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345B1 -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345B1
KR101546345B1 KR1020140038103A KR20140038103A KR101546345B1 KR 101546345 B1 KR101546345 B1 KR 101546345B1 KR 1020140038103 A KR1020140038103 A KR 1020140038103A KR 20140038103 A KR20140038103 A KR 20140038103A KR 101546345 B1 KR101546345 B1 KR 10154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ed
patient
winch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영
박석호
박종오
선정안
정희용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설치되는 케이블 로봇을 이용하여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상 프레임(210)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221)(222)(231)(232)과; 각 지지봉(221)(222)(231)(2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241)(242)(251)(252)와;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260)가 구비되어 침상 프레임(210)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부(270)와, 침상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봉(221)(222)(231)(232) 중의 어느 하나(221)(231)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윈치모듈(281)과; 일단이 윈치모듈(281)에 고정되고 케이블클램프(260)와 풀리(241)(242)를 따라서 안내되어 귄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이 이루어져 매트부(270)를 승강하여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게 되는 케이블(291)(29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of a bed}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설치되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마비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대부분을 침상에 누워서 지내게 되며, 이와 같이 장기간 침상에 누워서 지내는 환자들은 등이나 엉덩이와 같이 국부적으로 과도한 압박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안되어 조직이 죽게 되는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욕창은 의식이 없는 환자, 뇌신경이나 척수신경 손상이 있는 환자, 위중한 환자, 노인 환자,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만성적으로 쇠약해 있는 환자, 침대에 누워지는 환자 등에서 잘 발생한다. 이러한 환자는 장시간 동일한 체위로 있어도 압력을 받는 곳에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며, 불쾌감을 느낀다 해도 환자 자신이 체위를 바꿀 기력이 없기 때문에 압력에 의한 손상을 입기 쉽다.
욕창의 예방은 압박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며, 압박을 피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체위를 바꾸어 장기적인 압력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욕창을 예방하기 위하여 침상에 전동기구가 마련되어 환자의 체위를 일정한 시간마다 바꿔주게 되는 다수의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0477551호(공고일자: 2005.03.22)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555호(공개일자: 2010.11.23)는 다수의 요철이 상하 반복하여 운동이 이루어지거나 환자가 눕게 되는 판상 프레임을 다수로 구획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게 되는 욕창방지용 침대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욕창방지용 침대는 일반직인 환자용 침대가 아닌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의 침대로써 일반적인 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를 필요로 하는 다수의 환자가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77551호(공고일자: 2005.03.22),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555호(공개일자: 2010.11.2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로봇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환자용 침대에 쉽게 설치되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는, 침상 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와;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가 구비되어 침상 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부와; 상기 지지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윈치모듈과; 일단이 상기 윈치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클램프와 상기 풀리를 따라서 안내되어 귄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이 이루어져 매트부를 승강하여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게 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는, 침상 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와; 상기 침상 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는 침대보를 파지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와; 상기 지지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윈치모듈과; 일단이 상기 윈치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클램프와 상기 풀리를 따라서 안내되어 귄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이 이루어져 침대보를 승강하게 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상 프레임은 상기 지지봉을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게 되는 고정브라켓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윈치모듈의 구동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마련된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치모듈은 케이블의 텐션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로 출력하는 텐션 검출수단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트롤러는 윈치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텐션 신호에 따라서 케이블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윈치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는, 침상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조로써 별도의 전용 침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 침대에 쉽게 설치되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에 있어서 윈치모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에 있어서 윈치모듈의 구동을 조작하게 되는 콘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이하, "욕창 예방장치"라 함)는, 침상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양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지봉(121)(122)(131)(132)과; 상기 지지봉(121)(122)(131)(132)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141)(142)(151)(152)와;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160)가 구비되어 침상 프레임(110)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부(170)와; 상기 침상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봉(121)(12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윈치모듈(181)(182)과; 일단이 윈치모듈(181)(182)에 고정되고 케이블클램프(140)와 상기 풀리(131)(132)를 따라서 안내되어 귄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이 이루어져 매트부(170)를 승강하게 되는 케이블(191)(192);을 포함한다.
침상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양측에 제1지지봉(121)과 제2지지봉(122)이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지지봉(121)(122)은 환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환자의 체위를 주기적으로 바꿔주기 위한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환자의 상체와 하체에 대응되어 두 쌍으로 구성됨을 예시하고 있으며, 한 쌍은 침상 프레임(110)의 상단에 제1지지봉(121)과 제2지지봉(122)으로 구성되며, 나머지 한 쌍은 침상 프레임(110)의 하단에 제3지지봉(131)과 제4지지봉(132)으로 구성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두 쌍 이상의 지지봉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지지봉(121)(122)(131)(132)은 침상 프레임(110)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침상 프레임(1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상 프레임(110)은 지지봉이 삽입 고정이 가능한 고정브라켓(111)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지지봉(121)(122)(131)(132) 상단에는 자유 회동 가능하게 풀리(141)(142)(151)(152)가 설치되어 매트부(170)를 승강하기 위한 케이블(191)(192)의 조작 방향을 안내한다.
매트부(170)는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160)가 구비되어 침상 프레임(110) 상부에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매트부(170)의 각 코너에 케이블클램프가 마련되어 총 4개의 케이블클램프가 구비됨을 보여주고 있다. 매트부(170)는 침상 프레임(110) 상부에 마련되어 환자는 매트부(170) 위에 눕게 되어 매트부(170) 일측을 들었다가 내려놓으면서 환자의 체위를 바꿔줄 수 있다.
케이블클램프(160)는 케이블(191)(192)이 삽입되어 매트부(170)를 지지하면서 케이블(191)(192)의 조작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클램프(160)는 매트부(170)에 고정되는 클램프암(161)과, 클램프암(16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162)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써 케이블클램프는 매트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관통하게 되는 아이볼트 또는 후크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케이블클램프(160)는 매트부(170)에 고정된 것일 수 있으나, 매트부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블클램프는 매트부에 형성된 홀에 걸어서 고정 가능한 후크일 수가 있다.
매트부(170)는 케이블클램프(160)가 고정되는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바 또는 파이프와 같은 사이드브라켓(171)이 삽입될 수 있으며, 사이드브라켓(171)은 매트부(170)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매트부(170) 측부를 지탱하여 안정감 있게 환자의 체위를 바꿔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매트부(170)는 침상에 마련되는 주지의 침대보일 수 있으며, 이때 케이블클램프는 침대보를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되는 클램프암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윈치모듈(181)(182)은 제1지지봉(121)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1윈치모듈(181)과, 제3지지봉(131)과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윈치모듈(182)로 구성된다.
윈치모듈(181)(182)은 각 케이블(191)(192) 일단이 고정되어 케이블(191)(192)을 귄취(winding)하거나 권출(unwinding)하여 매트부(17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191)(192)은 제1윈치모듈(181)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케이블(191)과, 제2윈치모듈(182)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2케이블(192)로 구성된다.
제1케이블(191)은 일단이 제1윈치모듈(181)에 고정되어 제1풀리(141)와, 매트부(170) 상단의 두 케이블클램프와, 제2풀리(142)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타단은 제2지지봉(122) 하단 또는 제2지지봉(122)과 인접한 침상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동일하게 제2케이블(192)은 제2윈치모듈(192)과, 제3풀리(151), 매트부(170) 하단의 두 케이블클램프와, 제4풀리(152)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2윈치모듈(192)의 정회전 또는 정회전 구동에 따라서 매트부(170) 하단을 들어다가 놓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윈치모듈(181)(182)은 버튼 또는 조작레버가 마련되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윈치모듈의 조작부(버튼 또는 조작레버)는 윈치모듈과 분리되어 유선 또는 무선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윈치모듈(181)(192)은 케이블의 텐션을 검출하여 텐션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 예방장치에 있어서 윈치모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윈치모듈(181)은 제1케이블(191)이 감기게 되는 보빈(181a)과, 보빈(181a)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게 되는 모터(181b)와, 모터(181b)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모터 드라이버(181c)를 포함하여 모터 드라이버(181c)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케이블(191)이 보빈(181a)에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진다.
특히 제1윈치모듈(181)은 제1케이블(191)의 텐션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181d)이 마련되며, 로드셀(181d)은 제1케이블(191)의 텐션을 검출하여 외부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2윈치모듈 역시도 제1윈치모듈(181)과 동일하게 로드셀이 마련되어 제2케이블의 귄취 또는 권출 시에 발생되는 텐션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에 있어서 윈치모듈의 구동을 조작하게 되는 콘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와 같이 케이블의 텐션을 검출 가능한 제1,2윈치모듈(181)(182)은 하나의 콘트롤러(200)에 연결되어 각 윈치모듈에서 검출된 텐션 신호를 전달하며, 콘트롤러(200)는 각 윈치모듈(181)(18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200)는 각 윈치모듈(181)(182)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 또는 조작레버로 구성된 조작부(2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윈치모듈(181)(182)을 일정 주기마다 조작할 수 있도록 타이머회로(2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콘트롤러(200)는 각 윈치모듈(181)(182)에서 검출되어 전달된 텐션 신호를 수신하며, 텐션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여 각 윈치모듈(181)(182)의 권취 또는 권출 정도를 결정하여 환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일정 높이만큼 들어서 환자의 자세를 바꿔주게 된다. 이러한 콘트롤러는 침상 프레임에 고정된 구성일 수 있으며, 또는 침상 프레임과 분리되어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욕창 예방장치는, 침상 프레임(210)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221)(222)(231)(232)과; 각 지지봉(221)(222)(231)(2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241)(242)(251)(252)와;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260)가 구비되어 침상 프레임(210)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부(270)와, 침상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봉(221)(222)(231)(23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221)(231)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윈치모듈(281)과; 일단이 윈치모듈(281)에 고정되고 케이블클램프(260)와 풀리(241)(242)를 따라서 안내되어 귄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이 이루어져 매트부(270)를 승강하여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게 되는 케이블(291)(29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장치는, 환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두 개의 지지봉(221)(222)을 한 조(group)로 하여 케이블을 연결하여 좌측과 우측의 케이블(291)(192)이 번갈아서 매트부(270)를 들어주어 환자의 자세를 바꿔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환자의 우측에 마련되는 두 개의 지지봉(221)(222)에서 상단에 배치되는 지지봉(221) 측에만 윈치모듈(281)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의 자세를 바꿔주기 위하여 각 지지봉(221)(222)(231)(232) 모두의 위치에서 케이블(291)(292)을 감아줄 수 있도록 각각의 윈치모듈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210 : 침상 프레임
121, 122, 131, 132, 221, 222, 231, 232 : 지지봉
141, 142, 151, 152, 241, 242, 251, 252 : 풀리
160, 260 : 케이블클램프 170, 270 : 매트부
181, 182, 281 : 윈치모듈 191, 192, 291, 292 : 케이블
200 : 콘트롤러

Claims (6)

  1. 삭제
  2. 침상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두 개 이상 마련된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각각에 수직하게 끼움 고정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와;
    상기 침상 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는 침대보를 파지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케이블클램프와;
    상기 침상 프레임의 양측 중 동일 종방향 열 또는 동일 횡방향 열에 배치된 지지봉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서로 독립 구동이 가능하게 복 수개로 구성되어 케이블의 텐션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텐션 검출수단이 구비된 윈치모듈과;
    일단이 상기 윈치모듈 각각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클램프와 상기 풀리를 따라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안내되어 귄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이 이루어져 침대보를 서로 독립된 위치에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 수개로 구성된 케이블과;
    상기 텐션 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텐션 신호에 따라서 케이블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윈치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가 마련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38103A 2014-03-31 2014-03-31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KR10154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03A KR101546345B1 (ko) 2014-03-31 2014-03-31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03A KR101546345B1 (ko) 2014-03-31 2014-03-31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345B1 true KR101546345B1 (ko) 2015-08-25

Family

ID=5406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03A KR101546345B1 (ko) 2014-03-31 2014-03-31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3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655A (zh) * 2016-01-13 2016-05-04 王利鹏 一种帮助病人侧翻身的护理床
KR101770624B1 (ko) 2016-06-28 2017-08-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장비의 환자 위치 조정 장치
KR102063145B1 (ko) 2018-07-24 2020-02-11 서상우 욕창 방지 장치
KR20200105988A (ko) 2019-03-02 2020-09-10 조민수 해먹구조의 욕창 방지용 침대
KR20200135019A (ko)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엠제이원미디어랩 욕창 방지 침상
WO2023246494A1 (zh) * 2022-06-23 2023-12-28 北京华商慧智居家养老服务有限公司 为失能人员移位、翻身和更换床上用品的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177A (ja) * 1999-03-26 2000-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ワーアシスト付き昇降移載装置
JP2012235877A (ja) 2011-05-11 2012-12-06 Kunio Ito 寝具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177A (ja) * 1999-03-26 2000-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ワーアシスト付き昇降移載装置
JP2012235877A (ja) 2011-05-11 2012-12-06 Kunio Ito 寝具昇降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655A (zh) * 2016-01-13 2016-05-04 王利鹏 一种帮助病人侧翻身的护理床
KR101770624B1 (ko) 2016-06-28 2017-08-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장비의 환자 위치 조정 장치
KR102063145B1 (ko) 2018-07-24 2020-02-11 서상우 욕창 방지 장치
KR20200105988A (ko) 2019-03-02 2020-09-10 조민수 해먹구조의 욕창 방지용 침대
KR20200135019A (ko)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엠제이원미디어랩 욕창 방지 침상
WO2023246494A1 (zh) * 2022-06-23 2023-12-28 北京华商慧智居家养老服务有限公司 为失能人员移位、翻身和更换床上用品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345B1 (ko) 환자용 침대의 욕창 예방장치
US4654903A (en) Bedsore prevention device in an invalid bed arrangement
US6668396B2 (en) Turning mechanism for a patient confined to a bed
KR102074630B1 (ko) 욕창 방지용 침대
US9370251B2 (en) Hospital bed for automatically changing sheets
US8549679B2 (en) Personal lifting device
JP7207635B2 (ja) 寝返り支援装置
US20170000670A1 (en) Hospital bed with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bed sheets without disturbing occupied person, also a method of preventing and relieving ulcers
CN212788964U (zh) 一种危重患者俯卧位翻身装置
KR20160055642A (ko) 와상형 매트리스 조립체
US20180140492A1 (en) Health-care device
KR102063145B1 (ko) 욕창 방지 장치
KR102283743B1 (ko) 욕창 방지 침상
KR20120103288A (ko) 환자용 침대
KR20160074338A (ko) 간병용 침대
JP4320739B2 (ja) 介助装置
KR101546344B1 (ko) 침대간 환자 이송장치
JPH06209970A (ja) 介護用リフト
KR200325738Y1 (ko) 진료용 간이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US20200345569A1 (en) Two-point, four points and multiple points lifting patient lifting robots
JP3433313B2 (ja) 床ずれ防止及び入浴用ベット
KR100359488B1 (ko) 환자용 침대
EP0852939A2 (en) Bed assembly to lift up a lying patient at an adjustable height and position
KR102248098B1 (ko) 시트 자동 교환 장치
JPH03572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