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451B1 -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 Google Patents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451B1
KR102377451B1 KR1020210080139A KR20210080139A KR102377451B1 KR 102377451 B1 KR102377451 B1 KR 102377451B1 KR 1020210080139 A KR1020210080139 A KR 1020210080139A KR 20210080139 A KR20210080139 A KR 20210080139A KR 102377451 B1 KR102377451 B1 KR 102377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adhesive
film
sticker
adhesive st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현
김경호
이연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디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디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디앤피
Priority to KR102021008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plasma treatment
    • B29C2059/145Atmospheric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속지에 무접착 스티커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다량의 속지를 빠르게 제본할 수 있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양면에 형성된 커버와, 상기 양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여러 장의 속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와 각 속지가 같이 제본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책을 제본할 때 제본장치에 의해 상기 양 커버 사이는 상기 여러 장의 속지 사이로 한 장씩 삽입되는 탈부착가능한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는, 하부에 구비되는 쉬트용지; 상기 쉬트용지의 상면에 도포되어 스티커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쉬트용지의 상면에 부착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접착스티커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속지의 테두리에는 상기 속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정전기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structure for inner sheet having non-bond sticker}
본 발명은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지에 무접착 스티커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다량의 속지를 빠르게 제본할 수 있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이란 글이나 그림, 도형 등이 인쇄되어 있거나 글이나 그림 등을 그릴 수 있도록 종이를 여러 장 묶어서 제본된 것으로서, 상기 책은 서적, 학생들의 교과서 및 참고서, 어린이 학습교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의 책은 책의 표지인 커버와, 상기 커버 내에 글이나 문양이 인쇄된 여러 장의 속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와 여러 장의 속지를 같이 묶어서 책을 제본한다. 상기의 속지는 글이나 그림이 인쇄된 용지 또는, 상기 용지와 더불어 스티커가 구비된 용지 등이 있다.
상기 스티커가 구비된 용지 즉, 속지에는 일정한 문양을 갖는 스티커가 반칼선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칼선을 중심으로 속지로부터 스티커를 분리하여 사용한 후에는 상기 사용한 스티커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함에 따라 분실의 위험이 따를 뿐만 아니라 속지로부터 스티커를 떼어낼 때 반칼선에 의해 스티커의 테두리가 손상이나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은 물론 상기 스티커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속지 및 스티커의 반칼선 부분에 신체가 접촉될 경우 신체가 베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었다.
또한, 상기의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는 보통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는 종이 속지와 함께 제본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발생됨은 물론 상기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속지가 한 장씩 삽입되지 못함에 따라 제본장치로 자동 제본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상기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삽입하여 제본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책의 제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움은 물론 작업인력, 시간 등의 많은 소요로 인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장의 속지 중에서 일부 속지의 표면에 스티커를 담거나 또는 스티커가 도안된 속지를 넣을 수 있는 봉투를 결합하여 책을 제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속지에 봉투를 결합하는 공정 및 속지에 결합된 봉투에 스티커 및 스티커가 도안된 속지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삽입하는 공정 추가로 인해 제본에 따른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등 상기 책 제본에 따른 비용 및 책의 단가가 상승됨은 물론 제본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 제본 후에도 봉투에 담겨진 스티커 및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에 의해 상기 봉투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책을 겹쳐놓거나 운반하는 과정에 책이 눌려짐으로 인해 책의 겉면에 층이 생기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무접착 스티커를 제본하는 것에 있어 무접착 스티커를 포함하는 속지의 정전기를 신속히 제거하여 정전기에 의한 제본 불량을 방지함과 더불어 무접착 스티커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속지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6150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13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속지의 취급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접착스티커의 탈부착이 용이한 속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면에 형성된 커버와, 상기 양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여러 장의 속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와 각 속지가 같이 제본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책을 제본할 때 제본장치에 의해 상기 양 커버 사이는 상기 여러 장의 속지 사이로 한 장씩 삽입되는 탈부착가능한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는, 하부에 구비되는 쉬트용지; 상기 쉬트용지의 상면에 도포되어 스티커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쉬트용지의 상면에 부착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접착스티커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속지의 테두리에는 상기 속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정전기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배출구조는, 상기 합성수지재인 필름의 테두리를 따라 1~5mm의 폭으로 형성되는 정전기 배출부; 및 상기 정전기 배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체 쉬트용지 100중량부 대비 0.5~2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쉬트용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배출부는 상기 합성수지 100중량부 대비 10~20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재의 필름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필름 본체; 상기 필름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높이 10nm~100㎛ 및 두께 1~100nm이며, 사이의 간격은 10nm ~ 100㎛인 선형의 전도성 나노구조; 및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의 상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는 금, 은, 구리, 철, 니켈 또는 ITO로 제작되며, 상기 보호층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1~5중량%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크로라이드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군에서 선택되는 필름이며, 표면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접착 스티커는,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 및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인쇄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필름은 상기 전조성 나노구조가 형성된 다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50~100kV의 전압으로 형성되는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인쇄층은, 원판롤러 표면의 형상이 없는 부분에 물을 공급한 다음, 원하는 형상이 형성된 부분에 자외선 경화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원판롤러의 표면과 접촉시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에 전이시키는 단계;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된 전도성 나노구조의 상면에 압착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에 자외선을 공급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의 하면과 상기 인쇄층이 접합되도록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본체의 하면은, 0.1~100㎛의 깊이를 가지며, 0.1~200㎛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선형의 전도성 나노구조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름 본체는, 일축연신을 통하여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후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접착 스티커를 포함하는 속지구조에 스티커의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정전기 배출구조를 가짐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속지를 자동화 장치를 통하여 제본이 가능한 무접착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접착 스티커의 상면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함에 따라 각 속지가 장기간 접촉하는 경우에도 각 속비가 접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속지를 분리하는 종이 속지를 사용하지 않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접착 스티커의 접착면에 그루브를 형성함에 따라 점착제와의 점착력을 조절하여 상기 스티커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접착스티커를 구비한 속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의 표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도성 나노구조 형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필름의 후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접착 스티커 탈착시 변형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양면에 형성된 커버와, 상기 양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여러 장의 속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와 각 속지가 같이 제본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책을 제본할 때 제본장치에 의해 상기 양 커버 사이는 상기 여러 장의 속지 사이로 한 장씩 삽입되는 탈부착가능한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는, 하부에 구비되는 쉬트용지; 상기 쉬트용지의 상면에 도포되어 스티커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쉬트용지의 상면에 부착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접착스티커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속지의 테두리에는 상기 속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정전기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책에 사용될 수 있는 속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속지구조는 상기 속지 구조만으로 책이 제본되어 사용되거나 다른 구조나 재질의 속지와 같이 제본되어 하나의 책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속지 구조를 포함하는 책은 학생들의 교과서나 참고서 및, 어린이 학습교구 등일 수 있다.
상기 책은 상기 책의 외측인 양면에 위치하여 책의 외관을 형성 및 책을 보호하도록 하는 겉표지인 커버와 상기 책의 내측인 상기 양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여러 장의 속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와 여러장의 속지를 같이 제본함으로서 책이 제작된다.
상기의 커버는 속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거나 또는 속지의 두께보다 좀 더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책의 속지는 커버에 의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보호된다. 다만 책의 저가화 또는 경량화를 위하는 목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속지에 비하여 얇은 재질의 종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책의 속지는 글이나 문양(그림, 도형 등)이 도안된 속지나,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글이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한 속지 및, 탈착 가능한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 등 다양한 형태의 속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책에 제본된 여러 장의 속지 사이에 무접착 스티커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속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책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의 하부에는 쉬트용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쉬트용지(100)의 상면에는 쉬트용지로부터 무접착 스티커(400)를 탈착가능하게 즉,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점착제(20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쉬트용지(100)는 상기 속지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무접착 스티커(400)를 접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기존에 사용하는 종이재질의 쉬트용지의 경우 상기 무접착 스티커를 다회 접착 및 탈착하는 경우 종이의 층이 분리되어 상기 점착제와 같이 무접착 스티커에 접착되어 바리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쉬트용지의 경우 상기 무접착 스티커의 보관을 위하여 일반적인 종이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종이는 이러한 두깨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무접착 스티커를 다회 탈부착 하는 경우 이 다층구조의 층이 분리되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일층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상기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접착이 약화되어 상기 점착제가 상기 무접착 스티커와 같이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쉬트용지는 합성수지 필름 또는 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종이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합성수지가 함침되거나 상기 합성수지가 표면에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쉬트용지(100)의 표면에는 점착제(20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200)는 상기 무접착 스티커(4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도 1 참조) 상기 스티커(4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점성을 가지는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점착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점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무를 사용한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 및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무는 고무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소재의 고무로 본 발명의 경우 이 천연고무를 해교하여 고무용액을 제조한 다음, 합성고무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를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무의 경우 다양한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력이 우수하며, 점착제가 분리될 때에도 잔유물을 적게 남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하며, 화학성분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의 경우 높은 화학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점착제로 제작되는 경우 분리시 잔유물을 남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를 최적의 비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높은 내구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점착제 분리시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은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 및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해교제는 가교로 형성된 고무 고분자의 가교를 제거하는 것으로 고무를 고무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성분으로, 고무의 제조시 고무용액에 가교제를 투입하여 고체의 고무를 제조하는 단계를 반대로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해교제는 일반적인 천연고무용 해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교제는 상기 점착제의 점성을 감소시켜 상기 쉬트용지의 표면에 용이하게 분사 및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해교제는 상기 천연고무 100중량부 대비 0.2~0.5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해교제가 0.2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천연고무의 해교가 완전하지 않아 후술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와의 혼합이 어려울 수 있으며, 0.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고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점착제의 점도가 낮아져 점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톨루엔은 상기 해교된 고무를 용액으로 만들기 위한 용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천언고무 100중량부 대비 650~700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톨루엔이 65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해교된 고무의 용해가 완전하지 않아 점착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700중량부룰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있다.
상기와 같이 해교제 및 톨루엔과 혼합된 천연고무는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천연고무 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온도가 70℃미만이거나 8시간 미만으로 교반하는 경우 용액의 생성이 완전하지 못하여 점착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9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교반되는 경우 천연고무 용액이 열분해되어 첨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12시간을 초과하여 교반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는 없으므로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고 탄화수소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너지가 매우 낮은 특성을 가지고 젖음성(wetting)이 우수한 합성고무이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는 20 내지 30 중량%의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응집력이 불충분해지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치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합성 석유 수지)나 로진에스테르 유도체,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치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는 그 연화점이 9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한데, 화점은 일반적으로 물질이 가열에 의해 변형되어 연화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를 일컫는다. 따라서, 점착성 부여제는 90℃에서 변형 및 연화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의 연화점을 9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 고온 뢰성 조건에서 점착 증진제가 유리 상태(glassy state)를 유지함으로 열 변형률이 작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고온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상기 점착성 부여제의 연화점이 90℃ 미만인 경우 고온 조건에서 점착성 부여제가 연화를 시작하여 내구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부여제의 연화점이 160℃를 초과하면 상온에서 점착성 부여제의 점착증진의 역할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용액은 이밖에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조되는 점착제의 경도를 높여 상기 점착제가 흐르지 않도록 하며, 내열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경화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내열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점착제의 점도가 낮아져 잔유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점착제의 경도가 높아져 점착력의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화제는 고무 수지의 관능기인 하이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마레인산기 등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아지리딘, 알루미늄 킬레이트 등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200)가 도포된 이후 상기 점착제의 상면에는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쉬트용지의 상면에 부착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접착스티커(400)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인 필름(3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의 필름(300)에는 무접착 스티커(400)가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획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접착 스티커(400)에 도안된 문양은 하나의 완전한 문양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문양을 여러 개로 분리하여 이를 연결 및 조합함에 따라 하나의 완전한 문양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필름(300)은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무접착 스티커(300)를 구성할 수 있으며(도 1 및 도 2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무접착 스티커를 탈착하는 경우 상기 무접착 스티커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부의 점착제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필름(300)은 투명 또는 반투면 재질의 합성수지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카보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도가 높고 연성과 전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 및 상기 쉬트용지는 정전기를 배출하기 위한 정전기 배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 속지를 사용하는 경우 마찰에 의하여 다량의 정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정전기에 의하여 각 속지가 결합되어 원하지 않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합성수지제 속지를 사용하는 경우 각 속지를 정확히 정렬하기 위하여 인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자동화된 제본과정을 수행할 수 없어 제작되는 책의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속지 사이에 종이속지를 추가하여 정전기를 방지하고 있지만, 종이속지에 의하여 책이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종이속지를 삽입하는 것에 다른 책의 단가상승이 있을 수 있어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속지를 구성하는 상기 쉬트용지 및 상기 필름에 정전기 방지구조를 도입하는 것으로 정전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합성수지제 속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원환한 제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전기 배출구조는, 상기 합성수지재인 필름의 테두리를 따라 1~5mm의 폭으로 형성되는 정전기 배출부; 및 상기 정전기 배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체 쉬트용지 100중량부 대비 0.5~2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쉬트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 필름의 테두리에는 정전기 배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경우 전기전도도가 낮아 생성되는 정전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300)의 테두리를 따라 1~5mm의 폭으로 정전기 배출부(310)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정전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배출부(310)는 전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내부에 누적되는 정전기를 공기중으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제본을 위하여 이송하는 경우 이송용 설비의 금속부분과 접촉되어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용 설비의 경우 대부분 접지가 되어 있어 정전기를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상기 속지의 정전기를 외부로 빠른속도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전기 배출부(310)는 상기 합성수지 100중량부 대비 10~20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전도성을 가지는 나노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정전기 배출부(310)가 전도성을 가지도록 일정비율이상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나노입자의 일부는 상기 필름(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금, 은, 구리, 철,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탄소 또는 ITO로 제작되는 나노와이어 또는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입자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금속으로 제작되는 나노와이어 또는 탄소로 제작되는 탄소 나노튜브의 경우 상기 정전기 배출부에 10~2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일종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지점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속하게 상기 테두리부의 전체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가 1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전도성이 떨어져 정전기 제거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필름의 물성이 떨어져 갈라짐이나 깨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쉬트용지(100)는 전체 쉬트용지 100중량부 대비 0.5~2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필름(300)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상기 쉬트용지(100)를 통하여 상기 테두리 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테두리 부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쉬트용지에 포함되는 전도성 나노입자는 상기 테두리 부에 사용된 나노입자와 동일하게 금, 은, 구리, 철,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탄소 또는 ITO로 제작되는 나노와이어 또는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입자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가 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에 의한 정전기 전달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2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쉬트용지의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300)의 경우에도 상기 정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도 3참조).
이를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재의 필름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필름 본체; 상기 필름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높이 10nm~100㎛ 및 두께 1~100nm이며, 사이의 간격은 10nm ~ 100㎛인 선형의 전도성 나노구조; 및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의 상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본체의 상에는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전도성 나노구조는 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름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신속하게 양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는 높이 10nm~100㎛ 및 두께 1~100nm이며, 사이의 간격은 10nm ~ 10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의 크기 및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간격을 가지는 경우 전도성이 떨어져 정전기 제거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범위를 초과하는 크기 및 상기 범위 미만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에 의하여 필름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는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매크로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 노출된 필름 및 남아있는 매크로 프리패턴의 상부에 전도성 나노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 애칭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을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320)에 매크로 패턴 물질(330)을 도포하는 단계(도 3의 (a))로, 매크로 패턴 물질(330)을 상기 필름(320)의 표면에 도포하여 매크로 패턴이 형성될 층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매크로 패턴물질은 스프레이, 롤러코팅,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하여 상기 필름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매크로 패턴층의 두께에 비례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의 높이가 정해지기 때문에 10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증착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크로 패턴 물질(320)은 폴리스타일렌, 키토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포토레지스트 화합물(photoresist)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은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에 의하여 일정 모양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에칭에 의하여 전도성 나노물질이 증착된다. 이때, 매크로 프리패턴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증착되는 전도성 나노물질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320)을 도포한 다음, 상기 매크로 패턴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는 것으로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도 3의 (b)). 이때 식각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기존에 알려진 것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매크로 프리패턴이 형성된 다음, 상기 프리페턴의 상부에 전도성 나노물질(340)을 도포할 수 있다(도 3의 (c)).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340)은 금,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징크옥사이드, 크롬, 인듐 틴 옥사이드, 니켈, 철, 티타늄, 몰리브덴, 실리콘,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또는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340)은 상기 필름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윗부분뿐만 아니라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으로 인하여 노출되는 필름의 표면에도 균일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전도성 나노물질(340)이 도포된 다음. 이를 애칭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을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330)의 벽면부에 부착할 수 있다(도 3의 (d)).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에칭에 의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340)이 사방으로 비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출된 필름에 부착된 전도성 나노물질의 경우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벽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애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은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벽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애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 특히 이온 밀링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밀링에 사용되는 기체는 아르곤, 헬륨, 질소, 산소 및 이들의 혼합기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도성 나노물질이 매크로 프리패턴의 측면에 부착된 다음,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전도성 나노물질만이 남아있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에 전도성 나노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3의 (e)).
위와 같은 전도성 나노구조는 상기 필름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필름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작되는 무접착 스티커의 내부에도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 무접착 스티커의 경우 일정한 형상을 구비하며, 적절한 색상을 가져야 하므로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 상에 인쇄를 통하여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접착 스티커(400)는,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 및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인쇄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인쇄되며,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는 평판인쇄의 일종인 그라비아 인쇄 또는 옵셋인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옵셋인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쇄단계는, 형상인쇄용 원판롤러 표면의 형상이 없는 부분에 물을 공급한 다음, 원하는 형상이 형성된 부분에 자외선 경화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형상인쇄용 원판롤러의 표면과 접촉시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에 전이시키는 단계;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된 필름의 상면에 압착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에 자외선을 공급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잉크의 인쇄단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옵셋 인쇄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일정한 형상이 새겨져 있는 원판롤러의 표면에 상기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물을 도포하며, 원하는 형상 부분에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형상인쇄용 원판롤러의 표면과 접촉시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에 전이시키며, 이 전이된 잉크를 표면코팅층에 압착하고 자외선을 공급하여 잉크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옵셋 인쇄의 경우 단색인쇄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스티커는 다색을 가지도록 제작되므로 3원색을 순차적으로 인쇄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백색 및 흑색의 표면을 더욱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흑색과 백색을 포함하는 5색인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3색 인쇄를 하는 경우 황색, 청색, 적색의 3색을 사용하며, 흰색은 바탕색을 노출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3색 인쇄를 하는 경우 상기 황색(510), 청색(520), 적색(530)에 흰색(540)과 흑색(550)을 추가하여 5색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색상을 인쇄한 다음에는 각각 자외선을 공급(560)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단시간내에 잉크를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색상을 인쇄하고 건조가 덜된 상태로 다음 색상을 인쇄하는 경우 각 색상이 혼합되어 번지거나 롤러에 이색이 발생하여 인쇄 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각 색상의 인쇄를 완료한 다음에는 자외선 경화를 수행하여 번짐이나 이염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색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각 색상사이의 위치정렬에 따라 색상의 번짐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각 색상의 인쇄시에는 일측에 가이드 인쇄를 수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롤러의 위치를 미세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인쇄는 상기 필름의 일측면에 일정형상을 인쇄하여 각 롤러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인쇄되는 부분으로 상기 인쇄 및 합지가 완료된 전사스티커는 양측면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이부분에 상기 가이드 인쇄를 수행하여 스티커의 인쇄면에는 원하지 않는 형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인쇄는 상기 롤러와 상기 필름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인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열십자 형으로 인쇄되어 롤러의 전후진 및 좌우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인쇄는 인쇄가 완료된 이후 품질검사 및 상기 각 롤러의 수동 조절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인쇄가 모든 색상이 동일한 위치에 수행하는 경우 최종적으로는 검은색의 가이드 인쇄가 출력된다. 하지만 하나의 색상 롤러가 이상 정렬된 경우 이 롤러에 해당하는 색상만 상기 가이드 인쇄 모양에서 벗어나 인쇄될 수 있으며, 이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인쇄의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색상의 정렬을 확인한 다음, 상기 롤러를 수동으로 정렬하여 후술한 자동정렬의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동 정렬 이외에도 각 롤러는 자동적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자동 정렬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1롤러에서 상기 가이드 인쇄를 수행하게 되면 제2 롤러와 연동된 제1위치감지수단이 상기 십자의 위치를 판독하게 된다. 상기 판독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은 상기 전사상지에 따른 롤러의 위치를 계산하게되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2롤러 위치정렬수단으로 신호를 발신하여 제2 롤러의 위치를 미세정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인쇄부는 상기 옵셋 인쇄의 시작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위치정보는 상기 제2롤러가 앞의 인쇄를 마치고 상기 가이드 인쇄가 나타나기 이전, 즉 각 인쇄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백부분에서 제2롤러로 전송되어 제2롤러를 정렬할 수 있다. 이를 각 색상에 반복하여 최종적으로는 모든 롤러가 각 인쇄색상 및 필름의 위치에 따라 정렬되어 인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인쇄가 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옵셋 인쇄를 위한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 사이로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는 잔컵 점도계(No. 3)를 이용한 점도 측정시 20초 이상 50초 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20초 미만인 경우 낮은 점도로 인하여 옵셋 잉크의 번짐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50초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높은 점도로 인하여 원활한 인쇄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면에 나노구도가 형성된 필름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경우 표면에 이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존재하는 나노구조로 인하여 후술한 옵셋 인쇄용 잉크의 정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표면활성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50~100kV의 전압으로 형성되는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이 50kV미만인 경우 원활한 플라즈마의 형성이 어려우며, 100kv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즈마로 인하여 상기 나노구조가 손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름의 경우 표면에 전도성 나노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롤투롤 공정에 의하여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대기압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표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표면에는 보호층(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1~5중량%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크로라이드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군에서 선택되는 필름이며, 표면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 티타늄 나노입자는 상기 필름에 입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필름내부의 인쇄층의 변색을 막음과 동시에 상기 필름의 열화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š 상기 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1중량%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산화티타늄에 의한 자외선 반사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백탁현상이 발생하여 필름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50)의 표면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호층 또는 무접착 스티커의 표면은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접촉한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 접촉된 두개의 필름이 융합되어 접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존의 고분자 필름 속지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속지를 사이사이에 겹쳐서 사용하고 있지만, 이 종이속지에 의하여 책이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종이속지가 외력에 의하여 제가되는 경우 이러한 필름의 접착을 막을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 표면의 보호층 상부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을 코팅하여 두 필름사이의 접착을 박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은 일명 “테플론”으로 불리는 고분자수지의 일종으로 얇은 두께로 도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번 경화된 이후에는 다른물질과의 상호작용을 거의하지 않아 윤활제 또는 윤활층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을 코팅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이 장기간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호간에 접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필름의 후면에는 상기 점착제와의 점착력을 조절하기 위한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즉 상기 필름 본체의 하면은, 0.1~100㎛의 깊이를 가지며, 0.1~200㎛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와 동일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지 전도성 나노구조의 경우 일전한 전성과 연성을 가지고 잇으므로, 상기 무접착 스티커를 탈착하기 위하여 구부리는 경우에도 파괴가 최소화될 수 있지만 다수회를 구부리게 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가 손상되어 정전기 제거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루브와 상기 전조선 나노구조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여 구부러지는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루부를 가지도록 상기 필름의 후면을 가공하는 경우 상기 그루브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를 손상하지 않고도 상기 무접착 스티커를 용이하게 찰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루브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 상기 그루브로 인하여 구부러지는 반경이 크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전도성 나노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루브의 형상 및 밀도에 따라 상기 이형지의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루브가 변형되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도 7 참조).
본 발명에서 용어 그루브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함몰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형성하여 골과 돌출부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그루브는 골과 돌출부가 교대로 반복되어 형성된다. 이때 점착제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에 해당하며, 상기 돌출부의 형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제와의 접촉면적을 조절함과 동시에 점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돌출부가 직경이 작은 반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 골의 깊이도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이형지를 부착하기 위하여 가압할 때 상기 점착제와 넓은 범위에서 부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점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도 6의 (a)).
이와는 반대로 직경이 큰 반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골부분이 깊어짐에 따라 압력을 가하더라도 골의 일부는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도 6의 (b)).
또한 이러한 점착력을 조절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는 타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6의 (c) 및 (d)). 즉 상기 돌출부의 형상 및 간격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제 및 이형지를 동일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점착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무접착 스티커 제거시 점착제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접착 스티커를 탈착하는 경우 상기 무접착 스티커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무접착 스티커의 측면을 연신하여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상기 그루브는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면에 변형이 나타나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루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 상기 그루브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돌출부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상기 점착면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자연스럽게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0.1~100㎛의 깊이를 가지며, 0.1~20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가 0.1㎛미만의 깊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그루브에 의한 점착력 제어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하는 깊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필름의 두께가 얇아져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0.1㎛미만의 간격을 가지는 경우 역시 상기 무접착 스티커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200㎛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점착면이 넓어져 점착력의 제어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쉬트용지
200 : 점착제
300 : 필름
310 : 정전기 배출구조
320 : 필름
330 : 매크로 패턴물질
340 : 전도성 물질
350 : 보호층
400 : 무접착스티커
510 : 옵셋인쇄용 황색 드럼
520 : 옵셋인쇄용 청색 드럼
530 : 옵셋인쇄용 적색 드럼
540 : 옵셋인쇄용 백색 드럼
550 : 옵셋인쇄용 흑색 드럼
560 : 자외선 조사장치
570 : 가압롤러

Claims (4)

  1. 양면에 형성된 커버와, 상기 양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여러 장의 속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와 각 속지가 같이 제본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책을 제본할 때 제본장치에 의해 상기 양 커버 사이 또는 상기 여러 장의 속지 사이로 한 장씩 삽입되는 탈부착가능한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는,
    하부에 구비되는 쉬트용지;
    상기 쉬트용지의 상면에 도포되어 스티커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쉬트용지의 상면에 부착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접착스티커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인 필름;
    를 포함하며,
    상기 속지의 테두리에는 상기 속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정전기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배출구조는,
    상기 필름의 테두리를 따라 1~5mm의 폭으로 형성되는 정전기 배출부; 및
    상기 정전기 배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체 쉬트용지 100중량부 대비 0.5~2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쉬트용지;
    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배출부는 상기 합성수지 100중량부 대비 10~20중량부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필름 본체;
    상기 필름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높이 10nm~100㎛ 및 두께 1~100nm이며, 사이의 간격은 10nm ~ 100㎛인 선형의 전도성 나노구조; 및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의 상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는 금, 은, 구리, 철, 니켈 또는 ITO로 제작되며,
    상기 보호층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1~5중량%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크로라이드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군에서 선택되는 필름이며, 표면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착 스티커는,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 및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인쇄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된 필름은 상기 전도성 나노구조가 형성된 다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50~100kV의 전압으로 형성되는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인쇄층은,
    원판롤러 표면의 형상이 없는 부분에 물을 공급한 다음, 원하는 형상이 형성된 부분에 자외선 경화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원판롤러의 표면과 접촉시켜, 상기 자외선 경화잉크를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에 전이시키는 단계;
    상기 옵셋 인쇄용 롤러를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된 전도성 나노구조의 상면에 압착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잉크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잉크에 자외선을 공급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의 하면과 상기 인쇄층이 접합되도록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본체의 하면은, 0.1~100㎛의 깊이를 가지며, 0.1~200㎛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선형의 전도성 나노구조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름 본체는,
    일축연신을 통하여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후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KR1020210080139A 2021-06-21 2021-06-21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KR10237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139A KR102377451B1 (ko) 2021-06-21 2021-06-21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139A KR102377451B1 (ko) 2021-06-21 2021-06-21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451B1 true KR102377451B1 (ko) 2022-03-23

Family

ID=8096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139A KR102377451B1 (ko) 2021-06-21 2021-06-21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45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903A (ko) * 1982-01-20 1983-12-16 정운백 반 복사용 봉투지 제조법
KR101051368B1 (ko) 2009-10-12 2011-07-27 서동식 접착식 용지를 이용한 학습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20006801U (ko) * 2011-03-24 2012-10-05 고경렬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 구조
KR20130049987A (ko) * 2011-11-07 2013-05-15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이의 잉크 인쇄 방법
KR102056150B1 (ko) 2018-02-26 2020-01-14 고경열 양면무접착 합지방식을 이용한 학습용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6584A (ko) * 2018-09-03 2020-03-11 권정희 중간재가 삽입된 코팅 스티커 및 이를 위한 제작 장치
KR20200026579A (ko) * 2018-09-03 2020-03-11 권정희 중간재가 삽입된 코팅 스티커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903A (ko) * 1982-01-20 1983-12-16 정운백 반 복사용 봉투지 제조법
KR101051368B1 (ko) 2009-10-12 2011-07-27 서동식 접착식 용지를 이용한 학습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20006801U (ko) * 2011-03-24 2012-10-05 고경렬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 구조
KR20130049987A (ko) * 2011-11-07 2013-05-15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이의 잉크 인쇄 방법
KR102056150B1 (ko) 2018-02-26 2020-01-14 고경열 양면무접착 합지방식을 이용한 학습용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6584A (ko) * 2018-09-03 2020-03-11 권정희 중간재가 삽입된 코팅 스티커 및 이를 위한 제작 장치
KR20200026579A (ko) * 2018-09-03 2020-03-11 권정희 중간재가 삽입된 코팅 스티커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986B2 (en) Digital mold texturizing methods, materials, and substrates
EP263189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label
KR101811456B1 (ko) 인쇄용 수지 원판 및 그 제조 방법
JP5311714B2 (ja) タイヤ用粘着シート
KR102377451B1 (ko)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구조
WO2014156744A1 (ja) タイヤ用粘着シート、タイヤ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タイヤ用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DE102016209456A1 (de) Kontrollierter Silicon-Release beim xerographischen Drucken zur Erzeugung einer Haftklebstoff-Dehäsivschicht
US20210354492A1 (en) Image transfer sheet, manufacturing method for image transfer sheet, and image transfer method
KR102377455B1 (ko) 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EP2659476B1 (de) Schild zur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insbesondere verkehrstafel
JP5521166B2 (ja) 感熱ラベル長尺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02042A (ja) 焼成パターン形成用シート及び焼成用ラベル
KR100440395B1 (ko)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KR101826860B1 (ko) 접착 시트 및 상기 접착 시트의 불량 확인 방법
KR100547483B1 (ko) 감열 기록 전지를 갖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및 그 라벨 송장
JP2001202020A (ja) 積層型剥離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23463B1 (ko) 점착층의 용이 탈착으로 인한 페트병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점착 분리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라벨 및 페트병의 재활용 방법
JP3033587U (ja) ブックレットおよびその作成装置
JP3892508B2 (ja) 記録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点灯式スイッチ
JP346334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転写シート
JP2016190885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144877A (ja) 保護フィルム
CN116338841A (zh) 一种带基材可碳带打印的逆反射片
JP3111224B2 (ja) ドラム缶管理用ラベル
KR20050011833A (ko) 반경화전사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