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133A -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133A
KR20020006133A KR1020000039620A KR20000039620A KR20020006133A KR 20020006133 A KR20020006133 A KR 20020006133A KR 1020000039620 A KR1020000039620 A KR 1020000039620A KR 20000039620 A KR20000039620 A KR 20000039620A KR 20020006133 A KR20020006133 A KR 2002000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garment
clothes
determining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이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복 filed Critical 이경복
Priority to KR102000003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133A/ko
Publication of KR2002000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기타 통신매체를 통하여 의복을 구입할 때 신체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특히, 소비자가 혼자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의복형태의 측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구매하고자 하는 의복의 부위별 치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비자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을 입고 몸에 맞도록 치수 측정수단을 조정한다. 치수 측정수단은 치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설치되며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과 치수를 특정할 수 있는 문자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Cloth for Determining Cloth Size}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기타 통신매체를 통하여 의복을 구입할 때 신체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특히, 소비자가 혼자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의복형태의 측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바빠짐에 따라 인터넷이나 케이블 TV, 또는 쇼핑정보지 등을 통한 통신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판매는 전자제품, 스포츠용품, 서적 등과 같이 판매자가 제공하는 제품정보만으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품목들에 있어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의복과 같이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제품정보만으로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판매자 입장에서는 의복의 경우 타제품과는 달리 반품율이 30∼50%로 매우 높아서 통신판매라 하더라도 가격을 낮추기가 어렵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배달된 의복이 자신의 몸에 맞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통신매체에서 본 견본과는 다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주문을 주저하게 되거나, 구매하더라도 반품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원하는 시기에 입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경험한 소비자가 계속적인 구매를 꺼리는 것에서 비롯된다.
반품이 발생되는 경우는 배달된 의복에 흠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배달된 의복의 질감이나 느낌 등이 컴퓨터나 케이블 TV의 화면에서 본 것(또는 쇼핑 정보지에 인쇄된 견본)과 다르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배달된 의복이 몸에 맞지 않기 때문인데 이 경우가 대부분이다.
위와 같은 반품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구매하고자 하는 의복의 분위기를 미리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화면상에서 사이버 모델에게 입혀보고 선택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옷의 사이즈는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규격 이를테면, 대표규격(S, M, L, XL 등)이나 호수(95호, 100호, 110호 등)나 연령(3∼4세용, 5∼6세용 등)에서 선택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규격에 의하여 선택하는 방법은 제조업체마다 서로 다른 규격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즈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동일한 규격을 채택하고 있더라도(이를테면, 동일한 5∼6세용이라 하더라도) 업체마다 실제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반품요인은 여전히 남게 된다.
소비자가 주문한 의복이 소비자의 몸에 맞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반품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등의 특정 신체치수를 판매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의복의 사이즈가 결정되도록 하면 바람직한데 이는 소비자의 부위별 신체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채용하기 매우 어려운데 부위에 따라서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측정할 수 있고, 진동둘레(arm hole)나 크로취 라인(crotch line, 가랑이에서 배꼽까지의 거리) 등은 전문가가 아니면 옳게 측정하는 것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신체치수는 계속적으로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특히, 성장기의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한번 측정한 측정치를 계속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사이버 쇼핑몰(cyber shopping mall)을 운영하는 업체 중에는 직접 입어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착의실(fitting room)을 곳곳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업체가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옷을 구입하기 위하여 기존의 매장을 방문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주문만 인터넷 등 통신수단에 의하여 받을 뿐 매장은 아니더라도 착의실을 별도로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의복의 가격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입하고자 하는 의복의 부위별 치수를 혼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의복의 부위별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하여 치수를 측정해야 할 신체부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의의 부위별 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의 일실시예이다.
도 3은 구매하고자 하는 하의의 부위별 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고정수단이 단추인 치수 측정수단으로, 도 4a와 도 4b는 각각 분리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고정수단이 벨크로(Velcro)인 치수 측정수단으로, 도 5a와 도 5b는 각각 분리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고정수단이 고정핀인 치수 측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고정수단이 버클(buckle)인 치수 측정수단으로, 도 7a와 도 7b는 각각 분리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고정수단이 슬라이드(slide)인 치수 측정수단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목둘레 b : 어깨넓이 c : 진동둘레
d : 가슴둘레 e : 허리둘레 f : 엉덩이둘레
g : 팔길이 h : 크로치 라인 i : 하체길이
21: 치수 측정수단
일반적으로, 상의는 어깨넓이, 가슴둘레, 허리둘레, 소매길이 및 기장(길이) 등에 의하여 특정되고(와이셔츠의 경우에는 목둘레 포함),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크로취 라인 및 기장 등에 의하여 특정되는데 도 1에 의복의 사이즈와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치수를 측정해야 할 신체부위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실제의 의복 사이즈는 옷의 종류(겉옷 또는 속옷)나 소비자가 옷을 입는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신체치수는 옷의 사이즈와 상관관계는 있으나 바로 구매하고자 하는 옷의 사이즈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의 실제 신체치수를 측정하기 보다는 구매하고자 하는 의복의 부위별 치수가 바로 정해지도록 하였으며 의복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은 치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치수 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치수 측정수단은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과 치수를 특정하는 숫자(또는 문자)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의복을 구입할 때 측정하는 신체치수는 목둘레(a), 어깨넓이(b), 어깨둘레(c), 가슴둘레(d), 허리둘레(e), 엉덩이둘레(f), 팔길이(g), 다리길이(h), 크로취 라인(i)에서 1 또는 2 이상 선택하는데 이는 의복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테면, 와이셔츠의 경우에는 목둘레(a)와 팔길이(g)가 가장 중요하고, 양복 상의의 경우에는 어깨넓이(b), 가슴둘레(d) 및 앉은키(미도시)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판매하고자 하는 의복에 따라 본 발명의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도 달라질 것이나 상의 전반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 2에, 하의 전반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치수 측정수단(21)은 도시된 부위 외에 필요에 따라 특정 부위를 추가할 수도 있다.
치수 측정수단은 두 점간의 거리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으면서 특정 길이로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과 두 점간의 거리를 특정할 수 있는 숫자(또는 문자)로 이루어지는데 이를테면, (1)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단추에 구멍을 몸에 맞추어 끼우고 단추의 숫자를 읽는 방식, (2) 벨크로(velcro)의 두 면을 몸에 맞게 붙이고 그 옆에 기재된 숫자를 읽는 방식, (3) 일정 간격으로 난 구멍에 고정핀을 몸에 맞추어 끼우고 구멍의 숫자를 읽는 방식, (4) 버클(buckle)에 섬유 띠를 몸에 맞게 고정하고 섬유 띠에 매겨진 숫자를 읽는 방식, (5) 슬라이드(slide)에서 놉(knob)으로 길이를 몸에 맞게 조정하고 레일 옆의 숫자를 읽는 방식을 들 수 있다.
상기 (1)∼(5)의 치수 측정수단을 도 4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하였다. (1)과 (3)은 단추간의 간격 또는 구멍간의 간격을 최소 단위로 하여 길이 또는 둘레를 측정할 수 있는 것(digital)이 특징이고, (2)와 (4)는 임의의 길이나 둘레를 측정할 수 있는 것(analog)이 특징이며 (5)는 원칙적으로는 일정길이 단위로 측정할 수 있으나 간격이 좁아서 매우 작은 길이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치수 측정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수단은 단추, 벨크로, 고정핀, 버클, 슬라이드의 상기 5가지 외에 임의의 길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도 있으며, 1가지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부위에 따라 특히 적합한 것을 선택함으로써 2가지 이상을 채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테면, 어깨넓이 측정수단으로는 (2)의 방식(벨크로)을 채택하고, 허리둘레 측정수단으로는 (3)의 방식이나 (4)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소매길이나 하의의 기장을 결정하는 수단으로는 상기 수단 외에 숫자만 표시하여 접어 올리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깨넓이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1)의 방식을 채택하였다면 소비자가 본 발명의 신체치수 측정용 의복을 입고 자신의 어깨넓이에 맞도록 단추를 끼운 것이 1, 2, 3, 4, 5 중에서 3이었다면 어깨넓이는 3이 되는 것이다.
신체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번호나 눈금은 고정수단이 아닌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에 기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수단의 특정 부위 또는 특별히 화살표가 표시된 부분의 숫자 또는 문자를 읽으면 된다. 만약, 가슴둘레를 측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2)의 방식(고정수단이 벨크로인 경우)을 채택하였다면 말단부가 오는 곳이 S, M, L, XL 중에서 M이라면 M 사이즈인 것이고, 95라면 가슴둘레가 95cm가 되는 것이다. 신체치수를 번호(1, 2, 3, 4, 5 등)나 부호(S, M, L, XL 등)로 표시할 것인지 또는, 실제의 신체치수(cm 또는 인치 단위)로 표시할 것인지는 판매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소비자와의 약속에 불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체치수 측정용 의복에는 상기 번호나 눈금 외에도 신체치수 측정방법, 의복의 주문방법 등을 자세하게 기재하거나 판매자의 인터넷 주소 등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기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체치수 측정용 의복은 우비(비옷)의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평상복의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우비의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비닐이나 발수처리된 천으로 제작하여 실제로 우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신체치수 측정용 의복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예를 예시한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의 구성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1) 소비자가 판매자의 사이트(site)에서 이름, 주소, 신장, 몸무게, 나이 등의 간단한 신상정보를 입력한다.
(2) 판매자는 소비자의 신장 또는 나이로부터 파악되는 적당한 크기의 신체치수 측정용 우비를 우송한다. (우비는 몸에 꼭 맞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몇 개의 대표 사이즈만 제작하면 된다.)
(3) 소비자는 우송된 우비를 입고, 설명서 또는 우비에 기재된 요령대로 자신의 신체치수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한다. 측정되는 치수가 실제의 신체치수로 할 것인지 구입하고자 하는 의복의 치수로 할 것인지는 판매자가 제시하는 요령에 따른다. 이를테면, 구입하고자 하는 의복이 양복인 경우에는 와이셔츠를, 점퍼나 오버코트인 경우에는 남방이나 양복을 입고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4) 판매자가 요구하는 요령(우비에 기재된 요령)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주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차적으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통신판매된 의복의 반품율이 낮아지므로 판매단가를 낮출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배달된 의복의 사이즈가 맞지 않아 반품하는 위험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이차적으로, 상기 효과에 의하여 의류의 통신판매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의복의 구입가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Claims (6)

  1. 구매하고자 하는 의복의 부위별 치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치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과 치수를 특정할 수 있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치수 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치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가 신체의 목둘레, 어깨넓이,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팔길이, 다리길이, 크로취 라인에 해당되는 부위에서 1 또는 2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치수 측정수단이 (1)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단추에 구멍을 몸에 맞추어 끼우고 단추의 숫자를 읽는 방식, (2) 벨크로(velcro)의 두 면을 몸에 맞게 붙이고 그 옆에 기재된 숫자를 읽는 방식, (3) 일정 간격으로 난 구멍에 고정핀을 몸에 맞추어 끼우고 구멍에 매겨진 숫자를 읽는 방식, (4) 버클(buckle)에 섬유 띠를 몸에 맞게 고정하고 섬유 띠에 매겨진 숫자를 읽는 방식, (5) 슬라이드(slide)에서 놉(knob)으로 길이를 몸에 맞게 조정하고 레일 옆의 숫자를 읽는 방식 중에서 1 또는 2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의 사용방법, 의복의 주문방법, 인터넷 주소 등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비(비옷)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상복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KR1020000039620A 2000-07-11 2000-07-11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KR20020006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20A KR20020006133A (ko) 2000-07-11 2000-07-11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20A KR20020006133A (ko) 2000-07-11 2000-07-11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926U Division KR200208693Y1 (ko) 2000-07-12 2000-07-12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133A true KR20020006133A (ko) 2002-01-19

Family

ID=1967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620A KR20020006133A (ko) 2000-07-11 2000-07-11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13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5353A1 (en) * 2003-09-18 2005-03-24 Rlj Desig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auging body size
WO2006131156A1 (de) * 2005-06-07 2006-12-14 Gardeur Ag Gürtelförmiges massband und system zur feststellung der konfektionsgrösse sowie verfahren hierfür
WO2015042372A1 (en) * 2013-09-19 2015-03-26 Fenimore Ryan Devin Measuring shirt
CN109259368A (zh) * 2017-07-18 2019-01-25 北京应尺科技有限公司 测量人体尺寸的服装形态智能测量设备及测量方法
KR102374552B1 (ko) * 2020-11-23 2022-03-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5353A1 (en) * 2003-09-18 2005-03-24 Rlj Desig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auging body size
WO2006131156A1 (de) * 2005-06-07 2006-12-14 Gardeur Ag Gürtelförmiges massband und system zur feststellung der konfektionsgrösse sowie verfahren hierfür
WO2015042372A1 (en) * 2013-09-19 2015-03-26 Fenimore Ryan Devin Measuring shirt
US9990663B2 (en) 2013-09-19 2018-06-05 Ryan Devin Fenimore Measuring shirt
CN109259368A (zh) * 2017-07-18 2019-01-25 北京应尺科技有限公司 测量人体尺寸的服装形态智能测量设备及测量方法
KR102374552B1 (ko) * 2020-11-23 2022-03-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핏감이 있는 여성의류 사이즈 측정용 샘플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0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body measurements, virtually simulating models of actual and target body shapes, ascertaining garment size fitting, and processing garment orders
KR100210410B1 (ko) 주문형 의복 제조 장치 및 방법
US6415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ustom-fitted clothing
US7249423B2 (en) Measuring device for garment tailoring, and related methods
PI et al. Understanding fitting preferences of female consumers: Development an expert system to enhance accurate sizing selection
US7685727B2 (en) Measuring device for garment tailoring, and related methods
US200802496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arel Customization
JPH032964B2 (ko)
AU2013204402A1 (en) Body measuring method and garment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Kinley Fit and shopping preferences by clothing benefits sought
AU2008237335A1 (en) Computer system for rule-based clothing matching and filtering considering fit rules and fashion rules
US20110035339A1 (en) Body Type Based Line of Clothing and Method of Selling Same
US20020166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ustom-fitted clothing
JP2015010303A (ja) 衣服用試着採寸具
KR20020006133A (ko)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KR200208693Y1 (ko) 의복 사이즈 결정용 의복
US20110083331A1 (en) Apparel Fit Guide
US7415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uging body size
Boorady Overweight and obese consumers: shape and sizing to design apparel that fits this specific market
Roy The Tailor’s Voice: Pattern Drafting Systems and the State of the Art
KR102129521B1 (ko) 줄자
Luo et al. Study on chinese elderly women’s clothing design based on ergonomics
Dove Women’s Clothing Choices are Being Inhibited by Poor Fit
Faust et al. 3D body scanning: Generation Y body perception and virtual visualization
JP2022062492A (ja) メジャー、及びデータ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