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01B1 -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01B1
KR101512801B1 KR1020130079186A KR20130079186A KR101512801B1 KR 101512801 B1 KR101512801 B1 KR 101512801B1 KR 1020130079186 A KR1020130079186 A KR 1020130079186A KR 20130079186 A KR20130079186 A KR 20130079186A KR 101512801 B1 KR101512801 B1 KR 10151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body
auxiliary
ma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340A (ko
Inventor
안상준
Original Assignee
가야폴리우레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야폴리우레탄(주) filed Critical 가야폴리우레탄(주)
Priority to KR102013007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8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나 기타 쿠션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에 사용될 경우 어깨, 허리, 엉덩이 등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을 달리하여 보다 편안한 매트리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탄성편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와 상기 탄성편들이 형성되지 않는 평탄부를 갖는 주(主)탄성체 및 상기 주탄성체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고 상기 평탄부에 결합되는 보조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는 다수의 탄성편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와, 상기 탄성편들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를 갖는 주(主)탄성체; 및 상기 평탄부에 결합되는 보조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주탄성체는 상기 탄성굴곡부와 상기 보조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CUSHION MA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나 기타 쿠션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에 사용될 경우 어깨, 허리, 엉덩이 등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을 달리하여 보다 편안한 매트리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탄성편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와 상기 탄성편들이 형성되지 않는 평탄부를 갖는 주(主)탄성체 및 상기 주탄성체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고 상기 평탄부에 결합되는 보조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침대용 매트리스를 비롯한 방석이나 허리받침 등의 쿠션 등 탄성을 갖는 매트리스와 관련해서,
이광수의 실용신안등록 제0346452호(2004.03.19.) [에어스프링 스폰지 폼] 및 실용신안등록 제0361419호(2004.08.31.) [스폰지 폼] 이 있는데,
상기 고안은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 그리고 의자 시트 등의 내자(內資) 용도로 이용되는 스폰지 폼에 관한 것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홀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접착되어 상기 홀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덮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접착되어 상기 홀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덮개; 상기 각 홀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하 덮개의 표면에 각각 탄지되는, 일정한 탄성 강도를 가지는 다수의 탄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 스폰지 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에어스프링 스폰지 폼은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홀을 형성하고 이들 각 삽입홀에 스프링 형태의 탄력수단을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쿠션력이 증대됨과 아울러, 보다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스폰지 폼의 상, 하단에 다수의 에어홀을 형성하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가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제품의 쿠션감 향상은 물론, 스폰지 폼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종래 기술로써, 인기홍의 실용신안등록 제0385651호(2005.05.24.) [침대 매트리스] 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상기 상부 매트리스의 하부에는 코일 스프링의 상부를 요입하여 장착하는 복수개의 지지 구조물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매트리스의 상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부를 요입하여 장착하는 복수개의 지지 구조물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리스와 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 구조물은 라텍스 또는 메모리 폼 또는 고탄력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들은 탄성 매트리스를 천공하고 여기에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매트리스의 탄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이어서 종래 단순 엘라스토머 매트리스나 강선 코일스프링 매트리스에 비하여 더 나은 탄성 품질을 갖는다고 평가할 수 없다.
또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그 외 코일 스프링의 수축 팽창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문제나 스프링 크기가 매트리스 구멍 크기 차이로 발생되는 소음 문제를 비롯하여, 스프링으로 인한 매트리스의 파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은 코일스프링들로 일괄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제조가 어려우며, 제조 단가가 상승하여 매우 고가로 보급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례로 그 개념이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경우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 등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을 달리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탄성편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와 보조탄성체가 결합되는 평탄부를 갖는 주(主)탄성체로 구성됨으로써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조탄성체에 지지되는 신체 접촉 부위에 보다 강한 탄성지지력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신체 구조에 따른 자연스러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편들의 탄성력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 보조탄성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탄성굴곡부에 접촉, 지지되는 신체 부위별로 해당 구획에 탄성 지지력을 달리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편들의 간격이 좁은 조밀부와 탄성편들의 간격이 상기 조밀부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성김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보조탄성체와 상기 주탄성체의 평탄부의 견고한 결합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매트 전체의 탄성력을 저해하지 않으며, 제조 용이성 확보를 위하여 평탄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과, 이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편들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는
다수의 탄성편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와, 상기 탄성편들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를 갖는 주(主)탄성체; 및
상기 평탄부에 결합되는 보조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주탄성체는 상기 탄성굴곡부와 상기 보조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서 상기 보조탄성체는 상기 탄성편들의 탄성력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에서 상기 탄성굴곡부는 상기 탄성편들의 이격거리가 좁게 형성된 조밀부와, 이 조밀부보다 탄성편들의 이격거리가 넓게 형성되는 성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는 상기 보조탄성체를 상기 평탄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평탄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과,
상기 보조탄성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는 다수의 탄성편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와, 보조탄성체가 결합되는 평탄부로 구성되는 주(主)탄성체를 도입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 별로 각각 지지되는 해당 구획에 상이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구조에 따른 자연스러운 지지가 가능하므로,
특히 침대 매트리스에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 등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상이한 탄성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는 상기 보조탄성체를 상기 탄성편들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탄성체에 지지되는 신체 부위를 보다 강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인체 공학에 따른 자연스러운 지지가 가능한데,
특히 본 발명이 침대 매트리스로 적용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체를 사용자의 허리나 허벅지 등이 접촉되는 구획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다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는 상기 탄성편들의 이격거리를 달리 형성한 조밀부와 성김부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를 도입하여, 상기 보조탄성체 뿐만 아니라, 매트 전체의 탄성 지지력이 달리 형성되므로 매트에 접촉하는 신체 모든 부위가 각각 인체 구조에 맞도록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조탄성체가 상기 평탄부에 결합 시 결합편을 결합공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매트 전체의 탄성력을 저해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제작자는 하이브리드 탄성 구조를 갖는 매트를 저가에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고급 매트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의 측면도 및 요부 확대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의 단면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매트는 침대 매트리스를 비롯한 방석이나 허리받침 등의 쿠션 등의 생활용품이나 의료용품, 기타 산업용품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그리고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표적으로 침대용 매트리스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이하에서도 이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매트에 누웠을 때 인체 구조에 따라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 등 매트에 접촉하는 신체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에 각기 다른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M)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탄성편(14)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11)와, 상기 탄성편(14)들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16)를 갖는 주(主)탄성체(10); 및
상기 평탄부(16)에 결합되는 보조탄성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탄성체(10)와 상기 보조탄성체(20)는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 합성수지나 통상의 합성고무와 같은 무발포 합성수지,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매트에 누웠을 경우 접촉하는 신체부위에 의하여 상기 주탄성체(10) 및 상기 보조탄성체(20)가 소정 간격 압축되면서(눌리면서) 상측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 구조는 각 부위별로 무게 및 나온 정도가 각각 상이하므로 누웠을 때 인체 구조에 맞도록 매트가 자연적으로 압축되면서 신체 부위를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를 구성하는 주탄성체(10)의 상면 일부를 다수의 탄성편(14)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있는 탄성굴곡부(11)로 형성하고, 다른 일부를 상기 탄성편(14)들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16)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굴곡부(11)와 상기 평탄부(16)의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굴곡부(11)와 상기 보조탄성체(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동일 재질의 일체로 형성되는 주탄성체(10)의 상면을 평탄부(16)와 탄성편(14)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11)로 구성하여,
탄성편(14)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의하여 탄성굴곡부(11)가 상기 평탄부(16)보다 적은 탄성력(지지력)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체 구조에 따라 신체 부위별로 각각 지지되는 탄성력이 달리 제공되기 때문에 두께가 얇으면서도 별도의 코일스프링 등을 구비하지 않은 주탄성체(10)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켜 종래 일반 매트보다 향상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탄성체(10)는 엘라스토머 계열, 그 중에서도 발포폴리우레탄폼과 같은 발포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생산성과 품질 충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50cm * 200cm * 7cm 크기의 퀸사이즈 침대 매트리스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적용할 경우,
머리나 엉덩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고 매트가 많이 눌리면서 지지되는 부분(10A)은 중간탄성, 허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으며 매트가 눌리지 않으면서 지지되는 부분(10B)은 강한탄성(상대적으로 딱딱하게), 등이나 허벅지와 같이 무게가 분산되고 매트와 접촉 면적이 많은 부분(10C)은 약한탄성(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쉽게 압축 가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허리부분에는 상기 평탄부(16)가 형성되도록 하며, 다른 부분에는 상기 탄성굴곡부(11)가 형성되도록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나 엉덩이가 지지되는 부분은 매트가 많이 압축되면서 지지되므로 등이 지지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강한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탄성굴곡부(11)는 탄성편(14)들의 이격 간격을 달리하여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의 중앙 단면도 및 상측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굴곡부(11)는 상기 탄성편(14)들의 이격거리가 좁게 형성된 조밀부(12)와, 이 조밀부(12)보다 탄성편(14)들의 이격거리가 넓게 형성되는 성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조밀부(12)를 머리 또는 어깨가 지지되는 부분에 형성하고, 성김부(13)를 등이 지지되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체 부위가 각각 지지되는 조밀부(12)와 성김부(13) 및 평탄부(16) 모두가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굴곡부(11)는 탄성편(14)의 이격 간격에 따라 탄성편(14)의 형성 밀도가 달리 형성되므로, 접촉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른 탄성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밀부(12)와 상기 성김부(13)의 이격 간격(D1)(D2)은 주탄성체(1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조밀부(12)와 성김부(13)의 개념은 탄성편(14)들의 이격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거나 넓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상기 조밀부와 성김부의 개념은 동일한 이격 간격을 갖는 탄성편들로 구성되되, 후술하는 탄성편들의 높이 또는 두께를 통해 탄성력이 상이하게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16)에 지지되는 신체 부위(허리)가 특히, 다른 부분과 다르게 덜 압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즉,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이 인체 공학적으로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평탄부(16)에 결합되어 신체가 직접 접촉하여 지지되는 보조탄성체(20)는 상기 탄성편(14)들의 탄성력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탄성체(20) 역시 상기 주탄성체(10)와 마찬가지로 엘라스토머 계열, 그 중에서도 발포폴리우레탄폼과 같은 발포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주탄성체(10)와 보조탄성체(20)의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도록 주탄성체(10)로 이용되는 발포폴리우레탄폼에 형성되는 미세공을 조밀하게(상대적으로 약한 탄성을 위하여) 하고, 보조탄성체(20)에 이용되는 발포폴리우레탄폼에 형성되는 미세공을 성기게(상대적으로 강한 탄성을 위하여)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주탄성체(10)의 미세공의 수가 많아 미세공 밀도가 높으면 탄성이 약하여 쉽게 주탄성체(10)의 수축이 가능하고,
보조탄성체(20)의 미세공 수가 적어 미세공 밀도가 낮으면 탄성이 강하여 허리 부분을 강하게 떠 받쳐서 보다 편안하고 건강에 유익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주탄성체(10)와 상기 보조탄성체(20)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미세공의 밀도를 달리 형성하는 것 대신에, 미세공의 직경을 서로 달리하는 방식으로 주탄성체(10)와 보조탄성체(20)의 탄성을 달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무발포 합성수지를 상기 주탄성체 및 보조탄성체로 사용할 경우, 합성수지의 재질을 탈리하여 각각 다른 탄성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매트에 누웠을 때, 상기 탄성편들이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극을 형성하게 되므로(탄성편들이 압축되나,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완전히 접촉될 수 없으므로 탄성편들 사이 공간에 미세한 틈이 발생함),
매트와 사용자 사이에 미세한 간극을 통해 통기성이 보장되므로, 더욱 쾌적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혼자 거동이 불편하거나 또는 거동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등에게 장시간 같은 자세로 매트에 누워있더라도,
인체 공학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하는 탄성굴곡부들을 통해 혈관 압박이 최소화되며, 통기성이 좋으므로 피부의 짓무름이나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의료용 매트로써 그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상기 주탄성체(10)는 탄성굴곡부(11)와 평탄부(16)의 하면이 주탄성체(10) 본체로 일체화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 누웠을 경우 상기 본체가 1차적으로 압축되면서 신체 전체를 탄성, 지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조밀부(12), 상기 성김부(13) 및 상기 평탄부(16)가 각각 수축되는 정도가 달리되면서 압축되면서 사용자를 탄성, 지지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매트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 사용하지 않고, 또 천연 고무와 같이 고가의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키면서 사용자를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종래 사용하던 침대 또는 요 등에 본 발명의 매트를 깔아서 사용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면서도, 고가의 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2의 하측 확대 단면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탄성체(20)를 상기 평탄부(16) 상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합수단은 본드 등의 접착제를 통한 결합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나,
인체와 접촉하는 매트로써 특히, 어린이나 유아, 노약자 등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를 위하여 환경 친화적인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탄성체(20)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 친화적인 결합수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결합수단은 상기 평탄부(16)에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17)과,
상기 보조탄성체(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17)에 삽입되는 결합편(27)들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결합편(27)은 상기 보조탄성체(20)와 동일 재질의 일체화된 구성으로써, 역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편(27)이 상기 평탄부(16)에 삽입되되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탄성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평탄부(16) 전체에 균일한 탄성력이 보장되도록 상기 결합공(17)이 평탄부(16)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결합편(27)을 통해 상기 보조탄성체(20)와 평탄부(16)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조탄성체(20) 몸체와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협폭부(27A)와, 상기 협폭부(27A)에서 하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27B)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결합편(27)의 형상을 단면도 상으로 역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고, 보조탄성체(20)를 상기 평탄부(16)에 결합시킬 때, 탄성력을 이용하여 압축한 상태로 상기 결합공(17)에 억지 끼움시킨 후 탄성력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광폭부(27B)의 압축이 해제 되면서 상기 결합공(17)의 걸림부(17B)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조탄성체(2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매트를 세탁 또는 세척할 필요할 있는 경우, 상기 결합공(17)의 결합편(27) 삽입 반대 방향 개구부를 통해 결합편(27)의 광폭부(27B)를 압축한 후 보조탄성체(20)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수단으로써, 상기 탄성굴곡부를 변형, 활용하여 보조탄성체와 주탄성체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력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마다 매트에 누웠을 때 원하는 쿠션감이 각각 다르므로, 그에 맞춰 다양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1의 중앙 좌측 원내 확대 사시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탄성체(20)와 상기 주탄성체(10)의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탄성체(20)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굴곡부(11)와 직교되는 방향(이항 가로방향으로 통칭함)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와, 상기 주탄성체(10)의 평탄부(16)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와 대응하는 가로방향-대응탄성굴곡부(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대응)탄성굴곡부(28)(29)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통해 보조탄성체(20)가 지지되는 부분은 주탄성체(10)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보조탄성체(20)가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에 의하여 평판 형상의 보조탄성체(20)보다 조금 강한 탄성을 갖게 되고(보조탄성체(20)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이러한 변형된 보조탄성체(20)를 허리나 목 등이 지지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각각에 맞는 탄성력을 다양하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키가 큰 사용자는 매트의 양측 끝단에 머리나 발바닥이 지지되는데, 이때 키가 작은 사람에 비하여 무게가 분산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머리나 발이 지지되는 부분이 강한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상기 변형된 보조탄성체(20)를 통해 해결하였다.
상기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와 가로방향-대응탄성굴곡부(29)는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호간의 결합력을 확보하고, 사용자가 누웠을 때,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29)들이 압축되면서 인접한 탄성굴곡부들끼리 양측 면을 가압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 시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상, 우측 원내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탄성체(20')는 상면이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방향 돌출부를 구비한 보조탄성체(20')는 허리나 목과 같이, 인체 구조가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에 구비될 경우 사용자에게 더욱 안락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조탄성체(20)(20')들은 결합수단을 통해 주탄성체(10)에 탁찰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기본형(20) 또는 변형된 보조탄성체(2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범용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의 하, 우측 원내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들의 높이를 달리하여(14A)(14B) 조밀부(12) 또는 성김부(13)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11)들에 보다 다양한 탄성력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중 허리 디스크와 같이, 특정 부위에 질병이 있는 경우 그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를 달리한 탄성굴곡부(14A)(14B)가 매트에 형성되도록 하여 매트의 범용성 및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변형된 보조탄성체(20)(20'), 이격 간격을 달리하거나, 높이를 달리하는 탄성편(14)(또는 탄성편의 두께를 달리하여)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11) 등을 활용하여 매트 전체에 걸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 부위별로 각각 다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매트를 제작 가능하게 되므로, 제작자는 여러 유형의 매트를 제작하여 판매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고가의 탄성 매트를 저렴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침대용 매트리스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트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굴곡부(11)의 조밀부(12), 성김부(13) 및 평탄부(16)의 보조탄성체(17)의 형성 위치, 구성, 크기 등을 달리하여 쿠션, 방석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고,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들을 본 명세서의 도면에 한정하여 구성하지 않고,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하여, 사용자들에게 개별적으로 맞는 매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본 발명을 수정, 변경 및 치환하여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주(主)탄성체 11 : 탄성굴곡부
12 : 조밀부 13 : 성김부
14 : 탄성편 16 : 평탄부
17 : 결합공
20 : 보조탄성체 27 : 결합편

Claims (4)

  1. 다수의 탄성편(14)들로 구성되는 탄성굴곡부(11)와, 상기 탄성편(14)들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16)를 갖는 주(主)탄성체(10); 및
    상기 평탄부(16)에 결합되는 보조탄성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주탄성체(10)는 상기 탄성굴곡부(11)와 상기 보조탄성체(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신체 접촉 부위에 해당하는 구획마다 탄성력이 달리 형성되되,
    상기 보조탄성체(20)는 상기 탄성편(14)들의 탄성력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탄성체(20)를 상기 평탄부(16)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평탄부(16)에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17)과,
    상기 보조탄성체(20)와 일체화되어 상기 결합공(17)에 삽입되는 결합편(27)들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편(27)은 상기 보조탄성체(20) 몸체와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협폭부(27A)와, 상기 협폭부(27A)에서 하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27B)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탄성체(20)를 상기 평탄부(16)에 결합시킬 때, 상기 광폭부(27B)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압축한 상태로 상기 결합공(17)에 억지 끼움되면서 탄성력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광폭부(27B)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상기 결합공(17)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조탄성체(20)를 분리시킬 때, 상기 결합공(17)의 결합편(27) 삽입 반대 방향 개구부를 통해 결합편(27)의 광폭부(27B)를 압축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굴곡부(11)는 상기 탄성편(14)들의 이격거리가 좁게 형성된 조밀부(12)와, 이 조밀부(12)보다 탄성편(14)들의 이격거리가 넓게 형성되는 성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탄성체(20)는 상면이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4. 제 1 항 내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탄성체(20)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굴곡부(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와,
    상기 주탄성체(10)의 평탄부(16)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로방향-탄성굴곡부(28)와 대응하는 가로방향-대응탄성굴곡부(2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KR1020130079186A 2013-07-05 2013-07-05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KR10151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86A KR101512801B1 (ko) 2013-07-05 2013-07-05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86A KR101512801B1 (ko) 2013-07-05 2013-07-05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40A KR20150005340A (ko) 2015-01-14
KR101512801B1 true KR101512801B1 (ko) 2015-04-23

Family

ID=5247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186A KR101512801B1 (ko) 2013-07-05 2013-07-05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80B1 (ko) * 2017-12-27 2018-07-06 조영훈 입체형태의 실리콘 부재를 가지는 기능성 폼 매트리스
KR102667346B1 (ko) * 2022-09-05 2024-05-21 주식회사 화인셀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22Y1 (ko) * 2002-10-23 2003-02-05 김상옥 척추보호용 매트리스
JP2006095067A (ja) * 2004-09-29 2006-04-13 Inoac Corp 弾性マット
JP2009106778A (ja) 2008-12-24 2009-05-21 Nishikawa Living Inc 寝具カバー及び該寝具カバーを用いた寝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22Y1 (ko) * 2002-10-23 2003-02-05 김상옥 척추보호용 매트리스
JP2006095067A (ja) * 2004-09-29 2006-04-13 Inoac Corp 弾性マット
JP2009106778A (ja) 2008-12-24 2009-05-21 Nishikawa Living Inc 寝具カバー及び該寝具カバーを用いた寝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80B1 (ko) * 2017-12-27 2018-07-06 조영훈 입체형태의 실리콘 부재를 가지는 기능성 폼 매트리스
KR102667346B1 (ko) * 2022-09-05 2024-05-21 주식회사 화인셀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40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957B2 (en) Cushion with plural zones of foam
US20060022506A1 (en) Pressure equalizing mesh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JP7470666B2 (ja) マットレス
KR101512801B1 (ko)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CN108451244B (zh) 可调整硬度的床垫
JP3220661U (ja) 介護用補助クッション
KR101205824B1 (ko)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CN214760211U (zh) 一种云感分区层及床垫
KR200468594Y1 (ko) 쿠션감이 개선되는 의자용 좌판
KR102618345B1 (ko) 에어볼 매트리스
CN201223180Y (zh) 椅垫及具有该椅垫的椅子
KR102667346B1 (ko)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KR200456426Y1 (ko) 매트리스
KR200445660Y1 (ko) 의자
KR100401331B1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CN213429320U (zh) 一种组合式床垫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KR200346452Y1 (ko) 에어스프링 스폰지 폼
JP2014045890A (ja) 睡眠用枕
JP6823775B2 (ja) クッション配置構造
KR20240033373A (ko)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CN211933402U (zh) 弹簧床垫及弹簧体
WO2023021965A9 (ja) クッション体
CN112806772A (zh) 树脂球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