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37Y1 -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37Y1
KR200495037Y1 KR2020210002863U KR20210002863U KR200495037Y1 KR 200495037 Y1 KR200495037 Y1 KR 200495037Y1 KR 2020210002863 U KR2020210002863 U KR 2020210002863U KR 20210002863 U KR20210002863 U KR 20210002863U KR 200495037 Y1 KR200495037 Y1 KR 200495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r
connection
curved surface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호
안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팜
안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팜, 안희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팜
Priority to KR2020210002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1Mortise and tenon type joints with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joint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서 복수의 프레임을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여 보관 및 배송이 유리하고 싱글사이즈타입, 더블사이즈타입, 퀸사이즈타입 및 개인별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 타입의 침대를 구현하도록,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 LENGTH ADJUSTABLE LOW BED FRAME }
본 고안은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서 복수의 프레임을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여 보관 및 배송이 유리하고 싱글사이즈타입, 더블사이즈타입, 퀸사이즈타입 및 개인별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 타입의 침대를 구현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및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매트의 상부 높이가 40 내지 50 센티미터 정도되는 것이 보편적인 설치 높이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침대를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하는 침대받침을 설치하고 그 위에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침대를 구성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침대받침을 사용하지 않고 매트리스를 두 개 겹쳐서 침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침대받침 하단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적인 이유와 침대받침이 필요 이상으로 고가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때, 매트리스를 두 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단의 매트리스와 하단의 매트리스의 쿠션으로 인해 너무 소프트한 느낌이 드는 문제가 있고, 매트리스 역시 고가인 관계로 상단의 매트리스는 기능성 고급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하단의 매트리스는 쿠션이 없거나 매우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단 매트리스는 침대의 외부 골격을 구성하는 바닥부재, 상부 프레임을 기본으로 하고, 바닥부재와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블록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외부를 감싸는 천으로 마감되어 하단 매트리스가 완성된다.
이러한 하단 매트리스는 크게 싱글사이즈와 더블사이즈로 제작되고, 더블사이즈 중에도 킹사이즈와 퀸사이즈 등으로 크기가 나뉘며, 싱글사이즈의 경우에도 유아용, 아동용, 성인용 등으로 크기가 나뉘고, 소수이기는 하나 주문된 사이즈에 따라 하단 매트리스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작되어 제작장치를 사이즈에 따라 별도로 운영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2313호 (2011.02.09. 공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서 복수의 프레임을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여 보관 및 배송이 유리하고 싱글사이즈타입, 더블사이즈타입, 퀸사이즈타입 및 개인별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 타입의 침대를 구현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및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로 전후 연결이 용이한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요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요홈(121)에 대응되는 연결 돌출(221)이 구비되어 결합력이 증대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가이드 요홈(121)의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 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221)에는 상기 끼움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출(221a)가 구비되어 삽입 후 탈거가 방지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측면에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종단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4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410)와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420)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10)는 좌우에 제 1 평판(4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평판(411)의 중앙 하부에는 라운드 돌출되게 제 1 연결만곡면(41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재(42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10)와 대응되게 좌우에 제 2 평판(421)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 상부에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 방향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제 2 연결만곡면(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만곡면(422)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에 걸리도록 걸림돌출(422a)이 지면방향으로 구비되어 측면 확상성이 편리한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과 상기 걸림돌출(422a)이 접촉되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음패드(412a)가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및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저면에 마찰방지재(300)가 더 구비되어 소음이 저감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은 먼저, 상기 쇼핑백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광고면(110)과 상기 광고면(110)의 배면에 이면(120)이 배치되는 메인 광고면(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요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요홈(121)에 대응되는 연결 돌출(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요홈(121)의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 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221)에는 상기 끼움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출(221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측면에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종단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4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410)와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420)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10)는 좌우에 제 1 평판(4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평판(411)의 중앙 하부에는 라운드 돌출되게 제 1 연결만곡면(4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재(42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10)와 대응되게 좌우에 제 2 평판(421)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 상부에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 방향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제 2 연결만곡면(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만곡면(422)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에 걸리도록 걸림돌출(422a)이 지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과 상기 걸림돌출(422a)이 접촉되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음패드(412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및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저면에 마찰방지재(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방지재(300)는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한 마찰요홈(310)과 마찰돌출(320)이 서로 교호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여,
첫째,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서 복수의 프레임을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여 보관 및 배송이 유리하고 싱글사이즈타입, 더블사이즈타입, 퀸사이즈타입 및 개인별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 타입의 침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로 전후 연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요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요홈(121)에 대응되는 연결 돌출(221)이 구비되어 결합력이 증대된다.
넷째, 상기 가이드 요홈(121)의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 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221)에는 상기 끼움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출(221a)가 구비되어 삽입 후 탈거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측면에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종단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4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410)와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420)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10)는 좌우에 제 1 평판(4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평판(411)의 중앙 하부에는 라운드 돌출되게 제 1 연결만곡면(41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재(42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10)와 대응되게 좌우에 제 2 평판(421)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 상부에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 방향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제 2 연결만곡면(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만곡면(422)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에 걸리도록 걸림돌출(422a)이 지면방향으로 구비되어 측면 확상성이 편리하다.
여섯째,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과 상기 걸림돌출(422a)이 접촉되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음패드(412a)가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및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저면에 마찰방지재(300)가 더 구비되어 소음이 저감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3 내지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연결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및 10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마찰방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2 내지 1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7 및 1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및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3 내지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연결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9 및 10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마찰방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2 내지 1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7 및 1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은 먼저,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구성된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가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200)가 세로 방향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세로 방향의 길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요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요홈(121)에 대응되는 연결 돌출(221)이 구비되어 결합 후 견고성이 높아져 사용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도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요홈(121)의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 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221)에는 상기 끼움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출(221a)가 더 구비되어 견고성을 높일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측면에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종단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4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410)와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420)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10)는 좌우에 제 1 평판(4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평판(411)의 중앙 하부에는 라운드 돌출되게 제 1 연결만곡면(412)이 구비되어 측 방향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200)의 폭 길이가 다양하게 구성되어도 설치 자유도를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재(42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10)와 대응되게 좌우에 제 2 평판(421)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 상부에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 방향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제 2 연결만곡면(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만곡면(422)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에 걸리도록 걸림돌출(422a)이 지면방향으로 구비되어 측 결합 견고성을 유지하되,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과 상기 걸림돌출(422a)이 접촉되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음패드(412a)가 구비되어 사용 소음이 저감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및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저면에 마찰방지재(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마찰방지재(300)는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한 마찰요홈(310)과 마찰돌출(320)이 서로 교호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사용 소음,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 사용시 바닥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을 이용하면, 침대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서 복수의 프레임을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여 보관 및 배송이 유리하고 싱글사이즈타입, 더블사이즈타입, 퀸사이즈타입 및 개인별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 타입의 침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로 전후 연결이 용이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요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요홈(121)에 대응되는 연결 돌출(221)이 구비되어 결합력이 증대되며, 상기 가이드 요홈(121)의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 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221)에는 상기 끼움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출(221a)가 구비되어 삽입 후 탈거가 방지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측면에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종단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4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410)와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420)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10)는 좌우에 제 1 평판(4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평판(411)의 중앙 하부에는 라운드 돌출되게 제 1 연결만곡면(41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재(42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10)와 대응되게 좌우에 제 2 평판(421)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 상부에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 방향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제 2 연결만곡면(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만곡면(422)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에 걸리도록 걸림돌출(422a)이 지면방향으로 구비되어 측면 확상성이 편리하며,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과 상기 걸림돌출(422a)이 접촉되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음패드(412a)가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및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저면에 마찰방지재(300)가 더 구비되어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베이스 가로바
120 ... 베이스 세로바
121 ... 가이드 요홈
121a ... 끼움 홈
130 ... 베이스 공간부
200 ... 연결 플레이트
210 ... 연결 가로바
220 ... 연결 세로바
221 ... 연결 돌출
221a ... 끼움 돌출
230 ... 연결 공간부
300 ... 마찰방지재
310 ... 마찰요홈
320 ... 마찰돌출
400 ... 연결부재
410 ... 제 1 연결부재
411 ... 제 1 평판
412 ... 제 1 연결만곡면
412a ... 소음패드
420 ... 제 2 연결부재
421 ... 제 2 평판
422 ... 제 2 연결만곡면
422a ... 걸림돌출

Claims (7)

  1. 전 후방에 베이스 가로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길이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베이스 세로바(120)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부(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상기 베이스 공간부(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과 평행한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복수의 연결 세로바(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세로바(22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와 동일 높이를 갖는 연결 가로바(210)와 상기 연결 세로바(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가 내입되도록 연결 공간부(230)가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측면에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종단에 연결부재(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4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410)와 또 다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420)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10)는 좌우에 제 1 평판(4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평판(411)의 중앙 하부에는 라운드 돌출되게 제 1 연결만곡면(41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재(42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10)와 대응되게 좌우에 제 2 평판(421)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 상부에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 방향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제 2 연결만곡면(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만곡면(422)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에 걸리도록 걸림돌출(422a)이 지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 요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요홈(121)에 대응되는 연결 돌출(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홈(121)의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 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221)에는 상기 끼움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출(221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만곡면(412)과 상기 걸림돌출(422a)이 접촉되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음패드(412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가로바(110) 및 상기 연결 가로바(210)의 저면에 마찰방지재(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재(300)는,
    상기 베이스 세로바(12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한 마찰요홈(310)과 마찰돌출(320)이 서로 교호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KR2020210002863U 2021-09-15 2021-09-15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KR200495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863U KR200495037Y1 (ko) 2021-09-15 2021-09-15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863U KR200495037Y1 (ko) 2021-09-15 2021-09-15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37Y1 true KR200495037Y1 (ko) 2022-02-17

Family

ID=8047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863U KR200495037Y1 (ko) 2021-09-15 2021-09-15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3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65A (ko) * 1998-12-29 1999-03-25 노규상 침대용 매트받침틀
KR200320309Y1 (ko) * 2003-04-30 2003-07-22 조태곤 침대 받침대
KR20090007639U (ko) * 2008-01-24 2009-07-29 이상희 욕실용 흡착 발판
KR20110012313A (ko)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저상침대
KR101745450B1 (ko) * 2015-08-05 2017-06-09 이상우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65A (ko) * 1998-12-29 1999-03-25 노규상 침대용 매트받침틀
KR200320309Y1 (ko) * 2003-04-30 2003-07-22 조태곤 침대 받침대
KR20090007639U (ko) * 2008-01-24 2009-07-29 이상희 욕실용 흡착 발판
KR20110012313A (ko)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클리어뷰 헬스케어 저상침대
KR101745450B1 (ko) * 2015-08-05 2017-06-09 이상우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7900B (zh) 模块式家具组件
JP2005532092A (ja) クッション用弾性マット
ITPD20080209A1 (it) Seduta variamente componibile
KR200495037Y1 (ko)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US6588035B2 (en) Mattress support system
US7406724B2 (en) Twin baby bed
KR20130006366U (ko) 유아용 공간놀이 범퍼매트
JP7029045B2 (ja) 椅子
CN218044590U (zh) 一种组合露营睡垫
KR101762855B1 (ko) 침대용 매트리스
JP4173675B2 (ja) クッション材
JP7173726B2 (ja) 椅子
KR20120133475A (ko) 골판지로 제조된 휴대용 접철식 침대
JP4353020B2 (ja) 簀の子
KR101151433B1 (ko) 스프링 설치가 개선된 침대용 매트리스 프레임
CN219803522U (zh) 一种转角沙发
CN214258697U (zh) 一种可拆装的组合变形床垫
KR20070102158A (ko) 에어 매트리스
KR200284224Y1 (ko) 매트리스
CN204838779U (zh) 充气沙发椅
JP2000300391A (ja) 家具並びに寝具の荷重受け面及び家具並びに寝具の荷重受け面の弾性力調整方法
JP7029044B2 (ja) 椅子
JP3241161U (ja) 布張りの家具の芯体及び布張りの家具
CN213216152U (zh) 一种拆卸式沙发
KR102668348B1 (ko)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