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348B1 -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 Google Patents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48B1
KR102668348B1 KR1020230094471A KR20230094471A KR102668348B1 KR 102668348 B1 KR102668348 B1 KR 102668348B1 KR 1020230094471 A KR1020230094471 A KR 1020230094471A KR 20230094471 A KR20230094471 A KR 20230094471A KR 102668348 B1 KR102668348 B1 KR 10266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pressure
active body
cushioning materi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메이트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메이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Abstract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에서 너비가 가장 넓은 지점에서 너비의 2배 내지 2.5배이다.

Description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ACTIVE BODY PRESSURE DISPERSION-TYPED AIR CELL MATTRESS}
본 발명은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방석이나 매트는 바닥이나 의자에 깔고 앉거나 눕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 재질 등의 외피에 솜과 같은 쿠션 소재를 충전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방석이나 매트는 충격을 흡수하여 앉는 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한 착좌감을 느끼도록 한다.
이에, 연성 또는 탄성재질의 소재를 이용한 허니컴(honeycomb) 구조의 매트를 솜과 같은 쿠션 소재의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허니컴 구조의 매트의 경우 착석자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면 모양이 변화하며 착석자의 체중을 분삭시키며 착석자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적절하게 이격시킴으로써 착석자에게 쿠션감을 부여한다.
그러나, 매트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거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허니컴 구조가 과도하게 찌그러지며 착석자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하지 못하게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착석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적절히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879821호 한국등록특허 10-18939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동시에 체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의 허니컴 구조가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착석자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적절히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에서 너비가 가장 넓은 지점에서 너비의 2배 내지 2.5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너비는 아래에서 위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 최하측에서의 너비가 가장 넓고, 상기 지지부 최상측에서의 너비가 가장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 외벽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아래에서 위로 향할수록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인접한 지지부롤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 내부의 보강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로 상기 지지부 일측면에 구비되며, 단면폭이 상기 베이스부 상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은 지점까지 상부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로 상기 지지부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에 따르면 쿠션재의 높이가 통상적인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쿠션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더라도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의 특정 부분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해당 부분이 과도하게 찌그러지거나 형상이 과도하게 변화하여 착석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착석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의 가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가상의 좌표계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부" 또는 "상부 방향"은 z 방향을 의미하고, "측면"은 x 또는 y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는 베이스부(110), 복수개의 지지부(13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그대로 방석, 깔개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직물 재질 등의 외피로 감싸진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은 것으로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의한다. 베이스부(110)는 연성 또는 탄성재질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늘어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10)의 재질은 상부면에 배치되는 지지부(13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지지부(130)는 베이스부(130)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지지부(130)는 베이스부(130)와 마찬가지로 연성 또는 탄성재질로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찌그러지거나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도 1에서는 지지부(130)의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 기둥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지지부(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는 모서리가 둥근 정다각기둥, 모서리가 둥근 다각기둥, 원기둥, 단면이 타원인 기둥, 다각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에는 복수개의 지지부(130)가 구비되는바 개별적인 지지부(13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지지부(130)가 무작위로 조합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형상의 지지부(130)가 반복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가 행과 열에 맞추어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지지부(130)의 형상에 따라 개별적인 지지부(130)의 일측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무작위로 배열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지부(130)의 너비는 아래에서 위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30)의 최하측의 너비는 최상측의 너비보다 넓게 구현된다.
지지부(130)의 너비가 넓어질수록 착석자의 체중에 의한 변형이 작아지고 너비가 좁아질수록 착석자의 체중에 의한 변형이 커지게 되는바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지지부(130) 상부는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형상이 변화하며 체중을 흡수하게 되고 지지부(130) 하부는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며 착석자의 신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한편, 복수개의 지지부(130)들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30)와 연결부의 상호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0)의 너비는 아래에서 위를 향할수록 좁하지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가상의 선 a에서의 지지부(130)의 너비는 가상의 선 b에서의 지지부(130)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130)의 최하측의 너비는 지지부(130) 전체에 있어 너비가 가장 넓고 최상측의 너비는 그 너비가 가장 좁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너비에 따라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하는 힘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착석자의 신체면과 직접 맞닿는 지지부(130)의 상측은 착석자의 체중을 분산하도록 하고, 지지부(130)의 하측은 착석자의 체중을 지지하도록 서로 다른 너비로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는 지지부(130)의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지지부(130)의 형상이 다른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지지부(130)의 아래에서 상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너비가 좁아지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본원에 따른 지지부(130)의 높이는 지지부(130)에서 너비가 가장 넓은 지점에서 너비의 2배 내지 2.5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본원에 따른 지지부(130)의 높이는 통상적인 허니컴 구조 방석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지지부(130)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착석좌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착석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으나, 지지부(130)가 과도하게 찌그러지거나 형상이 변화할 수 있어 착석자의 자세를 흐트러뜨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0)는 그 높이가 최대 너비의 2배 내지 2.5배가 되도록 형성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도 착석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과도하게 찌그러지거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지지부(130)의 높이를 통상의 허니컴 구조보다 높게 구현하면서도 착석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세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0)는 외벽(131)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은 보강부(133)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착석하여 지지부(130)에 착석자의 체중이 가해지면 지지부(130) 형상이 변화하며 중공의 체적이 변화하게 되고, 착석자의 체중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지지부(130)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지지부(130)의 형상을 정의하는 외벽(131)의 두께는 지지부(130)의 아래에서 위를 향할수록 얇아진다. 여기에서, 외벽(131)의 두께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세로 단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외벽(130)의 너비를 의미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가상의 선 p에서 외벽(131)의 두께는 가상의 선 q에서 외벽(13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30)의 최하단 지점에서 외벽(131)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지지부(130)의 최상단 지점에서 외벽(131)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된다.
외벽(131)의 두께에 따라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착석자의 체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는 지지부(130) 하단의 외벽(131) 두께가 지지부(130) 상단의 외벽(131)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33)는 지지부(130) 내부에서 지지부(13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착석좌의 체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33)는 지지부(130)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연결하는 보강부(133)는 복수개일 수 있다.
지지부(130) 내부에 형성된 보강부(133)의 해서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착석자 체중에 의한 외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의 가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33)는 지지부(130) 내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133)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33)는 지지부(130) 내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보강부(133)는 지지부(1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50)와 연계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0) 내측에 배치된 보강부(130)와 지지부(130) 외부에 배치된 연결부(150)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지지부(130) 내부의 보강부(133)가 L 선상에 위치하고 지지부(130) 외부의 연결부(150)가 L'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L선과 L'선이 연속되는 하나의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지지부(130) 자체의 구조를 지지하는 보강부(133)와 지지부(130)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150)가 상호 연계하여 지지부(130)를 지지하게 되는바, 착석자의 체중에 의한 외력에 대항하여 지지부(130)를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인접한 지지부(130)를 상호간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지지부(130) 내부에 배치된 보강부(133)와 연계되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15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는 베이스부(110)에서 시작하여 상부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로 지지부(130) 일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연결부(150)의 단면폭이 베이스부(110)에서 상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참고선 a에서의 단면폭이 참고선 b에서의 단면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연결부(150)의 단면폭이 넓어질수록 상호 인접한 지지부(130)간의 결합력이 강해지는바, 특정 부분에 착석자의 과도한 체중이 가해졌을 때 지지부(130)의 상부면은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력에 형상이 변형되며 체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하부면은 상대적으로 강한 결합력에 의해 체중을 지지하여 착석좌에게 쿠션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연결부(150)는 베이스부(110)에서 시작하여 지지부(130)이 높이보다 낮은 높이까지 상부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50)에 의해 인접한 지지부(130)와 상호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착석좌의 체중이 가해졌을 때 용이하게 그 형상이 변형되는바, 착석자의 체중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부(130)에 대한 연결부(150)의 상대적인 높이는 지지부(130)의 높이, 지지부(130)의 횡단면적의 넓이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부(130) 외벽(131)의 두께, 지지부 내부에 형성된 보강부(133) 및 인접하는 지지부(130)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150)에 의해, 지지부(130)의 높이가 통상적인 허니컴 구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더라도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100)의 특정 부분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해당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부(130)가 과도하게 찌그러지거나 형상이 과도하게 변화하여 착석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의 신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착석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에서 너비가 가장 넓은 지점에서 너비의 2배 내지 2.5배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로 상기 지지부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호 인접한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 내부의 상기 보강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너비는 아래에서 위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최하측에서의 너비가 가장 넓고, 상기 지지부 최상측에서의 너비가 가장 좁은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외벽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아래에서 위로 향할수록 얇아지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단면폭이 상기 베이스부 상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8. 삭제
KR1020230094471A 2023-07-20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KR102668348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348B1 true KR102668348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KR102433795B1 (ko) * 2021-08-27 2022-08-18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KR102433795B1 (ko) * 2021-08-27 2022-08-18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2050B (zh) 一種含有帶孔表層的彈性緩衝元件及相關方法
US7469437B2 (en) Reticulated material body support and method
CN107735356B (zh) 缓冲空单元的压力分布对齐阵列
US7210181B1 (en) Spring construction
CN102483124A (zh) 能量吸收和分配材料
US20140304921A1 (en) Reticulated material body support and method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KR100671937B1 (ko) 젤상 쿠션
US20050120483A1 (en) Heat diffusing cushion or mattress
KR102668348B1 (ko)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KR101928262B1 (ko) 프레임의자
KR20200093789A (ko) 쿠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방석
JP4947621B2 (ja) 敷きマット
KR101796123B1 (ko)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KR200340156Y1 (ko) 침대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보강 구조
CN208524301U (zh) 椅座垫及其支撑结构
US9187015B2 (en) Armrest unit for a passenger seat
JP3241161U (ja) 布張りの家具の芯体及び布張りの家具
KR102356586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WO2015150576A1 (en) Vehicle seat cushion with foam springs
KR102673178B1 (ko) 기능성 매트리스
KR102327678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JP2021094274A (ja) クッション材及び枕
US20230414425A1 (en) Device for supporting and/or stabilizing at least one living being
KR102494701B1 (ko) 모서리 안착구조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