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52B1 -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 Google Patents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52B1
KR102374552B1 KR1020200158035A KR20200158035A KR102374552B1 KR 102374552 B1 KR102374552 B1 KR 102374552B1 KR 1020200158035 A KR1020200158035 A KR 1020200158035A KR 20200158035 A KR20200158035 A KR 20200158035A KR 102374552 B1 KR102374552 B1 KR 10237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line
hip
measure
siz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1/00Measuring aids or methods
    • A41H1/02Devices for taking measurement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인터넷 또는 홈쇼핑을 통하여 기성의류를 구입할 때나, 정장, 드레스, 예복 등을 포함하는 맞춤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매장(웨딩숍 등)을 방문 하지 않아도 고객이 직접 착용하여 스스로 손쉽게 핏감이 있는 의류를 위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Sample clothes for making custom clothes and custom clothing order}
본 발명은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또는 홈쇼핑을 통하여 기성의류를 구입할 때나, 정장, 드레스, 예복 등을 포함하는 맞춤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매장(웨딩숍 등)을 방문 하지 않아도 고객이 직접 착용하여 스스로 손쉽게 핏감이 있는 의류를 위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기성의류와 맞춤의류로 구분되고, 기성의류는 획일화된 사이즈에 따라 공장에서 생산되는 형태이며, 맞춤의류는 재단사가 고객의 치수를 직접 측정하여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형태이다.
기성의류의 경우 대량으로 공장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조 단가가 하락하지만 고객에 딱 맞는 치수의 옷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유사한 사이즈의 옷을 구매한 후 별도로 수선을 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개인마다 신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고객이 원하는 핏의 옷을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성의류의 경우, 근래에는 인터넷이나 홈쇼핑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나, 직접 사이즈를 측정하거나 입어 보고 고를 수 없는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실측 치수를 꼼꼼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이즈가 안 맞아 환불하는 등 낭패를 보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맞춤의류의 경우 재단사가 고객의 치수를 정확히 측정하고 고객의 니즈를 반영하여 옷을 제조하기 때문에 고객 별 신체 특성을 반영한 옷 제작이 가능하다. 특히, 핏감이 중요한 의류인 맞춤 정장 및 웨딩드레스를 하기 위해서는 웨딩숍에 나가 미리 구비된 웨딩드레스 사진으로 조합하여 그대로 제작해 달라고 하거나 자기가 원하는 사진을 가지고 나와 만들어 달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의 맞춤의류의 경우 사람마다 동일 신장 및 몸무게라도 각 부위의 사이즈가 서로 상이하여 부위별 사이즈를 개별 재단해야 하는 개별 주문 생산 방식이라는 점에서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고객이 직접 매장(웨딩숍)에 방문하여 치수를 측정해야 하므로 고객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의 맞춤의류의 경우 상기와 같이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고, 상대적으로 원가가 비싸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성의류를 많이 입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또는 홈쇼핑을 통하여 기성의류를 구입할 때나, 정장, 드레스, 예복 등을 포함하는 맞춤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매장(웨딩숍 등)을 방문 하지 않아도 고객이 직접 착용하여 스스로 손쉽게 핏감이 있는 의류를 위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고객의 가슴, 복부 및 배에 밀착되는 앞판과, 양단부가 상기 앞판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등, 허리 및 힙에 밀착되게 구성되되, 품이 조절될 수 있도록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좌측 뒷판 및 우측 뒷판으로 구성되는 뒷판과, 상기 앞판의 상단 양측 및 상기 뒷판의 상단 양측을 연결하여 어깨에 착용되게 구성되되,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되어 고객의 신장에 맞게 신축되면서 상기 앞판 및 뒷판이 착용되는 상하 위치를 조절하게 구성되는 신축어깨끈과, 상기 절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뒷판 및 우측 뒷판을 연결하게 구성되되,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되어 고객의 체형에 맞게 신축되면서 상기 앞판 및 뒷판이 고객의 몸에 밀착되게 착용되도록 하는 품조절밴드부와, 상기 뒷판의 등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가슴둘레를 감싸 가슴사이즈를 측정하는 제1줄자와, 상기 뒷판의 허리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허리둘레를 감싸 허리사이즈를 측정하는 제2줄자와, 상기 앞판의 가슴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유장 및 앞길이를 측정하는 제3줄자와, 상기 뒷판의 힙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힙둘레를 감싸 힙사이즈를 측정하는 제4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은 샘플복을 고객이 직접 착용하여 스스로 손쉽게 핏감이 있는 의류를 위한 자신의 신체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판매자 입장에서는 인터넷 및 홈쇼핑에서 판매된 의류의 반품율이 낮아지므로 판매단가를 낮출 수 있고, 고객 입장에서는 배달된 의복의 사이즈가 맞지 않아 반품하는 위험부담이 줄어들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장, 드레스, 예복 등을 포함하는 맞춤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매장(웨딩숍 등)을 방문하지 않아도 비대면으로 의류 주문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을 도시한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의 품조절밴드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서 가슴사이즈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서 허리사이즈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서 유장 및 앞길이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에서 힙사이즈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은 인터넷 또는 홈쇼핑을 통하여 기성의류를 구입할 때나, 정장, 드레스, 예복 등을 포함하는 맞춤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매장(웨딩숍 등)을 방문 하지 않아도 고객이 직접 착용하여 스스로 손쉽게 핏감이 있는 의류를 위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앞판(100), 뒷판(200), 신축어깨끈(300), 품조절밴드부(400), 제1줄자(500), 제2줄자(600), 제3줄자(700) 및 제4줄자(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앞판(100)은 샘플복의 앞부분을 마감하고, 샘플복을 착용하면 고객의 가슴, 복부 및 배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직물지 등 통상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앞판(100)에는 가슴의 윗 라인을 따라 가슴라인선(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슴, 복부 및 배까지 덮여질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앞판(100)에는 중앙 상하방향으로 수직기준선(V)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기준선(V)은 신체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선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앞판(100)에는 상기 앞판에는 가슴부분 내측으로 착용자의 가슴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몰드 컵(A~D컵)(120)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샘플복을 통해 사이즈를 측정할 때, 착용자는 상기 몰드 컵(120)을 자신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착용한 후 사이즈 측정을 시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뒷판(200)은 샘플복의 뒷부분을 마감하고, 양단부가 상기 앞판(100)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샘플복을 착용하면 등, 허리 및 힙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직물지 등 통상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뒷판(200)은 등 뒤에서 품이 조절될 수 있도록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D)가 형성되어, 좌측 뒷판(210) 및 우측 뒷판(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어깨끈(300)은 상기 앞판(100)의 상단 양측 및 상기 뒷판(200)의 상단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어깨에 착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어깨끈(300)은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되어 고객의 신장에 맞게 신축되면서 상기 앞판(100) 및 뒷판(200)이 착용되는 상하 위치를 조절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어깨끈(300)은 탄성을 가져 신축되는 탄성밴드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품조절밴드부(400)는 상기 절개부(D)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뒷판(210) 및 우측 뒷판(220)을 연결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품조절밴드부(400)는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되어 고객의 체형에 맞게 신축되면서 상기 앞판(100) 및 뒷판(200)이 고객의 몸에 밀착되게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품조절밴드부(400)는 샘플복을 착용할 때, 고객의 체형에 맞게 늘어나거 줄어들면서 샘플복의 품이 조절되어 앞판(100) 및 뒷판(200)이 고객의 몸에 밀착 착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폼조절밴드부(400)는 탄성을 가져 신축되는 탄성밴드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줄자(500)는 상기 뒷판(200)의 등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가슴둘레를 감싸 가슴사이즈(B)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줄자(500)는 샘플복을 착용하면 가슴둘레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제1줄자(500)를 가슴둘레에 감싸 가슴사이즈(B)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줄자(500)는 샘플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객 스스로 가슴사이즈(B)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뒷판(200) 중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는 가슴부분 후측에 위치한 일측 뒷판(210)의 절개단부(D1)에서 수직기준선(V)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신축 가슴기본선(510)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슴기본선(510)은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 라인을 그려 형성할 수 있으며, 줄자 형태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슴기본선(510)은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항상 일정한 길이(BL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슴기본선(510)은 샘플복을 착용했을 때, 상기 신축어깨끈(300)의 신축에 의해 B.P.(bust point)를 지나는 가슴둘레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줄자(500)는 상기 일측 뒷판(210)의 가슴기본선 시작점(D1)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품조절밴드부(400), 타측 뒷판(220) 및 앞판(100)의 타측을 감싸 상기 수직기준선(V)까지 길이(BL2)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줄자(500)를 통해 고객 스스로 가슴사이즈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슴기본선의 길이(BL1)와 제1줄자의 측정값(BL2)의 합을 통해 가슴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슴기본선(510)의 하측으로는 밑가슴기본선(5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줄자(500)의 하측으로는 제1-1줄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1줄자(500-1)를 통해 고객 스스로 밑가슴기본선(550)의 길이와 제1-1줄자의 측정값의 합을 통해 밑가슴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줄자(600)는 상기 뒷판(200)의 허리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허리둘레를 감싸 허리사이즈(W)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줄자(600)는 샘플복을 착용하면 허리둘레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제2줄자(600)를 허리둘레에 감싸 허리사이즈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줄자(600)는 샘플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객 스스로 허리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뒷판(200) 중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는 허리부분을 따라 일측 뒷판(220)의 절개단부(D2)에서 수직기준선(V)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신축 허리기본선(610)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허리기본선(610)은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 라인을 그려 형성할 수 있으며, 줄자 형태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리기본선(610)은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항상 일정한 길이(WL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줄자(600)는 상기 일측 뒷판(210)의 허리기본선 시작점(D2)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품조절밴드부(400), 타측 뒷판(200) 및 앞판(100)의 타측을 감싸 상기 수직기준선(V)까지 길이(WL2)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줄자(600)를 통해 고객 스스로 허리사이즈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허리기본선의 길이(WL1)와 제2줄자의 측정값(WL2)의 합을 통해 허리사이즈(W)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기본선(610)은 허리부분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및 제3허리기본선(613)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및 제3허리기본선(613) 중 고객의 허리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허리기본선을 통해 허리사이즈(W)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샘플복을 착용하였을 때 고객의 체형에 따라 허리기본선(610)이 허리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허리기본선(610)을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고객의 허리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또는 제3허리기본선(613)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허리사이즈(W)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허리기본선(610)이 허리부분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및 제3허리기본선(613)으로 구분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및 제3허리기본선(613)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2줄자(600)를 마련하여 허리사이즈(W)를 측정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및 제3허리기본선(613)의 시작점(D2)에는 각각 제1암벨크로패스너(611a), 제2암벨크로패스너(612a)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613a)가 결합되고, 상기 제2줄자(600)에는 일단에 상기 제1암벨크로패스너(611a), 제2암벨크로패스너(612a)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613a)에 선택적으로 부착 결합되는 수벨크로패스너(620)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허리사이즈(W)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한개의 제2줄자(600)를 상기 제1허리기본선(611), 제2허리기본선(612) 및 제3허리기본선(61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체형의 허리사이즈(W)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3줄자(700)는 상기 앞판(100)의 가슴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유장 및 앞길이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줄자(700)는 일단이 상기 가슴부분의 가슴기본선(5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슴기본선 중 B.P.(bust point)에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줄자(700)는 상측으로 어깨까지의 길이(A) 및 하측으로 허리기본선까지의 길이(B)를 측정하여 유장(A) 및 앞길이(C,A+B)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4줄자(800)는 상기 뒷판(200)의 힙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힙둘레를 감싸 힙사이즈(H)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줄자(800)는 샘플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객 스스로 힙사이즈(H)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뒷판(200) 중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는 힙부분을 따라 일측 뒷판(210)의 절개단부(D3)에서 수직기준선(V)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신축 힙기본선(810)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힙기본선(810)은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 라인을 그려 형성할 수 있으며, 줄자 형태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힙기본선(810)은 일측 뒷판(210) 및 앞판(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항상 일정한 길이(HL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4줄자(800)는 상기 일측 뒷판(210)의 힙기본선 시작점(D3)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품조절밴드부(400), 타측 뒷판(220) 및 앞판(100)의 타측을 감싸 상기 수직기준선(V)까지 길이(HL2)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줄자(800)를 통해 고객 스스로 힙사이즈(H)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힙기본선의 길이(HL1)와 제4줄자의 측정값(BL2)의 합을 통해 힙사이즈(H)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힙기본선(810)은 힙부분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및 제3힙기본선(813)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및 제3힙기본선(813) 중 고객의 힙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힙기본선을 통해 힙사이즈(H)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샘플복을 착용하였을 때 고객의 체형에 따라 힙기본선(810)이 힙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힙기본선(810)을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고객의 힙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또는 제3힙기본선(813)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힙사이즈(H)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힙기본선(810)이 힙부분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상기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및 제3힙기본선(813)으로 구분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및 제3힙기본선(813)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4줄자(800)를 마련하여 힙사이즈(H)를 측정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및 제3힙기본선(813)의 시작점(D3)에는 각각 제1암벨크로패스너(811a), 제2암벨크로패스너(812a)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813a)가 결합되고, 상기 제4줄자(800)에는 일단에 상기 제1암벨크로패스너(811a), 제2암벨크로패스너(812a)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813a)에 선택적으로 부착 결합되는 수벨크로패스너(820)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힙사이즈(H)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한개의 제4줄자(800)를 상기 제1힙기본선(811), 제2힙기본선(812) 또는 제3힙기본선(81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체형의 힙사이즈(H)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객의 팔길이(소매길이) 및 스커트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신축어깨끈(300)에는 제5줄자(910)가 결합되되, 상기 제5줄자(910)는 일단이 상기 신측어깨끈(30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측하방으로 연장되어 고객의 팔길이(소매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앞판(100)의 허리부분에는 제6줄자(920)가 결합되되, 상기 제6줄자(920)는 일단이 상기 앞판(100)의 허리부분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객의 스커트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은 샘플복을 고객이 직접 착용하여 스스로 손쉽게 핏감이 있는 의류를 위한 자신의 신체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판매자 입장에서는 인터넷 및 홈쇼핑에서 판매된 의류의 반품율이 낮아지므로 판매단가를 낮출 수 있고, 고객 입장에서는 배달된 의복의 사이즈가 맞지 않아 반품하는 위험부담이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장, 드레스, 예복 등을 포함하는 맞춤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매장(웨딩숍 등)을 방문 하지 않아도 비대면으로 의류 주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유해성분으로부터 항균 탈취 중화작용을 하며 전자파를 차폐하여 유해 요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파동에너지를 전공함으로써 건강함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상기 앞판(100) 및 뒷판(200)에는 중화용 조성물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중화용 조성물은 환원된 메탈실리콘 럼프를 크러셔로 부순 후 다시 롤러분쇄기에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드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파우더를 수집한 후 나노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나노분말화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제조된 나노분말과 이산화티타늄 분말, 바인더인 액상 규산나트륨 및 물을 4:1:1: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겔화된 조성물을 만드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겔 조성물은 블레이드의 외면에 코팅되거나 고착되어 항균 탈취, 유해성분 중화, 전자파 차폐 기능과 인체의 건강에 좋은 파장을 방출하는 특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주성분인 메탈실리콘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메탈실리콘의 99%를 차지하는 순수 규소(Si)는 4가 준금속으로 탄소보다는 반응성이 떨어지고 저마늄 보다는 반응성이 크고, 지구의 지각에서 산소 다음으로 많은 원소로 질량의 27.7%를 차지하며, 점토나 모래, 석영, 장석, 화강암 등의 형태로 산출되며, 산소와 친화력이 강해서 주로 이산화규소나 규산염 상태를 하고 있어 자연에서 생성되는 순수 형태의 규소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순수한 규소는 다른 원자와 공유할 수 있는 원자가 전자가 4개인 준금속 원소로 다양한 화학결합을 할 수 있다. 규소는 탄소와 같은 4족에 포함되지만 규소가 탄소보다 약 1.5배 더 큰 공유결합을 갖는다. 그리고, 전기음성도도 규소가 탄소의 경우보다 이중결합 및 3중 결합을 만드는 경향이 적으며, 탄소에 없는 빈 궤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원자의 전자를 끌어 들이려는 경향이 크다.
규소와 탄소 두 원자각을 같으나 규소의 공유결합 반경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규소에는 트리메틸실란이란 성분이 있는데 이를 추출하여 미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한 규소 연료는 공기중의 80%를 차지하는 질소와 화합해 에너지를 발생시킨 후 실리지움이라는 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실리지움은 식물의 성장을 돕는 비료로 쓰이거나 암모니아를 회수하면 연료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고 노르웨이, 독일 등의 학회에서 이미 발표된 바 있다.또한, 희토류 없이도 고속 충방전과 높은 싸이클 특성을 보이는 이차전지도 개발중에 있으며, 규소는 컴퓨터나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반도체의 대표적인 소재이다. 최근에는 규소에서 1초간 1조회 진동하는 테라헤르츠, 즉 전파와 원적외선의 중간에 해당하는 진동에너지를 동시에 발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그 쓰임재가 갈수록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규소는 산소와 친화력이 강해 모래, 석영, 차돌(규석) 등의 형태로 산출되어 이산화규소나 규산염 상태를 하고 있을 뿐 자연에서 순수 형태로 발견되기가 극히 어렵기 때문에 규소를 얻기 위해서는 이산화규소를 환원시켜야 한다. 이때, 규사는 모래나 차돌 등에서 추출하고, 탄소는 코크스나 검탄을 이용하여 환원시키면 된다. 즉, 아크로에 규사, 코크스나 검탄을 넣고 고전류를 흘려 고온으로 올리면 환원반응이 일어나면서 액체 규소가 형성되고, 이산화탄소와 실리카 증기 등이 부산물로 생성되며, 용융된 규소를 응고시키면 순도 96-99%의 금속 규소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이렇게 환원되어 생성된 금속 규소, 즉 메탈실리콘을 사용하여 항균 탈취력을 향상시키면서 분말 균일도를 높이고 배합효율을 좋게 하면서 기능 발현을 증대시키도록 나노분말화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산화티타늄은 전이금속인 티타늄 원자 하나와 산소원자 2개가 결합된 분자로서 무미 무취의 흰색 가루이다. 티타늄을 공기 중에 노출 시키면 쉽게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티타늄 피막을 형성한다. 이산화티타늄은 판타이타늄석 예추석 금홍석의 동질 다상 형태로 존재하며 이산화티타늄 미립자를 800~1000℃로 소성하여 성장시킨 후 원하는 크기의 이산화티타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은 빛을 흡수하여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며 더욱이 생물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독성이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며 특히 385nm 파장의 빛을 이용한다. 뿐만 아니라, 이산화티타늄은 새집증후군 헌집증후군 등의 원인이 되는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등을 분해 제거하고 있는데, 이처럼 광촉매 반응은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편이며 일단 크게 특별한 에너지 없이도 빛만으로 지구 곳곳에 퍼져있는 오염물질을 분해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기물과 대기오염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광촉매 반응의 또 다른 대표적인 반응인 광분해 반응을 통하여 물로부터 수소와 산소를 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나 환경문제에 대해서도 광촉매 반응에 대한 연구가 해답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광촉매의 높은 제거효율을 이용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공기청정기 기술, 물속의 계면활성제나 유기물을 분해하는 정수기 기술, 여러 가전제품의 냄새제거 기술 오염물질이 많이 존재하는 도로상에서의 활용 등 광촉매 반응은 현재 여러 분야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액상의 규산나트륨은 무기바인더로서 물과 잘 섞이며, 메탈실리콘 나노분말을 끈적거리게 만들어 겔화시킨다. 겔화시키는 이유는 혼합 첨가되는 전이금속들과의 바인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겔 조성물에는 첨가물을 더 첨가할 수 있는데, 상기 첨가물은 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옥시모실란(Vinyl Oximeino Silane) 1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과 커피파우더를 6:4로 혼합한 혼합물 4.5중량부, 액상실리콘과 고구마전분을 4;1의 중량비로 혼합액 6.5중량부, 제올라이트 미분 8중량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비닐옥시모실란(Vinyl Oximeino Silane)은 겔 조성물의 결합력과 부착력을 높여 피착물에 대한 고정안정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과 커피파우더를 6:4로 혼합한 혼합물은 탈취, 중화 및 겔화를 위해 첨가되는 물의 부패를 막기 위해 첨가된다. 특히, 폴리옥시에틸렌은 일종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물에 녹아 유화, 기포화, 분산화가 뛰어나고 이물질 중 기름성분들의 흡착에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액상실리콘과 고구마전분을 4;1의 중량비로 혼합액은 이물부착억제성을 증대시키면서 부착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 미분은 비석이라고도 알려진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대표적인 원적외선 방사물질이고, 이온교환성을 갖는 물질이다. 때문에, 이는 탈취, 정화 특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은 자외선 차단 및 변형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앞판 200: 뒷판
300: 신축어깨끈 400: 품조절밴드부
500: 제1줄자 600: 제2줄자
700: 제3줄자 800: 제4줄자
910: 제5줄자 920: 제6줄자

Claims (11)

  1. 고객의 가슴, 복부 및 배에 밀착되는 앞판과,
    양단부가 상기 앞판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등, 허리 및 힙에 밀착되게 구성되되, 품이 조절될 수 있도록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좌측 뒷판 및 우측 뒷판으로 구성되는 뒷판과,
    상기 앞판의 상단 양측 및 상기 뒷판의 상단 양측을 연결하여 어깨에 착용되게 구성되되,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되어 고객의 신장에 맞게 신축되면서 상기 앞판 및 뒷판이 착용되는 상하 위치를 조절하게 구성되는 신축어깨끈과,
    상기 절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뒷판 및 우측 뒷판을 연결하게 구성되되,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되어 고객의 체형에 맞게 신축되면서 상기 앞판 및 뒷판이 고객의 몸에 밀착되게 착용되도록 하는 품조절밴드부와,
    상기 뒷판의 등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가슴둘레를 감싸 가슴사이즈를 측정하는 제1줄자와,
    상기 뒷판의 허리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허리둘레를 감싸 허리사이즈를 측정하는 제2줄자와,
    상기 앞판의 가슴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유장 및 앞길이를 측정하는 제3줄자와,
    상기 뒷판의 힙부분에 일단이 결합되어 힙둘레를 감싸 힙사이즈를 측정하는 제4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에는 중앙 상하방향으로 수직기준선이 형성되고,
    상기 뒷판 중 일측 뒷판 및 앞판에는 가슴부분 후측의 일측 뒷판의 절개단부에서 수직기준선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신축 가슴기본선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줄자는 상기 일측 뒷판의 가슴기본선 시작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품조절밴드부, 타측 뒷판 및 앞판의 타측을 감싸 상기 수직기준선까지 길이를 측정하게 구성되어, 상기 가슴기본선의 길이와 제1줄자의 측정값의 합을 통해 가슴사이즈를 측정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 중 일측 뒷판 및 앞판에는 허리부분을 따라 일측 뒷판의 절개단부에서 수직기준선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신축 허리기본선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줄자는 상기 일측 뒷판의 허리기본선 시작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품조절밴드부, 타측 뒷판 및 앞판의 타측을 감싸 상기 수직기준선까지 길이를 측정하게 구성되어, 상기 허리기본선의 길이와 제2줄자의 측정값의 합을 통해 허리사이즈를 측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기본선은 허리부분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제1허리기본선, 제2허리기본선 및 제3허리기본선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제1허리기본선, 제2허리기본선 및 제3허리기본선 중 고객의 허리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허리기본선을 통해 허리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허리기본선, 제2허리기본선 및 제3허리기본선의 시작점에는 각각 제1암벨크로패스너, 제2암벨크로패스너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가 결합되고, 상기 제2줄자에는 일단에 상기 제1암벨크로패스너, 제2암벨크로패스너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에 선택적으로 부착 결합되는 수벨크로패스너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허리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줄자는 일단이 상기 가슴부분의 가슴기본선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어깨까지의 길이 및 하측으로 허리기본선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유장 및 앞길이를 측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 중 일측 뒷판 및 앞판에는 힙부분을 따라 일측 뒷판의 절개단부에서 수직기준선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비신축 힙기본선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4줄자는 상기 일측 뒷판의 힙기본선 시작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품조절밴드부, 타측 뒷판 및 앞판의 타측을 감싸 상기 수직기준선까지 길이를 측정하게 구성되어, 상기 힙기본선의 길이와 제4줄자의 측정값의 합을 통해 힙사이즈를 측정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힙기본선은 힙부분에 상하방향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제1힙기본선, 제2힙기본선 및 제3힙기본선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제1힙기본선, 제2힙기본선 및 제3힙기본선 중 고객의 힙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힙기본선을 통해 힙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힙기본선, 제2힙기본선 및 제3힙기본선의 시작점에는 각각 제1암벨크로패스너, 제2암벨크로패스너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가 결합되고, 상기 제4줄자에는 일단에 상기 제1암벨크로패스너, 제2암벨크로패스너 및 제3암벨크로패스너에 선택적으로 부착 결합되는 수벨크로패스너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힙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어깨끈에는 제5줄자가 결합되되, 상기 제5줄자는 일단이 상기 신축어깨끈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측하방으로 연장되어 고객의 팔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의 허리부분에는 제6줄자가 결합되되, 상기 제6줄자는 일단이 상기 앞판의 허리부분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객의 스커트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에는 가슴부분 내측으로 착용자의 가슴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몰드 컵이 내장되어, 착용자는 상기 몰드 컵을 자신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착용한 후 사이즈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 및 뒷판에는 중화용 조성물이 코팅되되,
    상기 중화용 조성물은 환원된 메탈실리콘 럼프를 크러셔로 부순 후 다시 롤러분쇄기에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드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파우더를 수집한 후 나노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나노분말화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제조된 나노분말과 이산화티타늄 분말, 바인더인 액상 규산나트륨 및 물을 4:1:1: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겔화된 조성물을 만드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겔 조성물에는 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옥시모실란(Vinyl Oximeino Silane) 1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과 커피파우더를 6:4로 혼합한 혼합물 4.5중량부, 액상실리콘과 고구마전분을 4;1의 중량비로 혼합액 6.5중량부, 제올라이트 미분 8중량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5중량부를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KR1020200158035A 2020-11-23 2020-11-23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KR10237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35A KR102374552B1 (ko) 2020-11-23 2020-11-23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35A KR102374552B1 (ko) 2020-11-23 2020-11-23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552B1 true KR102374552B1 (ko) 2022-03-14

Family

ID=8082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35A KR102374552B1 (ko) 2020-11-23 2020-11-23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765B1 (ko) 2022-11-23 2023-01-27 남준기 의류 제작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52U (ko) * 1997-12-27 1998-03-30 김천수 맞춤복 치수재는 체촌복
KR20000008098U (ko) * 1998-10-15 2000-05-06 김만성 허리부에 띠자가 내설된 의류
JP2001131808A (ja) * 1999-11-02 2001-05-15 Nisshin Clothing Co Ltd メジャー付き衣服
KR20020006133A (ko) * 2000-07-11 2002-01-19 이경복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JP3132420U (ja) * 2007-03-28 2007-06-07 有限会社富花園芸 メジャー付き長手袋
KR20210017368A (ko) * 2019-08-08 2021-02-17 고은별 신체 치수 측정용 레깅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52U (ko) * 1997-12-27 1998-03-30 김천수 맞춤복 치수재는 체촌복
KR20000008098U (ko) * 1998-10-15 2000-05-06 김만성 허리부에 띠자가 내설된 의류
JP2001131808A (ja) * 1999-11-02 2001-05-15 Nisshin Clothing Co Ltd メジャー付き衣服
KR20020006133A (ko) * 2000-07-11 2002-01-19 이경복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JP3132420U (ja) * 2007-03-28 2007-06-07 有限会社富花園芸 メジャー付き長手袋
KR20210017368A (ko) * 2019-08-08 2021-02-17 고은별 신체 치수 측정용 레깅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765B1 (ko) 2022-11-23 2023-01-27 남준기 의류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552B1 (ko)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GB659710A (en) Improvements in hydrogenation of chlorosilanes
TWI548421B (zh) 具有鋅胺基酸/三甲基甘胺酸鹵化物前驅物的組成物
JP6155198B2 (ja) メソポーラスシリコン
CN100362979C (zh) 透明洁齿产品及其制备方法
JP5828644B2 (ja) 粉末浴用化粧料
JP2013253036A (ja) 血行促進剤、発汗促進剤及び浴用組成物
CN109431919A (zh) 一种含植物成分的婴儿热痱粉的制备方法
KR100215991B1 (ko) 원적외선 방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hernyshev et al. Silicon analogues of carbenes
CN101371814A (zh) 含有金刚石的毛发处理剂
Yilmaz et al. Cobalt (II) complexes of 2-methanol-, 2, 6-dimethanol-and 2-ethanolpyridines: syntheses, spectroscopic, thermal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s of [Co2 (μ-Cl) 2 (mpy) 4] Cl2· 2H2O,[Co (dmpy) 2] Cl2 and [Co (Cl) 4](Hpyet) 2 (mpy= 2-methanolpyridine; dmpy= 2, 6-dimethanolpyridine and Hpyet= 2-ethanolpyridinium)
Žák et al.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s of two new cobalt 42-oxododecatungstates,[Co4Na (H2O) 21][H (H2W12O42)]. 18H2O and [Co5 (H2O) 22][H2W12O42]. 12H2O
JP3774554B2 (ja) メソポーラス粉体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CN107997271A (zh) 一种维他命护肤橡胶手套及其制备方法
CN107722627A (zh) 一种应用于泳镜和泳帽的抗菌材料配方和生产工艺
JPH11100208A (ja) 棒状メソポーラス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611856U (zh) 一种改良式病号服
CN1294921A (zh) 油香气体及制备方法
KR101510307B1 (ko) 등팩
CN203370006U (zh) 围领式颈托
CN213250164U (zh) 背心式肩肘固定带
JP6733322B2 (ja) 化粧品基材および該化粧品基材を含有する化粧料
CN108532297A (zh) 抗菌毛巾织物及其制备方法
CN107789214A (zh) 一种丙烯酸双季铵盐接枝无纺布湿巾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