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257B1 -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57B1
KR102384257B1 KR1020177006049A KR20177006049A KR102384257B1 KR 102384257 B1 KR102384257 B1 KR 102384257B1 KR 1020177006049 A KR1020177006049 A KR 1020177006049A KR 20177006049 A KR20177006049 A KR 20177006049A KR 102384257 B1 KR102384257 B1 KR 10238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member
layer
substrate layer
base lay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321A (ko
Inventor
에드워드 제이. 웬젤
조셉 에이. 마세티
라메즈 하브하브
패트릭 에크호우트
Original Assignee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450,609 external-priority patent/US9809176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521,390 external-priority patent/US9340912B2/en
Application filed by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4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5/00Machines for sewing leathe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여기서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내부 부재는 오로지 하나의 기재층을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기재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외부 스킨층의 표시 표면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기재층의 뒷면에 장애물들이 없으며,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APPARATUS AND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본 출원은 2011년 7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05,83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 2012년 7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543,484호, 이제 미국 등록특허 제8,833,829호의 일부계속출원(CIP)인, 2014년 8월 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450,609호의 일부계속출원(CIP)이며, 이들 각각의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이 출원은 또한 2014년 8월 4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450,609호의 일부계속출원(CIP)인, 2014년 10월 22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521,39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각각의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이 출원은 또한 2011년 7월 8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05,836호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 2012년 7월 6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543,489호의 일부계속출원(CIP)이며, 이들 각각의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를 위한 내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내부 부재들을 스티치 하기(stitching)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로서, 자동차의 내부에서 보이는 대부분의 스티치 기능적으로 다양하며, (가죽, 비닐, TPO, 천, 등의) 두 개 이상의 재료 조각들이, 시트 쿠션, 머리 받침대, 팔 받침대, 콘솔 뚜껑(lid),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기재 등과 같은 부재 둘레에 감기기 전에 패턴에서 절단되어 함께 꿰매어 진다 (컷-앤-소(cut-n-sew)). 이러한 기능적 스티치는 매우 큰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주로 저급 및 중급 차량에서는 오로지 필요로 하는 곳에만 사용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테이너(retainers)들 및 도어 패널들과 같은 장식적 부재 상의 기능적 스티치는 비용 때문에 고급 차량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자동차 산업의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OEMs;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들은 보다 광범위한 가격대에 걸친 차량에서 "스티치가 형성된(stitched)" 겉모습을 적용하는 데에 관심을 보여 왔다. 일부 출원에서 모조의(simulated) 비-기능적 스티치가 사용되었으나, 모조의 스티치를 대조의 색으로 제공하는 능력은 현 시점에서 생산 실행 가능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보다 많은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OEMs)들에게 실제 또는 "생생한(live)" 스티치가 장식 부재들에 사용되어 진짜 컷-앤-소 부재의 겉모습과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장식적인 자동차 트림(trim) 부재들에 생생한, 비-기능적 스티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상기 외부 스킨층과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외부 스킨층에 위치하는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 중간층 및 외부 스킨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다른 위치로 전진시키는 단계, 및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차량의 내부 부재가 여기 제공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foam)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trim piece)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가죽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전체 스티치의 길이를 따라 장애물이 없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이에 부착된 분리형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부재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가죽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외부 스킨층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 중간층 및 외부 스킨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의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장애물들이 없고,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들에 의해 형성된 차량의 내부 부재가 여기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오로지 하나의 기재층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기재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다른 위치로 전진시키는 단계, 그리고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고,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결 무늬(graining)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인조 심(seam)이 성형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전체 스티치 길이를 따라 장애물이 없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이에 부착된 분리형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부재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층의 소재보다 더 부드러운 표시 표면을 제공하도록 봉제 전에 상기 내부 부재의 표시 표면에 소프트 터치 페인트(soft touch paint) 층이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기재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빼내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여기서 기재층의 뒷면은 장애물이 없고, 그리고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재층의 소재보다 더 부드러운 표시 표면을 제공하도록 봉제 전에 상기 내부 부재의 표시 표면에 소프트 터치 페인트 층을 적용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결 무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들에 의해 형성된 차량의 내부 부재가 여기 제공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여기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여기에서 설명한 내부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다른 특징들, 장점들 및 세부사항들은,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에서 오로지 예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다음의 설명은 도면들이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스티치 된 부재의 내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고정물에 고정 부재에 대하여 봉제 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로봇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사용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로봇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 된 장치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층 부재(4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5의 선 5A-5A를 따라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여기서 가능한 범위에서 같은 도면 부호는 다양한 도면에 걸쳐 같은 부재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도 1에는, 차량의 내부 부재(16)가 도시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일 구현예에서 내부 부재(16)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도 1에서 가장 잘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다층 구조이다. 이 다층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가지는 외부 스킨층(18)과 상기 외부 표면에 대해서 반대를 향하고 있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스킨층(18)은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심미적으로 기쁨을 주는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내부 부재(16)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외부 스킨층(18)의 아래의 영역에는 쿠션 지지(cushioning support) 물질(20)의 층이 제공된다. 상기 쿠션 지지 물질(20)은 잠재적으로는 가교 폴리프로필렌(XLPP: cross linked polypropylene) 발포체와 같은 발포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떠한 수의 다른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고 고려된다. 상기 쿠션 지지 물질(20)의 아래에는 바람직하게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기재 패널(22) 또는 층이 배치된다.
잠재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쿠션 지지 물질(20)과 기재 패널(22)은 따라서 상기 외부 스킨층(18)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도록 협조적으로 기능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의 다층 복합 구조를 형성하도록, 쿠션 지지 물질(20)을 형성하는 XLPP 발포체는 상기 외부 스킨층(18)과 기재 패널(22) 사이에서 팽창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후에 사용되는 경우 어떤 기재 패널(22)을 거쳐 적용되는 예비 적층 복합물을 형성하도록, 예비 클래딩(cladding) 작업에서 상기 쿠션 지지 물질(20)은 상기 외부 스킨층(18)에 부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후에 상기 외부 스킨층(18)에 의해 덮이는 예비 적층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예비 클래딩 작업에서 상기 쿠션 지지 물질(20)은 상기 기재 패널(22)에 부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생생한 비-기능적 스티치가 다음의 방법들 중 하나로 내부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 1) 아직 형성되지 않은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의 트림 재료에 패턴을 스티치하고, 그 봉제 된 트림 시트를 미리 형성된/미리 절단된(preformed/precut) 기재에 감는다.
선택 2) 미리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의 트림 재료에 패턴을 스티치하고, 그 봉제 된 트림 프리폼(trim preform)을 미리 형성된 몰드 기재에 감는다.
선택 3) 평평한 또는 비교적 평평한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의 트림 및 기재 부재에 패턴을 스티치 한다.
상기 부재의 복잡함 및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아직 형성되지 않은 트림 재료는 비교적 평평한 표면에 적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선택 1은 실행이 어려워진다.
선택 2는 미리 형성되어 스티치 된 스킨의 사이즈와 형상이 성형 된(molded) 기재의 것과 거의 완벽하게 일치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선택 2는 상기 프리폼을 손상시키지 않고 네스팅(nesting)에 수용하기 위하여 다이 드로(die draw)에서 모든 표면들이 적절한 드래프트(draft)를 가질 것을 요구한다. 선택 2에서 모든 언더컷(undercuts)들은 마무리하기 위하여 테두리를 기계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래핑(wrapping)할 것을 요구한다.
선택 3은 선택 2와 관련된 맞춤 및 마무리 문제를 제거하나, 상기 부재의 한정된 영역에 도달하기 위한 봉제 장치의 능력과 동시에 상기 부재의 트림 및 기재 재료를 통하여 바늘을 구동시키는 처리 능력에 의해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부재 구조 또는 부착에 필요한 어떠한 뒷면 특징부(리빙(ribbing), 보스(bosses), 등)들이 상기 스티치 경로의 바로 뒤에/밑에 영역에 위치할 수 없다.
본 출원은 상술한 선택 2와 관련된 제조 비용 및 복잡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동차 내부 트림 패널을 덮는 큰, 윤곽이 형성된 소프트 트림의 기재 및 트림을 통하여 스티치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스티치가 필요한 경우에 뒷면 특징부들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제조된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기 내부 부재의 트림 및 기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의 상부 부분에 송곳을 사용하는 체인 스티치 패턴 장치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곳이 상기 내부 부재에 형성된 홀(24)을 빠져나간 뒤에, 후크(hook)를 구비한 바늘이 실 텐셔너 암(tensioner arm)에 의해 그 자리에 보유되는 실을 붙잡도록 상기 장치의 하부 암으로부터 상기 홀(24)을 통하여 안으로 돌출된다. 일단 후크로 걸리면, 상기 실은 상기 홀을 통하여 그리고 이전 스티치로부터 형성된 루프를 통하여 당겨진다. 또한, 상기 바늘은 상기 홀(24)을 통하여 상기 실을 아래로 당기면서, 송곳 관통의 다음 포인트로 상기 부재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바늘은 일단 다시 상기 송곳이 상기 부재와 맞물리면 후크 위치로 전진하고, 상기 부재는 움직이지 않고 바늘은 일단 송곳이 상기 부재를 빠져나오면 주저함이 없이 새롭게 형성된 홀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스티치 홀을 형성하는 데에 송곳을 사용함으로써, (복합체, 금속, 등의) 훨씬 더 튼튼한 재료 구조물에도 상기 부재 또는 송곳의 상부 표면에 최소한의 손상을 갖고 스티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재봉틀 박음질(lockstitch) 패턴을 구비한 경우와 같이 상기 실이 홀을 통하여 여러 번 뒤로 그리고 앞으로 당겨지지 않는 사실로 실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매우 큰 옷감의 실들이 바늘의 파손의 염려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체인 스티치 장치를 위한 포스트 베드 스티치 플레이트(post bed stitch plate)는 10 mm × 10 mm와 같이 작을 수 있고, 이전의 로봇식 체인 스티치 플레이트 치수인 16 mm × 44 mm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이들보다 더 크거나 작은 치수들이 고려된다). 부재들의 매우 엄격한 제한에 대한 접근이 이제 가능하고, 특히 스티치 플레이트 길이의 최소화하는 관통-평면 반경이 중요하다.
수동 방식의 봉제 트림/기재 구조에 대한 최적의 장치 구조는 높은 포스트의, 긴 암 장치가 될 것이다. 수동 또는 고정적으로 가이드 되는 부재 공급이 필요할 것이다.
로봇식 봉제를 위한 최적의 장치 구조는 상기 부재 설계에 의존할 것이다. 핵심 요소는 다시 스티치 플레이트의 소형 사이즈에 있다. 실린더 암 길이와 포스트 베드 높이는 적용 제품에 의존할 것이다.
상기 부재에 스티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리테이너(retainer)의 뒷면 또는 ISM 측은 전체 스티치 길이에 대해 상기 내부 부재의 뒷면을 따라서 스티치 플레이트의 통과/접촉을 방해할 수 있는 어떠한 멀티플레인(multiplane) 스타일 라인, 리브들(ribs), 보스(bosses)들 또는 다른 어떤 장애물이 없이(free of obstruction) 그리고 깨끗하게 되는 것이 제안된다. 뒷면 특징부들이 상기 스티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특징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부재가 성형되고 스티치 후에 상기 기재에 이어서 부착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 이차적인 부착은 열 스태킹(staking), IR 용접, 접착, 또는 어떠한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재 재료는 필요하면 스티치 하기 위하여 더 적절한 두께로 국부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면, 2.5 mm의 일반적인 벽 두께를 갖는 부재는 스티치 경로를 따라서 15 내지 20 mm의 폭으로 1.5 또는 2.0 mm까지 국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부재의 뒷면의 이러한 오목부는 부착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리브(ribs)들 또는 보스(bosses)들을 포함하는 분리형 피스(piece)를 배치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상기 기재 패널의 압축 성형은 상기 스티치 영역에서 2.0 mm로부터 1 - 1.5 mm 까지의 일반적인 벽 두께의 축소를 수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값들보다 더 큰 또는 더 작은 값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30)가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부재는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상기 외부 스킨층과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구비한다.
박스(32)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은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뚫어진다. 박스(34)에서, 상기 송곳은 피어싱이 형성된 뒤에 빼내어 진다.
이후에 박스(36)에서, 바늘은 상기 외부 스킨층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예를 들면, 상기 기재층, 중간층 및 외부 스킨층을 통하여) 피어싱을 통하여 삽입된다. 일단 박스(36)의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실은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하여 박스(38)에서 당겨진다.
이후에 박스(40)에서, 상기 실은, 물론 이것이 첫 번째 스티치가 아니라면,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이전 스티치와 함께 루프로 만들어진다. 일단 박스(40)의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내부 부재는 박스(42)에서 상기 송곳과 바늘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전진 또는 이동되고, 그리고 나서 상기 박스(34) 내지 박스(34)의 공정 또는 단계들이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적용에 있어 여기서 로봇식 봉제가 적용된다. 로봇이 고정물 상에 고정 부재에 대하여 봉제 헤드를 구동 또는 이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를 참조하면, 로봇(44)의 한 비제한적인 사용으로 고정물 상에 고정 부재(48)에 대하여 봉제 헤드(46)를 구동시키도록 적용된다. 비록 로봇(44)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로봇(44)이 헤드(46)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헤드(46)는 상기 로봇 암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a에서, 상기 봉제 헤드(46)의 송곳(52)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송곳(52)을 위아래로 구동시키는 왕복 메커니즘 또는 익센트릭(eccentric)(53)을 통하여 그 운동의 상사점(TDC: top dead center)을 향하여 상부 방향 운동을 시작한다. 다시 말해 여기서 사용된 송곳(52)의 상사점(TDC)은 상기 고정 부재(48)에 대한 상기 송곳(52)의 최상부 부분은 지칭한다. 상기 익센트릭(53)은 상부 구동 샤프트(81)뿐만 아니라 송곳(5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루발(presser foot)(54)은 상기 고정 부재(48)의 표면에서 들어 올려지기 시작한다. 상기 노루발(54)은 또한 상기 봉제 헤드(46)의 상부 구동 샤프트(81)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묶여 있는 분리형 익센트릭(55)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이에 의해 구동된다. 한 비제한적인 구성에서, 상기 상부 구동 샤프트(81)는 모터(8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노루발(54)의 움직임은 상기 송곳(52)의 움직임과 함께 조율되나, 상부 구동 샤프트(81)에 작동 가능하게 또한 결합된 분리형 익센트릭(55)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그리고 상기 상부 구동 샤프트(8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 구동 샤프트(81)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익센트릭(53, 55)들이 회전되고, 송곳(52)과 노루발(54)의 원하는 움직임이 달성된다.
동시에 바늘(56)의 하부 바늘 바 조립체(bar assembly)(57)가 새로운 실(58)을 수용하도록 그의 상부 방향 움직임을 시작한다.
도 3a에서, 상기 봉제 헤드(46)는 로봇(44)에 의해 화살표(70) 방향으로 앞으로 구동되고,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는 최대 전방 위치에 있다.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와 바늘(56)은, 화살표(74)(도 3b) 및 화살표(76)(도 3e) 방향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축(72)에 대하여 피봇되거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b에서, 상기 송곳(52)은 익센트릭(77)에 대하여 그의 가장 높은 범위의 움직임 또는 상사점(TDC) 근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상기 노루발(54)은 상기 고정 부재(48)에서 들어 올려지고, 상기 바늘(56)은 새로운 실(58)을 수용하도록 상부 방향 움직임을 계속한다. 상기 로봇(44)은 화살표(70)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상기 헤드(46)를 연속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는 상기 하부 구동 메커니즘(78)에 위치하고 상기 바늘 바 조립체(57)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익센트릭(77)을 통하여 화살표(74) 방향으로 후방 운동을 시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송곳(52)과 바늘(56)을 구동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장치(75)의 한 비제한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익센트릭(77)은 하부 구동 메커니즘(78)에 위치하여 있고, 하부 구동 샤프트(79)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익센트릭(77)이 상기 하부 구동 샤프트(79)에 의하여 회전되는 경우, 상기 익센트릭(77)은 화살표(74, 76)들의 방향으로 상기 바늘 바 조립체(57)를 이동시킨다. 익센트릭(87)은 또한, 상기 하부 구동 샤프트(79)뿐만 아니라 상기 바늘(56)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익센트릭(87)은 상기 하부 구동 샤프트(79)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바늘(56)의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움직임을 구동시켜, 그에 따라 상기 하부 구동 샤프트(79)가 회전되는 때에 상기 바늘(56)의 원하는 움직임을 야기한다.
상기 하부 구동 샤프트(79)는, 샤프트(79, 81)들이 함께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일 모터(85)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긴장된(tensioned) 벨트(82) 또는 직접 결합의 다른 수단들을 통하여 상기 상부 구동 샤프트(81)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79, 81)들 모두는 장치(75)에 대하여 위치한 베어링(84)들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3c에서, 상기 송곳(52)은 상기 고정 부재(48)에 대하여 그 범위의 상사점에 있고,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48)로부터 그 가장 먼 거리에 있으며, 상기 노루발(54)은 상기 고정 부재(48)로부터 간격을 두거나 떨어져 있으면서 상기 바늘(56)은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바늘(56)을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사점 근처에 있다. 상기 로봇(44)은 화살표(70)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상기 헤드(46)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운동을 계속한다.
이제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송곳(52)은 상기 부재 쪽으로 그 하강 아래 방향 운동을 시작하고, 상기 노루발(54)은 상기 고정 부재(48)로부터 이격되거나 떨어져 있고, 동시에 상기 바늘(56)은 상기 고정 부재(48)를 통하여 상부 방향으로 홀(24)을 통하여 상기 실(58)을 걸고 당긴다. 상기 로봇(44)은 화살표(70)로 전방으로 상기 헤드(46)를 연속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는 화살표(74) 방향으로 그 후방 운동을 계속한다.
도 3e에서, 상기 송곳(52)은 하강하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동시에 상기 노루발(54)은 상기 고정 부재(48)에 이제 거의 아래에 있다. 여기서, 상기 바늘(56)은 캐스트오프 브라켓(castoff brackets)(80)들을 통하여 걸린 실(58)을 당기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실의 이전 루프(82)는 상기 캐스트오프 브라켓(80)들로부터 해제된다. 도시되었듯이, 상기 로봇(44)은 화살표(70) 방향으로 전방으로 상기 봉제 헤드(46)를 연속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는 구동 메커니즘(78)을 통하여 화살표(76) 방향으로 전방 운동을 시작한다.
이제 도 3f를 참조하면, 상기 송곳(52)이, 바늘(56)이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기 위한 개구(24)가 만들어지도록 상기 부재(48)를 천공하는 것이 도시된다. 또한, 상기 노루발(54)은 상기 부재(48) 상에 아래로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바늘(56)이 그 상부 방향 운동을 시작하면, 바늘이 상기 캐스트오프 브라켓(80)들의 팁(tip)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경우 상기 실(58)을 해제하게 된다. 다시 한번, 상기 로봇(44)은 화살표(70) 방향으로 전방으로 상기 헤드(46)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며, 동시에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는 최전방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도면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송곳(52)이 상기 고정 부재(48)에 생성된 홀(24)을 빠져나간 뒤에, 후크를 구비한 상기 바늘(56)은 실 텐셔너 암(tensioner arm)(86)에 의하여 그 위치에 보유된 실(58)을 붙잡도록 장치의 하부 암으로부터 상기 홀(24)을 통하여 안으로 돌출되고, 그 운동은 상기 상부 구동 샤프트(81)의 회전 운동이 상기 실 텐셔너 암(86)의 원하는 운동을 야기하도록 상기 상부 구동 샤프트(81)뿐만 아니라 상기 실 텐셔너 암(86)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익센트릭(88)에 의하여 제어된다. 일단 후크에 걸리면, 상기 실(58)은 상기 홀(24)을 통하여 그리고 이전 스티치로부터 형성된 루프를 통하여 당겨진다. 로봇(44)이 상기 고정 부재(48)에 대하여 상기 봉제 헤드(46)를 전진시키는 경우, 상기 바늘(56)은 상기 봉제 헤드(70)의 전방 운동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58)과 함께 상기 홀(24)을 빠져나올 때까지 상기 부재(48)와 맞물린 채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바늘(52)은 상기 하부 바늘 바 조립체(57)에 의해 전진하고, 이어서 상기 하부 구동 샤프트(79)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익센트릭(77)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단계(40)에서, 상기 로봇(44)은 고정물(50)에 배치된 고정 부재(48)에 대하여 상기 봉제 헤드(46)를 구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로봇식 봉제는 특히 봉제되는 부재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봉제되는 부재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부재의 무게와 조작-능력(handle-ability)에 있어 조작자가 다루는 데에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상기 부재에 대한 적절한 봉제 헤드 배향이 우수한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기 때문에, 로봇의 반복성은 인간 조작자와 일치될 수 없고 로봇 구동식 봉제 헤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봉제되는 부재의 사이즈가 큰 경우의 적용에 있어, 바람직하다. 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그리고 상술한 로봇식의 적용에 있어, 6 축 로봇이 상기 부재에 대해 상기 봉제 헤드를 이전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유형의 로봇들이 상기 봉제 헤드의 이전에 사용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로봇식 헤드의 사용이 수동 조작에 대안으로서 제시된다. 수동 조작에 있어, 상기 바늘은 고정된 봉제 헤드에 대하여 상기 부재를 전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한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48)는 오로지, 예를 들면 기재층 또는 기재 패널(22)의 단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발포체 층(20)과 외부 층(18)이 사용되거나 적용되지 않으며 다른 층들이 적용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 패널(22)은 단단한 패널 또는 부재가 제공되고 예를 들면 다른 추가 층들이 상기 부재의 의도하는 용도의 느낌 또는 장식적인 외관을 위해 요구되지 않도록, 치수가 안정적인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기재 패널은 또한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복합 기재층 또는 패널(22)의 상부 표면 또는 표시 표면(92)은 단단하게 남아 있는 채로 제공되면, 모든 수의 다양한 섬유 적층체 또는 매트릭스 수지 내에 구속된 임의 방향성 강화 섬유들의 콘센트레이션(concentrations)들이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처리 사이클은 상기 스킨, 발포체, 기재를 통하여 봉제하는 것과 동일할 것이나, 오로지 단일 기재층이 사용되기 때문에 스킨과 발포체는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오직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는 상기 단층 또는 고정 부재(48)는 그에 적용되는 스티치(90)들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스티치는 상술한 단계들 또는 처리공정들 중 어떤 것으로 적용될 것이다. 또한, 이제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대하여, 순서도(30) 및 박스(32) 내지 박스(42)들은, 일 실시예로 오직 기재층 또는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는, 단층 부재를 스티치하는 것으로서 일컬어질 것이다.
한층 더 그리고 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오직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는 상기 부재(48)는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는 상기 부재(48)의 표시 표면(92)에 결 무늬(91)(grained)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또는 표시 표면(92)의 결 무늬와 함께, 상기 부재(48)는 미적인 목적과 봉제 장치를 위한 기능적 가이드의 목적으로 상기 부재(48)에 성형된 인조 심(seam)(94)을 구비하여 성형 될 수 있다. 상기 인조 심(94)은 상기 표시 표면(92)에 돌출부 또는 오목부 또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조 심(94)은 프랜치 심(French seam) 또는 덱 심(deck seam) 또는 다른 어떤 실제 기능적으로 보이는 심(se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조 심(94)은 오로지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는 스티치가 형성된 단층 고정 부재(48)를 제공하도록 요구되지는 않으나, 간단히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로, 오직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는 성형 된(molded) 부재는 접촉하면 보다 사실적으로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도록 봉제 전에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들에서 보통 발견되는 것과 같이 소프트 터치 페인트(soft touch paint)(96)로 그 표시 표면(92)이 덮여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소프트 터치 페인트(96)는 이제 표시 표면(92)을 제공하거나 적어도 그 일부를 제공하며, 상기 부재(48)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보이고 그리고/또는 터치되는 상기 부재(48)의 표면이 되며, 상기 소프트 터치 페인트(96)는 상기 기재층 또는 패널(22)의 소재보다 더 부드러운 외관 또는 외부 표면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소프트 터치 페인트(96)는 봉제 단계 후에 적용될 수 있다. 더 추가로, 비-소프트 터치 페인트 또는 (예를 들면 어떠한 자동차 내부 트림 패널에 사용되는 페인트인) "표준" 페인트(96)가 상기 부재 표면(2) 상의 어떠한 결점들을 커버 하도록 상기 표시 표면(92)에 적용될 수 있고, 미적인 즐거움을 주는 표면 (예를 들면, 표시 표면(92)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페인트(96)는 이제, 상기 부재(48)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보이고 그리고/또는 터치 되는 상기 부재(48)의 표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48)는 스티치(90)에 더하여 상기 표시 표면(92)에 적용된 페인트(96)를 구비한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인트(96)는 스티치가 적용되기 전 또는 후에 적용될 수 있고, 기재층 또는 패널(22)만을 포함하는 상기 부재(48)는 성형된 인조 심(94)을 포함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떤 것에서, 상기 스티치(90)는, 부재의 사이즈와 복잡성에 따라, 수동 또는 로봇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바로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내부 부재는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상기 외부 스킨층과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외부 스킨층에 위치하는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 중간층 및 외부 스킨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기재층의 뒷면에 장애물들이 없으며,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다른 위치로 전진시키는 단계, 및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단락 [0097]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및 [0098]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로 구성된 군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099]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어떤 것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단락 [0097] 내지 [0100]의 실시예들 중 어떤 것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1]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가죽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2]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전체 스티치 길이를 따라서 장애물이 없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3]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이에 부착된 분리형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부재는 어떠한 장애물들이 없다.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이 여기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부재는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상기 외부 스킨층과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중간층으로부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외부 스킨층 상에 위치하는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 중간층 및 외부 스킨층을 통하여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외부 스킨층, 중간층 및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장애물들이 없으며,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단락 [0105]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6]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부재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내부 부재는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6]에 개시된 방법들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6]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단락 [0097] 내지 [0106]의 실시예들 중 어떤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단락 [0108]의 실시예들 중 어떤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09]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가죽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10]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전체 스티치 길이를 따라서 장애물들이 없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11]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이에 부착되는 분리형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부재는 모든 장애물이 없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12]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로서 여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며, 상기 내부 부재는 오로지 하나의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기재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기재의 표시 표면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장애물이 없고, 그리고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단락 [0114]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단락 [0114] 및 [0115]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고,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 상에 결 무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단락 [0116]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적어도 단락 [0114] 및 [0115]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적어도 단락 [0118]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적어도 단락 [0114] 내지 [0119]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인조 심(seam)을 갖고 성형된다.
적어도 단락 [0114] 내지 [0120]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전체 스티치 길이를 따라서 장애물이 없다.
적어도 단락 [0120] 및 [0121]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적어도 단락 [0122]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적어도 단락 [0114] 내지 [0123]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이에 부착되는 분리형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부재는 모든 장애물이 없다.
적어도 단락 [0114] 내지 [0124]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소프트 터치 페인트 층이 상기 기재층의 소재의 것보다 더 부드러운 표시 표면을 제공하도록 봉제 전에 상기 내부 부재의 표시 표면에 적용된다.
적어도 단락 [0125]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적어도 단락 [0126]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로서 여기에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상기 내부 부재는 오로지 하나의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기재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피어싱을 통과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장애물이 없고,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단락 [0128]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부재는 적어도 단락 [0128] 및 [0129]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부재는 적어도 단락 [0130]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이다.
적어도 단락 [0128] 내지 [0131]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소프트 터치 페인트 층이 상기 기재층의 소재보다 더 부드러운 표시 표면을 제공하도록 봉제 전에 상기 내부 부재의 표시 표면에 적용된다.
적어도 단락 [0128] 내지 [0132]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결 무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33]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33]에서 제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33]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단락 [0097] 내지 [0133]에서 설명하는 내부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비록, 이 실시예는 차량의 내부 표면들에 적용될 수 있으나, 송곳에 의해 뚫릴 수 있고 봉제 될 수 있는, 외부 부재들(예를 들면, 복합 부품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어떤 부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고 다양한 변화가 이뤄질 수 있고 등가물들로 구성요소들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많은 수정이 본 발명의 핵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개시사항들에 대해 특정한 조건 또는 재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이행된 최적의 실시 형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오히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Claims (25)

  1. 오로지 하나의 기재층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a) 이를 통과하는 피어싱을 형성하도록 송곳으로 기재층을 뚫는 단계;
    b)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상기 송곳을 빼내는 단계;
    c) 상기 기재의 표시 표면에 위치한 실을 붙잡도록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는 상기 피어싱을 통하여 로봇식 봉제 헤드의 바늘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단계;
    e)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 이전 스티치와 상기 실로 루프를 만드는 단계;
    f) 상기 기재층의 뒷면에 장애물들이 없으며,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로봇식 봉제 헤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g)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내부 부재에 적용될 때까지, a)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이고,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결 무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상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인조 심(seam)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전체 스티치 길이를 따라서 장애물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1. 제 1 항, 제 2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기재층의 뒷면은 이에 부착된 분리형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부재는 어떤 장애물도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4. 제 1 항, 제 2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층의 소재보다 더 부드러운 표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봉제 전에 소프트 터치 페인트 층이 상기 내부 부재의 표시 표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층의 소재보다 더 부드러운 표시 표면을 제공하도록 봉제 전에 상기 내부 부재의 표시 표면에 소프트 터치 페인트 층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결 무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시 표면에 결 무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상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20.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1.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77006049A 2014-08-04 2015-08-03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KR102384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0,609 US9809176B2 (en) 2011-07-08 2014-08-04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US14/450,609 2014-08-04
US14/521,390 2014-10-22
US14/521,390 US9340912B2 (en) 2011-07-08 2014-10-22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PCT/US2015/043438 WO2016022479A1 (en) 2014-08-04 2015-08-03 Apparatus and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321A KR20170040321A (ko) 2017-04-12
KR102384257B1 true KR102384257B1 (ko) 2022-04-07

Family

ID=5526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49A KR102384257B1 (ko) 2014-08-04 2015-08-03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177762B1 (ko)
JP (1) JP2017525454A (ko)
KR (1) KR102384257B1 (ko)
CN (2) CN106795673B (ko)
WO (2) WO2016022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8699B2 (en) 2020-02-06 2023-08-29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interior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a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11780185B2 (en) 2021-03-05 2023-10-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inforced composit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3225852A1 (en) * 2022-05-24 2023-11-30 Abb Schweiz Ag Device and method for thread draw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312A (ja) 2005-03-04 2006-10-12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内装部品と、その製造方法
US20130009416A1 (en) 2011-07-08 2013-01-10 Wenzel Edward J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0753A (en) * 1936-08-27 1938-02-28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wing machines
US2673537A (en) * 1950-12-02 1954-03-30 United Shoe Machinery Corp Shoe sewing machine
US3055323A (en) * 1959-09-15 1962-09-25 United Shoe Machinery Corp Shoe machines with automatic welt severing mechanisms
US4488498A (en) * 1983-11-16 1984-1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decoratively stitched trim part
DE3703070A1 (de) * 1987-02-03 1988-09-01 Protos Schuhmaschinen W Ullric Kettenstichnaehmaschine zum naehen von koffern
JPH06126679A (ja) * 1991-01-11 1994-05-10 Yaskawa Electric Corp 縫製作業ロボット
JP2614797B2 (ja) * 1991-12-28 1997-05-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射出成形内装部品
US6196145B1 (en) * 1998-11-17 2001-03-06 Albany International Techniweave, Inc. Yarn insertion mechanism
JP4136515B2 (ja) * 2002-07-26 2008-08-20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及び刺繍方法
WO2004078518A1 (en) * 2003-03-03 2004-09-16 Intier Automotive Inc. Automotive interior structure with integrated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922956B1 (en) * 2003-11-05 2011-04-12 Leon Plastics, Inc. Vehicular trim component and cover with simulated stitch and/or seam thereon
EP1698519B1 (en) * 2005-03-04 2009-04-29 Calsonic Kansei Corporation Vehicular interior par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8074241A (ja) * 2006-09-21 2008-04-03 Nissan Motor Co Ltd 装飾部品
CN201010768Y (zh) * 2007-01-26 2008-01-23 金利佳股份有限公司 机头旋转定位型缝纫机
US8074590B2 (en) * 2007-12-12 2011-12-13 Arthur Bentley Method and system for freehand and realtime quilting with a computer-controlled quilting machine
DE102009038602A1 (de) * 2009-08-26 2011-03-10 Car Trim Gmbh Nähanlage
JP2012171447A (ja) * 2011-02-21 2012-09-10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オーナメントパネルの取付け構造
US8579347B2 (en) 2011-12-08 2013-11-12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Seam spacers for use with decorative stitching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US9580851B2 (en) * 2013-12-11 2017-02-28 Fca Us Llc Composite panel stitch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312A (ja) 2005-03-04 2006-10-12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内装部品と、その製造方法
US20130009416A1 (en) 2011-07-08 2013-01-10 Wenzel Edward J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5763B (zh) 2021-02-02
JP2017525454A (ja) 2017-09-07
EP3177762A4 (en) 2018-04-11
EP3177761A4 (en) 2017-08-30
WO2016022479A1 (en) 2016-02-11
EP3177762A1 (en) 2017-06-14
EP3177761B1 (en) 2022-03-16
EP3177762B1 (en) 2021-06-02
WO2016022477A1 (en) 2016-02-11
KR20170040321A (ko) 2017-04-12
EP3177761A1 (en) 2017-06-14
CN106795673A (zh) 2017-05-31
CN106795673B (zh) 2020-10-13
CN107075763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0627B2 (en)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US9889802B2 (en)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US9809176B2 (en)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KR102425419B1 (ko)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US10233576B2 (en) Apparatus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KR102384257B1 (ko)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JP2017525454A5 (ko)
EP3209825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