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96B1 -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96B1
KR102384696B1 KR1020200097465A KR20200097465A KR102384696B1 KR 102384696 B1 KR102384696 B1 KR 102384696B1 KR 1020200097465 A KR1020200097465 A KR 1020200097465A KR 20200097465 A KR20200097465 A KR 20200097465A KR 102384696 B1 KR102384696 B1 KR 10238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ed
bloodstains
photographing
right angle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226A (ko
Inventor
박남규
고재모
김진표
서영일
주은아
이제현
이상윤
김경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9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96B1/ko
Priority to US17/098,941 priority patent/US11473905B2/en
Publication of KR2022001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04N5/2252
    • H04N5/2256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는, 카메라 렌즈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렌즈 결합부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및 비산혈흔을 포함하는 대상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표면 접촉부와 표면 접촉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산혈흔과 상기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ooting scattered blood marks at right angl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혈 사건에서 혈흔형태분석은 현장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산혈흔은 가해자의 가격 당시의 행위를 알려주기 때문에, 비산혈흔의 혈흔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증거가 되는 비산혈흔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중요하다.
유혈 사건 발생 시에 가해자의 가격에 따른 비산혈흔은 벽면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 비산혈흔들을 촬영하여 장축의 방향 및 장축과 단축의 비율을 분석하여 가격 당시의 발혈부위를 추정하기 때문에 비산혈흔들을 정확히 직각으로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벽면의 비산혈흔들을 직각으로 촬영하기 위해 삼각대, 미니 삼각대 등의 장비가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방향으로 퍼져 나가 생성된 비산혈흔들을 일일이 촬영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이러한 불편한 점이 있어서, 이러한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고 촬영하는 경우가 많아 혈흔형태분석 시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벽면의 비산혈흔을 좀 더 쉽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직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8322호(2016.01.19.등록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삼각대 등의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표면 상의 비산혈흔을 정확하게 직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는, 카메라 렌즈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렌즈 결합부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및 비산혈흔을 포함하는 대상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표면 접촉부와 표면 접촉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산혈흔과 상기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는, 상기 렌즈 결합부와 밀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비산혈흔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광원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엘이디 조명부가 온/오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표면 접촉부와 밀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비산혈흔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자가 표시된 투명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방법은,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렌즈 결합부를 카메라 렌즈에 결합하는 단계,
비산혈흔을 포함하는 대상표면에 상기 장치의 표면 접촉부를 접촉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제2몸체의 삽입부가 제1몸체의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산혈흔과 상기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고, 엘이디 조명부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비산혈흔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산혈흔의 크기를 투명판에 표시된 측정자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장비 없이 대상표면 상의 비산혈흔을 정확하게 직각으로 촬영하여, 비산혈흔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스티커 측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판에 표시된 측정자를 사용하여 비산혈흔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제2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는,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렌즈 결합부(110)와 하우징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엘이디 조명부(150)와 온/오프 스위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110)는 제1몸체(100)의 일단에 카메라 렌즈(310)가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산혈흔(B)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는 빛을 이용하여 비산혈흔(B)을 촬상하여 비산혈흔(B)의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필름에 감광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생성하는 필름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를 사용하여 비산혈흔(B)을 촬영할 수 있다.
하우징부(1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부(130) 내부에는 후술할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130)는 삽입부(230)를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엘이디 조명부(150)는 렌즈 결합부(110)와 밀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비산혈흔(B)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엘이디 조명부(150)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 조명부(150)는 비산혈흔(B)을 접사 촬영시에, 빛의 양이 부족할 때,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엘이디 조명부(150)의 엘이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1몸체(100)의 내부에 배터리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170)는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의 외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온/오프(on/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170)는 엘이디 조명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엘이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몸체(200)는 표면 접촉부(210) 및 삽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20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몸체(200)는 아크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자연광이나, 엘이디 조명부(150)에서 조사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몸체(100)도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빛을 투과시키도록 할 수 있다.
표면 접촉부(210)는 제2몸체(200)의 일단에 형성되어, 비산혈흔(B)을 포함하는 대상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면 접촉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관통하는 가상의 장축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30)는 제2몸체(20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30)는 표면 접촉부(210)에서 연장 형성되고 하우징부(130)에 삽입되어, 비산혈흔(B)과 카메라 렌즈(31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는 삽입부(230)의 삽입 정도에 따라서, 대상표면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230)의 삽입 정도에 따라서, 줌(zoom) 렌즈의 조절 원리와 같이 연속으로 대상표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비산혈흔(B)을 좀 더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투명판(250)은 표면 접촉부(210)와 밀접하게 위치되고, 비산혈흔(B)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자(255)가 표시될 수 있다. 투명판(250)은 대상표면과 접촉되는 표면 접촉부(210)로부터 수 mm 이격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투명판(250)에 표시되는 측정자(255)는 투명하게 표시되어, 사용자가 비산혈흔(B)의 형태를 관찰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비산혈흔(B)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비산혈흔(B)을 촬영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대상표면에 스티커 측정자를 붙이는 방법으로 비산혈흔(B)의 크기를 측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티커 측정자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제2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부착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215)는 제2몸체(200)는 표면 접촉부(210)를 감싸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215)는 대상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대상표면 상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의 형태는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에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가 삽입되어,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의 삽입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정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100)의 렌즈 결합부(110)는 제1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카메라 렌즈(310)의 형태에 맞게 원형으로 형성되어 카메라 렌즈(3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의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각의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가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가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회전하며 삽입되면서, 회전의 각도에 따라 삽입부(230)의 삽입 정도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비산혈흔(B)과 카메라 렌즈(3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렌즈 결합부(110)를 카메라 렌즈(310)에 결합한다(S100). 여기서, 렌즈 결합부(110)는 카메라 렌즈(310)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카메라 렌즈(3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비산혈흔(B)을 포함하는 대상표면에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표면 접촉부(210)를 접촉한다(S200). 카메라 렌즈(310)를 통하여 비산혈흔(B)을 촬영할 수 있도록 비산혈흔(B)을 포함하는 대상표면을 선정하여,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표면 접촉부(210)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대상표면은 지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벽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된 바닥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가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에 삽입되어, 비산혈흔(B)과 카메라 렌즈(3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S300). 여기서, 제2몸체(200)의 삽입부(230)를 제1몸체(100)의 하우징부(130)에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비산혈흔(B)과 카메라 렌즈(3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카메라 렌즈(310)의 초점을 조절하고, 엘이디 조명부(150)의 온/오프를 조절한다(S400). 이와 같이, 카메라 렌즈(310)의 초점을 조절하여 비산혈흔(B)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엘이디 조명부(150)를 '온(on)'으로 조절하여, 비산혈흔(B)에 빛을 조사하여 비산혈흔(B)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때, S300 단계와 S400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순서가 상호 변경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비산혈흔(B)을 카메라(300)로 촬영한다(S500).
또한, 비산혈흔(B)의 크기를 투명판(250)에 표시된 측정자(255)로 측정한다(S600). 이때, 비산혈흔(B)들의 장축의 정확한 방향, 장축과 단축의 길이 등을 측정자(255)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S500 단계와 S600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S500 단계와 S600 단계는 수행되는 순서가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벽면 또는 바닥면 상에 위치된 비산혈흔(B)들을 직각으로 촬영하고, 비산혈흔(B)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은, 대상표면에 위치된 비산혈흔(B)을 별도의 장비 없이 직각으로 촬영할 수 있어, 비산혈흔(B)의 형태 및 크기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스티커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판(250)에 표시된 측정자(255)를 이용하여 비산혈흔(B)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산혈흔(B) 각각의 장축의 방향, 장축과 단축의 비율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가해자의 가격 당시의 발혈부위를 더욱 정확하게 계산을 할 수 있어, 유혈사건의 해결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몸체
110 : 렌즈 결합부
130 : 하우징부
150 : 엘이디 조명부
170 : 온/오프 스위치
200 : 제2몸체
210 : 표면 접촉부
215 : 부착부
230 : 삽입부
250 : 투명판
255 : 측정자
300 : 카메라
310 : 카메라 렌즈

Claims (8)

  1. 카메라 렌즈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렌즈 결합부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및
    비산혈흔을 포함하는 대상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표면 접촉부와 표면 접촉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산혈흔과 상기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표면 접촉부와 밀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비산혈흔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자가 표시된 투명판;을 더 포함하는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렌즈 결합부와 밀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비산혈흔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광원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엘이디 조명부가 온/오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된,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의 렌즈 결합부를 카메라 렌즈에 결합하는 단계;
    비산혈흔을 포함하는 대상표면에 상기 장치의 표면 접촉부를 접촉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제2몸체의 삽입부가 제1몸체의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산혈흔과 상기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고, 엘이디 조명부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비산혈흔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비산혈흔의 크기를 투명판에 표시된 측정자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방법.
  8. 삭제
KR1020200097465A 2020-08-04 2020-08-04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8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65A KR102384696B1 (ko) 2020-08-04 2020-08-04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US17/098,941 US11473905B2 (en) 2020-08-04 2020-11-16 Apparatus and method of shooting scattered blood marks at right ang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65A KR102384696B1 (ko) 2020-08-04 2020-08-04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26A KR20220017226A (ko) 2022-02-11
KR102384696B1 true KR102384696B1 (ko) 2022-04-08

Family

ID=8011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465A KR102384696B1 (ko) 2020-08-04 2020-08-04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73905B2 (ko)
KR (1) KR1023846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008A (ja)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1791408B1 (ko) 2016-06-23 2017-10-30 대한민국 감정물 촬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396A (ja) * 1993-07-06 1995-03-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ルーペ
JP2006345119A (ja) * 2005-06-08 2006-12-2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接写撮影用拡大鏡装着装置
KR100910015B1 (ko) * 2007-10-01 2009-07-30 곽영우 배율조절 카메라
DE102008055826B3 (de) * 2008-11-04 2010-04-08 Carl Zeiss Ag Elektronische Lupe
KR101050811B1 (ko) * 2009-08-19 2011-07-21 이강문 휴대형 혈류 투시 촬영장치
US9470908B1 (en) * 2013-11-08 2016-10-18 Jeffrey Frankel Adaptable loupe supporting eyewear
KR101588322B1 (ko) 2015-08-19 2016-02-01 대한민국 혈흔 발생원 추정기
CN105891218A (zh) * 2016-05-09 2016-08-24 成都慧信实验设备有限公司 检测电子元件表面缺陷的装置
CN109844607B (zh) * 2016-10-25 2022-03-18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放大镜的调整方法及放大镜
KR200489889Y1 (ko) * 2017-02-23 2019-08-26 에스투원 주식회사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008A (ja)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1791408B1 (ko) 2016-06-23 2017-10-30 대한민국 감정물 촬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42791A1 (en) 2022-02-10
US11473905B2 (en) 2022-10-18
KR20220017226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9164B2 (ja) 閃光装置
US20030193657A1 (en) Range finder device and camera
US5781807A (en) Close-up attachment for a digital camera
KR19990046517A (ko) 카메라용링라이트가이드장치
KR102384696B1 (ko) 비산혈흔을 직각으로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
JP4001318B2 (ja) 光学的三次元形状計測システム
JPH11223851A (ja) 指紋撮影装置
JP4414044B2 (ja) 放射線測定器
WO201009757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ing, and adaptor therefor
TWI652540B (zh) X光機、電子裝置及x光機的操作方法
JP2010130545A (ja) 撮像モジュールの検査装置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及び電子機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Hoerenz The operating microscope. IV. Documentation
JP2009278280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73063B1 (ko) 구조물 촬영용 발광형 미세 이동식 표척
JP4507117B2 (ja) 塵埃検知装置
JP2006251228A (ja) 複眼撮影装置
JP4511296B2 (ja) 光学部品の組み込み姿勢調節方法、及び光学部品の姿勢調節装置
JP4273303B2 (ja) 可搬型位相差顕微鏡
JP6838960B2 (ja) 撮像装置
JP2006139097A (ja) 光学系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6940844B2 (ja) 塵埃認識装置
JP2004198608A (ja) 管内撮影装置、管内撮影用反射器、および管内撮影方法
JP2002023257A (ja) カメラ用エンドスコープ装着アダプタ
JP2002058646A (ja) 眼撮影装置
JP2000056373A (ja) カメラの実装基板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