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577B1 -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577B1
KR102569577B1 KR1020200175710A KR20200175710A KR102569577B1 KR 102569577 B1 KR102569577 B1 KR 102569577B1 KR 1020200175710 A KR1020200175710 A KR 1020200175710A KR 20200175710 A KR20200175710 A KR 20200175710A KR 102569577 B1 KR102569577 B1 KR 10256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edtop
patient
unit
bed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553A (ko
Inventor
임상균
Original Assignee
임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균 filed Critical 임상균
Priority to KR102020017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6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의 베드탑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침대는 의식이 없거나 혹은 다른 신체부위의 부상 혹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에 의하여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환자에 대하여 주사처치, 식이공급, 진단을 위한 영상 촬영 등 국부 치료, 수술, 주사, 세척 등의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져, 식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체일부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수동적인 방법 혹은 전동 장치에 의한 상체 일부의 상승동작이 가능한 침대들이 개발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에 설치하여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드탑에
환자용 침대의 분할 조립된 베드탑의 조립부에 절첩동작시 좌우 진동과 변이를 방지한 변이방지부,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오버베드의 변이방지와 동작충격을 억제하는 세이프티 서포터,
그리고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좌우측의 상측면 그리고 좌우측의 상측면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 조립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베드탑의 파손, 헐거워짐,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환자나 보호자가 베드탑을 원상 복귀하는 중 팔등 신체가 끼워질 경우 즉시 감지하여 더이상의 동작을 차단하여 예상치 못한 부상을 방지하게 되었다.사용하지 않는 가이드레일도 눈에 띄는 침대 상부에 배치함에 따라 보관의 용이함은 물론 분실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더나아가서 오버베드의 절첩시 급격한 절첩동작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받을 수 있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해소함은 물론, 계속 장기간 절첩동작하면서 오버베드 지지봉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사용중 신체가 끼워진 경우 모터 동작을 차단함은 물론 전자클러치를 동작시켜 역으로 해제도 용이하도록 하여 심각한 부상발생을 원천 차단하게 하였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Bed top of patient bed}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침대는 의식이 없거나 혹은 다른 신체부위의 부상 혹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에 의하여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환자에 대하여 주사처치, 식이공급, 진단을 위한 영상 촬영 등 국부 치료, 수술, 주사, 세척 등의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환자가 상하체가 거동이 불편한 경우, 식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체일부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수동적인 방법 혹은 전동 장치에 의한 상체 일부의 상승동작이 가능한 침대들이 개발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행위외에도 환자의 영상촬영이 필요한 경우, 환자가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울 경우에는 환자의 특정부위 촬영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배치토록 침대의 위치 변이 장치로 조정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 11-347074호의 경우, 도 1 에 도시하듯이 침대의 단판 사이에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축을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이 승강하강 하면서 시트를 들어 올려 환자의 체위를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주로 환자의 욕창방지와 같은 처치를 위한 뒤척임의 제공 정도에 머물고 있다.
일본 특개평 20-307088호의 경우, 도 2 에 도시하듯이 대차에 추착된 전후 한 쌍의 전동식 리니어액튜에이터(A)와 이것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환자지지데크(FD)(RD)의 승강락(R)을 구비하고, 상기 대차(S)에 부속되는 캐스터용 베어링 포스트(3)의 좌우상호간격(W2)을 상기 승강락의 일정폭(W3)보다 협소 치수로서 그 승강락을 하강 작동시키는 동안 대차와 간섭하지 않고 지상높이(h1)를 낮게 확보할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특허는 리프트 기구(U)가 리프트암(65)과 지점축(67)을 통해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전후좌우 4개의 리프트암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리프트기구에 의하여 승강락이 대차와 간섭하지않고 크로스프레임과 거의 같은 설치높이까지 하강작동할 수있게 하여 저상형 스트레치가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특허에서 리프트기구로 4방향에서 상승하강 조치하여 높이 조절과 저상의 효과는 가능하게 되었지만, 리프트암에 의하여 지지됨에 따라 환자가 조금만 움직일 경우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환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것은 물론, 초정밀 영상촬영시 촬영에러가 발생하고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 10-1176603호에서는 도 4 에 도시하듯이 "침대프레임용 가로지지대와 침대프레임용 세로지지대를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에 머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 발받침판이 놓이게 설치되고 머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 발받침판의 위에는 매트가 놓이며, 머리받침판, 다리받침판, 발받침판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상태에따라 매트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침대와,
상기 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대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기는,
바닥프레임용 가로지지대와 바닥프레임용 세로지지대를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전방링크브라켓 및 후방링크브라켓과,
상기 전방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회전축과,
상기 후방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전방회전축에 고정되어 전방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전방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전방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제2링크와, 일단은 상기 전방링크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제2링크의 중간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링크지지대로 이루어진 전방링크와,
일단이 상기 후방회전축에 고정되어 후방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후방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후방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후방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제2링크와, 일단은 상기 후방링크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제2링크의 중간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링크지지대로 이루어진 후방링크와,
상기 후방회전축의 일부분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작동바와,
상기 전방회전축의 일부분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방작동바와,
상기 후방작동바의 단부와 전방작동바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동대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후방작동바의 단부와 연결되게 설치된 승강용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용실린더가 작동되어 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후방작동바를 밀게 되고 후방작동바가 회전하면서 후방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과 동시에 후방작동바가 밀리면서 연동대를 통해 전방작동바를 당기게 되고 전방작동바가 회전하면서 전방회전축을 후방회전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후방회전축과 연결된 후방링크와 전방회전축과 연결된 전방링크가 들어 올려지면서 침대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상승 동작은 "후방링크(240)는 일단이 후방회전축(230)에 고정되어 후방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는 후방 제1링크(242)와, 일단은 후방 제1링크(242)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침대프레임(110)의 후방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제2링크(244)와, 일단은 후방링크브라켓(22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후방 제2링크(244)의 중간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링크지지대(246)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후방링크(240)는 후방회전축(230)이 회전하면 후방 제1링크(242)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 제1링크(242)와 후방 제2링크(244)의 절곡된 연결 부분이 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후방 제2링크(244)가 상승하면서 침대(100)가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후방 링크지지대(246)가 후방 제2링크(244)와 후방링크브라켓(220)을 잡아주기 때문에 후방 제1링크(242)와 함께 후방 제2링크(244)가 상승하면서 침대(100)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라고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 치명적 문제점으로,
링크지지대(246)(266)가 전방링크(260)과 후방링크(240)의 제1링크(244)와 제2링크(242)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승 하강 동작시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는 체결부에 대한 치밀한 체결을 이루지 못하여, 상승 하강시 환자가 조금만 움직이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은 하부의 모터의 구동시 전방과 후방의 모터가 동시에 가동한다 하여도 회전속도와 모터 시작 시간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특히 체결부가 밀접한 체결이 되는 경우 심한 마찰로 인하여 "끼이익"하는 마찰음을 발생하면서 심한 경우 "잼(jamming)"현상이 발생하여 상승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심한 경우 상승과 하강 동작 중간에 멈추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거나, 모터가 파괴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침대를 최고 높이로 상승한 경우에는 흔들림이 없지만, 중간 위치에 배치할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 못하고 조그만 움직임에도 흔들림이 발생하고 있다. 즉, 환자 별로 의사나 간호사의 처치동작시 원하는 높이에서 처치를 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 특허 등록 제 10-2081700호 "조립식 전동침대"는 도 3 에 도시하듯이
"한 쌍의 횡프레임 및 종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4각틀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횡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고정틀이 마련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과 승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매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전동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프레임은 일측과 타측이 상호 착탈가능한 분리형으로 마련되되, 분리된 일측 연결부위에는 끼움돌기가 마련되며, 분리된 타측 연결부위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매트프레임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절첩식고정구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각각 상기 고정틀을 사이에 두고 고정틀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횡프레임에 두 쌍이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회동브라켓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 일단부는 상기 고정틀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 1샤프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작동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 1샤프트에, 타단은 상기 제 2샤프트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연동바;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에서 각각 한 쌍씩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연장브라켓; 및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각 끝단부가 상기 상연장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하연장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브라켓과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 각 사이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동작브라켓이 개재되되, 상기 동작브라켓의 일단은 각각 상기 회동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동작브라켓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동작브라켓과 상기 상연장브라켓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작동실린더가 팽창하면,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는 상기 회동브라켓과 동작브라켓이 힌지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한 정방향으로의 회동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상연장브라켓을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실린더가 수축하면, 상기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는 상기 회동브라켓과 동작브라켓이 힌지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한 역방향으로의 회동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상연장브라켓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동침대."를 개발하였다.
상기 전동 침대는
승강수단(400)의 작동실린더(430)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틀(101)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 1샤프트(410)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 1샤프트(4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브라켓(412)을 마련하고 상기 작동실린더(430)의 타단이 상기 실린더브라켓(412)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작동실린더(430)가 팽창할 때 상기 제 1샤프트(4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실린더(430)가 수축할 때 제 1샤프트(410)가 타방향으로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침대가 상승동작할 때, 수직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전후방으로 침대 전체가 이동하였다가 상승하는 지그재그 방향으로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그재그 동작은 침대에 있는 환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함은 물론이며, 환자에게 의사 간호사에 의한 처치작업중 환자를 위로 올려서 치료하고자 할 때, 지그재그 방향의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예민한 처치 작업중 예기치 못한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항상 안고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자는 2020년 특허 출원 제 42065호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에서
도 5에 도시하듯이
주행 롤러와 업다운앵글조절부를 설치한 주행 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측에서 동작신호에 의하여 작동로드의 진출입동작으로 베드탑 프레임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
상기 승강조절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적재한 베드탑을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
상기 베드탑 프레임에 고정되어져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본 발명자의 선출원 특허로 인하여 환자용 침대의 승하강 동작시 진동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승하강 동작 중간에 멈추어도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환자용 침대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본 발명자의 침대를 공급 사용하면서 또 다른 불편함을 환자들이 제시하는 바,
첫째, 침대의 베드탑이 승강과 하강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소음을 발생하며, 더 나아가서 분할된 베드탑간을 조립한 나사구조가 헐거워지면서 예상치 못한 흔들림을 발생하여 환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 베드탑에 있는 환자를 식사, 주사처치등의 동작을 하기 위하여 상체를 혹은 하체를 세우고 나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자 절첩모터를 작동중 환자 혹은 보호자의 팔과 같은 신체의 일부 혹은 기타 이물질이 베드 프레임과 베드탑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심각한 부상을 발생하는 것이다.
셋째, 환자의 보호를 위하여 양측에 설치한 가이드레일을 분리하여 거치할 곳이 적당치 않는 관계로 가이드레일을 침대밑이나 화장실 등에 보관하면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가이드레일을 분실하는 사례가 빈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첩식 베드탑의 승하강 동작이 아무리 반복된다하여도 조립부의 헐거움이나 소음 발생이 없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베드탑의 절첩모터를 복귀 동작하면서 환자나 보호자의 신체가 끼워진 경우 별도의 조치가 없어도 모터 동작을 중단하여 더이상의 위험한 상황을 막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자 보호를 위한 가이드레일을 거치할 공간을 침대 상측에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의 분실을 억제하도록 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환자용 침대에
절첩동작시 좌우 진동과 변이를 방지한 변이방지부로 조립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를 개발하였다.
상기 변이방지부는,
베드탑간의 조립면이 서로 대향토록 ㄷ 자형상의 조립구를 설치하며,
상기 조립구는 양측 베드탑외측면이 면접촉토록 설치하며,
상기 면접촉된 조립구에는 관통공을 설치하여 나사조립하였다.
본 발명은 분할된 베드탑에 변이방지가능한 조립구를 설치하여 파손되지 않는한 헐거워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환자나 보호자가 베드탑을 원상 복귀하는 중 팔등 신체가 끼워질 경우 즉시 감지하여 더 이상의 동작을 차단하여 예상치 못한 부상을 방지하게 되었다.사용하지 않는 가이드레일도 눈에 띄는 침대 상부에 배치함에 따라 보관의 용이함은 물론 분실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오버베드의 절첩시 급격한 절첩동작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받을 수 있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해소함은 물론, 계속 장기간 절첩동작하면서 오버베드 지지봉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더나아가서 베드탑의 승하강 동작시 환자나 보호자가 베드프레임과 베드탑 사이에 신체일부가 끼워져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신체 일부가 끼워진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모터 동작을 차단함은 물론 전자클러치를 동작시켜 역으로 해제도 용이하도록 하여 심각한 부상발생을 원천 차단하게 하였다.
도 1 은 종래 jp4155622 공개특허의 스트레치 침대의 측면도,
도 2 는 종래 jp200800307088A의 침대의 측면도,
도 3 은 한국 등록 특허 제 10-2081700호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한국 등록 특허 제 10-1176603호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5a 는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대표적 실시예로서 오버베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는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6b 는 상기 도 6a 의 변이방지부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7a 와 7b 는 본 발명의 세이프티 서포터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비상동작차단부의 블록도,
도 9 는 본 발명의 오버베드의 절첩동작시 세이프티 서포터에 대한 동작설명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오버베드에 완충옵서버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양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하다", "연결되어" ,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환자용 침대라는 것은, 환자용, 가정용은 물론이고 호텔, 펜션, 요양원 등의 다양한 형태의 침대 사용가능한 곳을 포함하며, 환자용이라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침대로 예시하는 것은 사각형 프레임 구조의 침대이며, 상부에 설치하는 베드탑, 매트리스, 사이드 레일, 가이드바, 하부에 설치되는 전원을 이용한 각종 모터와 콘트롤장치와 콘트롤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들의 생략으로 인하여 이들 장치의 탈부착구조의 변경으로 인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환자용 침대에서 베드탑이란 환자가 직접 신체를 접촉하는 매트리스(매트리스에 부착하는 다양한 부속물을 포함함)를 받쳐주는 기능을 갖는 망상구조체이며, 주로 강성 재질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5a 와 5b에 전체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5a는 하부의 업다운 앵글조정에 있어 2개의 모터를 사용한 경우이고, 5b 는 하나의 모터를 사용한 예로 모두 동일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예시이다.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의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30)에 설치하여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의 분할 조립된 베드탑의 조립부에 절첩동작시 좌우 진동과 변이를 방지한 변이방지부(P),
삭제
삭제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오버베드의 변이방지와 동작충격을 억제하는 세이프티 서포터(41),
그리고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좌우측의 상측면 그리고 좌우측의 상측면에 가이드 레일 조립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신체 특성상 침대의 하체는 폭이 좁은 분할 조립된 베드탑이 절첩되는 구조이며, 상체는 상체 전체를 받칠 수 있도록 넓은 폭의 상부 베드탑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분할 조립된 베드탑과 넓은 폭의 상부 베드탑은 절첩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변이방지부를 매개로 조립되어진다.
상기 변이방지부는, 도 6a 와 6b에 도시하듯이
상기한 분할 조립된 베드탑간의 절첩부에 서로 대향토록 ㄷ 자형상의 제 1 유닛(11)과 제 2 유닛(12)을 설치하며,
상기 제1유닛과 제 2 유닛의 사이에는 피봇축(15)을 설치하고,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유닛과 제 2 유닛 각각의 내외측면이 거리(d)를 갖도록 조립하였다.
또한 상기 변이방지부는 좌우 대칭 구조로 설치하며,
하부분할 조립된 베드탑과 베드탑 프레임간의 조립부에도 변이방지부를 설치하였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 1 유닛과 제 2 유닛간에는
환자용 침대의 절첩동작시, 제 1 하부 베드탑(16)과 제 2 하부 베드탑(17)이 접어지거나 혹은 펴지는 동작중에 상기 제 1 하부 베드탑(16)과 제 2 하부 베드탑(17)중의 어느 하나가 환자, 보호자, 의사 등의 치료 행위등으로 인하여, 화살표 A 혹은 B 와 같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변이동작이 발생할 경우를 예시로 변이방지 기능을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하듯이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을 관통하여 설치한 피봇축(15)은 그 양단에 스톱볼트를 형성하였으며, 양단에는 변이를 방지하는 스톱너트(18)가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A 방향 혹은 B 방향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피봇축 양단의 스톱볼트에 의하여 피봇축이 파손되거나, 유닛들이 파손되지 않는 한 변이현상은 발생할 수 없는 안정성을 확보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베드프레임과 베드탑의 사이에 인체의 일부가 끼워지는 경우,
베드탑의 하부에 설치한 절첩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비교하며,
설정된 전류이상의 전류가 절첩모터에서 발생하면 비교부에서 연산하여, 절첩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 차단신호를 송신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차단하는 비상동작차단부를 설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듯이 스플라인 구동 모터(M)에 전원 공급이 되어 베드탑의 절첩 동작이 진행하는 중, 사람의 손이나 물체가 프레임 사이에 끼워질 경우, 모터는 회전동작을 위한 전원은 계속 공급되는 반면에 회전축은 진행이 되지 않으므로, 모터에 연결된 저항(r1)에 전류의 증가현상이 발생한다. 이 전류 증가 현상은 차동증폭기로 이루어진 감지부(s)로 증가된 전압신호가 송신되면, 송신된 신호 전압을 비교기(c)로 공급하며, 비교연산의 결과 설정전압보다 클 경우 스위칭부(sw)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의 동작공급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도시하고 예시한 것은 op amp(Operational Amplifier)에 의한 감지, 비교, 신호증폭 등의 동작을 예시하는 것이나, 이는 다양한 예시 중의 하나를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기술적 범위가 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균등한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스위칭 부에 대한 동작 전원의 차단과 함께 스플라인 축과 모터출력축 간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환자가 역으로 베드탑을 동작시켜도 무리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하듯이 스위칭부(sw)에 대한 신호를 구동모터에 송신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구동모터 내부의 변속기어부 사이에 설치한 전자클러치에도 동작신호를 송신하여,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변속기어부사이의 전자클러치의 작동으로 베드탑을 역으로 동작시 변속기어부에 의한 저항이 없이 동작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인체일부가 끼워져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여, 인체를 빼내려고 역으로 동작할 때 저항없이 편안하게 해제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전자클러치는 동작이란 동작 신호에 의하여 클러치 록킹과 언록킹이 되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들에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49)의 측면조립공(31)을 가이드 레일의 조립돌기(46)와 동일한 폭(S)으로 베드탑의 측면에 설치하며,
베드탑의 프레임의 전후측면에도 가이드레일 보조조립공(3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 조립공들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조립공은 동일한 폭(S)로 4개를 설치하며, 이들간의 폭은 가이드 레일(49)의 가이드레일 조립돌기(46)의폭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자는 임의로 설치위치를 정하여 설치함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최대화하였다.
가이드 레일은 신체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대 양 사이드에 적어도 4개를 가이드 레일 조립공(31)에 조립설치한다. 이 설치한 조립공에는 가이드 레일을 임의로 고정과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하였으며, 환자 보호자 혹은 시술자가 필요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상 특징으로 인하여 보호자들은 1,2 개의 가이드 레일을 분리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추구하고 있으며, 분리된 가이드 레일은 침대 밑 혹은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게 되면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유실되는 일이 빈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하듯이 분리된 가이드 레일(49)을 침대와 분리상태로 보관할 필요없이 침대 베드탑 프레임의 전후면에 가이드 레일 설치를 위한 조립공을 추가 설치하여 보관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베드탑 프레임 상면에 세이프티 서포터(4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충격방지 세이프티 서포터는 U 자형 보디(41a)의 상측으로 스톱캡(41b)를 설치하며,
상기 스톱캡은 전면을 향하여 라운드부(41c)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보디(41a)의 일측면에는 굴곡부(41d)를 형성하는 동시에 식탁의 지지봉과 베드탑 프레임의 사이에 완충옵서버(45)를 설치하였다.
상기 스톱캡은 주로 식판이나 독서대 등으로 이용되는 오버베드(48)의 사용전후에 항시 오버베드의 봉(48c)과 충돌이 일어나므로, 강재가 아닌 탄성을 흡수가능한 비철금속재질로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며,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여 마모가 될 경우에는 이것만을 교체할 수 있다. 즉, 오버베드의 봉은 강재로 구성하고 스톱캡은 비철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봉이 보다 강성이 있어 충돌시 변형이 거의 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오버베드(식탁=독서대)를 사용하기 위하여 펼치는 동작을 할 경우, 오버베드의 지지봉(51)이 세이프티 서포터의 내측을 향하여 전진하면서 지지봉과 세이프티 서포터 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지지봉의 지름과 유사한 폭,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가 폭(w)의 차이을 갖도록 구성하여, 지지봉과 굴곡부(41d)간에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반대로 오버베드를 사용후 접는 동작을 할 경우, 오버베드 판 자체의 무게와 사용자의 접는 동작으로 인하여 오버베드가 갑자기 바닥으로 내려가면서 충격을 주는 것을 상기 굴곡부(41d)에 의하여 마찰에 의하여 가속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서 지지봉과 베드탑 프레임간에 설치한 완충옵서버(45)로 급격한 접힘 움직임을 완화하여 준다.
본 발명의 상기 오버베드에 설치하는 완충옵서버(45)는 상기 지지봉(51)에 완충옵서버의 푸시풀로드의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은 베드탑 프레임에 설치되어져, 오버베드의 급격한 절첩동작에 의한 환자 혹은 보호자에 충격을 주는 문제를 차단하였다. 상기 완충옵서버는 도 10에 도시하듯이 양측에 설치할 수 도 있고, 일측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설치환경과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가감가능한 동일한 기술범위이다.
5:업다운앵글조절장치, 10:주행 대차, 20:업다운앵글(up-down-angle)조절부, 23: 센터폴, 24:위시본프레임, 29:중앙멤버 , 30: 베드탑(bed top)프레임, 40:베드탑, 25:쇼크옵서버, 48:오버베드, 45:완충옵서버, 50:매트리스적재베이스, 41: 세이프티 서포터, 51:지지봉, P:변이방지부,

Claims (7)

  1.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에 설치하여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드탑에
    환자용 침대의 분할 조립된 베드탑의 조립부에 절첩동작시 좌우 진동과 변이를 방지한 변이방지부,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오버베드의 변이방지와 동작충격을 억제하는 세이프티 서포터,
    그리고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좌우측의 상측면 그리고 좌우측의 상측면에 가이드 레일 조립공을 설치하되,
    상기 변이방지부는,
    상기한 분할 조립된 베드탑간의 절첩부에 서로 대향토록 ㄷ 자형상의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을 설치하며,
    상기 제1유닛과 제 2 유닛의 사이에는 피봇축을 설치하고,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유닛과 제 2 유닛 각각의 내외측면이 거리(d)를 갖도록 조립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변이방지부는 좌우 대칭 구조로 설치하며,
    분할 조립된 베드탑과 베드탑 프레임간의 조립부에도 설치하며,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을 관통하여 설치한 피봇축에는 그 양단에 스톱볼트를 형성하였으며, 양단에는 변이를 방지하는 스톱너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세이프티 서포터는,
    U 자형 보디의 상측으로 비철금속재질의 스톱캡을 설치하며,
    상기 스톱캡은 전면을 향하여 라운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보디의 일측면에는 굴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굴곡부는 오버베드의 펼침동작시 오버베드의 지지봉과 마찰접촉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6. 작동로드의 동작에 따라 수직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베드탑(bed top)프레임에 설치하여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를 포함한 편의장치를 적재하는 베드탑을 포함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드탑에
    환자용 침대의 분할 조립된 베드탑의 조립부에 절첩동작시 좌우 진동과 변이를 방지한 변이방지부,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에 식탁 지지봉의 변이방지를 위한 세이프티 서포터,
    그리고 베드탑을 지지하는 베드탑 프레임부의 좌우측면과 상측면 및 하측면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 조립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의 베드탑을 포함하되,
    상기 베드탑의 하부에 설치한 스플라인 구동 모터에 의한 베드탑의 절첩 동작중, 환자의 신체 일부가 끼워질 경우,
    구동 모터에 연결된 저항(R1)에 전류의 증가신호가 차동증폭기로 이루어진 감지부(s)로 증가된 전압신호가 송신되면, 송신된 신호 전압을 비교기(c)로 공급하며, 비교연산의 결과 설정전압보다 클 경우 스위칭부(p)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의 동작공급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비상동작차단부를 포함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p)에 대한 신호를 구동모터에 송신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구동모터 내부의 변속기어부 사이에 설치한 전자클러치에 동작신호를 송신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1020200175710A 2020-12-15 2020-12-15 환자용 침대 KR10256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10A KR102569577B1 (ko) 2020-12-15 2020-12-15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10A KR102569577B1 (ko) 2020-12-15 2020-12-15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53A KR20220085553A (ko) 2022-06-22
KR102569577B1 true KR102569577B1 (ko) 2023-08-21

Family

ID=8221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10A KR102569577B1 (ko) 2020-12-15 2020-12-15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41B1 (ko)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KR101171245B1 (ko) 2011-10-14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평형 유지형 승하강 전동 침대
KR101176603B1 (ko) * 2012-01-12 2012-08-23 (주)우성이엔지 환자용 침대
KR101822631B1 (ko) 2017-07-05 2018-01-29 (주)우성이엔지 환자용 침대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13B1 (ko) * 2006-04-07 2007-06-28 이상용 전동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90094493A (ko) * 2008-03-03 2009-09-08 표박일 의료용 침대의 식판 구조
KR101113427B1 (ko) * 2009-09-08 2012-02-29 (주)엠씨텍 전동침대용 승하강장치
KR101111697B1 (ko) * 2009-12-01 2012-02-14 박인태 조립식 전동침대
KR200462021Y1 (ko) * 2010-07-19 2012-08-24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 프레임
KR101623255B1 (ko) * 2014-06-18 2016-05-20 김진일 환자용 침대
KR20200113665A (ko) * 2019-03-26 2020-10-07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낙상 방지를 위한 장대형의 측면 안전 레일 설치가 용이한 의료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41B1 (ko)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KR101171245B1 (ko) 2011-10-14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평형 유지형 승하강 전동 침대
KR101176603B1 (ko) * 2012-01-12 2012-08-23 (주)우성이엔지 환자용 침대
KR101822631B1 (ko) 2017-07-05 2018-01-29 (주)우성이엔지 환자용 침대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53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7926A (en) Bed with automatic tilting occupant support
US3686696A (en) Hospital beds
CN100402012C (zh) 提高了稳定性的旋转床
US7509697B2 (en) Height-adjustable bed
EP1434547B1 (en) Surgical tables
US8640287B2 (en) Patient-support apparatus with a locking deck section
US7581265B1 (en) Roll-in chair cot with three cot height positions
JP2005517614A (ja) 昇降機構及びその昇降機構を組み込んだ医療設備
US6230346B1 (en) Articulated bed incorporating a single motor drive mechanism
EP0596115A1 (en) Rotary bed
US3711876A (en) Tilt bed
CA2536732C (en) Bed
US20130086746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movable siderail assembly
JP6091853B2 (ja) ベッド類の昇降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ストレッチャ
CN111249083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KR101156170B1 (ko) 전복방지 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2569577B1 (ko) 환자용 침대
KR102381122B1 (ko)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US20230098355A1 (en) Shock absorbing assembly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WO1998020829A1 (en) A suspension system, and a height-adjustable bed incorporating the suspension system
JP2014097134A (ja) ベッド類の回転式サイドガード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ストレッチャ
CN215274015U (zh) 一种方便行动困难患者使用的防护式病床
CN114795725B (zh) 一种护理床翻身机构及电动翻身护理床
KR102532369B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CA1040807A (en) Bed with automatic tilting occupant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