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364B1 -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364B1
KR102376364B1 KR1020210042449A KR20210042449A KR102376364B1 KR 102376364 B1 KR102376364 B1 KR 102376364B1 KR 1020210042449 A KR1020210042449 A KR 1020210042449A KR 20210042449 A KR20210042449 A KR 20210042449A KR 102376364 B1 KR102376364 B1 KR 10237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eramic
drying
photoluminescen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명
한정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이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이정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Priority to KR102021004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9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07Luminescent or fluoresc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믹 잉크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열화 현상이 없는 타일의 제조가 가능한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A-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A-2단계;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A-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A-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axial light tile}
본 발명은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믹 잉크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열화 현상이 없는 타일의 제조가 가능한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바닥·벽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로, 타일은 여러 가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시공도 간단할 뿐 아니라 시공후에 균열을 일으키거나 변색하는 일이 거의 없고 특히 내구성이 있으므로 구조물의 표면을 피복 보호하는 데 가장 좋은 재료이다.
타일의 쓰임이 증가됨에 따라 현재는 타일 표면에 색을 입히거나 그림 등을 넣어 미가 수려한 건축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타일의 디자인을 비롯한 패턴, 글자, 모양 등이 보이지 않아 사람들의 시인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단지 벽으로서 존재하게 되고 타일이 부착된 면에서 세균, 곰팡이 등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건물 내벽에는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를 비롯한 유도대피로 표지판을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데, 이러한 표지판에 LED를 접목하거나 축광기능을 접목하여 야간에도 대피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은 플라스틱 또는 시트지로 화재에 약하며 정전이나 연기에 시인성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석재에 축광을 접목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시도는 축광의 지속시간이 짧고 축광 부분이 쉽게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적용이 어렵다.
또한, 축광 타일의 경우 디지털 방식(전사, UV 프린팅 등)을 이용하여 타일에 디자인을 형성하여 시공되고 있으나, 야외에 적용할 경우 태양 에너지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현상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429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목성이 향상된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안정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세라믹 잉크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강하며, 벗겨짐이나 열화현상이 없는 반영구적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항균 기능을 갖는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A-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A-2단계;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A-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A-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B-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B-2단계;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B-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B-4단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B-5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B-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C-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C-2단계;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C-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C-4단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C-5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C-6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C-1단계에서 타일 형상의 제조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C-1a단계;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C-1b단계; 상기 건조한 재료에 항균 물질을 혼합하는 제 C-1c단계; 상기 항균 물질을 혼합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C-1d단계;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C-1e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 물질은 키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D-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단계; 상기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D-4단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5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D-6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D-2단계에서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의 도포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D-2a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b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D-2a단계에서 항균 물질은 키토산, 접착성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시공방법은 세라믹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 E-1단계;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 E-2단계;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세라믹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는 제 E-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라믹 축광 타일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B-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B-2단계;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B-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B-4단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B-5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B-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은 시인성 및 주목성이 향상된 세라믹 축광 타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성이 강하며, 벗겨짐이나 열화현상이 없는 반영구적인 세라믹 축광 타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어 사진, 그림, 글 등 다양한 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주간, 야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 A-1단계(SA10)에서는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A-1단계(SA10)에서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A-1a단계(SA10a),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A-1b단계(SA10b),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A-1c단계(SA10c),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A-1d단계(SA10d)를 포함한다.
제 A-1a단계(SA10a)에서는 재료를 분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일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점토, 도석, 장석, 규석, 석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이를 분쇄하여 성형에 적합한 크기로 제조한다.
제 A-1b단계(SA10b)에서는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한 재료를 습식상태에서 건식상태로 건조 및 저장한다.
제 A-1c단계(SA10c)에서는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한다.
제 A-1d단계(SA10d)에서는 상기 타일을 소성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성형한 타일을 소성하여 타일로서의 적합한 물성을 갖도록 한다.
하기에서 설명할 축광 기능을 부여하는 대상은 상기 제조한 타일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타일, 유리, 목재, 석재 등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A-2단계(S20)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축광 기능을 발현하기 위하여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는 세라믹 파우더 내에 스트론튬알루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퓸(europium)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SrAl2O4 : Eu, Dy)는 잔광 휘도, 잔광 시간 등이 황화아연계 안료의 10배 이상이며, 일반적인 축광 안료보다 휘도가 2배 이상 높으며 750℃가 넘는 고온에서도 버틸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형태는 파우더 형태로서 크기는 120~150㎛이다.
상기 축광 안료(스트론튬알루마트를 포함하는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할 시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과 혼합한 다음 에어 스프레이건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거나, 베이스 수지(우레탄계 수지; 점착성 수지)와 혼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 도포 시에는 타일의 전체적인 면을 도포하거나, 나타내고자 하는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 도포 후에는 추가적으로 부착력 향상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하여 건조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200℃에서 4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00℃를 초과할 경우 성분의 변질 또는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A-3단계(S30)에서는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 소성은 750 내지 1050℃에서 4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성 온도가 750℃ 미만일 경우 충분한 소성 및 안료의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050℃를 초과할 경우 타일 색상의 변화 또는 축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소성 시간이 40분 미만일 경우 충분한 소성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뭉침 현상 등이 발생하거나 안료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60분을 초과할 경우 이미 소성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타일 색상의 변화 또는 축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성 이후 타일의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20 내지 30℃)를 실시하며, 60 내지 12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과정을 통해, 열처리한 타일을 하기에서 실시될 코팅 등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안정성과 효율성을 부여하며, 내구성 및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A-4단계(S4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광을 부여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건조한다.
상기 축광 성능을 부여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함으로써,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오염이 방지되고 표면의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보호용 코팅제는 내후성이 강한 투명의 우레탄 계열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시 코팅 두께는 0.03 내지 0.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두께가 0.03mm 미만일 경우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의 보호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0.10mm를 초과할 경우 레벨링이 맞지 않거나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을 표현하는 표현력, 색채 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90 내지 100℃에서 60 내지 7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90℃ 미만일 경우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할 경우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코팅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이 60분 미만일 경우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70분을 초과할 경우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타일의 축광 색은 안료 및 디자인 색(색소의 첨가 등)에 따라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분홍, 주황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 B-1단계(SB10)에서는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B-1단계(SB1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1단계(SA10)와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즉, 상기 제 B-1단계(SB10)에서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B-1a단계(SB10a),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B-1b단계(SB10b),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B-1c단계(SB10c),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B-1d단계(SB10d)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 B-2단계(SB20)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B-2단계(SB2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2단계(SA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축광 기능을 발현하기 위하여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 후에는 추가적으로 부착력 향상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하여 건조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B-3단계(SB30)에서는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B-3단계(SB3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3단계(SA3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B-4단계(SB4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한 타일에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한다.
상기 디자인의 인쇄는 디지털 프린팅기, 잉크젯 프린팅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설계변경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세라믹 잉크는 잉크 내에 세라믹 파우더 또는 세라믹 나노 파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인 세라믹 잉크의 사용이 가능하며, 일례로 Co(Fe1-xCrx)2O4, Zr1-xCexSiO4, CaSn1-xCrxSiO4, Co2SiO4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포 후에는 추가적으로 부착력 향상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하여 건조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B-5단계(SB50)에서는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 소성은 750 내지 1050℃에서 4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성 온도가 750℃ 미만일 경우 충분한 소성 및 디자인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050℃를 초과할 경우 타일 색상의 변화 또는 축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소성 시간이 40분 미만일 경우 충분한 소성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뭉침 현상 등이 발생하거나 디자인 표현이 저하될 수 있으며, 60분을 초과할 경우 이미 소성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타일 색상의 변화 또는 축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성 이후 타일의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20 내지 30℃)를 실시하며, 60 내지 18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과정을 통해, 열처리한 타일을 하기에서 실시될 코팅 등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안정성과 효율성을 부여하며, 내구성 및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B-6단계(SB6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자인을 인쇄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건조한다.
상기 디자인을 인쇄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함으로써,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오염이 방지되고 표면의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보호용 코팅제는 내후성이 강한 투명의 우레탄 계열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시 코팅 두께는 0.03 내지 0.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두께가 0.03mm 미만일 경우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의 보호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0.10mm를 초과할 경우 레벨링이 맞지 않거나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을 표현하는 표현력, 색채 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90 내지 100℃에서 60 내지 7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90℃ 미만일 경우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할 경우 축광층 또는 디자인층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코팅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이 60분 미만일 경우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70분을 초과할 경우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타일의 축광 색은 안료 및 디자인 색(색소의 첨가 등)에 따라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분홍, 주황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C-1단계(SA10)에서는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C-1단계(SC10)에서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C-1a단계(SC10a),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C-1b단계(SC10b), 상기 건조한 재료에 항균 물질을 혼합하는 제 C-1c단계(SC10c), 상기 항균 물질을 혼합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C-1d단계(SC10d),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C-1e단계(SC10e)를 포함한다.
제 C-1a단계(SC10a)에서는 재료를 분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일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점토, 도석, 장석, 규석, 석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이를 분쇄하여 성형에 적합한 크기로 제조한다.
제 C-1b단계(SC10b)에서는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한 재료를 습식상태에서 건식상태로 건조 및 저장한다.
제 C-1c단계(SC10c)에서는 상기 건조한 재료에 항균 물질을 혼합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한 재료에 항균 물질인 키토산을 혼합한다.
상기 키토산은 갑각류의 껍질에 함유된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로, 천연 양이온 고분자 물질이다.
상기 키토산의 제조는 껍질 분쇄 단계, HCl, NaOH를 이용하여 칼슘, 회분, 단백질 제거 단계, 탈아세틸화반은 단계를 거쳐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항균 및 항곰팡이 작용으로 오염성을 감소시키며,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이온 흡착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키토산의 탈아세틸화는 우수한 항균 작용을 위하여 95% 이상이 적합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의 경우 20,000 내지 350,000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토산을 항균 물질로 포함 시 입자 크기가 1 내지 50㎛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물질에 포함되는 키토산의 입자 크기가 1㎛ 미만일 경우 과도하게 작은 입자로 인해 균일한 혼합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50㎛를 초과할 경우 하기에서 축광 도료 도포 시 평탄한 도포가 어렵거나 디자인 형성 시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은 균일한 혼합 및 도포를 고려하여 분말이 아닌 액상의 형태로도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에는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살진균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은 건조한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물질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작용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물성 또는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 C-1d단계(SC10d)에서는 항균 물질을 혼합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한다.
제 C-1e단계(SC10e)에서는 상기 타일을 소성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성형한 타일을 소성하여 타일로서의 적합한 물성을 갖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 C-2단계(SC20)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C-2단계(SC2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2단계(SA20) 및 제 2실시예의 제 B-2단계(SB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축광 기능을 발현하기 위하여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 후에는 추가적으로 부착력 향상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하여 건조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C-3단계(SC30)에서는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C-3단계(SC3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3단계(SA30) 및 제 2실시예의 제 B-3단계(SB3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C-4단계(SC4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C-4단계(SC40)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B-4단계(SB4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건조한 타일에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한다.
다음으로, 제 C-5단계(SC50)에서는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C-5단계(SC50)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B-5단계(SB5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C-6단계(SC6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C-6단계(SC60)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B-6단계(SB6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디자인을 인쇄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건조한다.
<제 4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 D-1단계(SD10)에서는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D-1단계(SD1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1단계(SA10) 및 제 2실시예의 제 B-1단계(SB10)와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D-2단계(SB20)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D-2단계(SD20)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D-2a단계(SD20a),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b단계(SD20b)를 포함한다.
제 D-2a단계(SD20a)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하도층으로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한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타일 표면에 바탕색을 부여하거나 축광 성능 및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포되며, 상기 접착성 수지는 우레탄 계열의 수지이고, 투명 또는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제조한 타일의 바탕이 흰색일 경우 투명 수지층을 도포하며, 흰색이 아닐 경우 하기에서 진행할 세라믹 잉크를 이용한 디자인 인쇄 시 모양과 색감을 보다 잘 나타내게 하기 위하여 백색을 도포한다.
또한, 상기 접착성 수지는 항균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항균 물질인 키토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갑각류의 껍질에 함유된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로, 천연 양이온 고분자 물질이다.
상기 키토산의 제조는 껍질 분쇄 단계, HCl, NaOH를 이용하여 칼슘, 회분, 단백질 제거 단계, 탈아세틸화반은 단계를 거쳐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항균 및 항곰팡이 작용으로 오염성을 감소시키며,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이온 흡착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키토산의 탈아세틸화는 우수한 항균 작용을 위하여 95% 이상이 적합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의 경우 20,000 내지 350,000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토산을 항균 물질로 포함 시 입자 크기가 1 내지 50㎛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물질에 포함되는 키토산의 입자 크기가 1㎛ 미만일 경우 과도하게 작은 입자로 인해 균일한 혼합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50㎛를 초과할 경우 하기에서 축광 도료 도포 시 평탄한 도포가 어렵거나 디자인 형성 시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은 균일한 혼합 및 도포를 고려하여 분말이 아닌 액상의 형태로도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에는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살진균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은 접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물질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작용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물성 또는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200℃에서 4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00℃를 초과할 경우 도료 내 성분의 변질 또는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제 D-2b단계(SD20b)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축광 기능을 발현하기 위하여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다.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는 세라믹 파우더 내에 스트론튬알루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퓸(europium)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SrAl2O4 : Eu, Dy)는 잔광 휘도, 잔광 시간 등이 황화아연계 안료의 10배 이상이며, 일반적인 축광 안료보다 휘도가 2배 이상 높으며 750℃가 넘는 고온에서도 버틸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형태는 파우더 형태로서 크기는 120~150㎛이다.
상기 축광 안료를 도포할 시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이스 수지인 우레탄계 수지에 혼합하여 도포가 가능하다.
즉, 타일 표면에 도포되는 축광도료는 베이스 수지(우레탄계 수지)와 축광 안료(스트론튬알루마트를 포함하는 세라믹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축광 안료는 전체 축광 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35 내지 40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광 안료가 35중량부 미만일 경우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4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축광 도료의 도포 두께는 0.05 내지 0.5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축광 도료의 도포 두께가 0.05mm 미만일 경우 축광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0.50mm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나빠지고 접착성 및 물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 도포 시에는 타일의 전체적인 면을 도포하거나, 나타내고자 하는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 도포 후에는 추가적으로 부착력 향상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하여 건조 단계(열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열처리)는 200℃에서 5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 건조(열처리)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00℃를 초과할 경우 도료 내 성분의 변질 또는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D-2단계(SD20)에서는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및 축광 도료의 도포를 대체하여, 축광 안료(스트론튬알루마트를 포함하는 세라믹 파우더)와 물 혼합 시 항균 물질(키토산)을 더 포함하여 혼합한 다음 에어 스프레이건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D-3단계(SD30)에서는 상기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D-3단계(SC30)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A-3단계(SA30), 제 2실시예의 제 B-3단계(SB30) 및 제 3실시예의 제 C-3단계(SC3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D-4단계(SD4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D-4단계(SD40)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B-4단계(SB40) 및 제 3실시예의 제 C-4단계(SC4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건조한 타일에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한다.
다음으로, 제 D-5단계(SD50)에서는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D-5단계(SC50)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B-5단계(SB50) 및 제 3실시예의 제 C-5단계(SC5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 열처리한 후 건조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D-6단계(SD60)에서는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D-6단계(SD60)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B-6단계(SB60) 및 제 3실시예의 제 C-6단계(SC6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디자인을 인쇄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건조한다.
<제 5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축광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E-1단계(SE10)에서는 세라믹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세라믹 축광 타일의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제 E-2단계(SE20)에서는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라믹 축광 타일을 부착하고자 하는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제 E-3단계(SE30)에서는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세라믹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상기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세라믹 축광 타일의 뒷면을 일치시켜 부착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에 있어서,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세라믹 축광 타일(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의 세균 감소율 효과를 나타낸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결과 시험환경
초기농도
(CFC/mL)
24시간 후 농도
(CFC/mL)
세균감소율(%)
대장균 KCL-FIR
- 1003 : 2018
2.1x10^5 <10 99.9 37.5
녹농균 2.4x10^5 <10 99.9
황색포도상구균 3.0x10^5 <10
상기 항균 물질의 경우 타일이 적용되는 바닥, 벽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해 항균 작용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A10.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A-1단계;
SA20.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A-2단계
SA30.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A-3단계
SA40.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A-4단계
SB10.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B-1단계
SB20.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B-2단계
SB30.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B-3단계
SB40.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B-4단계
SB50.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B-5단계
SB60.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B-6단계
SC10.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C-1단계
SC10a. 재료를 분쇄하는 제 C-1a단계
SC10b.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C-1b단계
SC10c. 상기 건조한 재료에 항균 물질을 혼합하는 제 C-1c단계
SC10d. 상기 항균 물질을 혼합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C-1d단계
SC10e.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C-1e단계
SC20.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C-2단계
SC30. 상기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C-3단계
SC40.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C-4단계
SC50.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C-5단계
SC60.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C-6단계
SD10.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D-1단계
SD20.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단계
SD20a.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D-2a단계
SD20b.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b단계
SD30. 상기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3단계
SD40.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D-4단계
SD50.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5단계
SD60.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D-6단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D-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단계;
    상기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D-4단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5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D-6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D-1단계에서 타일 형상의 제조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D-1a단계;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D-1b단계;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D-1c단계;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D-1d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D-2단계에서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의 도포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D-2a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b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D-2a단계에서 항균 물질은 키토산, 접착성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이고,
    상기 제 D-2단계에서 도포 두께는 0.05 내지 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5. 세라믹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 E-1단계;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 E-2단계;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세라믹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는 제 E-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라믹 축광 타일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D-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단계;
    상기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3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에 세라믹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 제 D-4단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된 타일을 소성한 후 건조하는 제 D-5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D-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제 D-1단계에서 타일 형상의 제조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D-1a단계;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D-1b단계;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D-1c단계;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D-1d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D-2단계에서 항균 물질 및 세라믹 축광 안료의 도포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D-2a단계;
    상기 건조한 타일 표면에 세라믹 축광 안료를 도포하는 제 D-2b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D-2a단계에서 항균 물질은 키토산, 접착성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이고,
    상기 제 D-2단계에서 도포 두께는 0.05 내지 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축광 타일 시공방법
KR1020210042449A 2021-04-01 2021-04-01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7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49A KR102376364B1 (ko) 2021-04-01 2021-04-01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49A KR102376364B1 (ko) 2021-04-01 2021-04-01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364B1 true KR102376364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449A KR102376364B1 (ko) 2021-04-01 2021-04-01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923Y1 (ko) * 2004-07-22 2004-10-28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 그림타일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457429Y1 (ko) 2011-05-03 2011-12-20 박동수 안전유도표지판
KR20140021531A (ko) * 2010-12-28 2014-02-20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엘엘씨 키토산을 이용한 차음성 건축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365923Y1 (ko) * 2004-07-22 2004-10-28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 그림타일
KR20140021531A (ko) * 2010-12-28 2014-02-20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엘엘씨 키토산을 이용한 차음성 건축재료
KR200457429Y1 (ko) 2011-05-03 2011-12-20 박동수 안전유도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51802B (zh) 一种云母片装饰陶瓷抛釉砖及其制备方法
CN105906382B (zh) 一种大理石抛光瓷砖及其制备方法
CN109437569B (zh) 负离子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2660908A (zh) 一种抗菌墙纸及其制备方法
CN107873001A (zh) 用于矿物合成表面覆盖物的元件
KR102376364B1 (ko)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479590A (zh) 荧光釉上花纸的制备方法及由其制备的荧光陶瓷制品
JP2015528044A (ja) テンパー処理可能な塗装ガラス
CN201542291U (zh) 一种具有夜视效果的陶瓷杯子
JPH10273657A (ja) 蓄光装飾品
JP4623572B2 (ja) 蓄光機能を有する焼成物の製法及び蓄光機能を有する焼成物からなる避難誘導用表示部材
KR102244208B1 (ko)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GB2404379A (en) Method of producing a photoluminescent mosaic glass tile
CN105400338A (zh) 防水蓄能夜光交通标识涂层及其应用
KR200426648Y1 (ko) 축광성 타일
KR101240590B1 (ko) 발광도료
CN104150877A (zh) 一种荧光陶瓷砖
EP0525211A1 (en) Luminous member and paint
KR200365923Y1 (ko) 축광 그림타일
CN115093249B (zh) 自发光岩板及其制备方法和在餐桌中的应用
KR100989823B1 (ko) 기능성 벽지도료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제조방법 및 기능성 벽지
CN104175669A (zh) 一种发光膜及其制备方法
EP3814289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39;un vitrage feuilleté evitant le collage de l&#39;email sur le contre-verre
CN104339967B (zh) 一种防火防水防晒的艺术装饰画
KR102631065B1 (ko) 원적외선 방출 및 축광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용 도장형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