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143B1 -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143B1
KR102382143B1 KR1020177004438A KR20177004438A KR102382143B1 KR 102382143 B1 KR102382143 B1 KR 102382143B1 KR 1020177004438 A KR1020177004438 A KR 1020177004438A KR 20177004438 A KR20177004438 A KR 20177004438A KR 102382143 B1 KR102382143 B1 KR 10238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rrier
tool
region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535A (ko
Inventor
하인리히 발다우프
프란시스코 루프
토마스 펠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4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45/1422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by tools, e.g.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418Sealing means between mould an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29C45/14647Making flat card-like articles with an incorporated IC or chip module, e.g. IC or chip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5Mou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4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encapsulating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3Moulding and encapsulation; Deposition techniques; Protective layers
    • H05K2203/1305Moulding and encapsulation
    • H05K2203/1316Moulded encapsulation of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3Moulding and encapsulation; Deposition techniques; Protective layers
    • H05K2203/1305Moulding and encapsulation
    • H05K2203/1327Moulding over PCB locally or comple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요소(12)를 갖는 회로 캐리어(11)와, 회로 캐리어(11) 상에 형성되며 제어 유닛(10)의 전기 콘택팅을 위한 접촉 영역(14)을 갖는 연결 영역(13)과, 상기 회로 캐리어(11)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케이싱을 형성하는 성형 화합물(21)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유닛(10), 특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 화합물(21)은 회로 캐리어(11)의 상부면 및 하부면(16, 17) 및 회로 캐리어(11)의 측면들(18 내지 20)을 적어도 연결 영역(13)의 접촉 면(14)의 영역을 제외하고 둘러싸며, 상기 연결 영역(13)의 접촉 면(14)에는 성형 화합물(21)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캐리어(11)는 적어도 상기 연결 영역(13)의 하나의 측면(18, 19)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향 측면(18, 19)의 영역에서 회로 캐리어(11)의 방향으로 리세스(25, 26)를 포함하므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ELECTRONIC CONTROL UNIT, MOLD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전자 제어 유닛은 실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어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DE 10 2011 055 442 A1에는, 웨브 등을 갖는 성형 공구의 상응하는 설계에 의해, 성형 화합물이 없는 제어 유닛 상의 영역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실제로 예를 들어 특히 차량 등의 케이블 하니스 플러그와의 전기 콘택팅을 위해 연결 영역에 성형 화합물이 없는 회로 캐리어를 구비한 제어 회로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 폐쇄 상태에서 성형 공구를 통한 연결 영역의 안내를 위한 통과 영역을 포함하는 성형 공구가 사용된다. 이로 인해, 연결 영역을 제외하고 성형 화합물에 의해 둘러싸인 회로 캐리어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하를 받는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웨브 형태 요소에 의한 성형 공구의 상부면 또는 하부 면에서 회로 캐리어의 통과 영역의 밀봉은 비교적 문제가 되지 않지만, 회로 캐리어의 측면에는 성형 공구에 대한 밀봉이 매우 복잡하게만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들이 남는다. 이는 회로 캐리어의 비교적 작은 두께 및 부품 공차에 기인하며, 상기 부품 공차는 밀봉 요소 등의 비교적 복잡한 설계를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종종 회로 캐리어의 측면 상의 성형 화합물이 성형 공구로부터 나오고, 상기 성형 화합물이 연결 영역 상에, 특히 제어 유닛의 전기 콘택팅을 위한 접촉 면의 영역에 있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추가의 밀봉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회로 캐리어의 통과 영역의 폭에 대한 성형 공구의 적절한 공차에 의해, 성형 공구가 회로 캐리어의 측면 상에 지지됨으로써, 성형 공구로부터의 성형 화합물의 배출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시도될 수 있기는 하지만, 회로 캐리어(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공차로 인해, 허용 불가능하게 높은 기계적 부하가 회로 캐리어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손상이 배제될 수 없다. 이는 그러한 손상이 제조 과정에서 검출되지 않고 전자 제어 장치의 수명에 걸쳐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 특히 심각하다.
상기 종래 기술을 기초로, 본 발명의 과제는, 회로 캐리어의 손상을 일으키는 기계적 부하가 회로 캐리어에 가해지지 않으면서, 연결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회로 캐리어의 측면들의 영역에서 성형 공구로부터 성형 화합물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전자 제어 유닛에서, 회로 캐리어는 적어도 연결 영역의 하나의 측면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회로 캐리어의 2개의 대향 측면의 영역에서 회로 캐리어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설계됨으로써 해결된다. 달리 표현하면, 이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가장자리 구역을 제공함으로써, 회로 캐리어, 특히 회로 캐리어의 중앙 구역에 대한 기계적 부하가 없거나 또는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구역에는 접촉 면을 형성하기 위한 및/또는 접촉 면을 회로 캐리어 상의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이로 인해, 탄성 변형 가능한 가장자리 구역이 연결 영역에 대한 성형 공구의 통과 영역에서 성형 공구에 대한 공차 보상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부품 공차를 갖는 회로 캐리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제어 유닛의 바람직한 개선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회로 캐리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회로 캐리어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설계되고,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된 리세스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영역에 형성된다.
리세스의 구조적 실시 예에서, 리세스는 측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긴 홀로서 형성되므로, 긴 홀과 측면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한 웨브가 형성되고, 상기 웨브는 성형 공구와 협력한다.
바람직한 기하학적 치수 설계에서, 웨브는 0.2 mm 내지 0.6 mm, 바람직하게는 0.4 mm의 폭을 가지며, 긴 홀은 2 mm 내지 7 mm,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5 mm의 길이를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은 0.8 mm 내지 1.6 mm,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1.6 m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의 제조를 위한 성형 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공구는 분리 평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동 가능한 공구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 요소들은 폐쇄 위치에서 회로 캐리어의 부분적 수용을 위한 공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 공구는 또한 상기 공구 요소들의 폐쇄 위치에서 형성되며 공동부 외부에 회로 캐리어의 연결 영역을 배치하기 위한 관통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회로 캐리어의 연결 영역 내에 회로 캐리어에 대해 횡으로 회로 캐리어를 향해 연장하는 방향으로 회로 캐리어 변형 수단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들의 구조적인 구현에서, 이 수단들은 회로 캐리어의 측면에 대해 경사지며, 공구 요소들이 폐쇄 위치로 서로 이동될 때 회로 캐리어의 방향으로 향한 힘을 회로 캐리어에 제공하도록 설계된 영역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져 연장된 영역이 회로 캐리어의 탄성 변형 가능한 가장자리 구역을 변형시키고, 상기 영역이 회로 캐리어 상에 지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영역이 공구 요소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공구 요소들의 폐쇄 위치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면서 회로 캐리어의 에지에 지지되는 성형 공구의 실시예가 특히 간단하며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수단들은 하나의 공구 요소에만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사상의 구조적 개선에서, 성형 공구는 2개의 공구 요소, 즉 하부 공구 절반부 및 상부 공구 절반부로 이루어지며, 둘 다 바람직하게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단들은 상부 공구 절반부 상에 배치되며, 하부 공구 절반부는 회로 캐리어를 하부 공구 절반부에 대해 정렬시키기 위한 포지셔닝 수단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지금까지 설명된 성형 공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 회로 캐리어를 성형 공구의 제 1 공구 요소 내로 삽입하고, 상기 제 1 공구 요소 내에 회로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회로 캐리어의 연결 영역은 회로 캐리어용 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형 공구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단계,
- 폐쇄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제 1 공구 요소를 제 2 공구 요소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회로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향 측면이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공구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영역으로 회로 캐리어의 변형된 측면의 영역에 밀봉 방식으로 지지되는, 상기 단계,
- 공구 요소들의 폐쇄 위치에서 공구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 회로 캐리어용 공동부 내로 성형 화합물의 주입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특징들 및 세부 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하기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다.
도 1은 전자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 상에 성형 화합물로 제조된 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어 유닛의, 성형 화합물을 갖는 회로 캐리어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평면도.
도 3은 회로 캐리어의 연결 영역에서 도 2에 따른 제어 유닛 및 성형 공구의 부분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성형 공구의 상이한 위치 동안 도 3의 화살표 Ⅳ 방향으로 부분 절단된 도면.
동일한 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 및 도 2는 제어 장치 형태의 전자 제어 유닛(10)을 도시한다. 전자 제어 유닛(10)은 엔진 및/또는 편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바람직하게는 오토바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제어 유닛(10)은, 예를 들어, 0.8 mm 내지 1.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1.6 mm의 두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형태의 회로 캐리어(11)를 포함한다. 전기 또는 전자 요소들(12)은 공지된 방식으로 회로 캐리어(11)의 표면 상에 배치되며, 도 1 및 도 2에서는 간소화를 위해, 단지 몇 개의 요소(12)만이 도시된다. 또한, 회로 캐리어(11)는 전자 제어 유닛(10)을 커넥터(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케이블 하니스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영역(13)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 연결 영역 (13)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회로 캐리어(11) 상에 배치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대략 직사각형의 전기 전도성 접촉 영역(14)이 배치된다. 상기 회로는 요소들(12)로 구현된다.
회로 캐리어(11)는 연결 영역(13)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상부면(16), 하부면(17) 및 3 개의 측면(18-20)의 영역에서 성형 화합물(21)에 의해 둘러싸인다. 전자 제어 유닛 (10)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성형 화합물(21)은 특히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이며, 성형 화합물(21)에 의해 둘러싸인 회로 캐리어(11)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몰딩 공정이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영역(13)이 적어도 접촉 영역(14)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전체 연결 영역(13)에 성형 화합물(21)을 갖지 않음으로써 연결 영역(13)에서 상응하는 커넥터의 전기적 콘택팅이 가능해진다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또한 성형 화합물(21)에 의해 케이싱의 형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성형 공구(100)를 도시한다. 특히, 성형 공구(100)는 각각 통 형태로 형성된 2개의 공구 절반부들(101, 102)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 절반부들(101, 102)은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는 예를 들어 화살표(104)의 방향으로 상부 공구 절반부(101)의 상승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공구 절반부들(101, 102)이 회로 캐리어(11)의 수용을 위한 공동부(103)를 형성한다. 성형 공구(100)의 개방 위치는 한편으로는 회로 캐리어(11)를 성형 공구(100) 내로 삽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형 화합물(21)로 공동부(103)를 채운 후에 전자 제어 유닛(10)을 성형 공구(100)로부터 꺼내기 위해 사용된다. 성형 공구(100)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성형 공구는 회로 캐리어(11)를 위한 슬롯 형태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관통구(106)를 형성함으로써, 회로 캐리어(11)의 연결 영역(13)이 성형 공구(1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성형 공구(100) 내에서 회로 캐리어(11)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위해, 예를 들어 하부 공구 절반부(102)에서 회로 캐리어(11)의 연결 영역(13) 내에 2개의 포지셔닝 핀(105)이 배치되며, 상기 핀들은 회로 캐리어(11) 내에 배치된, 2개의 측면(18, 19)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홀들(22, 23) 내에 맞물린다. 포지셔닝 핀(105)용 수용부를 긴 홀(22, 23)로서 형성함으로써, 회로 캐리어(11)는 도 2에 도시된 X 축에서만 성형 공구(100) 내에 고정되거나 배치되는 한편, Y 축에서는 성형 공구(100) 내에서 회로 캐리어(11)의 변위 가능성이 주어진다.
2개의 공구 절반부(101, 102)는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분리 평면(110)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 평면(110)은 회로 캐리어(11)의 중심 평면에서 연장된다. 특정 저압 하에서 이루어지는, 폐쇄된 성형 공구(100) 내로 성형 화합물(21)의 주입 시, 성형 공구(100)로부터 연결 영역(13)의 방향으로 성형 화합물(21)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성형 공구(100) 및 회로 캐리어(11)는 특별하게 설계된다. 특히, 회로 캐리어(11)는, 도 2 및 도 3에 의해 명확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 영역(13)에서 대향하는 가장자리 구역에서 2개의 측면(18, 19)의 영역에 배치된, 긴 홀(26) 형태의 리세스(2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긴 홀들(26)은 회로 캐리어(11) 상의 접촉 영역들(14)과 대략 정렬된다. 긴 홀들(26)은 회로 캐리어(11)의 2개의 측면(18, 19)으로부터 0.2 mm 내지 0.6 mm, 바람직하게는 0.4 mm의 거리(a)에 배치된다. 또한, 긴 홀(26)의 길이는 2 mm 내지 7 mm,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5 mm이다. 회로 캐리어(11)의 측면들(18, 19)과 긴 홀들(26) 사이에는, 회로 캐리어(11)의 재료로 이루어진, 화살표(29, 30)의 방향으로 회로 캐리어(11)를 향해 이동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한, 탄성 변형 가능한 웨브(27, 28)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밀봉 영역(112)은 관통구(106) 또는 긴 홀(26) 영역에서 성형 공구(100)의 상부 공구 절반부(101) 상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배치된다. 밀봉 영역(112)은 긴 홀(26)의 영역에서 각각 수직선에 대해 각도 α로 배치된 경사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113)는 각각의 측면(18, 19)을 한정하는 회로 캐리어(11)의 상부 에지(24)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는, 경사부(113)가 회로 캐리어(11)의 에지(24)와 접촉하는 경우, 성형 공구(100)의 폐쇄 동안 또는 2개의 공구 절반부(101, 102)의 이동 중에 설정된 밀봉 영역(112)의 위치가 나타난다. 밀봉 영역(112)이 화살표(115)의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힘 성분(F)이 경사 부(113)로 인해 에지(24) 상에 생성되어, 회로 캐리어(11)를 향한 방향으로 회로 캐리어(11)의 각각의 웨브(27, 28)의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밀봉 영역(112)에 지지되는 에지(24)의 영역에서, 성형 화합물(21)이 성형 공구(100) 외부의 각각의 측면(18, 19)의 영역 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이 달성된다.
전술한 전자 제어 유닛(10) 또는 성형 공구(100)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경사부(113)를 갖는 밀봉 영역(112) 대신, 예를 들어 스프링 부하를 받는 밀봉 요소들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밀봉 요소들은 성형 공구(100)의 폐쇄 시에 회로 캐리어(11)의 평면에서 외부로부터 측면(18, 19)으로 긴 홀(26)의 영역에서 회로 캐리어(11) 또는 웨브(27)에 작용한다.
10 제어 유닛
11 회로 캐리어
12 요소
13 연결 영역
14 접촉 영역
16 상부면
17 하부면
21 성형 화합물
25 리세스
26 긴 홀
27, 28 웨브
100 성형 공구
101, 102 공구 요소
103 공동부
106 관통구
110 분리 평면

Claims (10)

  1. 전자 요소(12)를 갖는 회로 캐리어(11)와, 상기 회로 캐리어(11) 상에 형성되며 제어 유닛(10)의 전기 콘택팅을 위한 접촉 영역(14)을 갖는 연결 영역(13)과, 상기 회로 캐리어(11)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케이싱을 형성하는 성형 화합물(21)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유닛(10)로서, 상기 성형 화합물(21)은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상부면 및 하부면(16, 17) 및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측면들(18 내지 20)을 적어도 상기 연결 영역(13)의 접촉 면(14)의 영역을 제외하고 둘러싸며, 상기 연결 영역(13)은 상기 연결 영역(13)의 상기 접촉면(14)에서 상기 성형 화합물(21)을 갖지 않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회로 캐리어(11)는 적어도 상기 연결 영역(13)의 하나의 측면(18, 19)의 영역에서 상기 회로 캐리어(11)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캐리어(11)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18, 19)의 영역에는 상기 측면(18, 19)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된 리세스(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5)는 상기 측면(18, 19)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긴 홀(26)로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긴 홀(26)과 상기 측면(18, 19)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한 웨브(27, 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27, 28)는 0.2 ㎜ 내지 0.6 ㎜의 상기 측면(18, 19)에 대한 간격(a)을 갖고, 상기 긴 홀(26)의 길이(l)는 2 ㎜ 내지 7 ㎜이며,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두께는 0.8 ㎜ 내지 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닛.
  5. 분리 평면(110)을 형성하고, 회로 캐리어(11)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폐쇄 위치에서 공동부(103)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공구 요소들(101, 102)과, 상기 공동부(103)의 외부에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연결 영역(13)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공구 요소들(101, 102)의 폐쇄 위치에서 형성되는 관통구(106)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10)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100)에 있어서,
    상기 공구 요소들(101, 10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영역에, 상기 회로 캐리어(11)에 대해 횡으로 상기 회로 캐리어(11)를 향해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변형 수단(112)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112)은 하나의 공구 요소(101)에만 배치되고,
    상기 성형 공구(100)는 2개의 공구 요소(101, 102), 즉 하부 공구 절반부와 상부 공구 절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단(112)은 상기 상부 공구 절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공구 절반부는 상기 하부 공구 절반부에 대해 상기 회로 캐리어(11)를 정렬하기 위한 포지셔닝 수단(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공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12)은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측면(18, 19)에 대해 경사져 연장하는 영역(113)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폐쇄 위치로 상기 공구 요소들(101, 102)의 이동시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방향으로 향한 힘(F)을 상기 회로 캐리어(11)에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공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113)은 상기 공구 요소(10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구 요소(101, 102)의 폐쇄 위치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에지(2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공구.
  8. 삭제
  9. 삭제
  10. 제 5 항에 따른 성형 공구(100)를 사용해서 제 1 항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성형 공구(100)의 제 1 공구 요소(102) 내로 회로 캐리어(11)를 삽입하고 상기 제 1 공구 요소(102) 내에 상기 회로 캐리어(11)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연결 영역(13)이 상기 회로 캐리어(11)용 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성형 공구(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단계,
    - 폐쇄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제 2 공구 요소(101)에 대해 상기 제 1 공구 요소(102)를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공구 요소들(101, 102) 중 적어도 하나가 밀봉부로서 사용되는 영역(113)으로 상기 회로 캐리어(11)의 변형된 측면(18, 19)의 영역에 밀봉 방식으로 지지되는, 상기 단계,
    - 상기 공구 요소들(101, 102)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공구 요소들(101, 102)에 의해 형성된, 상기 회로 캐리어(11)용 공동부(103) 내로 성형 화합물(21)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177004438A 2014-08-20 2015-08-04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KR102382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6518.0A DE102014216518A1 (de) 2014-08-20 2014-08-20 Elektronische Steuereinheit sowie Moldwerk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heit
DE102014216518.0 2014-08-20
PCT/EP2015/067948 WO2016026692A1 (de) 2014-08-20 2015-08-04 Elektronische steuereinheit sowie moldwerk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535A KR20170043535A (ko) 2017-04-21
KR102382143B1 true KR102382143B1 (ko) 2022-04-05

Family

ID=5378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438A KR102382143B1 (ko) 2014-08-20 2015-08-04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83946A1 (ko)
KR (1) KR102382143B1 (ko)
CN (1) CN106660243B (ko)
BR (1) BR112017002554B1 (ko)
DE (1) DE102014216518A1 (ko)
FR (1) FR3025062B1 (ko)
WO (1) WO2016026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0012A1 (de) * 2018-11-22 2020-05-28 Zf Friedrichshafen Ag Leiterplatte, Umspritzwerkzeug und Verfahren zum Umspritzen einer Leiterplatte
DE102019203422A1 (de) * 2019-03-13 2020-09-17 Robert Bosch Gmbh Adapterelement für eine Getriebe-Antriebseinrichtung, Getriebe-Antriebseinrichtung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Adapterele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3402A (ja) * 2004-12-16 2006-06-29 Hitachi Ltd 電子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834B2 (ja) * 1989-01-12 1996-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
TW560241B (en) * 2001-05-18 2003-11-01 Hosiden Corp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JP3829327B2 (ja) * 2002-05-20 2006-10-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カード部材
JP2007109499A (ja) * 2005-10-13 2007-04-26 Fujitsu Ltd コンタクト部材、コネクタ、基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20070279877A1 (en) * 2006-05-30 2007-12-06 Stephan Dobritz Circuit board arrangement
DE102010036910A1 (de) * 2010-08-08 2012-02-09 Ssb Wind Systems Gmbh & Co. Kg Elektrische Vorrichtung
DE102011055442A1 (de) 2011-11-17 2013-05-23 Rud. Starcke Gmbh & Co. Kg Flächiges, stauboffenes Schleifelement
DE102011122037A1 (de) * 2011-12-22 2013-06-27 Kathrein-Werke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Hochfrequenz-Verbindung zwischen zwei Plattenabschnitten sowie eine zugehörige elektrische Hochfrequenz-Verbindung
DE102012204904A1 (de) * 2012-03-27 2013-10-02 Robert Bosch Gmbh Sensoreinheit
DE102012213917A1 (de) * 2012-08-06 2014-02-20 Robert Bosch Gmbh Bauelemente-Ummantelung für ein Elektronikmodul
JP6140739B2 (ja) * 2013-02-08 2017-05-31 株式会社ケーヒン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3402A (ja) * 2004-12-16 2006-06-29 Hitachi Ltd 電子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2554A2 (pt) 2017-12-05
DE102014216518A1 (de) 2016-02-25
CN106660243B (zh) 2019-03-05
BR112017002554B1 (pt) 2022-11-29
WO2016026692A1 (de) 2016-02-25
EP3183946A1 (de) 2017-06-28
FR3025062B1 (fr) 2019-07-12
KR20170043535A (ko) 2017-04-21
FR3025062A1 (fr) 2016-02-26
CN106660243A (zh)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8290B2 (ja) 信号モジュールの成形方法
US9397432B2 (en) Connector
CN101911394B (zh) 具有底座、接触销和第二个销的压入式接触件
US20160294082A1 (en) Connector
US94442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83064B (zh) 具有固定插件之電氣連接器及插座組件
CN111344911A (zh) 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19014039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893615B2 (en) Printed circuit board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382143B1 (ko)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CN103875131A (zh) 具有插头壳体的用于机动车的控制器
JPWO2016084537A1 (ja) 電子制御装置
US20200161784A1 (en) Circuit device
CN104518300B (zh) 电子电路装置
WO2014038605A1 (ja)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4868266A (zh) 具有固持部件的电连接器
CN107093811B (zh) 触头
JP6462529B2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
KR102395645B1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US9444185B2 (en) Guide device
CN110800093B (zh) 电路装置、电路装置的制造方法以及连接器
US11343921B2 (en) Electronic unit
US20160233628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or
US10326232B2 (en) Connector connecting member enabling holding-side connectors to be connected easily to device-side connectors
US9924598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