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419B1 -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 Google Patents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419B1
KR102425419B1 KR1020177007157A KR20177007157A KR102425419B1 KR 102425419 B1 KR102425419 B1 KR 102425419B1 KR 1020177007157 A KR1020177007157 A KR 1020177007157A KR 20177007157 A KR20177007157 A KR 20177007157A KR 102425419 B1 KR102425419 B1 KR 10242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kin
layer
skin layer
need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407A (ko
Inventor
에드워드 제이. 웬젤
라메즈 엠. 하브하브
Original Assignee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4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8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sewing, stitching or th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Toy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부재의 외부 스킨층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은,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에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오는 단계;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하여 위치한 후크로 제1 실을 잡는 단계;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을 통하여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해 제2 실을 잡아당기는 동안 상기 출구 지점과 입구 지점을 통하여 상기 바늘을 빼내는 단계, 상기 바늘과 상기 후크에 대하여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술한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오는 단계는 실이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한다.

Description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METHOD AND APPARATUS FOR BLIND STITCHING A FORMED COMPONENT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본 출원은 2014년 8월 22일 출원 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040,97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를 위한 내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stitching)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차량에 사용되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트림 피스(trim piece)에 장식 스티치(stitch) 배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내부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스티치는 기능적 다양성을 가지며, 시트 쿠션, 머리 받침대, 팔 받침대, 콘솔 뚜껑(console lid),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기재 등과 같은 부재 둘레에 감기기 전에, (가죽(leather), 비닐(vinyl), TPO, 직물 등의) 물질의 두 개 이상의 조각이 패턴에서 절단되어 함께 봉합 된다(컷-앤-소(cut-n-sew)). 이러한 기능적 스티치는 매우 노동 집약적이며 저급 및 중급 차량에서는 오직 필요한 경우에만 주로 사용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테이너(retainers)와 도어 패널(door panels)과 같은 장식 부재들에 기능적 스티치를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비용 때문에 고급 차량 차량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자동차 산업의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OEMs;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들은 더욱 광범위한 가격대에 걸친 차량에서 "스티치가 형성된(stitched)" 겉모습을 적용하는 데에 관심을 보여 왔다. 모조의(simulated) 비-기능적 스티치가 일부 적용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조 색의 모조의 스티치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현재 생산 가능하지 않다. 또한, 더 많은 OEM 업체에는 진짜 컷-앤-소(cut-n-sew)의 모양과 느낌을 제공하도록 장식 부재들에 실제의 또는 "생생한(live)" 스티치가 사용되는 것을 요구한다.
3D의 미리 형성된 자동차 트림 부재에 장식 스티치를 배치하는 현재의 수단은 부품의 상부 측으로부터 바늘로 상기 부품(스킨(skin), 스킨/발포체(foam) 또는 스킨/발포체/기재)에 침투하고, 상기 부품의 뒷면에 위치한 후크(hook) 또는 루퍼(looper)에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부품의 앞면과 뒷면에 모두 액세스할 것을 요구했고, 이것은 종종 부품의 스티치 배치의 위치를 제한한다. 진짜 컷-앤-소(cut-n-sew) 포장 자동차 내부 트림에서 자주 보이는 것과 같은, 브로우(brows), 날카로운 코너(corners), 높은 윤곽 표면에 스티치를 배치는, 종종 매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장식용 자동차 트림 부재에 생생한, 비-기능적 스티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스티치를 갖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부재(interior component)의 외부 스킨층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여기에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에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오는 단계, 여기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오는 단계는 상기 제1 실(thread)이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고;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해 위치한 후크로 제1 실을 잡는 단계; d)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 통해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제2 실을 당기는 동안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상기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상기 후크에 대해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f)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을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이고,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차량의 내부 부재가 여기 제공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vinyl),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 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중간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foam layer)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기재층은 발포층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다른 실시 예들은 제1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중간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이 될 수 있고, 기재층은 상기 발포층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외부 스킨층과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제1 표면에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오는 단계, 여기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오는 단계는 제1 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고;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해 위치한 후크로 제1 실을 잡는 단계; d)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 통해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제2 실을 당기는 동안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상기 후크에 대해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f)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 동안에 상기 바늘은 또한 상기 중간층을 통과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스킨층과 이에 적용된 발포층을 구비한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에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가는 단계, 여기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가는 단계는 제1 실이 상기 외부 스킨층의 입구 지점과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고, 상기 발포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되며,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바늘은 또한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발포층의 일부분을 통과하여 지나가며;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해 위치한 후크로 상기 제1 실을 잡는 단계;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 통해 출구 지점을 통하여 제2 실을 당기는 동안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상기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상기 후크에 대해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f) 기설정된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중간층은 스페이서 직물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떤 것의 대안으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며,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이고, 상기 기재층은 상기 발포층에 적용되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굽은 바늘은, 스티치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외부 층, 상기 발포층 및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부재의 외부 스킨층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에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오는 단계, 여기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오는 단계는 제1 실이 상기 외부 스킨층의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고,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해 위치한 후크로 상기 제1 실을 잡는 단계; d)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을 통해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는 제2 실을 잡아당기는 동안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상기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상기 후크에 대해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 장점들 및 세부 사항들이, 오로지 예시하는 방식에 의해, 이어지는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표준 이중 스티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모조의 웰트(welt) 이중 스티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코너에 형성된 이중 스티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브로우 팁(brow tip)에서 형성된 이중 스티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덱 심(deck seam)에 형성된 이중 스티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이중 스티치(프렌치 심(French se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이중 스티치(프렌치 심)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바늘 방향들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후크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9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스티치 사이클(cyc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록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과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공하지만, 상기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scale)되어 있지 않고, 특정 특징부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나타내고 설명하기 위해 과장 될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예시는, 하나의 형태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을 도시하며, 이러한 예시는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여기서 내용에서 가능한 같은 도면 부호들은 다양한 도면들에 거쳐 같은 부재들을 지칭하는 데에 이용되고, 도 1에서 차량의 내부 부품(interior portion)(10)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부품(10)은 차량의 내부의 임의의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10)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품(10)은 차량 내의 임의의 표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론은, 다른 차량을 위한 것이 아닌(non-vehicular)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물건들 또는 부재들에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부품(10)은 임의의 제조 물품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내부 부품, 부재, 물건 또는 부분(part)(10)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부품, 부품, 또는 부재(10)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외부 표면과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하부를 구비한 적어도 외부 스킨층(12)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스킨층(12)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유연성 및 미적 특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물론, 자연적 (예를 들면, 가죽 등) 그리고 모조의(simulated) 것들을 커버하는 다른 재료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부품은 차량 내부의 장식적 요소이다.
상기 내부 부품의 유연도(softness)를 강화하도록, 일 실시 예에서, 완충 지지 물질 층(14)이 외부 스킨층(12) 아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완충 지지 물질로, 비록 가교된 폴리 프로필렌 (XLPP: cross linked polypropylene) 또는 폴리우레탄 (PU; polyurethane) 폼(foam)과 같은 발포 물질들이 잠재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을지라도, 임의의 수의 다른 구성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치수 적으로 안정된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기재 패널(16)이 또한 완충 지지 물질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 지지 물질과 기재 패널은 외부 스킨층(12)을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도록 협력하여 작용할 수 있다.
다층 복합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완충 지지 물질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PU) 폼이 상기 외부 스킨층과 기재 패널 사이에 취입 될(blown)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상기 완충 지지 물질은,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그 후에 임의의 기재 패널에 거쳐 적용될 수 있는 예비 적층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예비 클래딩(cladding) 동작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상기 완충 지지 물질은, 그 후에 외부 스킨층으로 포장될 수 있는 예비 적층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예비 클래딩 동작에서 상기 외부 기재층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내부 피스 또는 장식 부품(10)은 단일 층 (오로지 스킨(skin)(12)), 이중 층(스킨(12)/발포체(14)) 또는 삼중 층 (스킨(12)/발포체(14)/기재(16)) 중 어떤 것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킨(12)과 기재(16) 사이의 중간 발포층(14)은 발포층 대신에 스페이서 직물(spacer fabric)(14')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 직물(14')은, 스킨(12)과 발포층(14) 사이 또는 기재(16)와 발포층(14) 사이, 중 어느 하나에서, 또는 스킨(12)과 발포층(14) 사이와 기재(14)와 발포층(16) 사이 모두에서, 발포층(14)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점선을 참조하자.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과 관련된 기기들은 상술한 내부 부품(10) 구성들 중 어느 한 구성과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비싼 컷-앤-소(cut-n-sew)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고 장식적인 자동차 트림 부재들에 생생한, 비-기능적 스티치(18)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스티치들이 인접하여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고 평행하게) 위치한 이중 스티치(18)를 적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운송 산업 또는 차량 및 차량 부품 제조에 있어 사용되는 미성형(unformed) 및 예비 성형 재료 구조물에 장식적 스티치를 적용하는 대안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은 모두 플랫스톡(flatstock) 재료(컷-앤-소(cut-n-sew))에 사용될 수 있지만 재료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는 쉽게 평탄화될 수 없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부품에 사용되는 경우에 더 큰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티치는 부품의 뒷면에 액세스가 필요하지 않도록, 상기 부품의 일 면(장식 면)으로부터 상기 부재에 적용된다. 상기 스티치는 입구 지점에서 상기 부품의 상기 장식 면으로 지나가고, 그리고 나서 상기 부품의 같은 장식 면에 있으나 대응하는 입구 지점의 위치에 대향하는 출구 지점에서 같은 장식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굽은 바늘(20)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 지점에서, 회전하는 또는 회전 가능한 보빈(bobbin) 조립체(30)의 후크(hook)(22)는, 상기 돌출의 동일 지점 또는 출구 지점을 통한 상기 바늘(20) 후퇴 개시 후에, 상기 바늘 실(24) 또는 상기 바늘 실(24)의 루프(loop)와 결합한다. 바늘 후퇴 중에, 일단 후크(22)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바늘 실(24) 또는 상기 바늘 실(24)의 루프가 결합하거나 또는 보빈 실(42) 둘레를 감싸고,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늘의 출구 지점을 통하여 상기 보빈 조립체(30)로부터 상기 보빈 실(42)을 잡아 당긴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늘 실(24)과 상기 보빈 실의 결합은 매듭(44)의 형성을 초래하고, 상기 매듭은 상기 입구 지점과 출구 지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스킨층(12)의 표면 아래에 있다.
일단 상기 바늘(20)이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완전히 빠져나가면, 그리고 나서 상기 물품(10)은 상기 공정을 반복하도록 전진/이동된다. 즉, 상기 부품(10)은 그 후에 약간 이동하고 상기 바늘(20)은 마지막 입구 지점에 인접한 다른 입구 지점에서 상기 부품의 장식면으로 지나가고, 그리고 나서 상기 마지막 출구 지점에 인접하고 상기 부품의 동일한 장식 면에 있으나 상기 대응하는 입구 지점에 대향하는 다른 출구 지점에서 동일한 장식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다시, 상기 후크 (22)는, 돌출의 같은 지점 또는 출구 지점을 통한 상기 바늘(20) 후퇴의 개시 후에 상기 바늘 실(24)과 결합한다. 바늘 후퇴 동안에, 상기 바늘 실(24)이 결합하고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늘의 출구 지점을 통해 상기 보빈 실(42)을 당긴다. 일단 상기 바늘(20)이 상기 물품(10)의 입구 지점을 통하여 완전히 빠져나가면 그 후에 상기 공정을 반복하도록 장치(26)에 의해 전진 또는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물품(10)은 (예를 들어, 다음의 스티치의 적용을 위해) 상기 공정이 반복되기 전에 봉제(sewing) 공정을 수행하는 개인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단계들이 반복됨으로써 (예를 들면, 하나는 상기 바늘 출구 지점들을 따라서 지나가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바늘 입구 지점들을 따라서 지나가는 서로 평행한 2세트의 스티치들인) 이중 스티치가 부품 또는 물품(10)에 제공된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10)은 고정되고, 상기 바늘(20)과 후크(22)는, 예를 들면, 상기 바늘(20) 및 후크(2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또는 로봇(28)에 의해 상기 부품(10)에 대하여 이동한다.
재료 구조에 따라, 상기 바늘(20)은 상기 장식층(12), 발포체(14) (만약 필요한 경우) 및 기재층(16)(만약 필요한 경우), 또는 상기 장식층(12) 및 발포체(14)(만약 필요한 경우)만을 뚫고 들어갈 수 있고, 상기 외부 장식층(12)만 사용되는 적용에서는 상기 바늘은 상기 외부 층(12)만 오로지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층(12)의 두께에 따라, 상기 바늘(20)은, 상기 장식면으로부터 들어가서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장식면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한, 완전히 이 층을 통과하여 지나갈 필요는 없다. 오직 단일층(12)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매듭(44)은 상기 외부층(12)에 위치될 수 있다. 오직 장식층(12)과 발포층(14)을 구비한 부재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매듭(44)은 상기 발포층(1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식층(12), 발포층(14) 및 기재층(16)을 구비한 부재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매듭(44)은 기재층(16)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발포층(14)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매듭(44)은, 상기 바늘(20)에 의해 침투되는 층(12)의 제1 표면 또는 외부 표시면 아래에 있는 한은, 어떠한 층들 아래에 또는 층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부품(10) 또는 제품은, 비록 부품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로봇식 봉제의 사용이 취급 문제로 인하여 더 타당하게 될지라도, 수동 또는 자동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봉제 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바늘(20)에 대한 상기 후크(22)의 두 가지 가능한 방향들을 나타낸다. 도 8a에서, 수직형 후크(22)는 상기 바늘(20)의 봉제 방향과 평행하다. 도 8b에서, 상기 수직형 후크(22)는 상기 바늘(20)의 봉제 방향에 수직이다. 비록 두 가지 방향이 도시되어 있으나 수많은 방향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22)는, 축(34)에 대하여 화살표(32)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빈 조립체 또는 보빈 케이스(30)에 위치한다. 후크(2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바늘 실(24) 또는 바늘 실(24)의 루프는 상기 바들(20)의 스카프(scarf)(36)에 근접한 상기 후크(22)에 의해 붙잡힌다.
이제 도 9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사이클 또는 스티치 사이클(cycle)의 다양한 단계들이 도시되어있다. 도 9에서, 상기 바늘(20)이 바늘(20)의 하사점(BDC: bottom dead center)으로부터 화살표(38) 방향으로 후퇴하기(빠져나오기) 시작하는 경우, 상기 후크(22)는 상기 바늘 실(24)과 결합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0)이 화살표(38)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후퇴하고 상기 보빈 조립체(30)의 보빈(40)과 후크(22)가 화살표(3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후크(22)는 보빈 조립체(30)의 보빈(40) 둘레로 상기 바늘 실(24)을 당긴다.
도 11은, 상기 바늘(20)이 화살표(38) 방향으로 계속해서 후퇴하는 경우, 상기 바늘 실(24)을 당기는 상기 후크(22)를 도시한다. 도 12는 상기 보빈 조립체(30)가 화살표(3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바늘 실(24)을 해제하기 시작하는 상기 후크(22)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상기 부품(10)이 상기 바늘(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는 경우, 상기 해제된 바늘 실(24)이 새로운 스티치(18)를 형성하도록 상기 부품(10)에 대하여 단단히 보빈 실(42)을 당긴다. 도 14에서, 상기 스티치(18)가 완료되고, 상기 부품(10)은 새로운 스티치(18)의 시작을 위해 새로운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실 매듭(44)이 상기 발포층(14)에 또는 외부 층(12)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매듭(44)은, 상기 후크(22)가 상기 보빈 케이스 또는 보빈 조립체(30) 둘레로 상기 바늘 실(24)을 운반할 때마다 매번 형성된다. 일단 상기 후크(22)가 상기 바늘 실(24)을 해제하면, 상기 보빈 케이스 또는 보빈 조립체(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보빈 케이스(30)에 수용된, 보빈 와인딩(winding)으로부터) 나오는 보빈 실(42)의 길이를 당긴다. 그리고 나서 상기 부품(10)이 상기 바늘(20)과 후크(22)에 대하여 옮겨지는(translated) 경우, 상기 후크(22)는 다음 바늘 실(24)을 픽업(picks up)하고, 또다시 상기 보빈 케이스와 실(42) 둘레를 감싼다. 상기 사이클은, 상기 바늘 실(24)과 보빈 실(42)이 연속되는 경우, 그 자체로 반복된다.
도 15는 다음 스티치의 시작에 대해 준비가 된 경우에, 새로운 위치에 있는 부품(10)을 도시한다. 도 16에서, 상기 다음 스티치 사이클이 시작되고 상기 바늘(20)은 화살표(46)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상기 부품(10)은 다시 상기 바늘(20)에 의해 관통된다. 도 17은 상기 부품(10)을 다시 한번 빠져나오는 실(20)을 도시하고, 도 18에서는 상기 후크(22)가 상기 바늘 실(24)을 픽업하도록 상기 바늘(20)에 결합한다. 도 19는, 상기 바늘(20)이 화살표(38) 방향으로 후퇴하는 경우의 상기 보빈(40) 둘레로 상기 바늘 실(24)을 당기는 후크(22)를 도시하고, 상기 스티치 사이클은 원하는 양의 스티치(18)들이 상기 부품(10)에 적용될 때까지 계속 된다.
이 방법의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장점은: 단단한 기재 재료(16) 그 자체를 관통하지 않고 반-완성(semi-finished) 또는 완성된 소프트 클래드 기재 스킨(soft clad substrate skin)(12) 또는 스킨(12)과 발포체(14)의 스티치를 허용하고, 스티치 라인에서 부재 무결성의 손실이 없는 결과를 초래하며; 발포 후에 발포-인-플레이스(foamed-in-place) 제품의 봉제를 허용하며; (도면들을 참고하면) 이중 실(프렌치 심(French seam)) 스티치 패턴 및/또는 다른 장식 패턴을 생성하는 하나의 바늘(20)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뒷면 부분 액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부품 고정물의 자동화 (로봇) 바느질을 가능하게 하고; 실 매듭이 이제 훨씬 더 두꺼운 단면 내에 한정되게 하여, 상기 부품의 상부 측면의 출현 가능성을 줄이며, (예들 들면, 적어도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층에서 실로 장식된(threaded) 매듭(44)의 위치를 참고하면, 예를 들면 "뱀 눈(snake eye)"효과를 야기하고); 예를 들면 클러스터 브로우 팁(cluster brow tips), 부품의 가장자리를 따른 날카로운 반경, 및 기타 매우 좁은 채널들의 스티치들로 이제 봉제 될 수 있는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적용 분야들에 대해 접근이 가능해지고; 추가의 재료 또는 노동이 없이도 (여기에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적어도 참조하면) 웰트 비드(welt beads)와 같은 대체 장식 스타일들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두 번째" 등과 같은 용어들은 여기서 어떠한 순서, 양,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어 "하나("a" 및 "an")"는 여기서 수량의 제한을 표시하지 않고, 오히려 참조된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상부" 및 "하부"의 용어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어느 하나의 위치 또는 공간적 배향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수량과 관련하여 사용된 수식어 "약"은 기재된 값을 포함하고, 문맥에 의해 지시된 의미를 포함한다(예를 들면, 특정한 양의 측정과 관련된 오차의 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요소들이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되지만,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6)

  1. 내부 부재의 외부 스킨층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a) 굽은 바늘로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의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가는 단계로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가는 단계에서는 제1 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서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며;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하여 위치한 후크로 상기 제1 실을 잡는 단계;
    d)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을 통하여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제2 실을 당기는 동안에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후크에 대하여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f)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5.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고,
    중간층이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상기 발포층에 적용되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고,
    중간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되고, 상기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이고,
    기재층이 상기 발포층에 적용되며,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4. 외부 스킨층, 기재층 및 상기 외부 스킨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한 중간층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의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오는 단계로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오는 단계에서는 제1 실이 상기 외부 스킨층 상에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며;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하여 위치한 후크로 상기 제1 실을 잡는 단계;
    d)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을 통하여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제2 실을 당기는 동안에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과하는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후크에 대하여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f)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이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 동안에 상기 바늘은 또한 상기 중간층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의 방법으로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18. 외부 스킨층과 이에 적용된 발포층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에 스티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굽은 바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1 표면에 입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뚫고 들어가는 단계;
    b) 상기 굽은 바늘로 상기 제1 표면의 출구 지점에서 상기 외부 스킨층을 빠져나오는 단계로서, 상기 뚫고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빠져나오는 단계에서는 제1 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하며, 상기 발포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되며,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며, 상기 바늘은 상기 입구 지점과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발포층의 일부분을 통과하여 지나가며;
    c) 상기 출구 지점에 근접하여 위치한 후크로 상기 제1 실을 잡는 단계;
    d)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실을 통하여 상기 출구 지점을 통하여 제2 실을 당기는 동안에 상기 출구 지점과 상기 입구 지점을 통하여 상기 바늘을 빼내는 단계;
    e) 상기 바늘과 후크에 대하여 새로운 위치로 상기 외부 스킨층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f) 기설정된 양의 스티치들이 상기 외부 스킨층에 적용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스페이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고,
    중간층은 상기 외부 스킨층의 제2 표면에 적용되며,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며,
    상기 중간층은 발포층이고 기재층은 상기 발포층에 적용되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티치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굽은 바늘은 상기 외부 스킨층, 상기 발포층 및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8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재로서,
    상기 내부 부재는 차량의 내부 트림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피스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부재.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킨층은 비닐, 가죽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삭제
  26. 삭제
KR1020177007157A 2014-08-22 2015-08-24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KR10242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0979P 2014-08-22 2014-08-22
US62/040,979 2014-08-22
PCT/US2015/046597 WO2016029223A1 (en) 2014-08-22 2015-08-24 Method and apparatus for blind stitching a formed component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07A KR20170048407A (ko) 2017-05-08
KR102425419B1 true KR102425419B1 (ko) 2022-07-26

Family

ID=5534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157A KR102425419B1 (ko) 2014-08-22 2015-08-24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566763B2 (ko)
EP (1) EP3191635B1 (ko)
JP (1) JP6824157B2 (ko)
KR (1) KR102425419B1 (ko)
CN (1) CN107075764B (ko)
WO (1) WO2016029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390A1 (ja) * 2015-07-29 2017-02-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シート状成形体、及び、積層体
US11840188B2 (en) * 2018-06-28 2023-12-12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WO2020006288A1 (en) * 2018-06-28 2020-01-02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trim component
CN108978050B (zh) * 2018-08-29 2024-05-07 天津工业大学 复合材料缝合机械手的末端缝合装置及其线迹形成方法
DE102020202270A1 (de) 2020-02-21 2021-08-26 Pfaff I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Gmbh Nähmaschine
DE102020203567B3 (de) * 2020-03-19 2021-03-18 Magna Seating (Germany) Gmbh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r Anzahl Vertiefungen in einen Sitzbezu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JP2022120918A (ja) * 2021-02-08 2022-08-19 株式会社タチエス 表皮、形成品および車両用シート
CN113914017B (zh) * 2021-09-29 2023-12-15 武汉纺织大学 一种使用钩针锁式线迹缝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242A (ja) * 2012-04-10 2013-10-24 Inoac Corp 車両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762A (en) * 1925-12-14 1927-05-19 Masch Werke Zu Frankfurt A M Improvements in shoe sewing machines
US3468275A (en) * 1963-02-01 1969-09-23 United Shoe Machinery Corp Ornamental moccasin type seams
IT1192031B (it) * 1986-05-07 1988-03-31 Ciucani Mario Macchina automatica perfez. per la cucitura di articoli vari in particolare articoli di pelle
DE4400239A1 (de) * 1994-01-07 1995-07-13 Mayer Textilmaschf Abstandsgewirk,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Kettenwirk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IT1280003B1 (it) * 1995-08-01 1997-12-23 Mario Ciucani Metodo per la cucitura di articoli vari, in particolare articoli di pelle, e macchina per attuare tale metodo.
JP3170238B2 (ja) * 1997-03-24 2001-05-28 洋 古舘 縫製システム及び縫製方法
US20100326341A1 (en) * 2009-06-25 2010-12-30 Askar Dzhamilevich Mingazhev Transformable structure for producing a multi thread single line stitch and method and machine for its realization
DE112012002890T5 (de) * 2011-07-08 2014-04-17 Inteva Products, Llc Vorrichtung zum Vernähen von Komponenten im Innenraum von Fahrzeugen
DE112012002886B4 (de) 2011-07-08 2022-12-29 Inteva Products Llc. Fahrzeuginnenraumkomponentennähverfahren und mit dem Verfahren erzeugtes Fahrzeuginnenraumverkleidungsstück
RU2467671C1 (ru) * 2011-07-20 2012-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му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делочного шва
DE102011118813B3 (de) * 2011-11-11 2013-01-24 Steffen Pfeil Näheinrichtung zur Verbindung von mehreren Einzellagen textiler Werkstoffe zu einem Mehrlagenstapel auf festen Formunterlagen
US9067544B2 (en) * 2013-04-19 2015-06-30 Fca Us Llc Vehicle interior component with stitch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242A (ja) * 2012-04-10 2013-10-24 Inoac Corp 車両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7363A (ja) 2017-09-21
EP3191635B1 (en) 2019-06-05
EP3191635A4 (en) 2018-02-28
US9566763B2 (en) 2017-02-14
EP3191635A1 (en) 2017-07-19
US10315383B2 (en) 2019-06-11
US20170246837A1 (en) 2017-08-31
KR20170048407A (ko) 2017-05-08
CN107075764B (zh) 2020-08-14
CN107075764A (zh) 2017-08-18
US20160052465A1 (en) 2016-02-25
WO2016029223A1 (en) 2016-02-25
JP6824157B2 (ja)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419B1 (ko) 형성된 부재를 블라인드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US9889802B2 (en)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KR102440390B1 (ko) 3차원 형상 부품을 스티칭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US986904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s
EP30277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tching vehicle interior components
KR102384257B1 (ko)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JP2017525454A5 (ko)
JP6865165B2 (ja) 車両内装部材にステッチを施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