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53B1 -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 Google Patents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53B1
KR102377953B1 KR1020200134318A KR20200134318A KR102377953B1 KR 102377953 B1 KR102377953 B1 KR 102377953B1 KR 1020200134318 A KR1020200134318 A KR 1020200134318A KR 20200134318 A KR20200134318 A KR 20200134318A KR 102377953 B1 KR102377953 B1 KR 10237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nator
fastening
bracket
hol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102020013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의 전면에 반사체가 결합되는 델리네이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이 구비된 상태로 체결볼트가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체결공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이 제1 피고정면을 가압하도록 이동하여 몸체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체결볼트가 가압 브라켓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체결공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이 피고정면을 자연스럽게 가압하도록 이동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A Delinator with improved Workability}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된 브라켓 가이드부에 가압 브라켓이 구비되고, 체결볼트가 가압 브라켓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브라켓 가이드부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이 제1 피고정면을 가압하도록 이동하여 몸체부가 고정되는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형상이나 단부가 각인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 중 대표적인 것이 시선유도표지로도 지칭되는 델리네이터이다. 일반적으로 델리네이터는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선형이나 기하조건이 변화되는 상황을 반사체를 사용하여 안내해 줌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차량주행을 유도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델리네이터의 대표적인 기능과 목적은 운전자의 부주의나 시아 미확보로 인하여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는 사고나 가드레일에 충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그러나, 종래의 델리네이터는 시인성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돌출형 델리네이터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나 도로 제설작업 그리고 시설물의 청소시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 및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잦은 교체는 물론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진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델리네이터는 가드레일 구조물에 체결하거나,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경계석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됨에 따라 구조물의 설계에 필연적으로 함께 반영되어야 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볼트 및 너트 체결 등의 작업으로 인하여 설치 및 시공에 필연적으로 많은 부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같은 종래의 체결 수단은 외기에 노출됨에 따라 쉽게 부식 마모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체결력이 저하되어 쉽게 탈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로에 낙하된 델리네이터의 부속이나 파편은 차량의 주행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90262호 "유지 관리가 용이한 델리네이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경계석"(2019. 10. 15.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종래의 델리네이터가 지니는 유지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브라켓이 경계석에 가압되어 안정적인 체결력과 시공 편의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체결과정에서 브라켓이 회전하거나 기울어져 가압면과 밀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시간의 경과, 차량 진동이나 기상조건 등에 의하여 나사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추가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델리네이터의 체결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간의 경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한 체결력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체결 과정은 물론 추후 유지 관리도 용이하므로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D)는 몸체부(10)의 전면에 반사체(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11)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 가이드공(31)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30)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31)은 전면측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점진 확장되도록 "
Figure 112022001937446-pat00008
"의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배면측 형상은 일정한 폭을 지니는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이 전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볼트(40)가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되되, 상기 체결볼트(40)에는 원추형 몸체(41)가 구비되어 체결되는 과정에서 원추형 몸체(41)의 직경 변화에 상응하도록 가압 브라켓(30)이 가이드공(31)의 형상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피고정면(F1)을 가압하여 몸체부(1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반사체(20)의 양 측면에는 LED 램프(24)가 형성되고, 상기 LED 램프(24)에서 방사되는 빛은 LED 램프(24)의 후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측면(23)에 의하여 방사되어 보다 넓은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체(20)에는 태양광 셀(SC)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방향지시 발광체(25)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를 이용한 경계석(BS)은, 도로와 보도 사이에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경계석(BS)은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50)이 형성되어 상,하부에 상부 돌출면(51)과 하부 돌출면(52)이 마련되고, 상기 상,하부 돌출면(51)(52) 사이에는 전면에 노출되도록 안착면(53)이 형성되며, 상기 델리네이터(D)가 상기 안착홈(50)에 구비되되,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11)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 가이드공(31)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0)가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30)이 상부 돌출면(51) 또는 하부 돌출면(52)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에 의하면, 체결볼트가 가압 브라켓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체결공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이 피고정면을 자연스럽게 가압하도록 이동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별도의 체결구를 피고정면에 미리 구비하거나 추가적인 고정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체결 과정은 물론 추후 유지 관리도 용이하므로 시간 소모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제척으로, 체결볼트의 체결과정에서 원추형 몸체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가압 브라켓이 가이드공의 형상에 따라 스스로 상부로 이동되어 작업 용이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가압 브라켓의 가이드공은 전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 브라켓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고, 체결 후에도 표면적을 통한 긴결이 확보되어 시간의 경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한 체결력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태양광 셀을 이용하여 방향지시 발광체가 운전자에게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 수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를 이용한 경계석은 경계석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에 델리네이터를 가압 고정하므로, 충분한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하면서도 안착홈에 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를 구비한 경계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체결 원리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LED 램프 방사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a) 주간 및 (b) 야간 사용 상태를 도시한 이미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D)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몸체부(10)의 전면에 반사체(2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내측'은 몸체부(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은 몸체부(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면'은 시인성이 발휘되는 반사체(20)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배면'은 반사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몸체부(10)와 반사체(20)는 억지 끼움결합이나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나, 유지 관리나 파손에 따른 교체 등을 고려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리브(10a)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상기 리브(10a)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부(10b)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체(20)는 시인성이 발휘되는 전면부(20a)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면부(20b)에 결합되는 몸체부(10)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부(20b)는 몸체부(10)의 리부(10a)가 형성하는 입체적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체(20)의 배면부(20b)와 몸체부(10)에 마련된 공간부(10b) 사이에는 충전지나 발광소자와 같은 전자기 부품이 구비되며, 특히 충전지는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리브(10a)와 공간부(10b)가 형성하는 입체적 형상을 바탕으로 반사체(20)와 결합함에 있어서 정위치에 체결되도록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몸체부(10)에 형성된 리브(10a)는 구조적 보강이 가능하도록 기능함과 동시에 반사체(20)의 배면부(20b)에 형성된 입체적 형상을 바탕으로 유기적인 맞물림을 형성하여 충격이나 유동에도 뒤틀림 없이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사체(20)는 전체적으로 차량이나 기타 빛을 반사시키는 소재로 형성되며,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는 LED 램프(24)가 형성되어 필요시 발광되도록 기능하며, 상기 LED 램프(24)에서 방사되는 빛은 LED 램프(24)의 후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측면(23)에 의하여 방사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넓은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20)의 측면에 형성되는 LED 램프(24)는 후술할 태양광 셀(SC)에 의하여 축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LED 램프(24)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는 차량에 주의를 주는 '황색'이 방사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기 위한 경고의 의미로 '적색'이 방사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11)가 외측으로 마련된다.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a)은 시공성을 고려하여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술할 가압 브라켓(30)과 몸체부(10)의 추가적인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조로 복수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가압 브라켓(30)을 복수로 체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는 가압 브라켓(30)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양측에 측벽부(11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는 가이드공(31)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30)이 구비된 상태로 체결볼트(40)가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40)는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체결볼트(40)과 가이드공(31)의 입체적 형상에 의하여 가압 브라켓(30)의 이동이 상부로 유도된다.
이로써, 상기 체결볼트(40)의 체결에 의하여 가압 브라켓(30)이 상부로 이동하면 자연스럽게 경계석과 같은 피체결물의 제1 피고정면(F1)을 가압하여 몸체부(10)가 고정되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브라켓 가이드부(11)와 대향되는 면은 제2 피고정면(F2)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압 브라켓(30)이 피체결물의 제1 피고정면(F1)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반작용으로 제2 피고정면(F2)에도 동일하게 가압력이 작용되어진다.
즉, 체결볼트(40)의 체결만으로도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D)를 경계석과 같은 피체결물에 자연스럽게 가압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별도의 체결구를 피고정면에 미리 구비하거나 추가적인 고정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체결 과정은 물론 추후 유지 관리도 용이하므로 시간 소모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상기 가압 브라켓(30)의 가이드공(31)은 전체적으로 상하로 장축을 지니도록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4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장공형의 가이드공(31)을 따라 상기 가압 브라켓(30)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피고정면(F1)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40)의 체결에 따라 상기 가압 브라켓(30)이 브라켓 가이드부(11)의 양 측벽부(11b)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가압 브라켓(30)는 체결볼트(40)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공(31)은 가압 브라켓(30)을 유도하기 위한 상하로 장축을 지니는 장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브라켓(30)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40)에는 원추형 몸체(41)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 브라켓(30)의 가이드공(31)은 전면측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볼트(4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원추형 몸체(41)의 직경 변화에 상응하도록 가압 브라켓(30)이 가이드공(31)의 형상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피고정면(F1)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피체결물에 델리네이터(D)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체결볼트(40)를 가압 브라켓(30)의 가이드공(3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브라켓 가이드부(11)의 체결공(11a)에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원추형 몸체(41)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가압 브라켓(30)이 가이드공(31)의 형상에 따라 스스로 상부로 이동되므로 작업 용이성이 확보된다.
이로써, 델리네이터(D)를 경계석과 같은 피체결물에 미리설치하고, 현장에서는 경계석만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상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1,2 피고정면(F1)(F2)의 미세한 오차에도 체결볼트(40)의 체결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시공오차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40)의 원추형 몸체(41)는 헤드부의 형상을 원추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작 용이성과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위하여 볼트몸체(42)에 원추형 몸체(41)를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브라켓(30)의 가이드공(31)은 작업 용이성을 위하여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측은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배면측은 일정한 폭을 지니는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공(31)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전면측과 배면측의 직경이 동일하거나 크게 차이가 없으나, 하부로 갈수록 전면측과 배면측의 직경에 큰 차이가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브라켓(30)의 가이드공(31)은 전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원추형 몸체(41)와의 관계에서 가압 브라켓(30)의 이동이 테이퍼면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체결 후에도 표면적을 통한 긴결이 확보되어 시간의 경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한 체결력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D)에 있어서 브라켓 가이드부(11)와 대향되는 방향에도 피체결물의 제2 피고정면(F2)과 안정적으로 맞닿도록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은 지지면(12)(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2)은 몸체부(1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반사체(2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체결볼트(40)의 체결과정에서 과도한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 반사체(20)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지지면(12)(22)은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D)는 반사체(20)의 형상이 일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차량이 운행되는 방향을 향하여 반사체(20)의 경사면을 바탕으로 도로폭이 좁은 직선 구간에서도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인성이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체(20)에는 태양광 셀(SC)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방향지시 발광체(2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셀(SC)은 전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 한바, 상기 반사체(20)의 전면에는 셀 안착홈(21)이 마련되고, 상기 셀 안착홈(21)에 태양광 셀(SC)이 구비될 수 있다. 태양광 셀(SC)에 의하여 축전된 전력은 주간 및 야간에 방향지시 발광체(25)가 발광토록 하거나, 야광물질을 이용하여 빛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이 방향이 표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지시 발광체(25)는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그 체결방향을 현장 여건에 따라 달리 적용함으로써 가변적으로 방향 정보가 표시되도록 정보 수정이 용이한 바,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D)를 이용한 경계석(BS)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경계석(BS)은 도로와 보도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데리네이터(D)를 구비하는 피체결물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BS)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50)이 형성되어 상,하부에 상부 돌출면(51)과 하부 돌출면(52)이 마련되고, 상기 상,하부 돌출면(51)(52) 사이에는 전면에 노출되도록 안착면(5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돌출면(51)과 하부 돌출면(52)은 안착면(53)에 대하여 수직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하부 돌출면(51)(52)은 델리네이터(D) 를 고정하기 위한 제1,2 피고정면(F1)(F2)으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델리네이터(D)가 상기 안착홈(50)에 구비됨에 있어서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1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 가이드공(31)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0)가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30)이 상부 돌출면(51) 또는 하부 돌출면(52)을 가압하여 경계석(BS)에 델리네이터(D)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경계석(BS)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착홈(50)의 내측에는 델리네이터(D)가 구비됨으로써, 차량을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인성을 제공하면서도 안착홈(50)에 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발휘된다. 이로써, 델리네이터(D)의 파손 및 손상에 요구되는 유지 관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D)에 대하여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부분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D)를 이용한 경계석(BS)은 상술한 델리네이터 구조체(D)가 개시한 실시형태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D)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BS)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델리네이터 10:몸체부
10a:리브 10b:공간부
11:브라켓 가이드부 11a:체결공
12,22:지지면 20:반사체
21:셀 안착홈 23:경사측면
24:LED 램프 25:방향지시 발광체
30:가압 브라켓 31:가이드공
40:체결볼트 41:원추형 몸체
F1,F2:제1,2 피고정면 SC:태양광 셀
BS:경계석 50:안착홈
51,52:상,하부 돌출면 53:안착면

Claims (7)

  1. 몸체부(10)의 전면에 반사체(20)가 결합되는 델리네이터(D)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11)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 가이드공(31)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30)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31)은 전면측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점진 확장되도록 "
    Figure 112022001937446-pat00009
    "의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배면측 형상은 일정한 폭을 지니는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이 전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볼트(40)가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되되, 상기 체결볼트(40)에는 원추형 몸체(41)가 구비되어 체결되는 과정에서 원추형 몸체(41)의 직경 변화에 상응하도록 가압 브라켓(30)이 가이드공(31)의 형상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피고정면(F1)을 가압하여 몸체부(1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20)의 양 측면에는 LED 램프(24)가 형성되고, 상기 LED 램프(24)에서 방사되는 빛은 LED 램프(24)의 후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측면(23)에 의하여 방사되어 보다 넓은 시인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20)에는 태양광 셀(SC)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방향지시 발광체(2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
  7. 도로와 보도 사이에 시공되는 경계석(BS)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BS)은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50)이 형성되어 상,하부에 상부 돌출면(51)과 하부 돌출면(52)이 마련되고, 상기 상,하부 돌출면(51)(52) 사이에는 전면에 노출되도록 안착면(53)이 형성되며,
    청구항 1의 델리네이터(D)가 상기 안착홈(50)에 구비되되,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부(11)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부(11)에 가이드공(31)이 형성된 가압 브라켓(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0)가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브라켓(30)이 상부 돌출면(51) 또는 하부 돌출면(52)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델리네이터를 이용한 경계석.
KR1020200134318A 2020-10-16 2020-10-16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KR10237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18A KR102377953B1 (ko) 2020-10-16 2020-10-16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18A KR102377953B1 (ko) 2020-10-16 2020-10-16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953B1 true KR102377953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318A KR102377953B1 (ko) 2020-10-16 2020-10-16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532A (ja) * 2002-05-27 2003-12-03 Tamagawa Seiki Co Ltd ねじ締め構造
KR200399041Y1 (ko) * 2005-05-24 2005-10-19 권주홍 표시장치 일체형 도로경계석
KR200490262Y1 (ko) * 2019-03-15 2019-10-21 김기석 유지 관리가 용이한 델리네이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경계석
KR102136355B1 (ko) * 2020-03-31 2020-07-22 주식회사 글로벌에스텍 방호벽 일체형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532A (ja) * 2002-05-27 2003-12-03 Tamagawa Seiki Co Ltd ねじ締め構造
KR200399041Y1 (ko) * 2005-05-24 2005-10-19 권주홍 표시장치 일체형 도로경계석
KR200490262Y1 (ko) * 2019-03-15 2019-10-21 김기석 유지 관리가 용이한 델리네이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경계석
KR102136355B1 (ko) * 2020-03-31 2020-07-22 주식회사 글로벌에스텍 방호벽 일체형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420U (ja) 減速帯
KR1011843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2377953B1 (ko) 시인성 및 유지관리가 향상된 Solar LED 델리네이터 구조체와 표지병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
US20090041541A1 (en) Recessed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KR102255400B1 (ko) 체결력이 향상된 led 델리네이터
JPH10121408A (ja) 視線誘導標識を付した縁石ブロック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101432755B1 (ko) 태양광 엘이디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 휀스
KR20090001128A (ko) 가드레일에서 분리 조립이 가능한 커버판
KR101124819B1 (ko) 반사체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체결용 볼트
KR20020042317A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202457B1 (ko) 표지병
KR102609091B1 (ko) 도로 분리대
CN210420965U (zh) 一种市政工程用道路防护栏
KR100963808B1 (ko) 차로 유도 판
KR19980033708A (ko) 도로표지병 구조 및 높이조절 방법
KR200430974Y1 (ko) 도로안전 표시구
KR100515387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204131B1 (ko) 안개 차로병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100925268B1 (ko) 차량진출입구 및 램프구간 경계지점용 시선 유도봉 및 이의설치방법
JP4235123B2 (ja) 防護柵
JP3170735U (ja) 縁石鋲
KR200346161Y1 (ko) 터널 경계석용 안전표지
KR200220479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고정볼트용 야광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