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774B1 -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774B1
KR102374774B1 KR1020180090654A KR20180090654A KR102374774B1 KR 102374774 B1 KR102374774 B1 KR 102374774B1 KR 1020180090654 A KR1020180090654 A KR 1020180090654A KR 20180090654 A KR20180090654 A KR 20180090654A KR 102374774 B1 KR102374774 B1 KR 10237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wide
connector
conductor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660A (ko
Inventor
게이스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01R13/6476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by making an aperture, e.g. a h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단자 접촉부에 검사 프로브를 접촉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검사 프로브에 의한 도통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등.
(해결 수단)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로서, 신호 단자와, 하우징과, 셀을 구비한다. 신호 단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신호 단자와 접촉시키는 단자 접촉부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접속시키는 도체 접속부와, 단자 접촉부와 도체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폭광부를 갖는다. 폭광부는, 도체 접속부와 폭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단자 접촉부와 폭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상기 폭광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분보다,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접촉부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도체 접속부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사이에 폭광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다.

Description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WINDOW AND COAXIAL CONNECTOR APPARATUS USING THE 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 특히,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설치된 신호 단자를 노출시키는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와,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주로, 신호 단자와, 신호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셀을 구비한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장착하였을 때, 신호 단자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된다. 이들 신호 단자와 중심 도체 사이의 도통 상태는, 신호 단자에 검사 프로브를 대고 누름으로써 검사할 수 있다.
도통 검사는 일반적으로, 신호 단자의 일부, 특히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에 검사 프로브를 대고 누름으로써 실시된다. 그러나, 단자 접촉부에 검사 프로브를 대고 누를 때에, 단자 접촉부가 좌굴되고, 또, 검사 프로브를 대고 누름으로써 단자 접촉부의 접촉력이 저하되는 등, 접촉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757153호
단자 접촉부에 검사 프로브를 접촉시키지 않고 도통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단자 접촉부 이외의 신호 단자의 일부에 검사 프로브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신호 단자는, 그 단자 접촉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하우징이나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셀에 의해 덮여져 있어, 액세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자 접촉부에 검사 프로브를 접촉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검사 프로브에 의한 도통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또한,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하여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1 에는, 투공 (透孔) 을 형성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 투공은, 검사 프로브에 의한 도통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컨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의 접속 상태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말하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육안 검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 부재의 일부에 투공이 형성되고, 또한, 컨택트 부재의 일부에 투공이 형성되어 있을 뿐, 이들 투공은, 검사 프로브에 의한 도통 검사를 목적으로 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며, 그러한 도통 검사에 적합한 것은 되지 않아, 본원발명이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검사 프로브의 접촉과는 관계없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 단자와, 상기 신호 단자와 일체 성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셀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 단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신호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와, 상기 단자 접촉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폭광부 (幅廣部) 를 갖고, 상기 폭광부는, 상기 도체 접속부와 상기 폭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단자 접촉부와 상기 폭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상기 폭광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분보다,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셀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의 일방의 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접촉부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상기 도체 접속부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사이에 상기 폭광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이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폭광부를 형성함으로써, 검사용 프로브를 신호 단자에 보다 확실하게 대고 누를 수 있다. 또, 신호 단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단자를 보다 확실하게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로 또, 창과 폭광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임피던스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하우징 (80) 을, 셀 (60) 의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의 일방의 면 (66a) 에 배치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저배화 (低背化) 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폭광부와 상기 창은,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정렬시킴으로써, 검사 프로브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상기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신호 단자에 축선 방향을 따라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폭광부에 의해 내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체 접속부는, 상기 제 2 연결부보다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이 넓게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시킬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하여 중심 도체를 보다 확실하게 단자 접촉부와 접속시킬 수 있고, 또, 신호 단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일부는 대략 원통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원통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춰졌을 때에, 그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측에 끼워져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일부를 끼워맞춤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대략 원통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기 대략 원통부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지는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창은, 상기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에 형성된 절결에 위치되어도 된다.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셀에 끼워 맞출 수 있으면 되는 점에서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러한 절결부에 창을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형화하지 않고, 또, 신호 단자의 단자 접촉부와 도체 접속부의 쌍방으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 폭광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단자 접촉부에 검사 프로브를 접촉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검사 프로브에 의한 도통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동축 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바닥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2-2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상대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창과 폭광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에 동축 케이블 (3) 의 일단이 접속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를 바닥측에서 본 평면도를, 도 2 에 도 1 의 2-2 선 단면도를, 도 3 에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는, 동축 케이블 (3) 의 축선 방향 (도시 화살표「α」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 (3) 은, 중심 도체 (3a) 와, 중심 도체 (3a) 를 덮는 절연체 (3b) 와, 절연체 (3b) 를 덮는 외부 도체 (3c) 와, 가장 외측의 외피 (3d) 를 갖는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는, 상대 커넥터와의 조합에 의해 동축 커넥터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 에 상대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대 커넥터의 일례로서, 여기서는 기판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의 동축 커넥터 (2) 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이 동축 커넥터 (2) 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동축 커넥터 (2) 는, 주로, 신호 단자 (30) 와, 금속제의 셀 (20) 과, 이들 신호 단자 (30) 와 셀 (20) 에 대하여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하우징 (40) 을 포함한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는, 신호 단자 (70) 와, 이 신호 단자 (70) 와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하우징 (80) 과, 하우징 (80) 의 외측을 덮도록 장착된 금속제의 셀 (60) 을 구비한다. 동축 케이블 (3) 의 일단 (전단)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의 후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 (2) 와의 접속시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의 선단측에 형성된, 하우징 (80) 의 대략 원통부 (82) 와 셀 (60) 의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 (61) 을 이용하여, 도시 화살표「γ」방향을 따라 상대 커넥터 (2) 와 끼워 맞춰져 접속될 수 있다.
신호 단자 (70) 는, 축선 방향「α」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단자 접촉부 (71) 와, 폭광부 (73) 와, 도체 접속부 (72) 를 이 순서로 갖는다.
단자 접촉부 (71) 는, 축선 방향「α」와 직교하는 끼워맞춤 방향「γ」를 따라,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접촉부 (71)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와 상대 커넥터 (2) 가 접속되었을 때에,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신호 단자 (30) 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단자 접촉부 (71) 의 선단에는, 상대 신호 단자 (30) 의 접촉부 (31) 를 사이에 둘 수 있는 1 쌍의 접점 (71a) 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접속부 (72) 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와 상대 커넥터 (2) 가 접속되었을 때에, 동축 케이블 (3) 의 중심 도체 (3a) 가 접속된다. 도체 접속부 (72) 는, 축선 방향「α」및 끼워맞춤 방향「γ」의 쌍방과 직교하는 폭 방향「β」에 있어서, 도체 접속부 (72) 와 폭광부 (73)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74) 보다 폭 방향「β」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폭이 넓게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시킬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하여 중심 도체를 보다 확실하게 도체 접속부 (72) 와 접속시킬 수 있고, 또, 신호 단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체 접속부 (72) 의 표면에는, 고정 리브 (72a)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심 도체 (3a) 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중심 도체 (3a) 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단자 접촉부 (71) 와 도체 접속부 (72) 사이, 예를 들어, 그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된 폭광부 (73) 에는, 도통 검사를 실시할 때에 검사 프로브를 대고 누를 수 있다. 폭광부 (73) 는, 예를 들어, 도체 접속부 (72) 와 폭광부 (73)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74), 및 단자 접촉부 (71) 와 폭광부 (73)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75) 보다, 폭 방향「β」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 (74) 및 제 2 연결부 (75) 는, 반드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α」의 전부에 걸쳐서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추가로 말하면, 폭광부 (73) 는, 제 1 연결부 (74) 나 제 2 연결부 (75) 중, 적어도, 폭광부 (73) 와 축선 방향「α」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인접하는 부분은, 하우징 (80) 의 수지에 의해 그 전체가 덮여져 있다. 추가로 말하면, 폭광부 (73) 는, 제 1 연결부 (74) 나 제 2 연결부 (75) 중, 하우징 (80)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비교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폭광부 (73) 를 형성함으로써, 검사 프로브를 대고 누를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하여 검사 프로브를 신호 단자에 보다 확실하게 대고 누를 수 있다. 또, 이 경우, 검사 프로브를 강하게 대고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폭광부 (73) 가 검사 프로브에 의해 파손되거나, 혹은 손상될 위험은 적다. 또, 본 구성에서는, 검사 프로브가 단자 접촉부 (71) 에 접촉하지는 않고, 따라서, 단자 접촉부 (71) 를 파괴시킬 우려가 없기 때문에, 검사 프로브를 소직경으로 할 필요가 없다. 검사 프로브에 대해서는,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 형상이나 크기 (특히, 직경) 를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단자 (70) 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고, 또, 신호 단자 (70) 를 보다 확실하게 하우징 (8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80) 은, 축선 방향「α」를 따라, 설치부 (81, 82), 네크부 (83), 전측 동체 (84), 후측 동체 (85) 를 이 순서로 갖는다.
설치부 (81, 82) 에는, 신호 단자 (70) 의 단자 접촉부 (71) 가 설치된다. 설치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사각형의 평대 (平臺) (81) 와, 평대 (81) 의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측의 면에 형성된 대략 원통부 (82) 로 이루어진다. 대략 원통부 (82) 는 단상 (段狀) 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측에 배치된 소직경의 원통부 (82a) 와,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대직경의 원통부 (82b) 를 포함한다. 소직경의 원통부 (82a)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와 상대 커넥터 (2) 가 접속되었을 때에,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하우징 (40) 에 형성된 오목부 (44) 의 내측에 끼워지는 부분이 된다. 원통부 (82a, 82b) 에는, 단자 접촉부 (71) 를 노출시키기 위한 단자공 (82c) 이,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 방향「γ」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 (83) 는, 전측 동체 (84) 및 후측 동체 (85) 로 구성되는 동체와, 평대 (81) 및 대략 원통부 (82) 로 구성되는 설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이다. 네크부 (83) 의 폭 방향「β」에 있어서의 길이는, 전측 동체 (84) 나 평대 (81) 의 그것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네크부 (83) 에는, 신호 단자 (70) 의 폭광부 (73) 가 위치되어 있고, 또한, 폭광부 (73) 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창 (83a) 이 형성되어 있다. 창 (83a) 은,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 방향「γ」에 있어서 폭광부 (73) 와 정렬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 (83) 는, 설치부 (81, 82) 나 동체 (84, 85) 에 비해,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 방향「γ」에 있어서의 하우징 (40) 의 두께가 얇은 점에서, 폭광부 (73) 나 창 (83a) 을 네크부 (83) 에 위치시킴으로써, 그것들의 제조는 용이해진다.
도 5 에 창 (83a) 과 폭광부 (73) 의 관계를 일부 부분 확대도로서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광부 (73) 는, 창 (83a) 에 의해, 대략 모든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공기의 비유전율과 하우징 (80) 을 형성하는 수지의 그것은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공기의 비유전율은 수지의 그것에 비해 크고, 그 결과, 창 (83a) 을 형성함으로써 신호 단자 (70) 의 임피던스는 커져, 셀 (60) 과 신호 단자 (70) 사이의 거리나, 그것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물질, 예를 들어, 물질의 비유전율 등에 따라 형성되는 신호 특성이 크게 변화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폭광부 (73) 를 형성함으로써, 신호 단자 (70) 의 임피던스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이들 창 (83a) 과 폭광부 (73) 의 상승 효과, 바꿔 말하면, 상쇄의 효과에 의해, 임피던스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구성은, 이와 같이, 창 (83a) 과 폭광부 (73) 를 형성함으로써 신호 단자의 검사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창 (83a) 과 폭광부 (73) 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호 특성의 향상을 노린 것이다. 또한, 실제의 창 (83a) 의 크기, 및 이 크기에 대응한 폭광부 (73) 의 크기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창 (83a) 은, 폭광부 (73) 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노출시키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측 동체 (85) 는, 동축 케이블 (3) 의 중심 도체 (3a) 를 신호 단자 (70) 의 도체 접속부 (72) 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후측 동체 (85) 에는, 절곡 가능한 상태로 박판상으로 형성된 벤딩부 (85c) 를 중심으로 바닥부 (85a) 를 향하여 도시 화살표「K」방향으로 회동 (回動) 시킬 수 있는 1 쌍의 압착부 (85b) 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85a) 에는, 신호 단자 (70) 의 도체 접속부 (72) 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오목부 (8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86) 에 위치 결정된 신호 단자 (70) 의 도체 접속부 (72) 의 상부에 동축 케이블 (3) 의 중심 도체 (3a) 를 배치한 상태로, 중심 도체 (3a) 를 사이에 두도록 압착부 (85b) 를 회동시킴으로써, 중심 도체 (3a) 를 도체 접속부 (72) 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후측 동체 (85) 에 인접시킨 상태로 형성된 전측 동체 (84) 는, 압착부 (85b) 의 전측의 면 (85d) 과 대면하는 면 (84a) 을 갖고, 압착부 (85b) 의 회동 동작을 보조함과 함께, 압착부 (85b) 의 움직임을 소정의 범위로 규제한다.
또한, 후측 동체 (85) 나 전측 동체 (84) 에 의해 중심 도체 (3a) 와 도체 접속부 (72) 는 서로 고정되는 점에서, 동축 케이블 (3) 이 축선 방향「α」를 따라 잡아당겨지면, 동축 케이블 (3) 뿐만 아니라, 신호 단자 (70) 에도 축선 방향「α」를 따른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신호 단자 (70) 의 폭광부 (73) 나 도체 접속부 (72) 는 축선 방향「α」에 대하여 직교하는 폭 방향「β」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신호 단자 (70) 는, 이와 같은 힘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력을 발휘하게 된다.
셀 (60) 은, 1 장의 금속판을 타발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80) 은, 셀 (60) 에 포함되는 평판상의 기체 (66) 의, 상대 커넥터 (2) 와의 끼워맞춤측의 일방의 면 (66a) 에 배치된다. 하우징 (80) 을 셀 (60) 에 대하여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 배치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셀 (60) 은, 선단측에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 (61) 를 갖는다.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 (61) 는, 기체 (66) 를 향하여 되접어져, 하우징 (80) 의 대략 원통부 (82) 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진다. 끼워맞춤부 (61)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와 상대 커넥터 (2) 가 접속되었을 때에,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셀 (20) 과 끼워 맞춰진다. 끼워맞춤부 (61) 는,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셀 (20) 과 끼워 맞출 수 있으면 되며, 신호 특성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점에서, 반드시 완전한 원형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끼워맞춤부 (61) 에 절결 (67) 을 형성하고, 이 절결 (67) 에 하우징 (80) 의 네크부 (83) 에 형성된 창 (83a) 을 위치시켜도 된다. 절결 (67) 을 이용하여 창 (83a) 을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를 축선 방향「α」에 있어서 대형화하지 않고, 또, 신호 단자 (70) 의 단자 접촉부 (71) 와 도체 접속부 (72) 의 쌍방으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 폭광부 (73) 를 위치시킬 수 있다.
셀 (60) 은 그 중간부에, 하우징 (80) 의 압착부 (85b) 에 대하여 코킹되는 코킹편 (62) 을 갖는다. 코킹편 (62) 을 코킹함으로써, 코킹편 (62) 으로부터 외부가 덮여지도록 하여, 압착부 (85b) 는 벤딩부 (85c) 를 중심으로 바닥부 (85a) 를 향하여 회동되고, 코킹편 (62) 의 작용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코킹편 (62) 의 후단측에는, 추가로, 동축 케이블 (3) 의 외부 도체 (3c) 에 대하여 코킹되는 외부 도체 배럴 (63) 이, 이 외부 도체 배럴 (63) 의 후단측에는, 외피 (3d) 에 대하여 코킹되는 외피 배럴 (64) 이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 배럴 (63) 의 외부 도체 (3c) 와의 대면측에는, 외부 도체 (3c) 에 대하여 코킹되는 리브 (63a)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단순히 대표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형태의 변형 및 수정이 상기 서술한 교시에 비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분명해짐을 인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는, 반드시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직각으로 절곡하거나 해도 된다. 또, 동축 케이블 커넥터도, 축선 방향을 따라 구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형태 그리고 대체적인 실시형태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설명하는 물품의 정신에서 일탈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α : 축선 방향
β : 폭 방향
γ : 끼워맞춤 방향
3 : 동축 케이블
3a : 중심 도체
6 : 동축 케이블 커넥터
60 : 셀
61 :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
67 : 절결
70 : 신호 단자
71 : 단자 접촉부
72 : 도체 접속부
73 : 폭광부
74 : 제 1 연결부
75 : 제 2 연결부
80 : 하우징
81, 82 : 설치부
82 : 대략 원통부
83a : 창
85 : 고정부

Claims (8)

  1.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 단자와,
    상기 신호 단자와 일체 성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셀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 단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신호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와,
    상기 단자 접촉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폭광부 (幅廣部) 를 갖고,
    상기 폭광부는, 상기 도체 접속부와 상기 폭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단자 접촉부와 상기 폭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보다,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셀의,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의 일방의 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접촉부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상기 도체 접속부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사이에, 상기 폭광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고,
    상기 도체 접속부는, 상기 제 2 연결부보다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광부와 상기 창은,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정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일부는 대략 원통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원통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춰졌을 때에, 그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대략 원통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기 대략 원통부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지는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창은, 상기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에 형성된 절결에 위치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로 구성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
KR1020180090654A 2017-08-10 2018-08-03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KR102374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5754 2017-08-10
JP2017155754A JP6905416B2 (ja) 2017-08-10 2017-08-10 窓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を利用した同軸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60A KR20190017660A (ko) 2019-02-20
KR102374774B1 true KR102374774B1 (ko) 2022-03-15

Family

ID=652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654A KR102374774B1 (ko) 2017-08-10 2018-08-03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7961B2 (ko)
JP (1) JP6905416B2 (ko)
KR (1) KR102374774B1 (ko)
CN (1) CN109390817B (ko)
TW (1) TWI7330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1502B2 (en) * 2016-09-23 2021-09-14 Apple Inc. Magnetic connectors
DE112019000449T5 (de) * 2018-08-10 2020-10-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Oberflächenbefestigungsverbinder und oberflächenbefestigungsverbindersatz
CN112448203A (zh) 2019-08-30 2021-03-05 爱沛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制造电连接器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678A (zh) * 2016-09-06 2016-12-07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及其导电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264A (ja) 1974-09-28 1976-04-03 Hitachi Maxell Shindoshikidenkikamisorinochibatai no seizoho
JP2547085Y2 (ja) * 1990-11-08 1997-09-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高周波同軸プラグコネクタ
JPH09306555A (ja) * 1996-05-20 1997-11-28 Yazaki Corp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の圧着装置
US6572407B1 (en) * 2002-04-05 2003-06-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cable end connector
CN2629280Y (zh) * 2003-02-24 2004-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101533977A (zh) * 2008-03-12 2009-09-16 阎跃军 同轴连接器型直流馈电装置
DE202008014409U1 (de) * 2008-10-29 2009-01-2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F-Winkelsteckverbinder
JP4923085B2 (ja) * 2009-08-10 2012-04-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5757153B2 (ja) *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790245B2 (ja) * 2011-07-26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およ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2015050605A1 (en) * 2013-07-16 2015-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ain relief assembly
JP6241597B2 (ja) * 2013-10-07 2017-12-06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949838B2 (ja) * 2014-06-16 2016-07-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379403B2 (ja) * 2014-12-02 2018-08-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芯線の保持、固定機能を有し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9762001B2 (en) * 2016-02-01 2017-09-12 Delphi Technologies, Inc. Right angle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s for verifying proper assembly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678A (zh) * 2016-09-06 2016-12-07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及其导电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60A (ko) 2019-02-20
TWI733036B (zh) 2021-07-11
JP6905416B2 (ja) 2021-07-21
JP2019036428A (ja) 2019-03-07
TW201911656A (zh) 2019-03-16
US10297961B2 (en) 2019-05-21
CN109390817B (zh) 2021-10-01
CN109390817A (zh) 2019-02-26
US20190052031A1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770B2 (en) Connector
KR102374774B1 (ko) 창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US10461478B2 (en) Connector having shell and connector device
EP3264535B1 (en) Connector and camera device equipped therewith
US9170276B2 (en) Coaxial cable member coupled to a signa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n auxiliary ground conductor with an elastically-deformable piece
JP2010067425A (ja) L型同軸コネクタ
EP3422488A1 (en) Connector comprising shell having locking mechanism, and connector device
JP201610019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て
JP2010067426A (ja) L型同軸コネクタ
JP2018113176A (ja) シールド導電路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US20130288528A1 (en) Connecting device
KR100882047B1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KR200441681Y1 (ko)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KR100752082B1 (ko)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US9437937B2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9281640B2 (en) Connector
JP6919642B2 (ja) 電気コネクタ
JP7274007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を有する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US20240088586A1 (en) Connector
JP7421173B1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6724602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115021009A (zh) 线缆保持部件以及具有线缆保持部件的线缆连接器装置
JP200123000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