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738Y1 -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738Y1
KR200325738Y1 KR20-2003-0016518U KR20030016518U KR200325738Y1 KR 200325738 Y1 KR200325738 Y1 KR 200325738Y1 KR 20030016518 U KR20030016518 U KR 20030016518U KR 200325738 Y1 KR200325738 Y1 KR 200325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link mechanism
bed
medica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태
Original Assignee
강승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태 filed Critical 강승태
Priority to KR20-2003-0016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18Physician's examin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하기 위한 간이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료용 간이침대의 상판이 승,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진료나 치료의 집중도를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진료용 간이침대의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레일과, 상부레일에 결합 안내되는 링크기구와, 링크기구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을 안내하는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에 설치된 스크류와, 링크기구에 결합되며 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너트와, 정역회전되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우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모우터의 작동으로 진료용 간이침대의 상판이 승, 하강되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의사의 신체적 조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의사가 편안한 자세로 진료나 치료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환자가 보조자의 도움 없이 진료용 간이침대에 오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Hight Adjustment Apparatus of Simplicity Bed for Medical Examination}
본 고안은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사가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하기 위한 간이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사가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하는 진료실이나 치료실에는 진료나 치료를 위한 진료용 간이침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진료용 간이침대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진료용 간이침대(100)는 포스트(103)로 지지되는 상판(101)에 쿠션재(102)를 설치하여 된 것이며, 이러한 진료용 간이침대(100)에 환자를 앉히거나 눕힌 상태에서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진료용 간이침대(100)는 높낮이의 조절이 불가능한 것이어서 진료나 치료시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즉, 신장이 큰 의사는 진료용 간이침대(100)의 높이가 낮으므로 진료나 치료시 허리를 굽힌 자세로 환자를 돌보게고 따라서 자세가 불편하여 진료나 치료의 집중도를 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린이와 같이 신장이 작은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상기 진료용 간이침대(100)가 높아 보조자의 도움없이 진료용 간이침대(100)에 오를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진료용 간이침대의 상판이 승,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진료나 치료의 집중도를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진료용 간이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진료용 간이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료용 간이침대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진료용 간이침대의 승, 하강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료용 간이침대 11 : 모우터 12 : 감속기
13,14 : 스프로켓 15 : 체인 16 : 스크류
17 : 하부레일 18 : 스토퍼 19 ; 링크기구
20 : 바 21 : 로울러 22 : 이송너트
23 : 상부레일 24 : 브라켓 25 : 상판
26 : 쿠션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우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에 의하여 링크기구가 레일에 안내되며 작동되어 상판을 승, 하강시키도록 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의사가 진료나 치료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환자는 보조자의 도움 없이 진료용 간이침대에 오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진료용 간이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료용 간이침대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쿠션재(26)가 설치된 상판(26)의 저면에 상부레일(23)을 설치하고, 상측이 상부레일(23)에 결합 안내되는 링크기구(19)를 설치하며, 상기 링크기구(19)의 하측에는 하부레일(17)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링크기구(19)는 바(20)가 "X"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20)의 일측 단부에는 상부레일(23)이나 하부레일(17)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로울러(21)를 설치하고, 타측 단부는 각각 상부레일(23)과 하부레일(17)에 고정 설치한다.
아울러 모우터(11)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16)를 하부레일(17)에 설치하고, 스크류(16)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이송너트(22)를 링크기구(19)에 설치하되, 하부레일(17)에서 슬라이드 이송되는 바에 결합 설치한다.
또한, 스크류(16)를 회전시키는 모우터(11)는 정역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모우터(11)의 회전축에 감속기(12)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12)의 회전축에 스프로켓(13)을 설치하며, 스크류(16)의 단부에 스프로켓(14)을 설치하여 체인(15)으로 상기 스프로켓(13,14)을 연결한다.
또한, 상부레일(23)의 양측에 브라켓(24)을 설치하여, 상판(25)이 브라켓(24)에 결합 지지되도록 하고, 상부레일(23)과 하부레일(17)에 링크기구(19)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18)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진료용 간이침대(10)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높이를 낮출 경우에는 모우터(11)를 작동시켜 상기 모우터(11)의 동력이 감속기(12)와 스프로켓(13,14) 및 체인(15)을 통하여 스크류(16)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스크류(1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이송너트(22)가 모터(11)의 반대방향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이송너트(22)와 결합된 링크기구(19)의 일측 바(20) 단부가 이송너트(22)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바(20)의 타측은 상부레일(23)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바(20)는 일측이 상부레일(23)에서 슬라이드 안내되고 타측은 하부레일(17)에 고정 설치되었으므로, 상기 이송너트(22)가 결합된 바(20)의 일측 단부가 모우터(1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다른 바(20)의 일측 단부도 상부레일(23)에서 슬라이드 안내되며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각 바(20)의 타측 단부는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면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23)과 상판(25)이 하강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 신장이 작은 어린이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상판(25) 위로 오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진료용 간이침대(10)의 높이를 높일 경우에는 스크류(16)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우터(11)를 작동시키면, 첨부한 도면 도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너트(22)가 모우터(11) 측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로울러(21)가 설치된 바(20)의 단부가 상기 이송너트(22)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레일(23)과 상판(25)이 상승되는 것이며, 상기 상판(25)과 상부레일(23)이 상승되는 최대 높이는 바(20)의 단부가 스토퍼(18)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높이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진료용 간이침대(10)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환자가 상판(25) 위로 올라간 후 상기 진료용 간이침대(10)의 상판을 승강시켜 진료 또는 치료를 하거나, 의사의 신체 조건에 맞춰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의사가 편안한 자세로 집중도를 높여 환자를 돌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진료용 간이침대(10) 외에 구급용 들것이나 구급차의 내부에 구비된 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거나 치료할 때 사용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를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된 것으로, 모우터의 작동으로 진료용 간이침대의 상판이 승, 하강되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의사의 신체적 조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의사가 편안한 자세로 진료나 치료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환자가 보조자의 도움 없이 진료용 간이침대에 오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하여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부 받침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25)에 쿠션재(26)가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판(26)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레일(23)과, 상부레일(23)에 결합 안내되는 링크기구(19)와, 링크기구(19)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기구(19)의 작동을 안내하는 하부레일(17)과, 하부레일(17)에 설치된 스크류(16)와, 링크기구(19)에 결합되며 스크류(16)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너트(22)와, 정역회전되며 스크류(16)를 회전시키는 모우터(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레일(23)에 상판(25) 결합을 위한 브라켓(2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레일(23)과 하부레일(17)에 링크기구(19)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1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모우터(11)의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12)와, 감속기(12)에 설치된 스프로켓(13)과, 스크류(16)에 설치된 스프로켓(13,14)과, 상기 스프로켓(14)을 연결하는 체인(15)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레일(23)과 하부레일(17)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로울러(21)가 링크기구(19)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2003-0016518U 2003-05-27 2003-05-27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25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18U KR200325738Y1 (ko) 2003-05-27 2003-05-27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18U KR200325738Y1 (ko) 2003-05-27 2003-05-27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738Y1 true KR200325738Y1 (ko) 2003-09-17

Family

ID=4941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518U KR200325738Y1 (ko) 2003-05-27 2003-05-27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7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97B1 (ko) * 2008-10-16 2011-03-29 현대체육산업(주) 리프팅 플레이트
KR101146183B1 (ko) * 2009-07-30 2012-05-24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저상침대
KR20190125666A (ko) 2018-04-30 2019-11-07 김도원 매트리스 커버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 침대
CN111501477A (zh) * 2020-05-04 2020-08-07 宝力科技(宁国)有限公司 新型环保塑胶自结纹型跑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97B1 (ko) * 2008-10-16 2011-03-29 현대체육산업(주) 리프팅 플레이트
KR101146183B1 (ko) * 2009-07-30 2012-05-24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저상침대
KR20190125666A (ko) 2018-04-30 2019-11-07 김도원 매트리스 커버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 침대
CN111501477A (zh) * 2020-05-04 2020-08-07 宝力科技(宁国)有限公司 新型环保塑胶自结纹型跑道
CN111501477B (zh) * 2020-05-04 2021-08-20 宝力科技(宁国)有限公司 环保塑胶自结纹型跑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396B2 (en) Turning mechanism for a patient confined to a bed
US10292885B2 (en) Multifunctional critical c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3877421A (en) Patient lift and exercise apparatus
CN102824254A (zh) 一种辅助护理移乘装置
CN108938265B (zh) 防治滋生褥疮的医疗床
CN112618201A (zh) 一种智能护理床
US7062804B2 (en) Patient mov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202409329U (zh) 瘫痪病人专用护理床
US9149401B2 (en)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and/or inhibiting decubitus ulcers
CN109907901A (zh) 一种老年人多功能护理床
KR101546345B1 (ko)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KR200325738Y1 (ko)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0016902A (ko) 환자용 재활장치
CN214967884U (zh) 一种医疗护理用轮椅
JP2010172630A (ja) 電動ベッドを利用した病弱者や寝たきり老人等の移送装置
CN214806177U (zh) 一种偏瘫患者康复用护理床
JP4232482B2 (ja) 介護ベッド
JP4988958B1 (ja) 揺動式介護ベッド装置
CN113995585B (zh) 一种多功能护理装置
CN212678742U (zh) 一种医用消毒抬脚架
KR100335661B1 (ko) 혈액 순환을 도와 주는 침대
KR102263658B1 (ko)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JP3142492U (ja) 医療用多機能ベッド
KR20040069160A (ko) 욕창방지 침대용 무전단 등받이 기구
CN214129204U (zh) 一种瘫痪患者床上洗脚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