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183B1 - 저상침대 - Google Patents

저상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183B1
KR101146183B1 KR1020090069990A KR20090069990A KR101146183B1 KR 101146183 B1 KR101146183 B1 KR 101146183B1 KR 1020090069990 A KR1020090069990 A KR 1020090069990A KR 20090069990 A KR20090069990 A KR 20090069990A KR 101146183 B1 KR101146183 B1 KR 10114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base plate
adjusting means
b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313A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09006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상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구분설치되는 전,후방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전,후방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서 각각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분할설치되는 단위프레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서 단위프레임을 각도를 조절토록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단위프레임을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면서 다방향으로 향하는 요홈부가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쿠션을 갖도록 설치되는 매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높이가 낮은 저상 침대로서 노약자등이 용이하게 사용토록 하고, 환자를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침대에서 생활할 때 발생하는 욕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베이스플레이트, 단위프레임, 구동모터, 힌지

Description

저상침대{a bed which height is low}
본 발명은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서 적어도 한방향 이상으로 회전토록 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을 구비하여 노약자등이 용이하게 사용토록 하면서 장기간 침대에서 생활할 때 발생하는 욕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저상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 뒤집음 지원 침대 등에 이용되는 조절 가능한 침대는 그 사용자인 환자의 와위 상처, 소위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가 누운 침대의 매트면의 일부 또는 전면을 경사시키고, 경사 방향으로 환자를 몸을 뒤집어 체위 변환을 지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대부분은 체위 변환 지원시에 그 매트면을 평탄한 상태로부터 매트 폭 방향을 향해 경사시키는 기구를 취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침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는 도1a,b,c에서와 같이, 조절 가능한 가동스테이지(20)에는 상기한 침대 프레임(10)의 변형을 위한 작동기(미도시) 외에, 센터 빔(21A)의 좌우 방향, 즉 y방향 양측으로부터 연결 부재(236Ra, 236La)로, 대칭적으로 직접 이동작동기(M3R, M3L)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작동기(M3R, M3L)의 각 축선단부가 회전 바(22R, 22L)로부터 수직 하강하여 고정된 L자 부재(235R, 235L)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작동기(M3R, M3L)가 축을 신장시킴으로써 L자 부재(235R, 235L) 및 바(23R, 23L)가 회전 바(22R, 22L)를 축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측부재 지지 프레임(미도시)이 침대 수평면으로부터 일어나고, 침대 수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어난다.
삭제
삭제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절 가능한 가동스테이지(20)는, 일방향으로의 회전각도만이 조절토록 되는 구성으로 욕창등의 환자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실린더 타입의 이동작동기(M3R, M3L)를 사용함으로써 그 장착공간이 증가되어 마루 등에 놓아 사용되는 매드 타입의 침대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를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침대에서 생활할 때 발생하는 욕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침대를 자유롭게 유동하는 구성으로 통하여 물리치료를 도울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방향에서 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 스스로가 원하는 방향으로 몸을 뒤집거나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상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분설치되는 전,후방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전,후방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서 각각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분할설치되는 단위프레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서 단위프레임을 각도를 조절토록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단위프레임을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면서 다방향으로 향하는 요홈부가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쿠션을 갖도록 설치되는 매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저상침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은,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와 이에 치합되면서 링크부재로서 단위프레임에 연결되는 구동너트로서 이루어 진 저상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후방베이스프레임은 메인힌지로서 연결되어 보관시 절첩가능토록 되고, 저면이 높이조절수단을 갖는 받침대로서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저상침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상으로 노약자등이 안전사고 없이 용이하게 사용하며, 환자를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침대에서 생활할 때 발생하는 욕창 등을 방지하고, 침대를 자유롭게 유동하는 구성으로 통하여 물리치료가 가능하며, 다양한 방향에서 침대의 각도를 조절하고, 환자 스스로가 원하는 방향으로 몸을 뒤집거나 복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4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5a,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구분되는 구획공간(10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전,후방 베이스플레이트(110)(130)로 구 분설치되면서 메인힌지(150)로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메인힌지(150)는, 일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미도시)가 더 구비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저면에 높이조절수단(170)을 갖는 받침대(180)로서 지지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캐스터(185)가 더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단위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면의 X,Y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분할설치된다.
상기 단위프레임(200)은, 상측에 제1 또는 제2각도조절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른 단위프레임(200)이 더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단위프레임(200)들의 상측에는 상기 단위프레임들을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는 매트(4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매트(400)는, 다방향으로 향하는 요홈부(410)가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쿠션을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은(250), 제1구동모터(251)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253)와 상기 볼스크류(253)에 치합되면서 링크부재(255)로서 단위프레임에 연결되는 구동너트(257)로서 이루어 진다.
더하여,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270)은, 감속기를 갖는 제2구동모터(271)에 연결되는 회전축의 양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액튜에이터(273), 상기 회전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액튜에이터(273)가 각각 지지토록 하는 제1,2스토퍼(275)(277)가 각각 구비되면서 회전축이 자유회전토록 되면서 단위프레임(200)에 연결되는 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170)은, 교차되는 X바(175), 상기 X바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실린더(177)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단위프레임은 각각 보조힌지(260)로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저상형으로 일반적으로 관절이 좋지 않은 노약자등이 집안의 방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단위프레임(200)은, 제1각도조절수단이나 제2각도조절수단을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최소의 높이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침대는, 높이조절수단(170)을 갖는 받침대(180)를 저면에 연결하여 일반적인 환자용 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하나의 프레임 내측에 구분되는 구획공간(101)을 구비하거나 전,후방 베이스플레이트(110)(130)로 구분설치되면서 메인힌지(150)로서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그 내측에서 각기 다른 단위프레임(200)이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받침대(180)로서 지지될 때 받침대에 구비되는 캐스터(185)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단위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면의 X,Y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분할설치되어 그 상측에 누워있는 누약자나 환자의 상체를 뒤집거나 무릎 등의 관절을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운동효과를 볼 수 있음은 물론 욕창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프레임(200)은, 그 상측에 제1 또는 제2각도조절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른 단위프레임(200)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단위프레임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다른 방향으로 보조단위프레임의 각도가 조절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단위프레임(200)들의 상측에는 상기 단위프레임들을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는 매트(400)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일정한 탄성을 부여하여 편안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트(400)는, 다방향으로 향하는 요홈부(410)가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절첩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각도조절시 매트에 의한 간섭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은(250)이 제1구동모터(251)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253)와 이에 치합되면서 링크부재(255)로서 단위프레임에 연결되는 구동너트(257)로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270)이 감속기를 갖는 제2구동모터(271)에 연결되면서 양측에 액튜에이터(273)가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액튜에이터에 대응되어 어느 일측의 단위프레임(200) 만이 회전토록 제1,2스토퍼(275)(277)를 갖는 브라켓으로 이루어 져 최소의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토록 되어 저상형 침대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저상형 구조를 갖는 제1,2각도조절수단을 병행설치하거나 복수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단위프레임을 수직방향에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 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프레임은, 하나의 단위프레임이 경사될 때 다른 단위프레임은 중앙부 양측이 각각 회전하면서 각도조절하는 구성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은(250)이 제1구동모터(251)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253)와 이에 치합되면서 링크부재(255)로서 단위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너트(257)로서 이루어져 제1구동모터의 회전시 복수의 단위프레임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전방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단위프레임(200)은 폭방향에서 분할설치되어 제2각도조절수단(270)으로 연결됨으로써 환자의 몸을 뒤집거나 할 때 사용토록 하고, 상기 전방베이스플레이트(110) 전체는 제1구동모터(251)의 회전시 구동너트(257)로서 연결되는 링크부재가 이동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되며, 상기 후방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분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200)은 제1구동모터(251)의 회전시 각각의 단위프레임(200)에 연결되면서 상이한 길이를 갖는 링크부재가 구동너트(257)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되어 무릎등의 관절운동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270)은 제2구동모터(271)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 액튜에이터(273)가 브라켓의 스토퍼에 각각 지지되어 브라켓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는 단위프레임(2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몸을 뒤집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270)은, 제2구동모터(271)의 정회전시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되는 일방향 액튜에이터(273)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하나의 단위프레임(200)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제2스토퍼(277)에 걸려 지지하게 되고, 이때부터 제2구동모터(271)의 정회전및 역회전에 따라 하나의 단위프레임(200)이 상향되거나 하향토록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나의 단위프레임(200)에 지지되는 브라켓의 제2스토퍼(277)와 일방향 액튜에이터(273)가 완전분리되고, 상기 회전축을 역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다른 하나의 단위프레임(200)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제1스토퍼(275)에 타방향 액튜에이터(273)가 걸려 지지되고, 이때부터 제2구동모터(271)의 역회전 및 정회전에 따라 다른 하나의 단위프레임(200)이 상향되거나 하향토록 되는 것이다.
도1a,b,c는 각각 종래의 침대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a,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이스플레이트 101...구획공간
150...메인힌지 155...메인스토퍼
185...캐스터 200...단위프레임
300...보조단위프레임 400...매트
410...요홈부

Claims (6)

  1. 구분되는 구획공간(101)이 설치되면서 전,후방 베이스플레이트(110)(130)로 구분설치되면서 메인힌지(150)로서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구획공간에 각각 장착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 상측면의 X,Y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에서 분할설치되고, 제1각도조절 또는 제2각도조절수단을 통하여 회전토록 연결되는 단위프레임(200)의 조립구조이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높이조절수단(170)을 구비하면서 캐스터(185)가 연결되는 받침대(180)로서 지지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170)은 X바(175) 및 X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실린더(177)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방 베이스플레이트(110)(130)는 각각의 제1각도조절수단(250)을 통하여 단위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방베이스플레이트(110)를 연결하는 제1각도조절수단(250)은, 제1구동모터(251)가 연결되는 볼스크류(253)와 상기 볼스크류에 치합되면서 링크부재(255)로서 단위프레임에 연결되는 구동너트(257)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베이스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제1각도조절수단(250)은, 제1구동모터(251)가 연결되는 볼스크류(253)와 볼스크류에 각각 치합되면서 길이가 다른 2개의 링크부재(255)로서 단위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너트(257)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프레임은, 감속기를 갖는 제2구동모터(271)에 연결되는 회전축의 양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액튜에이터(273), 상기 회전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액튜에이터(273)가 각각 지지토록 하는 제1,2스토퍼(275)(277)가 각각 구비되면서 회전축에서 자유회전토록 단위프레임(200)에 연결되는 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제2각도조절수단(270)을 통하여 폭방향에서 각도 조절토록 설치되는 저상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프레임(200)은, 상기 단위프레임들을 덮도록 설치되는 매트(400)가 구비되며,
    상기 매트(4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복수의 요홈부(410)가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쿠션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침대
  5. 삭제
  6. 삭제
KR1020090069990A 2009-07-30 2009-07-30 저상침대 KR10114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90A KR101146183B1 (ko) 2009-07-30 2009-07-30 저상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90A KR101146183B1 (ko) 2009-07-30 2009-07-30 저상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313A KR20110012313A (ko) 2011-02-09
KR101146183B1 true KR101146183B1 (ko) 2012-05-24

Family

ID=4377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990A KR101146183B1 (ko) 2009-07-30 2009-07-30 저상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037Y1 (ko) 2021-09-15 2022-02-17 주식회사 플라팜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CN116531196B (zh) * 2023-07-03 2023-09-01 山东君泰安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病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762A (en) * 1998-07-01 1999-10-19 Wu; Shan-Chieh Air mattress for modulating ridden positions
KR200325738Y1 (ko) * 2003-05-27 2003-09-17 강승태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JP2005348983A (ja) * 2004-06-11 2005-12-22 Seahonence Inc 電動ベッドにおける昇降装置
KR100621349B1 (ko) * 2006-05-12 2006-09-07 주식회사 해피베드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762A (en) * 1998-07-01 1999-10-19 Wu; Shan-Chieh Air mattress for modulating ridden positions
KR200325738Y1 (ko) * 2003-05-27 2003-09-17 강승태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JP2005348983A (ja) * 2004-06-11 2005-12-22 Seahonence Inc 電動ベッドにおける昇降装置
KR100621349B1 (ko) * 2006-05-12 2006-09-07 주식회사 해피베드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313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103B2 (en) Rotating bed with improved stability
US3593350A (en) Retractable bed
JP5495569B2 (ja) 関節式のベッド
US20090031498A1 (en) Cpr drop mechanism for a hospital bed
WO2004026211A1 (ja) 可動ベッド
JP3384555B2 (ja)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昇降式の側柵の昇降機構
US8973187B2 (en) Bed frame assembly with a lift system having a translatable carriage
TWI536935B (zh) Bed device
US7559101B2 (en) Side rail pad/panel system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WO2007149413A2 (en) Canister lift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WO2004032814A1 (ja) 可動ベッド用マット
KR20130085807A (ko)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KR101146183B1 (ko) 저상침대
KR20160089640A (ko) 욕창방지용 침대
KR101216395B1 (ko) 접이식 침대
KR101220612B1 (ko) 착석과 기립시 이동이 가능한 이동보조기
KR102381122B1 (ko) 전후경사와 수직승강동작가능한 환자 침대용 승강조절장치
DK178773B1 (en) Bed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hospital bed
KR20210100788A (ko) 폴딩형 침대
KR200409978Y1 (ko) 건강의료침대
KR20180102990A (ko) 가동 프레임을 갖는 베드
JP4746153B1 (ja) 揺動式介護ベッド装置
RU193658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кровать
KR100962466B1 (ko) 의료용 침대의 가드패널
KR20200002308U (ko) 모션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