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122B1 -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122B1
KR102381122B1 KR1020200042065A KR20200042065A KR102381122B1 KR 102381122 B1 KR102381122 B1 KR 102381122B1 KR 1020200042065 A KR1020200042065 A KR 1020200042065A KR 20200042065 A KR20200042065 A KR 20200042065A KR 102381122 B1 KR102381122 B1 KR 10238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patient
bedtop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702A (ko
Inventor
임성범
임동규
임상균
Original Assignee
임성범
임동규
임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범, 임동규, 임상균 filed Critical 임성범
Priority to KR102020004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1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침대에 있어서, 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침대의 수직방향의 승강(lift-up and lift-down)동작과 환자의 상하체 위치를 임의 경사각으로 위치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용 침대중, 승강과기울기 가능한 침대는 경사방향의 동작시 흔들림과 진동의 발생으로 환자에게 불안감을 줌은 물론, 정밀한 ,MRI.CT X레이 검사등의 작업시 진동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주행 롤러와 업다운앵글조절부를 설치한 주행 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측에서 동작신호에 의하여 작동로드의 진출입동작으로 베드탑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
상기 승강조절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적재한 베드탑을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
상기 베드탑 프레임에 고정되어져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를 개발하였다.
특히 위시본 프레임 구조의 중앙부에 쇼크옵서버의 푸시풀로드 체결부가 핀 결합되어져, 승강동작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비틀림에 따른 이음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Up down height control system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 침대에 있어서, 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침대의 수직방향의 승강(lift-up and lift-down)동작과 환자의 상하체 위치를 임의 경사각으로 위치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는 의식이 없거나 혹은 다른 신체부위의 부상 혹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에 의하여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환자에 대하여 주사처치, 식이공급, 진단을 위한 영상 촬영 등 국부 치료, 수술, 주사, 세척 등의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환자가 상하체가 거동이 불편한 경우, 식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체일부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수동적인 방법 혹은 전동 장치에 의한 상체 일부의 상승동작이 가능한 침대들이 개발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행위외에도 환자의 영상촬영이 필요한 경우, 환자가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울 경우에는 환자의 특정부위 촬영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배치토록 침대의 위치 변이 장치로 조정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 11-347074호의 경우, 도 1 에 도시하듯이 침대의 단판 사이에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축을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이 승강하강 하면서 시트를 들어 올려 환자의 체위를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주로 환자의 욕창방지와 같은 처치를 위한 뒤척임의 제공 정도에 머물고 있다.
일본 특개평 20-307088호의 경우, 도 2 에 도시하듯이 대차에 추착된 전후 한 쌍의 전동식 리니어액튜에이터(A)와 이것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환자지지데크(FD)(RD)의 승강락(R)을 구비하고, 상기 대차(S)에 부속되는 캐스터용 베어링 포스트(3)의 좌우상호간격(W2)을 상기 승강락의 일정폭(W3)보다 협소 치수로서 그 승강락을 하강 작동시키는 동안 대차와 간섭하지 않고 지상높이(h1)를 낮게 확보할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특허는 리프트 기구(U)가 리프트암(65)과 지점축(67)을 통해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전후좌우 4개의 리프트암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리프트기구에 의하여 승강락이 대차와 간섭하지않고 크로스프레임과 거의 같은 설치높이까지 하강작동할 수있게 하여 저상형 스트레치가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특허에서 리프트기구로 4방향에서 상승하강 조치하여 높이 조절과 저상의 효과는 가능하게 되었지만, 리프트암에 의하여 지지됨에 따라 환자가 조금만 움직일 경우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환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것은 물론, 초정밀 영상촬영시 촬영에러가 발생하고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 10-1176603호에서는 도 4 에 도시하듯이 "침대프레임용 가로지지대와 침대프레임용 세로지지대를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에 머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 발받침판이 놓이게 설치되고 머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 발받침판의 위에는 매트가 놓이며, 머리받침판, 다리받침판, 발받침판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상태에따라 매트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침대와,
상기 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대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기는,
바닥프레임용 가로지지대와 바닥프레임용 세로지지대를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전방링크브라켓 및 후방링크브라켓과,
상기 전방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회전축과,
상기 후방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전방회전축에 고정되어 전방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전방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전방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제2링크와, 일단은 상기 전방링크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제2링크의 중간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링크지지대로 이루어진 전방링크와,
일단이 상기 후방회전축에 고정되어 후방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후방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후방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후방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제2링크와, 일단은 상기 후방링크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제2링크의 중간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링크지지대로 이루어진 후방링크와,
상기 후방회전축의 일부분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작동바와,
상기 전방회전축의 일부분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방작동바와,
상기 후방작동바의 단부와 전방작동바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동대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후방작동바의 단부와 연결되게 설치된 승강용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용실린더가 작동되어 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후방작동바를 밀게 되고 후방작동바가 회전하면서 후방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과 동시에 후방작동바가 밀리면서 연동대를 통해 전방작동바를 당기게 되고 전방작동바가 회전하면서 전방회전축을 후방회전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후방회전축과 연결된 후방링크와 전방회전축과 연결된 전방링크가 들어 올려지면서 침대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상승 동작은 "후방링크(240)는 일단이 후방회전축(230)에 고정되어 후방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는 후방 제1링크(242)와, 일단은 후방 제1링크(242)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침대프레임(110)의 후방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제2링크(244)와, 일단은 후방링크브라켓(22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후방 제2링크(244)의 중간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링크지지대(246)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후방링크(240)는 후방회전축(230)이 회전하면 후방 제1링크(242)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 제1링크(242)와 후방 제2링크(244)의 절곡된 연결 부분이 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후방 제2링크(244)가 상승하면서 침대(100)가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후방 링크지지대(246)가 후방 제2링크(244)와 후방링크브라켓(220)을 잡아주기 때문에 후방 제1링크(242)와 함께 후방 제2링크(244)가 상승하면서 침대(100)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라고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 치명적 문제점으로,
링크지지대(246)(266)가 전방링크(260)과 후방링크(240)의 제1링크(244)와 제2링크(242)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승 하강 동작시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는 체결부에 대한 치밀한 체결을 이루지 못하여, 상승 하강시 환자가 조금만 움직이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은 하부의 모터의 구동시 전방과 후방의 모터가 동시에 가동한다 하여도 회전속도와 모터 시작 시간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특히 체결부가 밀접한 체결이 되는 경우 심한 마찰로 인하여 "끼이익"하는 마찰음을 발생하면서 심한 경우 "잼(jamming)"현상이 발생하여 상승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상승과 하강 동작 중간에 멈추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거나, 모터가 파괴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침대를 최고 높이로 상승한 경우에는 흔들림이 없지만, 중간 위치에 배치할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 못하고 조그만 움직임에도 흔들림이 발생하고 있다. 즉, 환자를 의사나 간호사의 처치동작시 원하는 높이에서 처치를 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 특허 등록 제 10-2081700호 "조립식 전동침대"는 도 3 에 도시하듯이
"한 쌍의 횡프레임 및 종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4각틀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횡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고정틀이 마련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과 승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매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전동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프레임은 일측과 타측이 상호 착탈가능한 분리형으로 마련되되, 분리된 일측 연결부위에는 끼움돌기가 마련되며, 분리된 타측 연결부위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매트프레임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절첩식고정구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각각 상기 고정틀을 사이에 두고 고정틀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횡프레임에 두 쌍이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회동브라켓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 일단부는 상기 고정틀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 1샤프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작동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 1샤프트에, 타단은 상기 제 2샤프트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연동바;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에서 각각 한 쌍씩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연장브라켓; 및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각 끝단부가 상기 상연장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하연장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브라켓과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 각 사이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동작브라켓이 개재되되, 상기 동작브라켓의 일단은 각각 상기 회동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동작브라켓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동작브라켓과 상기 상연장브라켓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작동실린더가 팽창하면,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는 상기 회동브라켓과 동작브라켓이 힌지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한 정방향으로의 회동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상연장브라켓을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실린더가 수축하면,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는 상기 회동브라켓과 동작브라켓이 힌지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한 역방향으로의 회동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상연장브라켓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동침대."를 개발하였다.
상기 전동 침대는
승강수단(400)의 작동실린더(430)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틀(101)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 1샤프트(410)에 힌지결합하되, 상기 제 1샤프트(4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브라켓(412)을 마련하고 상기 작동실린더(430)의 타단이 상기 실린더브라켓(412)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작동실린더(430)가 팽창할 때 상기 제 1샤프트(4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실린더(430)가 수축할 때 제 1샤프트(41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침대가 상승동작할 때, 수직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전후방으로 침대 전체가 이동하였다가 상승하는 지그재그 방향으로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그재그 동작은 침대에 있는 환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함은 물론이며, 환자에게 의사 간호사에 의한 처치작업중 환자를 위로 올려서 치료하고자 할 때, 지그재그 방향의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예민한 처치 작업중 예기치 못한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항상 안고 있다.
본 발명은 환자를 적재한 침대를 상승동작시킬 때, 이음(異音)이나 진동의 발생이 전무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침대의 높이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여도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침대의 전방 혹은 후방을 의사나 간호사 혹은 환자가 원하는 위치의 경사도를 갖도록 배치하면서도,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베드탑과 베드탑을 잡아주는 프레임 간의 단차(높낮이 차이)가 없는 베드탑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직 상승과 경사상승 동작시 발생가능한 진동과 흔들림을 없애기 위하여 흔들림과 위치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재 보급되어 있는 환자용 침대의 베드탑 상부만을 잔류하고 하부 주행대차 부분을 교체하는 작업만으로 침대의 수직방향의 승강(lift-up and lift-down)동작과 환자의 상하체 위치를 임의 경사각으로 위치가능한 환자 침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행 롤러와 승강조절부를 설치한 주행 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측에서 동작신호에 의하여 작동로드의 진출입동작으로 베드탑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
상기 업다운 앵글 조절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적재한 베드탑을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t top)프레임,
상기 베드탑 프레임에 고정되어져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한 그리고 베드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를 설치한 침대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위시본프레임과 쇼크옵서버를 동시에 설치하여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비틀림에 의한 흔들림을 제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위시본 프레임에도 캠링을 설치하여 베드탑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이나 흔들림도 제거하여 주었다.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와 같은 심각한 질병을 겪는 환우들이 X선, MRI, CT.혹은 간호사나 의사 혹은 보호자에 의한 투약, 세척 등의 처치시 침대를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발생하던, 흔들림이나 진동의 문제를 위시본 프레임과 쇼크옵서버 그리고 위시본의 중앙에 설치한 캠링구조로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하였다.
따라서 수직 승하강 중 겪는 흔들림이나 이음 발생으로 인한 불편함의 해소는 물론 수직 승하강과 경사각도 조절이 어려운 일반침대라도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여 수직 승하강과 경사각 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서 환우들이 겪는 다양한 불편함을 최대한 없애주는 획기적 효과를 얻게 되었다.
도 1 은 종래 jp4155622 공개특허의 스트레치 침대의 측면도,
도 2 는 종래 jp200800307088A의 침대의 측면도,
도 3 은 한국 등록 특허 제 10-2081700호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한국 등록 특허 제 10-1176603호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주행대차와 업다운앵글조절부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설치 상태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베드탑 프레임과 베드탑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베드탑프레임에 베드탑이 내장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한 캠링의 측면구성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오버베드를 베드탑에 고정하기 위한 오버베드고정프레임과 오버베드고정부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을 최저위치에 배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침대 헤드부만을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을 설치한 침대의 바텀부만을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을 설치한 침대의 전체를 위로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6 는 본 발명의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부에 대한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양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하다", "연결되어" ,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환자용 침대라는 것은, 환자를 포함하여 가정용을 비롯하여 호텔, 펜션, 요양원 등의 다양한 형태의 침대 사용가능한 곳을 포함하며, 환자용이라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침대로 예시하는 것은 사각형 프레임 구조의 침대이며, 상부에 설치하는 베드탑,매트리스, 사이드 레일, 가이드바, 하부에 설치되는 전원을 이용한 각종 모터와 콘트롤장치와 콘트롤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들의 생략으로 인하여 이들 장치의 탈부착구조의 변경으로 인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5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6의 주행대차 사시도, 도 7의 캠링단면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베드탑프레임, 베드탑, 업다운앵글조절에 대한 구성은 도 8은 베드탑 프레임과 베드탑의 사시도, 도 9 의 베드탑프레임에 베드탑이 내장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한 캠링의 측면구성도에 의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1 은 본 발명의 오버베드를 베드탑에 고정하기 위한 오버베드고정프레임과 오버베드고정부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을 최저위치에 배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침대 헤드부만을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을 설치한 침대의 바텀부만을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을 설치한 침대의 전체를 위로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6 는 본 발명의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부에 대한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캐스터를 포함한 주행 롤러, 그리고 업다운앵글조절부를 설치한 주행 대차(10),
상기 주행대차의 내측에서 미 도시한 사용자의 콘트롤러에 의한 동작신호에 의하여 푸시풀 로드의 진출입동작으로 베드탑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20),
상기 업다운앵글절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적재한 베드탑을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30),
상기 베드탑 프레임에 고정되어져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행 대차는,
하부에 캐스터(1)들이 주행대차프레임의 전후좌우 하부에 설치되어 침대 전체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가능한다.
상기 주행대차는 통상적으로 4각형 주행대차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행대차프레임의 센터멤버에 업다운앵글조절장치(5)를 설치하였다.
상기 업다운앵글조절장치는 주행대차 프레임의 센터멤버(29)에 설치하며, 미도시한 콘트롤 장치의 신호에 의하여 전원 공급의 온오프에 따라 푸시풀로드(5a)가 전진후퇴함에 따라 센터폴(23)의 회전동작을 유도한다. 센터폴에는 위시본프레임(24)의 하링크의 단부(24b)가 체결되어있다. 이어서 위시본프레임의 상링크의 단부(24a)는 베드탑과 체결되어진다.
상기한 업다운 앵글 조절부의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는 센터멤버(29)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어져,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침대의 경사각도를 임의로 세팅하도록 작동한다.
상기한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는 푸시풀로드의 동작에 따라 센터폴과 연동하도록 설치하였으며, 더 나아가서, 상기 센터폴에는 위시본프레임(24)을 좌우양측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센터멤버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전후에도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푸시풀로드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센터폴에 체결되어있는 모든 위시본프레임의 하링크에 대한 동작전달이 이루어진다. 위시본프레임의 상링크는 베드탑과 피봇동작가능하도록 체결하여, 하링크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이것에 체결된 베드탑의 높낮이가 변경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에 대한 설명은 전후좌우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하므로, 상기하듯이 한 부분만의 설명으로 동일한 부호와 동일한 설명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도 10에 도시하듯이 상기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에 설치한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부에 캠링(26)을 설치한 것이다. 상링크는 내부의 캠(26a)과 연결되어지며, 하링크는 외곽의 링(26b)과 연결되어져, 상링크가 동작을 할 경우, 캠이 스프링으로 지지되어있는 볼의 내측에서 볼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더 이상의 이동 동작을 차단하게 한다. 반대로 하링크가 동작할 경우 외부의 링은 볼과의 점접촉만 이루어져 약간의 점접촉부에서의 마찰정도 만이 있을 뿐 원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베드탑과 연결된 상링크에 원하지 않는 힘이나 진동이 발생하여도 더 이상의 흔들림이나 이동동작을 차단하여 준다.
본 발명은 전후좌우에 설치된 위시본 프레임(24)과 그 위시본프레임마다 설치한 쇼크옵서버(25)는 베드탑의 상측에 설치되는 베드와 베드에 부속되는 오버베드, 사이드레일, 가이드레일등의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제거하여 베드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준다. 특히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한 캠링은 특별히 상링크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힘에 의한 이동동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준다. 따라서 위시본프레임의 구조적 특징과 쇼크옵서버 그리고 캠링의 상호보완적인 힘의 균질한 분산효과와 흡수로 인하여 베드탑 상부의 안정된 수직 승하강과 안정된 경사위치 배치효과를 거두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쇼크옵서버의 푸시풀로드(25a)가 상기 위시본 프레임의 캠링 설치된 중앙부와 체결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하듯이, 피봇핀(25b)을 상링크와 하링크의 체결공에 삽입설치하되, 통상적인 피봇핀의 설치와 달리, 상링크(25a)와 하링크(25b)의 피봇핀으로 역활하는 동시에 상기 푸시풀로드의 비틀림동작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여유부(d)를 두고 체결하였다. 이러한 체결은 베드탑에 대한 승강하강 동작 그리고 침대 헤드(head)부와 바텀(bottom)부에 대한 동작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의 약간의 동작지연이나 사소한 에러에 따른 동작위치의 차이, 동작중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비틀림을 흡수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푸시풀로드가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의 동작으로 위시본프레임의 확장 축소동작, 베드탑의 이동에 따른 미세한 위치변이에 따른 비틀림의 역작용, 센터폴의 위치변이로 인한 이상동작과 소음을 피봇핀을 중심으로 푸시풀로드의 미세한 이동으로 흡수제거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한 위시본프레임과 쇼크옵서버를 도 7에 도시하듯이,측면에서 관찰시 쇼크옵서버를 상단이 베드탑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배치하고, 위시본프레임은 베드탑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경사배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주행대차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센터멤버(29)에서 센터폴(23)간의 거리가 길어지는 효과를 거두게 한다. 이러한 거리의 확장은 이곳에 설치하는 업다운앵글조절장치의 푸시풀로드의 확장 거리를 연장하게되며, 이러한 확장은 센터폴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위시본프레임의 동작거리를 확장하여 전체적으로 침대의 승강하강의 높이를 크게하는 효과를 거두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베드탑프레임(30)은
상측에 환자용 침대의 베드탑과 임의로 체결가능한 체결부를 설치하였다.
일반적인 환자용 침대를 수술실, 검사실, 처치실 등으로 이송할 경우 혹은 다른 목적으로 베드탑을 교체할 경우에 주행 대차(10), 업다운 앵글 조절부(20), 베드탑프레임(30)은 그대로 존치하고, 베드탑만 교체하면 모든 처치가 가능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드탑(40)은,
상기 베드탑 프레임의 임의 체결가능한 체결구조에 의하여 원하는 대로 체결과 해체가 가능한 구조이다.
베드탑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홀(47)들을 설치하되, 체결홀의 길이는 가이드레일(45)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봉(46)과 체결봉 간의 거리와 일치토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체결홀과 체결홀 사이의 거리를 상기 체결봉과 체결봉과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레일을 어느 위치에든 설치하여 사용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베드탑에 설치하는 오버베드(48)를 비롯하여 매트리스를 적재하는 매트리스적재베이스(50)를 상기 베드탑프레임의 상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치토록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과 같이 매트리스적재베이스가 일정한 형태로 굴곡상태로 사용시에는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이지만, 사용후에는 도 9에 도시하듯이 베드탑 프레임의 내측으로 장입되어져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베드탑 프레임이 금속재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것이 사방에 노출되어진 관계로 환자, 간호사 , 보호자 들이 강재로 된 각 구조의 프레임에 부딪히면서 부상을 초래하며, 부상은 아니라도 접촉시 불쾌감을 유발하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도 11에 도시하듯이 환자들이 식사, 약물복용, 독서 등을 하기 위한 오버베드(48)을 베드탑에 고정하기 위한 오버베드고정프레임(48c)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베드고정부(48a)에 완충부(48b)를 설치한 것이다. 종래에는 오버베드를 사용할 때 확장하면, 오버베드고정부 선단에 오버베드고정부가 접촉하면서 충격을 받아 휘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휘어짐이 초기에는 별이상이 없으나 수년간 사용되면서 점점 휘어지는 현상이 크게 발생하면서, 오버베드가 침대에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진 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울어짐은 이곳에 거치하는 음식물, 약물 등이 흘러내리면서 뜻하지 않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위험을 발생할 위험을 궁극적으로 해소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위시본프레임(24)과 쇼크옵서버(25)를 설치하되, 쇼크옵서버를 외측으로 배치하고 위시본프레임을 내측으로 배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업다운앵글조절장치(5)를 동작하는 가동 범위를 확장하는 효과를 주어 궁극적으로는 수직승강의 높이를 늘려줄 수있게 하였다. 따라서 수직 높이의 조절이 보다 강화되어 설치환경과 환자나 병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침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침대 전체를 상승 혹은 하강하는 동작은 도 12에 도시하듯이, 초기에 침대 전체의 높이가 낮은 최하의 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상향 상승동작과 헤드업 그리고 바텀업상승 동작을 설명한다.
헤드업 동작은 도 12의 최하단에 배치한 상태에서 미도시한 콘트롤 장치에 의하여 주행대차(10)의 중앙에 설치한 업다운앵글조절장치(5)에 대한 동작신호를 부여하면, 업다운 앵글조절장치의 푸시풀로드(5a)가 확장하면서 센터폴(23)을 회전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3의 침대 헤드부 상승동작에 도시하듯이, 센터폴이 화살표 표시하듯이 회전동작하며, 회전동작은 이곳에 체결되어져 있는 위시본 프레임(24)의 하링크의 단부(24b)가 센터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동작한다. 이때에 회전동작으로 발생하는 상승동작중의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상부의 베드탑의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한 중심변화가 발생한다.
베드탑에 있는 환자의 사소한 움직임이나 동작 변화로 베드탑에 진동이 발생하면, 베드탑에 연결된 상링크에 힘이나 진동이 전달되어진다. 이러한 진동이나 힘이 상링크에 전달되어지면서 진동이 발생하면, 그 힘이나 진동으로 인한 상링크의 위치변이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링크는 내부의 캠(26a)과 연결되어져 있어, 더이상의 동작변화를 허용하지 않게 한다. 또한 더 다른 큰 힘이 가해져, 캠링크만의 동작전달 중단동작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이 캠링크에 설치된 쇼크옵서버에 의하여 흡수제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캠링크와 쇼크옵서버에 의한 협동동작으로 인하여 발생가능한 모든 진동이나 전체적인 흔들림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게 하였다.
동일한 동작형태로 도 14는 침대의 바텀(bottom)측이 상승하는 동작을 도시하고있으며, 이 동작은 상기한 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침대 전체의 위치를 균일하게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동작은 중앙멤버(29)을 중심으로 2개의 업다운앵글조절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면 상측과 하측이 동시에 동작하여 균일한 상승과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하듯이 침대의 헤드측, 바텀측 혹은 동시 수직승하강 동작이 발생할 경우, 아무리 정밀한 업다운앵글조절장치라 하여도 전기신호의 전달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고, 동작하는 기어박스간에도 미세한 백래시가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전후좌우의 동작에 시간차의 발생은 상승하강 동작의 거리에 미세한 차이를 발생한다. 이러한 미세한 동작거리의 차이는 위시본프레임의 상하링크와 중앙의 쇼크옵서버에 대한 비틀림동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동작의 발생은 도 16의 점선도시하듯이 쇼크옵서버의 좌우측 이동으로 이러한 비틀림을 흡수제거하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하듯이 상승 하강 동작중에 발생가능한 모든 동작오차와 각종 진동과 흔들림의 발생이 있다하여도 모두 흡수제거하도록 하여, 중환자 치료중, MRI, CT 촬영과 같은 정밀 촬영, 혹은 의사 간호사에 의한 시술처리중 발생가능한 흔들림에 따른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5:업다운앵글조절장치, 10:주행 대차, 20: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 23: 센터폴, 24:위시본프레임, 29:중앙멤버 , 30: 베드탑(bet top)프레임, 40:베드탑, 25:쇼크옵서버, 26: 캠링, 26a: 캠, 26b:링, 48:오버베드, 40:베드탑

Claims (8)

  1. 주행 롤러와 업다운앵글조절부를 설치한 주행 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측에서 동작신호에 의하여 작동로드의 진출입동작으로 베드탑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업다운 앵글(up-down-angle)조절부,
    상기 업다운 앵글 조절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적재한 베드탑을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
    상기 베드탑 프레임에 고정되어져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갖는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로서,
    상기 업다운 앵글 조절부의 업다운 앵글 조절장치는,
    주행대차 프레임의 센터멤버에 설치하며,
    전원 공급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푸시풀로드가 전진후퇴함에 따라 센터폴의 회전동작을 유도하며,
    상기 센터폴에는 위시본프레임의 하링크의 단부가 체결되고, 위시본프레임의 상링크의 단부는 베드탑과 체결되어지는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위시본 프레임의 중앙부에 캠링을 설치하며,
    상기 캠링 내부의 캠은 상링크와 연결되어지며, 캠링의 링은 하링크와 연결되어지며,
    피봇핀을 상링크와 하링크의 체결공에 삽입설치하되, 쇼크옵서버의 푸시풀로드의 체결단과 여유부(d)를 두고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주행 롤러와 업다운앵글조절부를 설치하는 주행 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측에서 동작신호에 의하여 작동로드의 진출입동작으로 베드탑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
    상기 업다운 앵글 조절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적재한 베드탑을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
    상기 베드탑 프레임에 고정되어져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로서,
    상기 업다운앵글조절부에 설치하는 위시본프레임과 쇼크옵서버는,
    쇼크옵서버는 상단이 베드탑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배치하고, 위시본프레임은 베드탑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경사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KR1020200042065A 2020-04-07 2020-04-07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KR10238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65A KR102381122B1 (ko) 2020-04-07 2020-04-07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65A KR102381122B1 (ko) 2020-04-07 2020-04-07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702A KR20210124702A (ko) 2021-10-15
KR102381122B1 true KR102381122B1 (ko) 2022-03-31

Family

ID=7815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065A KR102381122B1 (ko) 2020-04-07 2020-04-07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19644B (zh) * 2023-01-18 2023-08-11 佛山凯洋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病床
CN116999250A (zh) * 2023-06-26 2023-11-07 浙江大学 一种医用转运检查一体车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41B1 (ko)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KR101171245B1 (ko) 2011-10-14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평형 유지형 승하강 전동 침대
KR101822631B1 (ko) 2017-07-05 2018-01-29 (주)우성이엔지 환자용 침대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13B1 (ko) * 2006-04-07 2007-06-28 이상용 전동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90094493A (ko) * 2008-03-03 2009-09-08 표박일 의료용 침대의 식판 구조
KR101113427B1 (ko) * 2009-09-08 2012-02-29 (주)엠씨텍 전동침대용 승하강장치
KR101111697B1 (ko) * 2009-12-01 2012-02-14 박인태 조립식 전동침대
KR200462021Y1 (ko) * 2010-07-19 2012-08-24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 프레임
KR101623255B1 (ko) * 2014-06-18 2016-05-20 김진일 환자용 침대
KR20200113665A (ko) * 2019-03-26 2020-10-07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낙상 방지를 위한 장대형의 측면 안전 레일 설치가 용이한 의료용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41B1 (ko)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KR101171245B1 (ko) 2011-10-14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평형 유지형 승하강 전동 침대
KR101822631B1 (ko) 2017-07-05 2018-01-29 (주)우성이엔지 환자용 침대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702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697B2 (en) Height-adjustable bed
KR102381122B1 (ko)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CN106999338B (zh) 床架和具有该床架的床,其中床架具有按摩装置
JP3384555B2 (ja)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昇降式の側柵の昇降機構
US20140201916A1 (en) Articulating bed with simplified actuation
JP6797576B2 (ja) 電動ベッド
CN1946360A (zh)
JP5406412B2 (ja) 転覆防止システムを備えた移動用リフト装置
CN111249083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WO2017006928A1 (ja) 電動ベッド
JP2019507611A (ja) 可動フレーム付きベッド
EP0705091B1 (en) Intensive therapy bed
JP6193607B2 (ja) ベッド装置
CN212631103U (zh) 一种床架及护理床
KR102361754B1 (ko) 의료용 전동 침대
JP6757866B2 (ja) 寝台装置
JP2002085481A (ja) ベッド及び枕
KR20200002308U (ko) 모션 베드
KR102569577B1 (ko) 환자용 침대
JP2017018226A (ja) 昇降ベッド
KR101146183B1 (ko) 저상침대
JP2017070440A (ja) 寝台装置
EP2873399B1 (en) Person support apparatus
CN114795725B (zh) 一种护理床翻身机构及电动翻身护理床
JP7234338B2 (ja) 寝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