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692B1 -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692B1
KR102359692B1 KR1020200016753A KR20200016753A KR102359692B1 KR 102359692 B1 KR102359692 B1 KR 102359692B1 KR 1020200016753 A KR1020200016753 A KR 1020200016753A KR 20200016753 A KR20200016753 A KR 20200016753A KR 102359692 B1 KR102359692 B1 KR 10235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present
composition
m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592A (ko
Inventor
이인아
김진옥
최수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6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및 MMPs 생성 억제 활성을 통해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증진하여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뛰어나 기존의 항주름제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주름 개선 및 항노화를 위한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제품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 comprising extract of Cynoglosus semilaevis skin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노화 및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는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고,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위축 등의 변화가 수반된다.
피부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한다. 자외선에 의해 세포 내부에 활성 산소 라디칼이 생성되고, 활성 산소는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MMP-1, MMP-3, MMP-9, etc.)의 합성을 촉진하며(Fisher G.J. etal., Nature, Vol. 379, 335~339),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주름을 유발한다.
특히, 인체의 중성구 과립구 내에 존재하는 엘라스타아제는 진피 내 피부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며, 콜라겐 분해활성도 가지는 효소이다. 엘라스타아제가 적절하게 발현되고 활성화되면 상처회복 등에 관여하지만, 과다하게 발현되거나 활성화된 경우 피부 내의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의 탄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는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우르솔산 등이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MMP(matrix metalloproteinase)는 활성 중심부에 아연을 갖는 금속단백분해효소로 생체 내에서 잠재성 전효소(zymogen) 형태로 분비된다. 효소 활성을 갖기 위해서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 아미노 말단 부위가 절단,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MMP는 2-마크로글로불린(macroglobulin)이나 TIMP(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와 같은 저해제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며, 피부의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대다수의 많은 세포들이 MMP를 분비한다. 단 한번의 자외선 조사에도 피부 내의 MMP 활성이 증가되어 피부 내의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키므로, MMP는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광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피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및 MMP 발현 억제 활성 등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있으면서도 피부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천연물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박대 껍질 추출물이 높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및 MMPs(MMP-1, MMP-2 및 MMP-3) 생성 억제 활성 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현저한 피부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339423 B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한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박대 껍질 분말에 2 내지 20배 중량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가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주름 개선은 콜라겐 생성 촉진,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발현 억제 또는 TIMP-1(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발현 촉진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메이크업 제거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및 MMPs 생성 억제 활성을 통해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증진하여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뛰어나 기존의 항주름제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주름 개선 및 항노화를 위한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제품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활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은 LPS 및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세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후의 엘라스타아제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UV-B 처리에 의해 증가하는 MMPs(MMP-1, MMP-2, MMP-3 및 MMP-9)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RT-PCR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UV-B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TIMP-1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RT-PCR 전기영동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박대는 경골어류 가자미목 참서대과에 속하는 흰살생선으로서, 군산을 비롯한 서해안 일대에서는 박대의 인기가 높으며, 박대를 가공하면서 생기는 부산물인 박대 껍질은 콜라겐이 풍부하다.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서, 박대 껍질 추출물은 박대 껍질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박대 껍질을 분쇄한 후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박대 껍질 추출물을 농축 및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박대 껍질 건조 중량의 2 내지 20배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중량의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한 후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은 6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4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임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콜라겐은 열 변성이 되기 쉬운 단백질이므로 가열 처리에 의한 추출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박대 껍질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박대 껍질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 및 피부주름은 광노화 또는 자연노화에 의한 것일 수 있고, 광노화에 의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UV 노출에 의한 광노화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노화 및 주름은 MMP 효소의 활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UV 노출 후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의 발현 및 활성 증가로 인하여 피부노화가 촉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박대 껍질 추출물이 UV 자극에 의해 증가된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UV에 의해 분비량이 감소된 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하여, 광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MMP 발현 억제 활성 또는 TIMP-1 발현 촉진 활성을 통해 광노화 등의 피부노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증진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의 세포 독성 및 UV 자극에 의해 과발현되는 광노화 관련 생체 지표인 MMP 효소의 억제 효과 및 MMP효소의 저해제인 TIMP-1의 발현 촉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이 우수한 광노화 방지 효과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에 대한 피부누적 자극을 시험한 결과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피부에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MMP 발현 억제 활성 또는 TIMP-1 발현 촉진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효과적인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 수준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임의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박대 껍질 추출물은 0.0001 내지 99.9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1 내지 500 mg/mL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g/mL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이 조성물 내에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광노화 및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제형 및 제품 안정성을 가지며 경제성 면에서도 최적의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1 내지 30 mg/m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g/mL의 미량으로도 현저한 광노화 방지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메이크업 제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 이외에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2-헥산디올, 판테놀, 베타인, 스쿠알란, 바셀린, 유동파라핀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밀 글루텐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박대 껍질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노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광노화, 보다 구체적으로 UV에 의한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박대 껍질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박대 껍질 추출물은 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유효성분의 유효용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섭취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섭취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피부주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박대 껍질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첨가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등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박대 껍질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및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약학적으로 유효한 농도로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일례로 성인 체중 기준 대비 박대 껍질 추출물을 0.001 내지 100 ㎎/k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kg의 투여량(또는 도포량)으로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제공(투여 또는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본 발명의 목적 및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긴산,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정제수,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히드록시벤조산,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캅셀제, 분말, 액상제제, 또는 시럽제; 또는 연고제, 경고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또는 유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 다른 제형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UV-B in vitro 모델 실험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유래 detroit 551 세포를 대상으로 UV-B의 조사 강도 및 시간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UV-B에 의한 자극은 주어지지만 극단적인 독성은 유발하지 않는 조건을 확립한 뒤 박대 껍질 추출물에 의한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in vitro 모델을 구축하였다.
세포 배양
RAW264.7(KCLB 40071), WM-266-4(KCLB 21616), CCD-986sk(KCLB 21947), Detroit551(KCLB 10110)세포는 한국세포주 은행(KCLB, Korean Cell Line Bank)에서 구입하고 Penicillin 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3일에 한 번씩 계대 배양을 시행하였다.
실시예: 박대 껍질 추출물의 제조
박대 껍질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하고, 곱게 분쇄하여 박대 껍질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박대 껍질 분말에 10 배 중량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박대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회전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한 후 50 mg/mL의 농도로 DMSO에 희석하고, -20 ℃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비교예 1: 박대 껍질 열수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상기 에탄올 수용액 대신 물을 첨가한 후 100 ℃에서 추출하여 박대 껍질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도미 껍질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상기 박대 껍질 대신 도미(참돔) 껍질을 이용하여 도미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넙치 껍질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상기 박대 껍질 대신 넙치 껍질을 이용하여 넙치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조피볼락(우럭) 껍질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상기 박대 껍질 대신 조피볼락 껍질을 이용하여 조피볼락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재료 및 방법
1) 세포배양
사람피부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eonatal foreskin)를 ATCC사(Manassas, VA, US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세포를 fibroblast growth medium(Promo Cell, Heidelberg)을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RNA 분리 및 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사람피부섬유아세포 1 × 107 cells 당 트리졸 용액 334 ㎕을 첨가하여 갈아준 후, 4℃, 12,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클로로포름 67 ㎕을 첨가하고, 볼텍스(vortex)하였다. 다시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기고 상층액과 아이소프로페놀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아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였다. 10회 세게 흔든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방치하고, 12,000×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에 70% 에탄올 1 ml을 가한 후 7,500×g, 4℃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에탄올을 제거한 후 RNA 침전물이 담긴 튜브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건조시키고, 핵산분해효소가 포함되지 않은 물을 사용하여 RNA 펠렛을 용해시켰다. UV/VIS 분광 광도계(Beckman coulter, DU730)를 이용하여 260 nm 및 280 nm 파장에서 추출된 RNA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고,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RNA 시료에 이상이 없음(integrity)을 확인하였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추출된 RNA시료를 대상으로 올리고 dT 프라이머와 슈퍼스크립트 역전사효소(GIBCO BRL, Gaithersburg, MD, USA)를 이용하여 역전사를 수행함으로써 cDNA를 합성하였다.
각 tube에 D.W 12.6 μL, 10×PCR buffer 2 μl, dNTP 2 μL, Taq polymerase 0.4 μL을 넣은 뒤 primer와 cDNA를 1 μL씩 넣고 증폭시켰다. 그리고 MMP-1, MMP-2, MMP-3, MMP-9의 발현을 전기영동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이 제작하였으며, 증폭시킨 산물에 10×loading buffer를 첨가한 후에 1% 아가로오스 겔에 5 uL씩 분주하여 75 V 에서 35분간 loading하였다. Loding이 끝난 겔은 FluorChem을 사용하여 밴드를 정량하였다.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염기서열
유전자 크기(bp) 프라이머 염기서열(5’→3’) 어닐링 온도(℃)
MMP-1 234 F : ATGCTGAAACCCTGAAGGTG 60.0
R : CTGCTTGACCCTCAGAGACC
MMP-2 411 F : ATGACAGCTGCACCACTGAG 60.0
R : AGCTTGTCTGAGAGTGGCTT
MMP-3 214 F : GCAGTTTGCTCAGCCTATCC 60.0
R : GAGTGTCGGAGTCCAGCTTC
MMP-9 236 F : GAGACCGGTGAGCTGGATAG 60.0
R : TACACGCGAGTGAAGGTGAG
Actin 234 F : GGACTTCGAGCAAGAGATGG 60.0
R : AGCACTGTGTTGGCGTACAG
3) 통계 처리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버전 18.0(IBM,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Duncan의 post-hoc test를 이용한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실험군 간의 평균값의 차이(p <0.05)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실험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SD)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1: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평가
RAW 264.7 세포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MTT reduction assay를 실시하였다. 상기 세포주를 96-well plate에 1 X 105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각각 10, 50, 100, 200, 400, 600 m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PBS 완충용액에 녹인 MTT (5 μg /mL) 용액을 10 μL씩 각 well에 첨가한 후 다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Formazan 형성을 확인한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well 바닥에 형성된 formazan을 녹이기 위해 100 μL의 DMSO를 첨가한 후, microplate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으며, 구체적으로 박대 껍질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시킨 대조군 세포를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생존율로 나타냈다.
상기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모든 세포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아미노산 조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6N-HCl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PITC(Phenyl isothiocyanate)로 유도체화시킨 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의 아미노산 조성(구성 아미노산)은 HPLC(HPLC PICO-TAG syste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콜라겐은 다른 단백질과는 달리 히드록실화(hydroxylation)된 아미노산인 hydroxyproline, hydroxylysine을 포함하고 있으며, 삼중나선영역 부위에는 Gly-X-Y의 반복 아미노산 배열로 구성되어 있는데 X와 Y의 위치에는 proline과 hydroxyproline이 자주 위치하며 glycine, proline, hydroxyproline 함량으로 콜라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아미노산 종류 함유농도(μg/mL)
Aspartic acid(Asp) 1217
Threonine(Thr) 447
Serine(Ser) 807
Glutamic acid(Glu) 1980
Glycine(Gly) 3905
Cysteine(Cys) 4537
Alanine(Als) 30
Valine(Val) 582
Methionine(Met) 417
Isoleucine(Ile) 225
Leucine(Leu) 621
Tyrosine(Tyr) 177
Phenylalanine(Phe) 398
Lysine(Lys) 709
Histidine(His) 235
Arginine(Arg) 1562
Proline(Pro) 1432
Total 19,281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는 콜라겐의 삼중나선의 영역내 반복적인 Gly-X-Y 아미노산 배열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글리신(glycine)이 3,905 μg/mL로서 전체 아미노산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고, 프롤린(Proline)이 1,432 μg/mL로서 약 7.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료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유리 아미노산 종류 함유농도(μg/mL)
o-Phosphoserine 4
Taurine 33
o-Phosphoethanolamine 1
Urea 17
Sarcosine 0
L-2-Aminoadipic Acid 2
L-Citruline 8
DL-2-Aminobutyric 0
LCystathionine 10
β-Alanine 8
DL-3- Aminoisobutyric Acid 7
4-Aminobutyric acid 1
2-Aminoethanol 133
DL-plusallo-δ-Hydroxylysine 0
L-Ornithine 3
L-1-Methylhistidine 0
L-3-Methylhistidine 0
L-Anserine 0
L-Carnosine 0
hydroxyl-L-proline 1,554
Total 1,778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hydroxyl-L-proline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hydroxyl-L-proline은 1,554 μg/mL로서, 전체 유리 아미노산의 약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분석은 항산화제와 반응하여 히드라 지질에서 불안정한 질소 원자를 사용하여 수소 원자를 수용하는 DPPH의 특성을 이용한 산화 방지제 측정법이다.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을 DMSO에 희석하여 10, 50, 100, 200, 400 mg/mL 농도로 조정하였다. 그리고 각 농도별 시료 20 μL에 95 % 에탄올 용액에 0.4 mM의 농도의 DPPH (Sigma-Aldrich Co, USA.) 용액 80 μL를 가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492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한 후,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전자 공여능(자유 라디칼 소거능) (%) = {1- (A-B) / C} × 100
A : 시료 흡광도 520 nm
B : 색 조절 흡광도 520 nm (DPPH 처리하지 않음)
C : 음성 대조 흡광도 520 nm (샘플 처리하지 않음)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은 10 gm/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ascorbic acid)과 유사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피부주름 개선 효과 확인 -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Human PMN Elastase Kit를 이용한 엘라스타아제 농도 측정
Detroit 551 세포를 24-well plate에 1.0×105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한 후, 37℃, 5 CO2 환경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으로 1회 세척한 다음 Detroit 551 세포에 LPS(1 μg/mL)와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다. 2시간 뒤, FBS가 없는 배지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을 DMSO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10, 50, 100, 200 mg/mL이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추가 배양 후 세포배양 상등액을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ELISA)에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의 elastase 억제능력은 Abcam에서 human PMN ELISA kit를 구입하여 ELISA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다.
먼저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96 well plate에 1 x wash buffer 400 μL를 넣고 10~15초간 세척해준 후 바닥에 붙어있는 항체가 스크래치가 나지 않게 1 x wash buffer를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였다. 그리고 sample diluent reagent를 이용해 1 : 100으로 희석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96 well plate에 처리한 후 plate의 cover를 닫고 room temperature(18℃ to 25℃)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배양하고 난 다음 96 well plate의 세포 배양 상등액을 제거하고 위의 방법과 같이 1 x wash buffer를 이용한 세척 작업을 4회 반복하였다. 96 well plate 세척 후 150 μL의 1 x HRP Conjugated Antibody를 well에 넣어 준 후 room temperature(18℃ to 25℃)에서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다시 한번 1 x wash buffer를 이용한 세척 작업을 4회 반복 진행하였다. 96 well plate 세척 후 200 μL의 TMB Substrate Solution을 well에 넣어 준 후 room temperature(18℃ to 25℃)에서 20분간 반응 시켜 색 변화를 확인하였다. 20분 뒤에 stop solution을 넣고 반응을 종결시킨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Standard graph를 이용하여 흡광도에 따른 엘라스타아제 농도를 수치화하여 하기 도 3,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 및 표 5에서,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은 대조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구분 LPS+H2O2 처리 엘라스타아제 농도(ng/mL)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대조군 - 0.23 -
대조군 + 1.38 0
실시예 - 10 mg/mL + 1.06 23.25
실시예 - 50 mg/mL + 0.94 31.48
실시예 - 100 mg/mL + 0.80 41.88
실시예 - 200 mg/mL + 0.77 44.31
상기 표 4 및 도 3은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의 농도별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3 및 도 3을 살펴보면,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또한 증가하고, 농도가 100 mg/mL 이상인 경우에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의 100 mg/mL 농도에서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분(100 mg/mL) LPS+H2O2 처리 엘라스타아제 농도(ng/mL)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대조군 - 0.23 -
대조군 + 1.38 0
실시예 + 0.81 41.88
비교예 1 + 1.02 26.09
비교예 2 + 0.95 31.16
비교예 3 + 1.03 25.36
비교예 4 + 1.10 20.29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엘라스타아제 농도가 적어도 40% 이상 저감되었고, 비교예에 비해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광노화 방지 효과 확인
5-1. UV-B 자극 세포에서 MMP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MMPs는 현재까지 약 20여 종 이상의 종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성 중심부에 아연을 갖는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로서, 구조와 기능에 따라 collagenase, stromelysin, interstitial, gelatinase, membrane type MMP 등으로 구분한다. collagenase인 MMP-1, MMP-2 및 stromelysin인 MMP-3의 증가는 진피층의 콜라겐을 붕괴시킴으로서, 피부 광노화에 큰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MMP-1, MMP-2, MMP-3 및 MMP-9 활성의 억제가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주름 형성 등의 광노화를 억제하고 피부탄력을 유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어 MMP-1, MMP-2, MMP-3 및 MMP-9의 mRNA 발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의 MMP 효소 활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broblast skin cell을 24-well plate에 5 × 105 cell/dish로 계대배양하였다. 1일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1 ㎖의 PBS를 넣고 100 mJ/㎠의 UV를 조사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이용하여 RT-PCR을 진행하여 MMP-1, MMP-2, MMP-3 및 MMP-9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상대적인 유전자 발현량은 Image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MMP-1, MMP-2, MMP-3 및 MMP-9의 유전자 발현 정도는 정량적 비교를 위해 beta-actin에 의해 정량화 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MMPs(MMP-1, MMP-2, MMP-3 및 MMP-9) 발현 억제 효능을 비교예 2의 도미 껍질 추출물의 효능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RT-PCR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이 UV에 의해 증가한 MMPs 유전자들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을 억제하여 광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비교예 2의 도미 껍질 추출물에 비해 MMP 발현 억제 효능이 더욱 우수한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하기 표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의 10 mg/mL 농도에서의 MMP(MMP-1, MMP-2, MMP-3 및 MMP-9) 발현 억제 활성을 상대적 밴드 밀도(%control)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분(10 mg/mL) UV-B 처리 MMP-1 MMP-2 MMP-3 MMP-9
대조군 - 100 100 100 100
대조군 + 297.3 123.0 131.0 231.3
실시예 + 112.2 66.8 36.1 48.2
비교예 1 + 164.3 86.6 115.2 136.8
비교예 2 + 117.0 91.4 60.3 71.7
비교예 3 + 155.7 80.8 92.5 101.2
비교예 4 + 135.2 89.3 119.4 96.7
상기 표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이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물에 비해 MMP 발현 억제 활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2. UV-B 자극 세포에서 TIMP-1 mRNA 발현 촉진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에 대하여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TIMP-1(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에 대한 발현 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5-1에 따라, Fibroblast skin cell을 24-well plate에 5 × 105 cell/dish로 계대배양하였다. 1일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1 ㎖의 PBS를 넣고 100 mJ/㎠의 UV를 조사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이용하여 RT-PCR을 진행하여 TIMP-1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상대적인 유전자 발현량은 Image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TIMP-1의 유전자 발현 정도는 정량적 비교를 위해 beta-actin에 의해 정량화 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의 TIMP-1 발현 촉진 효능을 비교예 2의 도미 껍질 추출물의 효능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RT-PCR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대 껍질 추출물이 UV에 의해 감소한 TIMP-1 유전자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을 촉진하여 광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비교예 2의 도미 껍질 추출물에 비해 TIMP-1 발현 촉진 효능이 더욱 우수한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하기 표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의 5 mg/mL 농도에서의 TIMP-1 발현 촉진 활성을 상대적 밴드 밀도(%control)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분(5 mg/mL) UV-B 처리 TIMP-1
대조군 + 100
실시예 + 315.9
비교예 1 + 150.3
비교예 2 + 174.1
비교예 3 + 232.2
비교예 4 + 161.5
상기 표 7을 살펴보면,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이 비교예에 비하여 TIMP-1 발현 촉진 활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MMP의 활성을 억제하는 TIMP-1의 발현을 촉진함에 따라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임을 알 수 있다.
<결과>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은 극소량만으로도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mRNA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TIMP-1의 mRNA 발현을 촉진하였으며,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이 다른 어피의 추출물보다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박대 껍질 추출물이라도 추출 방법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에탄올 추출물이 박대 껍질 열수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박대 껍질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열 변성에 의해 다량의 콜라겐이 파괴된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지만 기존의 항주름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제로서 개발하기 위한 후보물질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하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1-1> 유연화장수(스킨)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유연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8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 5.0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라이콜 3.0
피이지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폴리소르베이트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2> 영양화장수(로션)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영양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9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 5.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너트오일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3> 영양크림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0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 5.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세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4> 마스크 팩용 유액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마스크팩용 유액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1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의 박대 껍질 추출물 5.0
폴리비닐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사이클로덱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마이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 100mg
유당 20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 100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 500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후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2-5>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 100 mg/㎖
묽은 염산 BP pH7.6이 될 때까지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이용 염화나트륨 BP중에 본 발명의 박대 껍질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이용하여 pH7.6으로 조절하고, 주이용 염화나트륨 BP를 이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타입??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레이브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0)

  1.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박대 껍질 분말에 2 내지 20배 중량의 40% 내지 6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것이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조성 및 하기 표 3에 기재된 유리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표 2]
    Figure 112021121403211-pat00006

    [표 3]
    Figure 112021121403211-pat00007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대 껍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주름 개선은 콜라겐 생성 촉진,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발현 억제 또는 TIMP-1(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발현 촉진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메이크업 제거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박대 껍질 분말에 2 내지 20배 중량의 40% 내지 6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것이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조성 및 하기 표 3에 기재된 유리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표 2]
    Figure 112021121403211-pat00008

    [표 3]
    Figure 112021121403211-pat00009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패치, 겔, 크림 및 분무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박대 껍질 분말에 2 내지 20배 중량의 40% 내지 6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것이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조성 및 하기 표 3에 기재된 유리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표 2]
    Figure 112021121403211-pat00010

    [표 3]
    Figure 112021121403211-pat00011
  10. 박대(Cynoglosus semilaevis)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박대 껍질 분말에 2 내지 20배 중량의 40% 내지 6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것이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조성 및 하기 표 3에 기재된 유리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첨가제.
    [표 2]
    Figure 112021121403211-pat00012

    [표 3]
    Figure 112021121403211-pat00013
KR1020200016753A 2020-02-12 2020-02-12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5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53A KR102359692B1 (ko) 2020-02-12 2020-02-12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53A KR102359692B1 (ko) 2020-02-12 2020-02-12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592A KR20210102592A (ko) 2021-08-20
KR102359692B1 true KR102359692B1 (ko) 2022-02-08

Family

ID=7746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53A KR102359692B1 (ko) 2020-02-12 2020-02-12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391B1 (ko) * 2021-12-21 2022-09-19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광어껍질 가수분해물 유래 신규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020A (ja) 1999-05-19 2001-01-16 Coletica 低臭性で機械的特性が改善された海原産コラーゲン含有コラーゲン製品、及び、化粧又は医薬の組成物又は製品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2513461A (ja) * 2008-12-23 2012-06-14 ユニバーシティー プトラ マレーシア(ユーピーエム) 水生動物からのコラーゲン抽出物
KR101817795B1 (ko) * 2016-09-12 2018-01-11 코리아천연화장품협동조합 박대 껍질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423B1 (ko) 2011-12-12 2013-12-10 유은경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5380A (ko) * 2016-04-07 2017-10-17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박대 껍질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020A (ja) 1999-05-19 2001-01-16 Coletica 低臭性で機械的特性が改善された海原産コラーゲン含有コラーゲン製品、及び、化粧又は医薬の組成物又は製品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2513461A (ja) * 2008-12-23 2012-06-14 ユニバーシティー プトラ マレーシア(ユーピーエム) 水生動物からのコラーゲン抽出物
KR101817795B1 (ko) * 2016-09-12 2018-01-11 코리아천연화장품협동조합 박대 껍질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592A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013B1 (ko) 피부 탄력 증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714434B1 (ko) 퓨코스테롤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150057911A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85070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124350A (ja) Nmf産生促進剤
KR102148703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JP6437342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エキナセア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2359692B1 (ko) 박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1162B1 (ko) 효소처리 크릴 오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피부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574765B1 (ko) 사이코사포닌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988909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77787B1 (ko)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89848A (ko) 에피프리델라놀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8898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7504423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表皮ターンオーバー促進剤、及び抗酸化遺伝子発現促進剤
US20230312643A1 (en) Peptide derivative with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and use thereof
KR10200104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1184354A (ja) ケラチノサイトへのメラニンの取り込みを抑制する美白剤
JP2023147780A (ja) Il-8産生抑制用及び/又はコラゲナーゼ産生抑制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9590B1 (ko) 진세노사이드 C-Mx1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220168292A (ko) 픽펠타라에닌 ia를 유효성분으로 활용한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900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JP2014240361A (ja) 抗老化剤、美白剤、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