드를 개발하게 되었다(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99552호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항균 펩타이드 중에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경우 항균 효과뿐만 아니라 염증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KWLLKLLKKL"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α-헬릭스(α-helix) 구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가α-헬릭스(α-helix)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양친매성(Amphiphilic)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하여 친수성을 띄는 부분에서는 결합력이 우수하게 되고, 소수성을 띄는 부위에서는 침투성이 우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C-말단에 아미노기(-NH2)가 부가되거나, 메틸기(methyl group, -CH3)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이 아미드화(amidation) 된 경우에는 프로테아제(protease)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positive net-charge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다 증대될 수 있고, 메틸화(methylation)된 경우에는 펩타이드를 말단에서부터 분해하는 엑소펩티다아제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여 생체내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펩타이드는 N-말단이 아세틸화(acetylation) 또는 팔미토일화(palmitoylation)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이 아세틸화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우수한 항염증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단백질 분해로부터 펩타이드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팔미토일화된 경우에는 세포 내로의 투과성을 증가시킬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펩타이드는 본 발명의 목적, 기능 및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아미노산의 삽입, 치환, 삭제가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항염증 활성 및 항균 활성이 모두 우수하면서, 아미노산 서열이 짧아 상용화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내막 투과성이 강하다. 상기 펩타이드는 양전하를 띠며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나 테이코산(teichoic acid)과 같은 세균 세포막의 음전하를 띠는 분자들과 정전기적인 결합을 한다. 이후, 상기 펩타이드가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 속으로 끼어 들어가는데, 처음에는 지질 이중층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부착해 있다가 점차적으로 지질에 대한 펩타이드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세포막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서 세포막을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세포의 내막을 직접적으로 투과함으로써 항염증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작용기작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용혈활성을 보이지 않아 세포 독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피부에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펩타이드의 농도는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00 ㎍/mL,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L의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효과적인 항염증 활성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임의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펩타이드는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펩타이드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하여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조성물 내에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염증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제형 및 제품 안정성을 가지며 경제성 면에서도 최적의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특성을 모두 나타냄으로써 피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1)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억제;
3)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의 발현 억제;
4) TLR4(Toll-Like Receptor 4)의 발현 억제;
5) HO-1(heme oxygenase 1) 발현 증가; 및
6) MMP-9, MMP-12 및 TIMP-1의 발현 억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LPS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등 인체에 유해한 염증반응을 모두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염증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및 알레르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하기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a) 펩타이드 용해부 : 30 내지 99 중량%;
(b) 점증부 : 0.1 내지 20 중량%;
(c) 가용화부 : 0.1 내지 35 중량%;
(d) 생리 활성부 : 0.01 내지 35 중량%; 및
(e) 보습 성분부 : 0.1 내지 40 중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점증부는 소듐실리케이트 (Sodium Silicate),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Magnesium AluminumSilicate),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Acrylates/C10-30 AlkylAcrylateCrosspolym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Sodium MagnesiumSilicate), 잔탄검 (Xanthan Gum),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Hydroxypropyl Starch Phosphate), 폴리우레탄-2 (Polyurethane-2),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및 PVP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가용화부는 에탄올, 시트릭애씨드, 페녹시 에탄올, 에칠 헥실 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솔베이트60, 방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생리 활성부는 황금추출물, 황련추출물, 황백추출물, 황기추출물, 둥굴레추출물, 행인추출물, 차전초추출물, 시호추출물, 의이인추출물, 모로헤이야잎추출물,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아데노신, 카퍼트리펩타이드-1, r-알-거미폴리펩타이드-1,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나이아신아마이드, 진주추출물, 금,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엘라스틴, 글리세린,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유창목 오일, 알부틴, 비타민B3, 비타민B5, 비타민B9, 비타민C, 비타민H, 토코페닐아세테이크, 아세틸글루타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마데카소사이드 및 카르노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보습 성분부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2-헥산디올, 판테놀, 베타인, 스쿠알란, 바셀린, 유동파라핀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밀 글루텐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염증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및 알레르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염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00 ㎍/mL,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유효성분의 유효용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섭취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섭취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펩타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특성을 모두 가지는 것일 수 있다:
1)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억제;
3)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의 발현 억제;
4) TLR4(Toll-Like Receptor 4)의 발현 억제;
5) HO-1(heme oxygenase 1) 발현 증가; 및
6) MMP-9, MMP-12 및 TIMP-1의 발현 억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LPS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 등 인체에 유해한 염증반응을 모두 포함하고, LPS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염증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관절염, 통풍, 간염, 천식,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결핵,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동맥경화증, 패혈증, 치주염 및 치은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및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약학적으로 유효한 농도로 상기 펩타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일례로 성인 체중 기준 대비 펩타이드를 0.001 내지 100 ㎎/k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kg의 투여량(또는 도포량)으로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제공(투여 또는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본 발명의 목적 및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일례로,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00 ㎍/mL,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긴산,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정제수,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히드록시벤조산,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캅셀제, 분말, 액상제제, 또는 시럽제; 또는 연고제, 경고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또는 유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 다른 제형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항염 펩타이드의 디자인
hdMolluscidin의 유사체 디자인을 위해서 2차 구조예측 프로그램인 EMBOSS GUI의 Garnier 프로그램과 Expasy tools (https://www.expasy.org/tools/)의 GO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차 구조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예측된 hdMolluscidin의 2차 구조에서 α-helix 구조를 나타내는 2 곳 중에서 hdMolluscidin의 중앙에 위치한 α-helix 구조 부분을 선택하여 펩타이드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디자인된 펩타이드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정위치에서의 아미노산들이 첨가, 치환 및 제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디자인되었으며, C-말단은 아미드화(amidation) 하였다. 이와 같이 디자인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Peptide Sequence 개수
서열번호 1 Ab4-7 KWLLKLLKKL-NH2 10
항염 펩타이드의 합성 및 정제
디자인된 펩타이드는 펩트론(주)(대전)으로부터 순도 95 % 이상으로 합성 및 정제되어 공급되었다. 상기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합성기 ASP48S(펩트론, 대전 한국)를 사용한 F-moc 고상합성법에 의해서 합성되었고, Shiseido Capcell-Pak C18 column(250 mm × 4.6 mm, 10 μm)을 이용한 RP-HPLC로 정제되었다. 정제 조건은 0.1%(v/v) trifluoroacetic acid를 포함하는 H2O-CH3CN의 용매시스템으로 3-40 %의 농도구배조건으로 220 nm에서 유속 1 mL/min으로 수행되었다. 정제된 펩타이드의 분자량 측정은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LC/MS; HP1100 series; Agilent,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0.01 % 초산에 1000 ㎍/mL의 농도로 녹여져서 이후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시약 및 기기
Fetal bovine serum (FBS), Antibiotic-Antimycotic, DMEM, Trypsin-EDTA 등의 세포 배양용 시약들은 Life technologies (Gibco™, USA)에서 구입하였고, 세포 배양에 사용된 37℃, 5% CO2 incubator는 Panasonic (Oska, Japan)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 중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Lipopolysaccharide (LPS), Crystal violet, formalin, methanol은 Sigma사(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 (KCLB 40071,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조건하에서 10% FBS와 1% Antibiotic-Antimycotic (10 units/mL penicillin, 100 μg/mL sterptomycin, 0.25 μg/mL amphotericin)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ystal violet assay를 이용하였다. RAW 264.7 세포를 1x105 cells/well의 농도로 24-well plate에 분주하고, 24 h 동안 전 배양 후 상기 펩타이드를 농도별 (0, 10, 25, 50, 100 ㎍/mL)로 첨가한 후 37 ℃, 5% CO2 incubator에서 24 h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의 media를 제거하고, 1x PBS 1 mL로 3회 세척 후, 10% formalin 용액을 각 well에 200 μL씩 첨가하여 10 분 동안 고정하였다. 고정을 마친 후 20% Methanol 이용해 제조한 1% crystal violet 200 μL을 각 well에 분주한 다음 상온에서 10 분 동안 염색하였다. 이후, 각 well에서 염색 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6번 세척하였다. 이후, 33% glacial acetic acid 용액을 각 well에 250 μL씩 가하여 20배 희석한 용액을 96 well plate로 옮겨 염색된 세포의 흡광도를 microreader기를 이용해 595nm에서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 (Test well/대조군 well) × 100
NO(Nitric Oxide) 생성량 측정
NO 생성량은 Griess 시약을 이용한 Nitrite/Nitrate Assay Kit (GOMA BIO, KOR)을 통해 세포 배양액 내 존재하는 NO의 안정된 산화물인 NO2-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RAW 264.7 세포를 24-well plate에 2x105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여 24 h 배양한 뒤 배지를 버리고 FBS로 세척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였다. 세포에 1 μg/mL의 LPS와 상기 펩타이드를 농도별 (0, 10, 20, 30, 40 ㎍/mL)로 처리하여 24 h 재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상층액을 얻은 후, 상층액 100 μL와 griess 시약 100 μL을 혼합하여 96-well plate에서 10 min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 NO의 농도는 sodium nitrite (NaNO2)의 농도별 표준 곡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Total RNA 추출
총 RNA는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TRIZol (Sigma-Aldrich Co., USA)을 처리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는 DEPC (Diethyl Pyrocarbonate water)에 용해 시켜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DNA polymerase, buffer, dNTP, tracking dye가 포함된 RT-PCR kit (Bioneer, Korea)를 사용하여 mRNA로부터 cDNA를 합성한 후, TLR4, TNF-α, IL-1β, COX-2, 그리고 iNOS 등 각각의 유전자에 해당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94 ℃ 30 s, 55~62 ℃ 30 s, 72 ℃에서 1 min, 총 35 cycles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은 1.5% agarose gel 상에서 전기영동 하여 UV transilluminator로 확인하였다. 정량적 비교를 위하여 GAPDH으로 표준화하여 나타내었다. 분석에 사용된 각각의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arget gene 프라이머 염기서열
HO-1 F : 5` - ATGGGTCTCAACCCCCAGC - 3`
R : 5` - GCTCTTTACGCTTTCCAGGAAGTC - 3`
iNOS F : 5` -CGGTGCTGTATTTCCTTACGAGGCGAAGAAGG - 3`
R: 5` - GGTGCTGTCTGTTAGGAGGTCAAGTAAAGGGC - 3`
COX-2 F : 5` - TTGAAGACCAGGAGTACCGC - 3`
R : 5` - GGTACAGTCCCATGACATCG - 3`
IL-1β F : 5` - AGCCATGGCAGAAGTACCT - 3`
R : 5` -CAGCTCTCTTTAGGAAGACAC - 3`
IL-6 F : 5` - GTGTTGCCTGCTGCCTTCCCTG - 3`
R : 5` - CTCTAGGTATACCTCAAACTCCAA - 3`
TNF-α F : 5` - TTGACCTCAGCGCTGAGTTG - 3`
R : 5` - CCTGTAGCCCACGTCGTAGC -3`
TLR4 F : 5` - CAAAATCCCCGACAACCTCC - 3`
R : 5` - TGTAGAACCCGCAAGTCTGTGC - 3`
MMP-9 F : 5` - CATCCGGCACCTCTATGGTC - 3`
R : 5` - CATCGTCCACCGGACTCAAA - 3`
MMP-12 F : 5` - ACCAGAGCCACACTATCCC - 3`
R : 5` - CTCCTGCCTCACATCATACC - 3`
TIMP-1 F : 5` - TGCTGGGTGGTAACTCTTTATTTCA -3`
R : 5` - ATCCTGTTGTTGCTGTGGCTGATAG -3`
β-actin F : 5` - GGATTCCTATGTGGGCGACGA - 3`
R : 5` - CGCTCGGTGAGGATCTTCATG - 3`
인체 첩포시험
인체 첩포시험은 헬싱키 선언에 근거한 윤리규정[28]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인체적용시험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Frosch & Kligman이 고안한 방법(J. Am. Acad. Dermatol, 1(1) 35 (1979)metics (2011))을 응용하여 특정 피부질환 및 알레르기가 없는 20세 ~ 60세의 건강한 여성 피험자 32명(평균연령 41.34ㅁ8.06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첩포 부위를 70% ethanol로 소독한 후 시험물질 Ab4-7 20μL가 적용된 Van der Bend (Van der Bend, Netherlands)를 첩포하였다. 48 h 후 첩포를 제거하고 skin marker (Chemotechnique Diagnostics AB, Sweden)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였으며, 20 min, 24 h 후에 각 시험 부위의 반응도를 평가하였다. 일차 피부자극 시험(Skin Primary irritation Test)의 평가 기준은 하기 표 3에 제시한 PCPC Guidelines의 판정 기준에 따랐으며, 2회에 걸쳐 평가한 피부 반응의 정도(평균 반응도)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점수화하였다.
반응도 임상 증상(반응)
0 무반응
1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2 보통의 홍반; 및 첩포 경계에서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부종 및/또는 구진 형성
3 보통의 홍반; 및 첩포 부위 전반에 퍼진 부종
4 심한 홍반; 및 심한 부종; 또는 수포 발생
5 첩포 부위를 넘어서서 심각한 반응이 퍼짐
[수학식 2]
평균반응도 = [[{반응도 ×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수}/(총피검자수 × 최고점수(5점))}] × 100] × 1/2
통계 분석
인체 첩포 시험을 제외한 모든 실험은 5회 이상 반복 실험하였으며, 실험에 대한 평균 ± 표준편차 (mean ± SD)로 나타내었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IBM, USA)를 이용하여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시행하여 p<0.05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세포 생존율 측정
Ab4-7의 항염증 효과 규명에 앞서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에 대한 독성과 유효용량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crystal violet assay를 수행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에 농도별 (0, 10, 25, 50, 100 ㎍/mL)로 희석한 펩타이드 시료를 24 h 동안 처리한 후 전술한 실험방법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유래 펩타이드 Ab4-7의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 Ab4-7이 50 ㎍/mL의 농도까지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100 ㎍/mL의 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존율이 77%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 Ab4-7는 50 ㎍/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낮아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Ab4-7의 항염증 효과가 단순한 세포의 사멸에 의한 세포 염증성 매개물질의 생성 억제가 아니라 Ab4-7의 고유한 효과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효과
그람음성균의 내독소(endotoxin)로 알려진 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면, NO,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물질들이 생성되어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병리학적 반응이 일어난다(Journal of Endotoxin Research, 1(3), 181 (1994)). 염증 반응에서 NO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방어작용과 신경전달 및 혈관 조절의 기능을 하지만, 고농도의 NO 생성은 peroxynitrite, nitrogen dioxide와 같은 유해물질을 생성하여 DNA를 손상시키고 세포 내 유해 산화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만성 염증으로 인한 다양한 질병 및 염증성 피부 질환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b4-7의 항염증 효과를 검토하고자, RAW 264.7 세포에 LPS (1 μg/mL)를 처리한 후, 1시간 뒤에 농도별 (10, 20, 30, 및 40 ㎍/mL) Ab4-7을 처리한 다음 24 h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세포 내 NO 생성량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해 측정하였다(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Normal : LPS 미처리 군, LPS : LPS 처리군).
도 2를 살펴보면,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후, LPS 처리군의 NO 생성량은 정상세포(Normal)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증가되었고, Ab4-7 20 ㎍/mL ~ 40 ㎍/mL 처리군에서는 세포 내 NO 농도가 정상세포군(Normal)에 가까워, Ab4-7의 산화질소 생성 저해 효과가 매우 강력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HO-1 발현 증가 효과
HO-1(heme oxygenase 1)은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RNA/DNA 손상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조직 손상에 대해 방어 작용을 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Heme-HO-1 system의 산물인 빌리버딘(biliverdin)이 부종 형성, 백혈구의 흡착 및 이동, 및 IL-6 및 IL-1β 등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의 생성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HO-1에 의한 signal transduction pathway의 조절이 COX의 활성 및 발현, 및 NO 생성 억제 등을 통해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Exercise Science, 19(1), 15 (2010)).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Ab4-7이 HO-1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RT-PCR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HO-1 mRNA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3을 살펴보면, LPS 염증 유도군에서 HO-1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농도별(10, 20, 30 및 40 μg/mL)로 분주한 Ab4-7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HO-1 mRNA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iNOS 및 COX-2의 발현 저해 효과
LPS에 의해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Ab4-7이 iNOS 및 COX-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iNOS 및 COX-2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4를 살펴보면, LPS 염증 유도군에서 iNOS 및 COX-2 mRNA 발현이 강력하게 증가하였으며, 농도별(10, 20, 30 및 40 μg/mL)로 분주한 Ab4-7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OS 및 COX-2 mRNA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IL-1β, IL-6 및 TNF-α 생성 저해 효과
IL-1β, IL-6 및 TNF-α는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주요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IL-1β, IL-6 및 TNF-α은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대식세포의 표면의 수용체인 toll-like receptor 4 (TLR4)가 이를 인식하고 활성화 하는 염증 매개물질로, 발열, 부종, 발적, 통증 등의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Microbial pathogenesis, 16(6), 401 (1994); FEBS letters, 579(20), 4423 (2005)).
LPS에 의해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Ab4-7이 IL-1β, IL-6 및 TNF-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T-PCR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IL-1β, IL-6 및 TNF-α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5를 살펴보면, LPS 염증 유도군에서 IL-1β, IL-6 및 TNF-α mRNA 발현이 강력하게 증가하였으며, 농도별(10, 20, 30 및 40 μg/mL)로 분주한 Ab4-7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L-1β, IL-6 및 TNF-α mRNA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TLR4 발현 저해 효과
TLR4(Toll-like receptor 4)는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LPS를 인식하고 염증 매개물질을 활성화하는 대식세포 표면의 수용체이다. LPS에 의해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Ab4-7이 TLR4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TLR4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6을 살펴보면, LPS 염증 유도군에서 TLR4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농도별(10, 20, 30 및 40 μg/mL)로 분주한 Ab4-7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LR4 mRNA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MMP-9, MMP-12 및 TIMP-1 발현 저해 효과
Matrixins라고도 명명하는 MMPs는 세포성장인자, 호르몬 및 cytokines 등에 의해 전사 조절되며, ECM의 분해 과정을 시기적절하게 수행하여 배 발생, 형태형성, 생식 및 조직의 흡수와 재형성 등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다양한 생체 내 원인에 의한 내인성 억제자인 TIMPs(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와의 불균형은 과도한 MMPs의 증가로 이어져 염증성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LPS에 의해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Ab4-7이 MMP-9, MMP-12 및 TII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 Ab4-7의 LPS 염증 유도군에서의 MMP-9, MMP-12 및 TIIMP-1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RT-PCR 결과이다.
도 7을 살펴보면, LPS 염증 유도군에서 MMP-9, MMP-12 및 TIIMP-1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농도별(10, 20, 30 및 40 μg/mL)로 분주한 Ab4-7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MMP-9, MMP-12 및 TIIMP-1 mRNA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8: 인체 첩포시험
인체 피부에서의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액상 상태의 Ab4-7 20 μL를 32명의 피험자에 첩포하여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수(명)
반응도
24 시간 48 시간 평균
Ab4-7 0 0.0 0.0 0.0
음성 대조군 0 0.0 0.0 0.0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Ab4-7를 첩포하여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한 결과 32명의 피험자가 모두 반응 등급이 0.0으로서 음성 반응을 나타냈으므로, Ab4-7은 인체 피부 일차 자극 측면에서 무자극 물질로 판단된다.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일차구조가 규명된 모체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길이의 단편화와 활성의 개선이 이루어진 주름개선용 펩타이드를 선발하기 위해서 참전복의 아가미로부터 정제된 항균 펩타이드인 hdMolluscidin을 토대로 펩타이드를 디자인하고 고상합성법으로 합성하였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들은 hdMolluscidin의 N-말단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부위를 parent region으로 선택하여 아미노산을 치환, 첨가, 제거하고, C-말단을 아미드화 또는 메틸화시키는 방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50 ㎍/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과 우수한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Ab4-7)는 극소량만으로도 LPS에 의해서 유발된 TLR4의 과발현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iNOS 및 COX-2와 같은 염증 매개물질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및 TNF-α의 생성 및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들은 HO-1의 mRNA 발현을 촉진하고, MMP-9, MMP-12 및 TIMP-1의 mRNA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지만 기존의 항염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제로서 개발하기 위한 후보물질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하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1-1> 유연화장수(스킨)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유연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5]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 ㎍/mL
점증부 소듐실리케이트 2.0
잔탄검 1.0
가용화부 에탄올 8.0
생리활성부 비타민C 0.1
보습성분부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펩타이드 용해부 베타인 5.0
정제수 To 100
<2-2> 영양화장수(로션)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영양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6]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 ㎍/mL
점증부 소듐실리케이트 2.0
잔탄검 1.0
가용화부 에탄올 8.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생리활성부 비타민C 0.08
유창목 오일 0.1~30
보습성분부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스쿠알란 10.0
펩타이드 용해부 베타인 5.0
정제수 To 100
<2-3> 영양크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7]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 ㎍/mL
점증부 소듐실리케이트 2.0
잔탄검 0.5
가용화부 폴리솔베이트60 2.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생리활성부 비타민C 0.08
유창목 오일 0.1~30
토코페닐아세테이트 0.1
보습성분부 글리세린 4.0
유동파라핀 10.0
바셀린 7.0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6.0
펩타이드 용해부 베타인 5.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타이드 20mg
유당 20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타이드 5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0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타이드 50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후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2-5>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타이드 10 ㎍/㎖
묽은 염산 BP pH7.6이 될 때까지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이용 염화나트륨 BP중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이용하여 pH7.6으로 조절하고, 주이용 염화나트륨 BP를 이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타입??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레이브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ion comprising peptides derived From Haliotis Discus as effective component <130> HPC-9326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peptide Ab 4-7 derived from Haliotis discus <400> 1 Lys Trp Leu Leu Lys Leu Leu Lys Lys Leu 1 5 10

Claims (20)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전복(Haliotis discus)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α-헬릭스(α-helix)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C-말단이 아미드화(amidation) 또는 메틸화(methylation)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피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억제;
    3)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의 발현 억제;
    4) TLR4(Toll-Like Receptor 4)의 발현 억제;
    5) HO-1(heme oxygenase 1) 발현 증가; 및
    6) MMP-9, MMP-12 및 TIMP-1의 발현 억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하기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 펩타이드 용해부 : 30 내지 99 중량%;
    (b) 점증부 : 0.1 내지 20 중량%;
    (c) 가용화부 : 0.1 내지 35 중량%;
    (d) 생리 활성부 : 0.01 내지 35 중량%; 및
    (e) 보습 성분부 : 0.1 내지 40 중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부는 소듐실리케이트 (Sodium Silicate),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Magnesium AluminumSilicate),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Acrylates/C10-30AlkylAcrylateCrosspolym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Sodium MagnesiumSilicate), 잔탄검 (Xanthan Gum),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Hydroxypropyl Starch Phosphate), 폴리우레탄-2 (Polyurethane-2),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및 PVP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부는 에탄올, 시트릭애씨드, 페녹시 에탄올, 에칠 헥실 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솔베이트60, 방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 활성부는 황금추출물, 황련추출물, 황백추출물, 황기추출물, 둥굴레추출물, 행인추출물, 차전초추출물, 시호추출물, 의이인추출물, 모로헤이야잎추출물,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아데노신, 카퍼트리펩타이드-1, r-알-거미폴리펩타이드-1,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나이아신아마이드, 진주추출물, 금,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엘라스틴, 글리세린,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유창목 오일, 알부틴, 비타민B3, 비타민B5, 비타민B9, 비타민C, 비타민H, 토코페닐아세테이크, 아세틸글루타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마데카소사이드 및 카르노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성분부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2-헥산디올, 판테놀, 베타인, 스쿠알란, 바셀린, 유동파라핀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밀 글루텐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첨가제.
  1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2)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억제;
    3)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의 발현 억제;
    4) TLR4(Toll-Like Receptor 4)의 발현 억제;
    5) HO-1(heme oxygenase 1) 발현 증가; 및
    6) MMP-9, MMP-12 및 TIMP-1의 발현 억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관절염, 통풍, 간염, 천식,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결핵,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동맥경화증, 패혈증, 치주염 및 치은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79228A 2020-06-29 2020-06-29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28A KR102385070B1 (ko) 2020-06-29 2020-06-29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28A KR102385070B1 (ko) 2020-06-29 2020-06-29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41A KR20220001541A (ko) 2022-01-06
KR102385070B1 true KR102385070B1 (ko) 2022-04-12

Family

ID=7934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28A KR102385070B1 (ko) 2020-06-29 2020-06-29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23B1 (ko) * 2022-05-06 2023-05-15 한도숙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예방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539462B1 (ko) * 2023-01-25 2023-06-02 (주)페르스 신선초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39450B1 (ko) * 2023-01-25 2023-06-02 (주)페르스 타란툴라 성분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78B1 (ko) 2011-09-15 2013-10-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Mmp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전복 내장 위장관 소화가수분해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67B1 (ko) * 2012-03-06 2014-03-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60076126A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고운선형 단계별 처방이 가능한 한방 여드름 화장품
KR20170040461A (ko) * 2015-10-05 2017-04-13 김병건 실리케이트와 폴리머 그리고 펩타이드를 응용해서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9800B1 (ko) * 2015-11-26 2017-12-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 내장 유래의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약학 조성물
KR101899552B1 (ko) * 2016-11-18 2018-09-17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78B1 (ko) 2011-09-15 2013-10-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Mmp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전복 내장 위장관 소화가수분해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41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070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730836T3 (es) Estimulación de los receptores MC-1R, MC-2R y/o de opioide µ
KR101957014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6573295B2 (ja) 肌再生または傷治療用ペプチド及びこの用途
KR102148703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6190661A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9340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37446B1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32945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59692B1 (ko)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28977B1 (ko)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3999A (ko) Agkistrodon piscivorous piscivorous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012938B2 (en)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peptides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848A (ko) 에피프리델라놀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29943B1 (ko)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90554B1 (ko) 천연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말라리아 조성물
KR101172529B1 (ko) Par-2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20230173239A (ko) 땃두릅나무 및 한련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KR101856034B1 (ko) 적산파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6753600B2 (ja) 吸収促進剤
KR20230157782A (ko) 산초나무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