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005B1 -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005B1
KR102377005B1 KR1020210016071A KR20210016071A KR102377005B1 KR 102377005 B1 KR102377005 B1 KR 102377005B1 KR 1020210016071 A KR1020210016071 A KR 1020210016071A KR 20210016071 A KR20210016071 A KR 20210016071A KR 102377005 B1 KR102377005 B1 KR 102377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tion point
connecting member
point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현
유재용
이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트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트란
Priority to KR102021001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1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 B62K25/2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more than one arm on each fork leg
    • B62K25/2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more than one arm on each fork leg for front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025/04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suspension manual adjustmen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 차체의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실장하고, 상기 완충 부재들의 상단을 관통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 양 말단에 각각 제1 회전 지점 및 제2 회전 지점, 및 양 말단 사이의 일 영역에 제3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로서, 상기 제1 회전 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하단과 제2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2 회전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축에 배치되고, 양양 말단에 각각 제4 회전 지점 및 제5 회전 지점, 및 양 말단 사이의 일 영역에 제6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로서, 제4 회전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일 지점과 제3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 5 회전지점에서 타이어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6 회전 지점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3 회전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APPARATUS OF SUSPENSION FOR MOTOR KICKBOARD}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 제조 분야의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동 킥보드 차체의 무게를 지지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 이동 수단으로서 전동 킥보드의 사용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지자체에서도 공공형 전동 킥보드를 곳곳에 배치하여 시민들이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전동 킥보드에도 차체의 충격 완화 및 타이어를 통한 차체의 지지를 위하여 서스펜션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 메커니즘 및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나, 통상 전동 킥보드에는 댐핑 장치가 있어 차체에 하방 압력이 가해질 경우 하방 속도를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종래의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 댐핑 장치가 소정의 가이드 부재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의 위치, 방향 변화 등에 따라 상기 서스펜션 장치의 압력이 가변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무게, 지면 상태에 따라서는 완충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는 좌 우 측의 타이어 상태, 기계적 마모 등의 차이로 인한 좌우측 회전축의 불 균일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특별한 얼라인먼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균일한 완충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타이어 회전축을 정렬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는 전동 킥보드 차체의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실장하고, 상기 완충 부재들의 상단을 관통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 양 말단에 각각 제1 회전 지점 및 제2 회전 지점, 및 양 말단 사이의 일 영역에 제3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로서, 상기 제1 회전 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하단과 제2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2 회전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축에 배치되고, 양양 말단에 각각 제4 회전 지점 및 제5 회전 지점, 및 양 말단 사이의 일 영역에 제6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로서, 제4 회전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일 지점과 제3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 5 회전지점에서 타이어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6 회전 지점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3 회전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타이어 위치 변화에 따른 댐핑 압력의 변화 없이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부재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양 말단 사이에서 회전을 통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 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타이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전동 킥보드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 밸런스 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좌우측에 쌍을 이루도록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유닛의 좌우측에 배치된 각각의 밸런스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로 조절됨으로써, 타이어의 회전축을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는 완충 부재가 두 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별도의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가이드 부재의 간섭 없이 균일한 수직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무게나 지면 상태의 차이 등에 따라 완충 압력의 변화가 거의 없어 균일한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복수의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 완충 성능이 보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타이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바퀴 양쪽의 밸런스를 조절하여 타이어의 회전축을 정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가 장착된 전동 킥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스펜션 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스펜션 장치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하기 설명들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제한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아울러, 도면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은 설명 편의를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도면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의 스케일 및 형태는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가 장착된 전동 킥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킥보드에는 전륜 및 후륜에 서스펜션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장치(10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이어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부로는 손잡이로 이어지는 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 장치(1000)는 사용자의 손에서 느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차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스펜션 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내부에 완충부재(400)를 실장하기 위한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 제1 연결부재(300), 밸런스 부재(200) 및 제3 연결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은 후술하겠으나 총 2개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이 중 하나의 회전축이 상기 완충부재(400)들의 상부 말단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은 총 2개의 완충부재(400)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완충부재(400)의 개수는 전동 킥보드의 소비 전력,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단일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전동 킥보드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전동 킥보드는 현저히 향상된 완충력 및 차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연결부재(300), 밸런스 부재(200) 및 제2 연결부재(100)가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100) 및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적어도 일부 상기 제1 연결부재(300)와 오버랩 되나, 제2 연결부재(100)와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서로 오버랩 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연결부재(100)의 일 단은 타이어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100), 제1 연결부재(200) 및 완충부재(100)까지 순차적으로 타이어로부터 오는 위치 변화 정보가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완충부재(400)가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몸체의 회전을 통하여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이러한 길이 변화는 타이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타이어의 높이 조절은 결국 전동 킥보드 차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요소로 작용한다.
도 3은 도 1의 서스펜션 장치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부재별 연결 관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은 복수의 완충부재(400)를 고정하고 위로는 손잡이로 이어지는 축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은 두 개의 회전축, 즉 제1 회전축(90) 및 제3 회전축(50)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40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 유닛(500)의 제3 회전축(90)에 의하여 관통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유닛에 실장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은 각 완충부재(400) 간 간격 유지를 위한 일부 격벽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완충 부재 하우징 유닛(500)의 내부 격벽 구조는 완충부재(400)의 종류 및 개수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00)는 일부 절곡부를 포함하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양 말단에 각각 회전축 또는 회전 가능한 회전 지점을 포함하고,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중간 지점에도 회전 지점이 존재한다.
상기 완충부재(400)의 상부 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의 제3 회전축(9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반대편 말단은 상기 제1 연결부재(200)의 말단에 존재하는 회전지점과 연결되어 제2 회전축(7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400)는 제1 연결부재(200)에 의하여 전달되는 위치 변화를 반영하여 이완된 후 복원(수축)되는 방식으로 전동 킥보드 차체에 가해지는 수직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물론, 완충부재(400)의 댐핑 작용은 제1 연결부재(200)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 변화 정보를 제2 연결부재(100), 밸런스 부재(300)로부터 전달 받아 반응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100)의 형상은 크기만 확대되었을 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 연결부재(100) 역시 제1 연결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일부 절곡부를 포함하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양 말단에 각각 회전축 또는 회전 가능한 회전 지점을 포함하고,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중간 지점에도 회전 지점이 존재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00)의 일 말단의 회전지점은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의 제3 회전축(5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회전축(50)은 위치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90) 및 제2 회전축(70)의 사이에 존재한다. 즉, 상기 제3 회전축(50)을 통하여, 상기 제2 연결부재(100)의 위치 변화가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에 전달되어, 상기 완충부재(400)의 수직 운동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00)의 타 말단에 존재하는 회전지점은 타이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타이어의 위치 변동을 최초로 일련의 부재들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200)의 타 말단의 회전지점은 상기 제2 연결부재(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부재(100, 200) 및 완충부재용 하우징 유닛(500)은 직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한 최종 위치 변화를 반영하고, 이에 따라 완충부재(400)가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말단의 회전 지점들을 포함한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막대 형상의 몸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회전은 나사 작용 등 종래의 관용적인 길이 변화 수단을 사용하여 막대 자체의 길이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타이어의 높이를 높이게 된다. 타이어의 높이가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전동 킥보드 차체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밸러스 부재(30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재 자체의 길이가 줄어들고, 이로 인하여 타이어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타이어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전동 킥보드 차체의 높이는 높아지게 된다.
상기 밸런스 부재(300)의 일 말단은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의 하부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으며, 타 말단은 제 1 연결부재(200)의 중간 회전 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 지점들의 결합 관계는 공지의 회전 체결 수단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부재 자체의 길이 조절을 통한 타이어 높이 조절뿐만 아니라, 타이어 회전축의 얼라이언먼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재(200), 제2 연결부재(100) 및 밸런스 부재(300)는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500)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 부재(300)는 각각 양 쪽에 위치하고, 좌측과 우측의 밸런스 부재(300)의 길이 조절을 달리 할 수 있다.
이러한 차별적인 밸런스 부재(300)의 길이 조절은, 바퀴 양측의 기계적 마모 정도의 차이점, 및 타이어 상태의 차이점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별적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타이어의 회전축을 정렬함으로써, 전체적인 차체의 얼라인먼트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완충부재(400)는 회전축(70, 90)에 직접 연결된 것 외에 별도의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가이드 위치 변화에 따른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몸무게, 지면 상태 등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서도 완충 작용의 균질성이 확보될 수 있다.
1000 서스펜션 장치
100 제2 연결부재
200 제1 연결부재
300 밸런스 부재
400 완충부재
500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
10 타이어 회전축 50 제3 회전축 70 제2 회전축 90 제1 회전축

Claims (6)

  1. 전동 킥보드 차체의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실장하고, 상기 완충 부재들의 상단을 관통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
    양 말단에 각각 제1 회전 지점 및 제2 회전 지점, 및 양 말단 사이의 일 영역에 제3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로서, 상기 제1 회전 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하단과 제2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2 회전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축에 배치되고, 양양 말단에 각각 제4 회전 지점 및 제5 회전 지점, 및 양 말단 사이의 일 영역에 제6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로서, 제4 회전지점에서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일 지점과 제3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 5 회전지점에서 타이어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6 회전 지점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3 회전지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타이어 위치 변화에 따른 댐핑 압력의 변화 없이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부재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양 말단 사이에서 회전을 통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타이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전동 킥보드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밸런스 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하우징 유닛의 좌우측에 쌍을 이루도록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좌우측에 배치된 각각의 밸런스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로 조절됨으로써, 타이어의 회전축을 정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KR1020210016071A 2021-02-04 2021-02-04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KR102377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71A KR102377005B1 (ko) 2021-02-04 2021-02-04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71A KR102377005B1 (ko) 2021-02-04 2021-02-04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005B1 true KR102377005B1 (ko) 2022-03-22

Family

ID=8098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071A KR102377005B1 (ko) 2021-02-04 2021-02-04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0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82633Y (zh) * 1999-06-08 2000-06-14 蔡水德 一种滑板车后轮定位装置
CN208007199U (zh) * 2018-03-13 2018-10-26 温岭市裕隆机械附件厂 一种摩托车后平叉
CN211076216U (zh) * 2019-12-03 2020-07-24 海亿新能源扬州有限公司 一种用于滑板车的减震装置
CN112172997A (zh) * 2020-11-06 2021-01-05 宁波市圣衡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装置的踏板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82633Y (zh) * 1999-06-08 2000-06-14 蔡水德 一种滑板车后轮定位装置
CN208007199U (zh) * 2018-03-13 2018-10-26 温岭市裕隆机械附件厂 一种摩托车后平叉
CN211076216U (zh) * 2019-12-03 2020-07-24 海亿新能源扬州有限公司 一种用于滑板车的减震装置
CN112172997A (zh) * 2020-11-06 2021-01-05 宁波市圣衡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装置的踏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482B2 (en) Torsion bar spring arrangement for a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US7556111B2 (en) In-wheel drive unit suspension device
JP6435417B2 (ja) 複数支持点独立懸架装置
JP3445651B2 (ja) 自動車
JP2006160256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JP2013121825A (ja) アクティブロール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20061934A1 (en) Anti-roll vehicle suspension
KR102377005B1 (ko) 전동 킥보드용 서스펜션 장치
BR112018002216B1 (pt) Suspensão de eixo pneumática em tandem para um par de eixos traseiros de um veículo e porção de suspensão de eixo pneumática para um eixo de um veículo
BR112018001415B1 (pt) Suspensão pneumática do eixo para um eixo traseiro de um veículo
JPH07180744A (ja) 固有振動数可変型制振装置
JPH0585140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
JP4110654B2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593212B1 (ko) 지상고 조절이 가능한 토션바형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JP2773869B2 (ja) 車両のスタビライザー装置
CN205220265U (zh) 一种具有多级减震装置的汽车悬架
JP2004106654A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102543369B1 (ko) 스마트 모빌리티용 후륜 서스펜션 구조체
KR100300709B1 (ko) 자동차의뒤2축식토션바서스펜션
JPH0127881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202689A (en) Motor vehicle
KR101138049B1 (ko) 에어스프링 현가시스템의 슬라이더 조절장치
JPH07164847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マウント構造
JP3726181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21124227A1 (en) Wheel shock absorption structure and child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