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824B1 -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824B1
KR101205824B1 KR1020100021357A KR20100021357A KR101205824B1 KR 101205824 B1 KR101205824 B1 KR 101205824B1 KR 1020100021357 A KR1020100021357 A KR 1020100021357A KR 20100021357 A KR20100021357 A KR 20100021357A KR 101205824 B1 KR101205824 B1 KR 10120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ardness
manufacturing
mattress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958A (ko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주)아이마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마스티 filed Critical (주)아이마스티
Priority to KR102010002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8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키고, 생산시간,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를 감소시키면서도 매트리스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최적의 체압분산과 체형유지 효과를 구현하여 근전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숙면 유지, 근육의 유연성 확보, 골격의 이상적형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다경도 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METHOD FOR MULTI-HARDNESS AND MULTI-ELASTICITY MATTRESS}
본 발명은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키고, 생산시간,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를 감소시키면서도 매트리스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최적의 체압분산과 체형유지 효과를 구현하여 근전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평균수명(기대수명)은 2008년 80.1세로 초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노인층 인구증가 속도가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늙는것 자체를 거부하며 어떻게든 세월을 비껴가려는 "안티에이징"이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온 것 또한 고령화시대의 당연한 결과이다.
그런데 최근 안티에이징과 함께 "헬시에이징", "웰빙에이징", "러브에이징"이 대두되고 있다.
이들이 핵심개념은 "안티에이징"과 동시에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품위 있게 늙어가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 더구나 노화가 가속화 되는 중년에서 나이를 먹는 것은 재앙이 아니며 노화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마음과 영혼 그리고 건강관리가 더욱 필요하다.
아울러, "안티에이징" 을 넘어 건강하게 늙는 "헬시에이징", 노화에 순응하며 아름답게 늙는 "러브에이징"을 향해 나아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 몸을 지탱하는 기둥인 척추의 건강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척추질환이 발생할 경우, 운동, 여가활용은 물론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하여 "헬시에이징", "웰빙에이징", "러브에이징"은 물론 정신건강도 해칠 수 있어 매우 위험한 요인이 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하지의 통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 상지통증과 요통은 오히려 젊은 층에서 더 많이 나타난 점이다.
그 이유는 현대인의 생활방식은 급격한 변화에 따른 것으로, 교통수단의 변화, 자가운전, 컴퓨터 사용, TV시청, 경쟁적인 학업, 단순반복 작업 등으로 인하여 경추와 척추질환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예방관리를 위해서 운동전 사전준비운동, 바른 자세의 유지 및 허리 근육강화에 도움이 되는 꾸준한 운동, 휴식과 스트레칭 등을 권하고 있다.
좋은 자세도 20분 이상 유지하면 척추와 주변조직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매 50분 마다 10분가량 기지개를 켜거나 목과 허리 운동 등 스트레칭을 해 주는게 바른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다른 대안으로 수면 중 바른 자세 유지를 돕는 침구의 선택이 부각되고 있다.
수면은 동일한 자세를 가장 오랜 시간 유지하는 행위이며, 낮 동안 경직된 허리근육과 인대를 풀어주고 압박받은 뼈를 이완시켜주고 골격의 형태를 제대로 잡아 줄 수 있는 매트리스의 개발이야 말로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의 각 부위별 체형 특성을 고려하여 매트리스의 각 영역별 경도와 탄성을 각각 다르게한 매트리스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인체의 각 부위별 체형에 대응하여 매트리스의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을 다르게 설정할 경우, 요추 및 흉추 굴곡을 이상적으로 지지하여 최적의 근전도값을 유지할 수 있으며, 둔부를 압착하여 탄성지지하고, 발뒤꿈치 꺼짐과 허벅지, 종아리 부위의 체압 분산과 체형유지를 유도함으로서, 숙면은 물론 잘못 된 자세로 인해 발생되는 근골격질환 발생 요인을 수면 중에 자연스럽게 해소, 교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최적의 체압분산과 근전도값 유지를 통하여 낮 동안 경직된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고 낮 동안 활동으로 인해 눌려진 골격을 이완시켜 근육의 유연성을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을 다르게 설정한 매트리스의 종래 기술로서,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의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매트리스(10)의 표면에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홈(11)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홈(11)의 직경에 따라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을 다르게 설정한 매트리스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홈이 형성되더라도 소재 자체의 경도 및 탄성이 동일함에 따라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의 차이가 극히 미비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배열된 홈(11)사이에 주름이 발생하고 홈(11)이 압착되어 그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을 다르게 설정한 매트리스의 다른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13943호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3)의 내부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단지지부재(7) 및 하단지지부재(8)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단지지부재(7,8) 사이에 다수의 쿠션부재(10)를 배열하여 구성되는 매트리스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다수의 쿠션부재 중 일부만 파손되더라도 매트리스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등 낮은 견고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수의 쿠션부재를 배열시키고 접착시켜야하는 등 그 구조 및 제조방법이 극히 복잡하며, 이에 따라 고가의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을 다르게 설정한 매트리스의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슬라브 폼으로 이루어진 단위부재(20)에 돌출부(21)와 상기 돌출부(21)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홈(22)을 형성하여 각 단위부재(20)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신체의 하중에 의해 각 단위부재가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돌출부와 삽입홈이 마모되어 단위부재간에 상호 조립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매트리스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 단위부재를 하나하나 성형하여 조립해야 함에 따라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생산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도와 탄성이 각각 다른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일체로 성형하여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를 제조함으로서, 제조방법이 단순하여 생산시간,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를 감소시키면서도 매트리스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경도 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최적의 체압분산과 체형유지 효과를 구현하여 근전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숙면 유지, 근육의 유연성 확보, 골격의 이상적형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다경도 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하나 이상의 기준블럭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각각의 기준블럭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발포금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격되어 배치된 각 기준블럭 사이의 공간에 발포액을 주입하여 연결블럭을 발포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제 1블럭, 제 2블럭 및 제 3블럭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제 1블럭 및 제 2블럭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발포금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이격되어 배치된 제 1블럭 및 제 2블럭 사이의 공간에 발포액을 주입하고 발포성형함으로서, 상기 제 1블럭과 제 2블럭 사이에 제 4블럭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 1블럭, 제 2블럭 및 제 4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기준블럭을 발포금형에 배치시키고, 상기 기준블럭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제 3블럭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블럭과 제 3블럭 사이의 공간에 발포액을 주입하고 발포성형함으로서, 상기 기준블럭과 제 3블럭 사이에 제 5블럭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기준블럭은,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블럭은, VS(very soft), MS(middle soft), S(soft), VH(very hard), MH(middle hard), H(hard), M(middle)으로 나누어지는 경도 등급중 하나 이상의 경도 등급으로 제조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액은, 폴리우레탄 발포액 또는 라텍스 발포액일 수 있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경도와 탄성이 각각 다른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일체로 성형하여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를 제조함으로서, 제조방법이 단순하여 생산시간,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를 감소시키면서도 매트리스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적의 체압분산과 체형유지 효과를 구현하여 근전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숙면 유지, 근육의 유연성 확보, 골격의 이상적형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각 영역(a,b,c.d,e)별로 경도 및 탄성이 다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4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 영역(a,b,c.d,e)은 요추 및 흉추 굴곡을 이상적으로 지지하여 최적의 근전도값을 유지할 수 있고, 둔부를 압착하여 탄성지지하며, 발뒤꿈치 꺼짐과 허벅지, 종아리 부위의 체압 분산과 체형유지를 유도 할 수 있는 다양한 설정, 예를 들면, 매트리스의 설정 경도를 발포체의 탄성력 세기에 따라 VS(very soft), MS(middle soft), S(soft) 및 VH(very hard), MH(middle hard), H(hard), M(middle) 등으로 나누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 경도를 각 영역(a,b,c.d,e)별로 적용함에 있어, 기술표준원에서 KS A ISO 7250(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인체측정)에 의해 측정된 최근 한국인 인체 표준정보(SIZE KOREA)를 활용하여 한국인 체형에 맞는 체압 분산영역을 설정하고 최적의 탄성과 경도 값을 적용, 조합하여 수입품 및 종래 기술과 차별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체의 각 부위별 체형에 대응하여 매트리스의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을 다르게 설정할 경우, 숙면은 물론 잘못 된 자세로 인해 발생되는 근골격질환 발생 요인을 수면 중에 자연스럽게 해소, 교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최적의 체압분산과 근전도값 유지를 통하여 낮 동안 경직된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고 낮 동안 활동으로 인해 눌려진 골격을 이완시켜 근육의 유연성을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경도와 탄성이 각각 다른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일체로 성형하여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400)를 제조함으로서,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키고, 그에 따라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 감소시키면서도 매트리스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준블럭 제조단계(A1), 기준블럭 배치단계(A2) 및 발포성형단계(A3)를 포함하여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400)를 제조한다.
상기 기준블럭 제조단계(A1)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이용하여,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하나 이상의 기준블럭(41,42,43)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VS(very soft), MS(middle soft), S(soft) 및 VH(very hard), MH(middle hard), H(hard), M(middle) 중 하나 이상의 경도를 설정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각 등급별로 탄성체의 경도 범위는 쇼어F(Shore F)경도를 기준으로VS(very soft)는 10이하, MS(middle soft)는 11~15, S(soft)는 16~20, VH(very hard)는 21~25, H(hard)는 26~35, M(middle)는 36~50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상기 각 등급에서 탄성체의 경도 범위는 상기의 수치에만 반드시 한정되지아니하고, 제조자의 필요나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기준블럭 배치단계(A2)는, 상기 제조된 각각의 기준블럭(41,42,43)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발포금형(M) 내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술표준원에서 KS A ISO 7250(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인체측정)에 의해 측정된 최근 한국인 인체 표준정보(SIZE KOREA) 및 설정 경도(VS, MS, S 및 VH, MH, H, M)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상기 발포성형단계(A3)는, 이격되어 배치된 각 기준블럭(41,42,43) 사이의 공간에 폴리우레탄 발포액 또는 라텍스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성형하는 단계로서, 발포금형(M) 내에 형성된 노즐(N1,N2)을 통해 해당 발포액을 주입함으로서, 상기 공간에 연결블럭(44,45)을 발포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 다른 경도 및 탄성을 기준블럭(41,42,43) 사이에 연결블럭(44,45)이 일체로 성형됨으로서, 매트리스(400)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최적의 체압분산과 체형유지 효과를 구현하여 근전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5a 내지 도 5b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각 연결블럭(44,45)이 경도 및 탄성은 다르지만 동일 소재일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후술되어질 6a 내지 도 6b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의 연결블럭(44,45, 5b참조)에 해당하는 제 4블럭(54)과 제 5블럭(55)이 경도 및 탄성뿐만 아니라 소재 자체도 틀릴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즉,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 1,2,3블럭 제조단계(B1), 제 1,2블럭 배치단계(B2), 기준블럭 제조단계(B3), 기준블럭 및 제 3블럭 배치단계(B4) 및 발포성형단계(B5)를 포함하여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4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 1,2,3블럭 제조단계(B1)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을 이용하여,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제 1블럭(51), 제 2블럭(52) 및 제 3블럭(53)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VS, MS, S 및 VH, MH, H, M 중 하나 이상의 경도를 설정하여 제조한다.
상기 제 1,2블럭 배치단계(B2)는, 상기 제조된 제 1블럭(51) 및 제 2블럭(52)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발포금형(M) 내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술표준원에서 KS A ISO 7250(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인체측정)에 의해 측정된 최근 한국인 인체 표준정보(SIZE KOREA) 와 설정 경도(VS, MS, S 및 VH, MH, H, M)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상기 기준블럭 제조단계(B3)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 1블럭(51) 및 제 2블럭 (52)사이의 공간에 폴리우레탄 발포액 또는 라텍스 발포액 주입하고 발포성형함으로서, 상기 제 1블럭(51)과 제 2블럭(52) 사이에 제 4블럭(54)이 일체로 형성된 기준블럭(50)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발포금형(M) 내에 형성된 노즐(N1,N2) 중 제 1노즐(N1)에만 해당 발포액을 주입함으로서, 상기 제 1블럭(51)과 제 2블럭(52) 사이에 제 4블럭(54)을 일체로 발포한다.
상기 기준블럭 및 제 3블럭 배치단계(B4)는, 상기 제 1블럭(51), 제 2블럭(52) 및 제 4블럭(54)이 일체로 형성된 기준블럭(50)을 발포금형(M)에 배치시키고, 상기 기준블럭(50)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제 3블럭(53)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이 또한, 기술표준원에서 KS A ISO 7250(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인체측정)에 의해 측정된 최근 한국인 인체 표준정보(SIZE KOREA)와 설정 경도(VS, MS, S 및 VH, MH, H, M)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상기 발포성형단계(B5)는, 상기 기준블럭(50)과 제 3블럭(53) 사이의 공간에 폴리우레탄 발포액 또는 라텍스 발포액 주입하고 발포성형하는 단계로서, 발포금형(M) 내에 형성된 노즐(N1,N2) 중 제 2노즐(N2)에만 해당 발포액 주입함으로서, 상기 기준블럭(50)과 제 3블럭(53) 사이에 제 5블럭(55)을 일체로 발포하여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각각 다른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제 1블럭(51), 제 2블럭(52), 제 4블럭(54)으로 이루어진 기준블럭(50), 제 3블럭(53) 및 제 5블럭(55)이 일체로 발포형성되어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400)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방법이 단순해지고, 이로 인해 생산시간, 제조 원가 및 판매 단가 를 감소시키면서도 매트리스의 견고성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진 매트리스는 최적의 체압분산과 체형유지 효과를 구현하여 근전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숙면 유지, 근육의 유연성 확보, 골격의 이상적형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1,42,43 : 기준블럭 44,45 : 연결블럭
51 : 제 1블럭 52 : 제 2블럭
53 : 제 3블럭 54 : 제 4블럭
55 : 제 5블럭 400 : 매트리스
M : 발포금형 N1,N2 : 노즐

Claims (6)

  1. 삭제
  2.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경도 및 탄성이 각각 다른 제 1블럭, 제 2블럭 및 제 3블럭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제 1블럭 및 제 2블럭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발포금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이격되어 배치된 제 1블럭 및 제 2블럭 사이의 공간에 발포액을 주입하고 발포성형함으로서, 상기 제 1블럭과 제 2블럭 사이에 제 4블럭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 1블럭, 제 2블럭 및 제 4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기준블럭을 발포금형에 배치시키고, 상기 기준블럭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제 3블럭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블럭과 제 3블럭 사이의 공간에 발포액을 주입하고 발포성형함으로서, 상기 기준블럭과 제 3블럭 사이에 제 5블럭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블럭은,
    폴리우레탄 폼 또는 라텍스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블럭은,
    VS(very soft), MS(middle soft), S(soft), VH(very hard), MH(middle hard), H(hard), M(middle)으로 나누어지는 경도 등급중 하나 이상의 경도 등급으로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은,
    폴리우레탄 발포액 또는 라텍스 발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00021357A 2010-03-10 2010-03-10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KR10120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357A KR101205824B1 (ko) 2010-03-10 2010-03-10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357A KR101205824B1 (ko) 2010-03-10 2010-03-10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58A KR20110101958A (ko) 2011-09-16
KR101205824B1 true KR101205824B1 (ko) 2012-11-28

Family

ID=4495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357A KR101205824B1 (ko) 2010-03-10 2010-03-10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860A1 (ko) * 2016-01-12 2017-07-20 정용채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와 탄성을 갖는 매트리스
WO2019050124A1 (ko) 2017-09-08 2019-03-14 (주)디유티코리아 연속 발포 공정에 의한 다경도·다탄성 폼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폼 매트리스
KR102562195B1 (ko) 2023-02-20 2023-08-01 박영훈 블록형 침구 매트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41B1 (ko) * 2017-11-28 2018-10-01 주식회사 지아이테크 배치형 발포 공정을 이용한 다경도 다탄성 폴리우레탄 폼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985U (ja) 1999-06-18 2000-01-28 カクイ株式会社 良通気性固綿マット
JP2005137596A (ja) * 2003-11-06 2005-06-02 Nishikawa Living Inc 寝具、寝具カバー及び寝具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985U (ja) 1999-06-18 2000-01-28 カクイ株式会社 良通気性固綿マット
JP2005137596A (ja) * 2003-11-06 2005-06-02 Nishikawa Living Inc 寝具、寝具カバー及び寝具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860A1 (ko) * 2016-01-12 2017-07-20 정용채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와 탄성을 갖는 매트리스
WO2019050124A1 (ko) 2017-09-08 2019-03-14 (주)디유티코리아 연속 발포 공정에 의한 다경도·다탄성 폼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폼 매트리스
KR20190028227A (ko) 2017-09-08 2019-03-18 (주) 디유티코리아 연속 발포 공정에 의한 다경도·다탄성 폼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KR102562195B1 (ko) 2023-02-20 2023-08-01 박영훈 블록형 침구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58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5493B2 (en) Seat cushion with flexible contouring
US20160296031A1 (en) Support pillows and mattresses for body alignment
WO2013010273A1 (en) Pillow and mattress pad system with variable zones of elasticity
CN102481220A (zh) 姿势系统
CN103429120A (zh) 四区可逆的寝具
KR101205824B1 (ko)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KR101251427B1 (ko) 체형 맞춤형 침대 매트리스
EP3386349B1 (en) Efficient mattress having low pressure and alignment
US20060022506A1 (en) Pressure equalizing mesh
WO2014122483A1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1422306B (zh) 用于床垫、枕头、床缛和靠垫的多层结构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CN201905567U (zh) 一种有弹性的健康床垫
CN102551403A (zh) 一种有弹性的健康床垫
CN205988144U (zh) 一种适合多个发育阶段的人体工程学的床垫
CN201700804U (zh) 一种利于健康的睡眠装置
CN109789617B (zh) 基于连续发泡工艺的多硬度、多弹性泡沫垫的制造方法及利用该方法制造的泡沫垫
CN202128135U (zh) 保健椅靠
CN201684051U (zh) 多功能脊椎平衡坐卧养生垫
JP2017018325A (ja) マットレス
KR101512801B1 (ko)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CN205144075U (zh) 一种符合人体工程学的靠背及其功能沙发
KR100401331B1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KR200423607Y1 (ko) 의자등받이용 쿠션재
KR101902441B1 (ko) 배치형 발포 공정을 이용한 다경도 다탄성 폴리우레탄 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